KR20080019349A -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 Google Patents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349A
KR20080019349A KR1020060081526A KR20060081526A KR20080019349A KR 20080019349 A KR20080019349 A KR 20080019349A KR 1020060081526 A KR1020060081526 A KR 1020060081526A KR 20060081526 A KR20060081526 A KR 20060081526A KR 20080019349 A KR20080019349 A KR 2008001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transmission
voice
data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8290B1 (en
Inventor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290B1/en
Publication of KR2008001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Abstract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s provided to monitor the amount of network traffic in real time, select a proper voice/data transceiving mode according to QOS, and switch automatically into the transceiving mode of an upper level according to a real-time monitoring result, thereby adaptively optimizing voice/data transmission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hange of a network environment. A mobil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monitoring a network state; selecting one of voice and data transceiving modes according a network monitoring result(S120,S150,S160); and transceiving a voice and/or data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transceiving mode(S110,S130,S140,S170). The monitoring of the network state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set QOS(Quality Of Service).

Description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제 1 모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irst mode in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제 2 모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second mode in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제 3 모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third mode control method in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제 4 모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fourth mode in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 기반으로 음성(Voice)과 데이터(Data) 통신을 수행할 때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timally controlling voice and data transmission when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based on VoIP in a mobile termina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기술이다. VoIP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 폰에 이용하는 것으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VoIP는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할 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유선을 통한 VoIP는 통화중 데이터(data) 전송시에 전송율의 변화가 심하지 않았지만, 무선 인터넷(WiBro, WiMax)을 사용하여 VoIP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전송율에 대한 품질(QoS)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바일 기반의 VoIP에서 음성(Voice)과 데이터(Data) 전송시 최적의 통신상태로 전송을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make calls over the Internet. VoIP uses a data packet network for internet phones, which is used in the past, converts voice data into Internet protocol data packets to enable a call in a general telephone network. VoIP is not only based on existing wired networks, bu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obile devices based on wireless networks. VoIP over wired did not change the data rate during the data transmission during the call, but the quality of the data rate (QoS) should be guaranteed when making VoIP calls using the wireless Internet (WiBro, WiMax).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in an optimal communication state when transmitting voice and data in mobile based VoIP.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when performing VoIP-bas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과 데이터의 최적화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nitoring network conditions and performing optimized transmission control of voice and data when performing a VoIP-bas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설정된 기준 전송 품질(QoS)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과 데이터의 최적화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nitor network conditions when performing VoIP-bas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and to perform optimized transmission control of voice and data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with a set reference transmission quality (QoS). To provide a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VoIP를 사용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 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음성과 데이터 송수신 모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송수신 모드에 근거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a network state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using VoIP based on a wireless network in a mobile terminal; Selecting one of voice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according to the network monitoring result;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 or data based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은 설정된 전송품질(QoS)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of the network st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set transmission quality (QoS).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은 설정된 제 1 전송 품질(QoS)과 제 2 전송 품질(QoS)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제 1 전송 품질은 최소 QoS, 제 2 전송 품질은 최적 Qo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of the network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irst transmission quality (QoS) and the second transmission quality (QoS), wherein the first transmission quality is the minimum QoS, The second transmission quality is characterized by optimal QoS.