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403A -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 Google Patent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403A
KR20080018403A KR1020060080451A KR20060080451A KR20080018403A KR 20080018403 A KR20080018403 A KR 20080018403A KR 1020060080451 A KR1020060080451 A KR 1020060080451A KR 20060080451 A KR20060080451 A KR 20060080451A KR 20080018403 A KR20080018403 A KR 2008001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ization
crowd
camera
modul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Priority to KR102006008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403A/en
Publication of KR2008001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4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at an initial fabrication stage of an image product is provided to help a producer apply various ideas in the actual manufacturing spot and thus activate the production of diverse image products. A previz explosion module(112) extracts one or more elements of flame, smoke and fragments previously stored in a DB(Database) according to a parameter inputted by a user to generate an explosion source preset, and stores the same. In this case, the parameter is one or more of gravity, wind, weight, explosion range, an amount of explosion. A previz crowd module(114) extracts one of individual or crowd sources previously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a parameter inputted by the user to generate a crowd image, and stores the same. In this case, the parameter can be one or more of the size, the position and the form of the crowd, and the position is designated as a particular area in a matrix structure.

Description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구조도,1 is a conceptu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ta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폭발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2 is an exemplary screen for explaining an interface of a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폭발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3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군중 모듈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4 is an exemplary screen for explaining an interface of a visualization crowd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군중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5 is an example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6 is an example screen of the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요소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이다.7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 110: 시각화 제작지원 툴100: visualization task program 110: visualization production support tool

112: 시각화 폭발 모듈 114: 시각화 군중 모듈112: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4: visualization crowd module

120: 시각화 시뮬레이션 툴 122: 시각화 카메라 모듈120: visualization simulation tool 122: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4: 시각화 요소 모듈124: Visualization Elements Module

본 발명은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물 제작의 초기 단계인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이 어려운 장면들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게 모듈별로 플러그인화 하여 제공하여 제작을 지원하고, 완성된 시각화 자료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operation in an initial production stage of an image. More specifically, in the pre-production stage, which is the initial stage of video produc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roduction by providing plug-in modules for real-time representation of difficult-to-visualize scenes and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pleted visualization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task in an initial production stage.

최근 DMB 방송 및 온라인 TV 등의 첨단 방송 매체의 발달로 인해 더욱 다양하고 화려한 영상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은 한정된 제작비로 짧은 시간 내에 양질의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하는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는 새로운 제작 기술로 영상물을 제작하며, 제작 기술의 노하우를 쌓아가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현실이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roadcasting media such as DMB broadcasting and online TV, the demand for more diverse and colorful images is increasing. However, developers who are developing such contents have difficulty in producing high-quality results in a short time with limited production costs, and in foreign countries, they produce videos with new production techniques and build up their know-how of production techniques. The reality is expanding.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등의 영상물의 제작에서는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 단계에서 수십 권 분량의 이미지 자료, 스케줄 자료, 소품, 무대 세트 및 장비에 관한 자료 등이 쏟아져 나온다. 이러한 프리프로덕션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현장에서 영상물의 제작에 사용된다면 제작 일정이 늘어나게 되고 제작 과정에서 버려지는 컷도 늘어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and movies, dozens of images, schedules, props, stage sets, and equipment are poured out at the pre-production stage. If these pre-production materials a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used in the production of video material in the field, the production schedule is increased and the cuts discard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are also increased.

이러한 영상물 제작상의 오버 헤드(Overhead)를 없애기 위해 제작되는 것이 시각화 작업(Pre-Visualization)이다. 즉, 시각화 작업은 하나의 영상물 제작을 위한 방대한 프리프로덕션 자료를 단순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직관적으로 판단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Pre-Visualization is produced to eliminate the overhead in producing such an image. In other words, visualization means that a large amount of preproduction data can be intuitively and quickly judged for producing a single image.

미국의 경우에는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의 시각화 작업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전 시각화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1/10 정도로 절감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In the United States, visualization at the pre-production stage is commonplace, reducing the cost of pre-visualization by 1/10.

국내에서도 전문적인 시각화 작업의 필요성이 인식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그 활용도는 움직이는 콘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visualization work is recognized in Korea, its utilization has not yet escaped the moving level.

또한, 제작된 시각화 작업의 결과물의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노하우와 솔루션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various know-hows and solutions that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produced visualization.

따라서, 일반 제작자의 입장에서 시각화 작업의 제작에서 구현이 어려운 부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제작된 결과물의 활용성을 높여주는 툴(Tool)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l producer to develop a tool that makes it easy to implement a difficult part in the production of visualization work and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produced result.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물 제작의 초기 단계인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이 어려운 장면들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게 모듈별로 플러그인화 하여 제공하여 제작을 지원하고, 완성된 시각화 자료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production by providing a plug-in for each module to express in real time scenes that are difficult to visualize in the pre-production stage, which is the initial stage of video production, and utilize the completed visualization materi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task in an initial production stage of an image to maximize the number of imag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물 제작의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의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a)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기저장된 화염, 연기, 파편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폭파 소스 프리셋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각화 폭발 모듈; 및 (b)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기저장된 개인 또는 군중 소스 중 하나를 추출하여 군중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각화 군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operation in the pre-production stage of