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송수신 모드는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 각각에 할당된 대역폭 점유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based on bandwidth occupancy allocated to each of the voice packet and the data packet.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 전송은 보장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줄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uarantees voice packet transmission and reduces data packet transmission.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만 전송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일시 중지하는 것임을 특징으 로 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of only the voice packet and the suspension of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communication is switched to a messenger and retransmission of the suspended data is performed.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 상기 송수신 모드는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모드 간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switching between mode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network stat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은,In addition,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통신 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전송품질(QoS)을 구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송품질을 설정된 최적 QoS 및 최소 QoS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 각각의 상대적인 점유 비중을 QoS에 최적화 분배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btaining a current quality of service (QoS) by monitoring a network state in a VoIP-based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Comparing the current transmission quality with a set optimal QoS and a minimum QoS; Performing communication by optimizing and distributing a relative share of each of the voice packet and the data packet to the Qo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른 기기 동작과 관련된 정보 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음성 및 데이터 인코딩/디코딩을 수행하는 코덱(CODEC)(40), 상기 코덱(40)과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음성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부(T/R)(50), 상기 송수신부(50)를 통한 네트워크 전송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하기 위한 모니터링부(60),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71),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40)에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72), 상기 코덱(4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81),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KP)(82)를 포함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a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 user interface 20 for inputting a user's mobile terminal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ler 10, and the controller ( A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device operation under control of 10), a codec 40 for performing voice and data encoding / decod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and the codec 40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 / R) 5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based on a network, and for monitoring and transmitting the network transmission quality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0 to the control unit 10. The monitoring unit 60, a microphone (MIC) 71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72 for converting the micro-input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dec 40, From codec 40 A speaker (SKP) (82) for digital / analog converter (DAC) (81), the converted analog voice signal output for converting the voice data to be output to an analog signal.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통신을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한다. VoIP 기반의 음성통화와 관련된 프로토콜, 통신계층, 관련 모듈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한 언급을 하지 않는다. VoIP 기반의 음성 통화를 위해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들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The user selects a counterpart for communic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20 to perform a VoIP-based voice call in the mobile terminal. Since the protocol, communication layer, and related modules related to VoIP-based voice calls are already known technologi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Functions or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VoIP-based voice cal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제어부(10)는 송수신부(50)를 통하여 통신을 원하는 상대방에 접속을 제어하고, 상대방과의 통신 선로가 구축됨에 따라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마이크(71)로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72)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코덱(40)에서 인코딩되어 송수신부(50)를 통해서 상대방 VoIP 단말로 전송된다.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connection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50, the voice call is made as the communication line with the other party is established. The user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71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72, and the converted digital voice signal is encoded by the codec 40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VoIP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50. Is sent.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 VoIP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송수신부(50) 를 통하여 코덱(40)에 전달되고, 코덱(40)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82)를 통해 출력된다.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s VoIP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codec 40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50, and the digital voice signal decoded by the codec 40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81.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82.

모니터링부(60)는 통신중의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결과, 즉 현재 네트워크의 QoS 정보를 제어부(1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VoIP 기반의 음성통화 중에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데이터 전송)을 하는 경우 모니터링부(60)로부터 파악된 QoS에 따라 음성과 데이터의 최적화 전송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음성과 데이터의 최적화 전송 제어는 전송율에 따른 QoS가 보장되도록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의 상대적인 점유 비율 및/또는 점유 여부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The monitoring unit 60 monitors the network status during communica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monitored result, that is, QoS information of the current network, to the controller 10. As such, when the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 during the VoIP-based voice call, an optimized transmission control of voice and dat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QoS detected from the monitoring unit 60. Optimal transmission control of voice and data is based on the relative occupancy rate and / or possession of the voice packet and the data packet so that Qo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is guaranteed.

본 발명에서는 이를 송수신 모드로 정의하고 사용한다. 상기 송수신 모드는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 각각에 할당된 대역폭 점유에 근거하는데,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 전송은 보장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줄이는 방법으로 음성-데이터 전송의 최적화를 이룬다. 또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만 전송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일시 중지하는 방법으로 음성-데이터 전송의 최적화를 이룬다. 또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룬다. 각각의 송수신 모두는 일종의 레벨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송수신 모드는 네트워크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모드 간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고, 현재 송수신 모드에서 QoS가 더 나아진다면 상위 모드로 이동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defined and used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based on the bandwidth occupancy allocated to each of the voice packet and the data packet.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optimizes the voice-data transmission by guaranteeing voice packet transmission and reducing data packet transmission. In addition,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optimizes voice-data transmission by transmitting only a voice packet and suspending data packet transmission. In addition,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achieves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by switching voice communication to a messenger and performing retransmission of paused data.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level concep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between modes according to the real-time monitoring result of the network state, and may move to a higher mode if QoS is better in the current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 따른 음성-데이터 최적화 제어방법의 몇 가지 예를 보여주는데, 여기에 예시된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2 to 5 show some examples of the voice-data optimiz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here is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2는 제 1 모드(MODE 1)를 보여준다. 제 1 모드(MODE 1)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통신이 함께 이루어지는 노멀(Normal)한 경우를 보여준다. 노멀(Normal) 상태에서 음성신호 대역폭(Bandwidth of Voice)과 데이터 대역폭(Bandwidth of Data)은 최적 QoS 지점에서 선택된다. 최적 QoS 지점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도2에서는 최소 QoS 지점도 표현되고 있는데, 최소 QoS > 최적 QoS의 관계를 갖고 있다. 최소 QoS 지점 또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2 shows a first mode MODE 1. The first mode MODE 1 shows a normal case in which a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are performed together. In the normal state, the bandwidth of voice and the bandwidth of data are selected at an optimal QoS point. The optimal QoS point is a value that can be set arbitrarily. In FIG. 2, a minimum QoS point is also represented, and has a relationship of minimum QoS> optimal QoS. The minimum QoS point is also a value that can be set arbitrarily.

도3은 제 2 모드(MODE 2)를 보여준다. 제 2 모드(MODE 2)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전송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인데, 여기서는 네트워크 상태가 낮은 전송율을 갖는 경우(Low Efficiency Network Status(1))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는,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되는 QoS가 최적 QoS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음성 패킷(Voice packet) 전송은 보장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줄이는 방법으로 음성과 데이터 전송의 최적화를 이룬다. 즉, 할당된 대역폭에 대해서 음성은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은 줄여주는 것이다.3 shows a second mode (MODE 2). The second mode (MODE 2) is a case where the voice call and the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ogether, where the network state has a low transmission rate (Low Efficiency Network Status (1)). In this case, the QoS currently monitored from the network is maintained above the optimum QoS. In this case, th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are optimized by reducing the data transmission while guaranteeing the voice packet transmission. That is, it guarantees voice and reduces data transmission for the allocated bandwidth.

도4는 제 3 모드(MODE 3)를 보여준다. 제 3 모드(MODE 3)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전송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인데, 여기서는 네트워크 상태가 더욱 낮은 전송율을 갖는 경우(Low Efficiency Network Status(2))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는,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되는 QoS가 최소 QoS 이상이지만 최적 QoS 이하로 유 지되고 있는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음성 패킷(Voice packet) 전송만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은 일시 중단하는 방법으로 음성과 데이터 전송의 최적화를 이룬다. 즉, 할당된 대역폭에 대해서 음성은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은 QoS가 나아질 때까지 일시 중단하는 것이다.4 shows a third mode (MODE 3). The third mode (MODE 3) is a case where the voice call and the data transmission are performed together, where the network state has a lower transmission rate (Low Efficiency Network Status (2)). In this case, the QoS currently monitored from the network is above the minimum QoS but maintained below the optimum QoS. In this case, only the voice packet is guaranteed and the data is suspended. The transmission is optimized. That is, voice is guaranteed for the allocated bandwidth and data transmission is suspended until the QoS is better.

도5는 제 4 모드(MODE 4)를 보여준다. 제 4 모드(MODE 4)는 음성 통화와 데이터 전송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인데, 여기서는 네트워크 상태가 더욱더 낮은 전송율을 갖는 경우(Low Efficiency Network Status(3))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는,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모니터링되는 QoS가 최소 QoS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했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방법으로 음성과 데이터 전송의 최적화를 이룬다.5 shows a fourth mode (MODE 4). The fourth mode (MODE 4) is a case where the voice call and data transmission are performed together, where the network state has a lower transmission rate (Low Efficiency Network Status (3)). In this case, the QoS currently monitored from the network is less than the minimum QoS. In this case, th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is optimized by switching the voice communication to a messenger and resuming the suspended data transmission. Achieve.

도2 내지 도5에 예시된 각각의 모드들은 네트워크의 트래픽(traffic) 양을 항상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최적의 QoS가 보장되면 다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Each of the modes illustrated in FIGS. 2 to 5 may be switched to another mode if the optimum QoS is guarante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network at all times.

각각의 모드들은 레벨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드1(MODE 1)이 가장 상위 레벨에 해당하며, 모드2(MODE 2)가 그 다음 순위이고, 모드3(MODE 3)이나 모드4(MODE 4)는 유사한 레벨로 순위가 매겨진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트래픽 양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QoS가 보장되면 항상 상위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인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Each of the mode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levels. Mode 1 corresponds to the highest level, mode 2 is next, and mode 3 or mode 4 is ranked at a similar leve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conditions by monitoring the traffic volume as a whole and moving to the higher mode whenever the optimal QoS is guaranteed.

도6은 본 발명의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준다.Figure 6 shows an embodiment of a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단계(S110)는 VoIP 통신(음성 통화) 중에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일단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 모드(MODE 1)로 음성과 데 이터 최적화 전송을 수행한다. 즉, 음성과 데이터 각각에 할당된 대역폭을 활용하여 음성-데이터의 최적화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후,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 중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 지점이나 약전계 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모니터링되는 QoS가 악화될 것이다.The first step S110 is a step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during VoIP communication (voice call), in which the voice and data optimized transmission are first performed in the first mode (MODE 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ptimized transmission of the voice-data is performed by utilizing the bandwidth allocated to each of the voice and the data. Subsequently, when entering a network traffic point or a weak field point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nitored QoS will deteriorate.

제 2 단계(S120)는 현재 모니터링된 QoS에 따라 어떤 모드로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룰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QoS를 보장하는가를 판별하는데, 현 상태(현재의 QoS)를 최적 QoS 및 최소 QoS와 비교함으로써 어떤 모드로 이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의 QoS가 최적 QoS 이상을 만족한다면 제 3 단계(S130)로 이행하고, 현재의 QoS가 최적 QoS 이하이지만 최소 QoS 이상을 만족한다면 제 4 단계(S140)로 이행하며, 위의 두가지 경우 모두가 아니라면, 즉 현재의 QoS가 최소 QoS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제 5 단계(S150)로 이행한다.The second step S120 is a step of determining in which mode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i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urrently monitored QoS. In this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network traffic guarantees QoS,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mode to transition to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e (current QoS) with optimal QoS and minimum QoS. If the current QoS satisfies the optimal QoS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third step S130. If the current QoS satisfies the optimal QoS but the minimum QoS or mor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ourth step S140. If not, that is, if the current QoS does not satisfy the minimum QoS,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ifth step S150.

제 3 단계(S130)는 제 2 모드(MODE 2)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제 2 모드(MODE2)는 앞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패킷 전송은 보장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줄이는 방법으로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루는 것이다. 제 2 모드(MODE2)로 전환하여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루고,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QoS가 더 나아지면 제 1 모드(MODE 1)로 전환한다. QoS가 더욱 나빠진다면 제 3 모드(MODE 3) 또는 제 4 모드(MODE 4)로 전환할 수도 있다.The third step S130 is a step of switching to the second mode MODE 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econd mode MODE2 is to optimize voice-data transmission by reducing data transmission while ensuring voice packet transmission. Switching to the second mode (MODE2) to achieve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and monitoring the current network conditions to switch to the first mode (MODE 1) when the QoS is better. If the QoS worsens, it may switch to the third mode (MODE 3) or the fourth mode (MODE 4).

제 4 단계(S140)는 제 3 모드(MODE3)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제 3 모드(MODE 3)는 앞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통신만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은 일시 중단하는 방법으로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루는 것이다. 제 3 모드(MODE 3)로 전환하여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루고,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QoS가 더 나아지면 제 2 모드(MODE 2) 또는 제 1 모드(MODE 1)로 전환한다. QoS가 더욱더 나빠진다면 제 4 모드(MODE 4)로 전환할 수도 있다.The fourth step S140 is a step of switching to the third mode MODE3. In the third mode MODE 3, the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is performed by performing only voice communication and suspending data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By switching to the third mode (MODE 3) to achieve voice-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and monitoring the current network conditions, if the QoS is better, then switch to the second mode (MODE 2) or the first mode (MODE 1). If the QoS becomes worse, it may switch to the fourth mode (MODE 4).

제 5 단계(S150)는 현재의 QoS가 최소 QoS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 트래픽 및 전송율을 확인하여 QoS가 보장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 3 모드(MODE 3)의 수행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이 일시 중단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다. 일정한 시간 동안 트래픽 및 전송율을 확인하였을 때 QoS가 보장되면 이 보다 상위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정한 시간 동안 트래픽 및 전송율을 확인하여도 QoS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제 6 단계(S160)로 이행하여 제 4 모드(MODE4)로 전환한다.The fifth step (S150)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QoS is guaranteed by checking the traffic and the transmission 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urrent QoS does not reach the minimum QoS. This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data transmission is suspended based on the execution of the third mode (MODE 3). If the QoS is guaranteed when the traffic and the transmission rate are checked for a certain time, a switch to a higher mode may be performed. If QoS is not guaranteed even after checking the traffic and transmission rate for a certain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ixth step S160 to switch to the fourth mode MODE4.

제 6 단계(S160)는 제 4 모드(MODE 4)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제 4 모드(MODE 4)는 앞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의 재전송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제 6 단계(S160)에서 제 4 모드(MODE 4)로 전환하고, 메신저 모드인지, 아니면 데이터 재전송이 요구되는 경우인지를 판단한다.The sixth step S160 is a step of switching to the fourth mode MODE 4. The fourth mode MODE 4 is a step of switching voice communication to a messeng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and starting retransmission of the suspended data. Therefore, in the sixth step S160, the process changes to the fourth mode MODE 4,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messenger mode or when data retransmission is required.

메신저 모드/데이터 재전송 모드이면 제 7 단계(S170)로 이행하여 음성통신을 메신저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한다. 메신저 모드/데이터 재전송 모드가 아니라면 QoS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이 보다 상위 모드로 전환한다.If it is the messenger mode / data retransmission mode, the flow advances to the seventh step S170 to switch the voice communication to the messenger, and to perform the suspended data retransmission. If not in messenger mode / data retransmission mode, switch to higher mode according to QoS monitoring result.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서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양을 항상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QoS에 따라 음성-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하고, 각각 선택된 모드에서도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위 레벨의 송수신 모드로의 자동 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QoS while monitoring the traffic volume of the network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automatic transition to the higher lev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is achieved.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적응적인 음성-데이터 전송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한된 대역폭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QoS에 따라 음성 전송을 보장하고 데이터 전송을 줄이거나, 데이터 전송을 일시 중단하고 음성 통신만 보장하거나, 음성 통신을 메신저로 전환하고 중지되었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과 데이터 전송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voice-data transmission in real time adaptive to changes in the network environment. Also, when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a limited bandwidth network, it guarantees voice transmission and reduces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QoS, suspends data transmission and guarantees only voice communication, or converts voice communication to messenger, Voice and data transfer optimization can be achiev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resuming a suspended data transfer.

본 발명의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로 VoIP 기반의 통화 중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경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음성-데이터 전송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oIP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during a VoIP-based call to a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optimize voice-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network conditions.

Claims (12)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VoIP를 사용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 함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using VoIP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Monitoring network status; 상기 네트워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음성과 데이터 송수신 모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one of voice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according to the network monitoring result; 상기 선택된 송수신 모드에 근거하여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 or data based on the select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은 설정된 전송품질(QoS)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of the network state is based on a set quality of service (Qo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은 설정된 제 1 전송 품질(QoS)과 제 2 전송 품질(QoS)에 따르며, 여기서 제 1 전송 품질은 최소 QoS, 제 2 전송 품질은 최적 QoS (단, 최소 QoS < 최적 Q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of the network condition is in accordance with a set first quality of service (QoS) and a second quality of service (QoS), wherein the first quality of transmission is the minimum QoS and the second quality of quality is the optimal QoS Minimum QoS < Optimum Qo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드는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 각각에 할당된 대역폭 점유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based on bandwidth occupancy allocated to each of a voice packet and a data p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 전송은 보장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줄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is to guarantee voice packet transmission and to reduce data packet transmis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패킷만 전송하고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일시 중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s is to transmit only a voice packet and pause data packet transmis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드 중의 하나는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is to switch the voice communication to a messenger and perform retransmission of the suspended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드는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모드 간 자동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between modes according to a monitoring result of a network state. 모바일 단말기에서 VoIP 기반의 통신 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전송품질(QoS)을 구하는 단계;Obtaining a current quality of service (QoS) by monitoring a network state in a VoIP-based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상기 현재 전송품질을 설정된 최적 QoS 및 최소 QoS(단, 최소 QoS < 최적 QoS)와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the current transmission quality with a set optimal QoS and a minimum QoS (where minimum QoS < optimal QoS);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음성 패킷과 데이터 패킷 각각의 상대적인 점유 비중을 QoS에 최적화 분배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Performing communication by optimizing and distributing a relative share of each of the voice packet and the data packet to the Qo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송품질이 최적 QoS 이상인 경우 음성 패킷에 비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is reduced compared to a voice packet 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qual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optimum Qo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송품질 최소 QoS 이상, 최적 QoS 이하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일시 정지하고 음성 통신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f the current transmission qua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QoS and less than the optimal QoS, data transmission is paused and only voi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전송품질이 최소 QoS 이하인 경우 음성 통신을 메신저(messenger)로 전환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VoIP 통신 제어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current transmission quality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minimum QoS, the voice communication is switched to a messenger and data retransmission is suspended.
KR1020060081526A 2006-08-28 2006-08-28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KR101258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526A KR101258290B1 (en) 2006-08-28 2006-08-28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526A KR101258290B1 (en) 2006-08-28 2006-08-28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349A true KR20080019349A (en) 2008-03-04
KR101258290B1 KR101258290B1 (en) 2013-04-25

Family

ID=3939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526A KR101258290B1 (en) 2006-08-28 2006-08-28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2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68A1 (en) * 2017-12-22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353B2 (en) 2002-03-20 2004-05-18 Sunrise Teleco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acket network
JP2005294983A (en)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IP TRANSMISSION RECEPTION SYSTEM
JP4438634B2 (en) 2005-01-28 2010-03-24 サクサ株式会社 Connection device and program
KR100636278B1 (en) * 2005-02-07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VOICE QUALITY OF SERVICE ENSUREING SYSTEM AND METHOD IN VoIP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68A1 (en) * 2017-12-22 2019-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KR20190076703A (en)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US10986222B2 (en) 2017-12-2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ed transmission of voice data packe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290B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652B2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relay program
JP5128496B2 (en)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43772B1 (en) Power consumption reduction logic for unschelduled APSD and real time services
KR100709971B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374469B1 (en) Methods and devices of a queue controller for dual mode bidirectional audio communication
CN101227482B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media negotiation in network telephone call
US7167451B1 (en) User controlled audio quality for voice-over-IP telephony systems
EP2137883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89220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165060A1 (en) Seamless codec switching
US20160165059A1 (en) Mobile device audio tuning
US10506004B2 (en) Advanced comfort noise techniques
US9729601B2 (en) Decoupled audio and video codecs
CN106856472A (en) Video call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VoLTE
KR20090078454A (en) Voip terminal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ltering codec according to quality of voice
US20130058232A1 (en) Signal Processing
KR101258290B1 (en) MOBILE VoIP COMMUNICATION CONTROL
CN107404363B (en) Method, system, terminal and network side equipment for adjusting voice code rate
JP2008011258A (en) Radio terminal unit and channel control method
US8190208B2 (en) Base station
KR10045140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rvice, and system for the same
JP5365771B2 (en) Voice IP phone
KR100620490B1 (en) Apparatus of servicing data of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5333411A (en) Voip system, session sett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unit used therefor
JP2014107614A (en)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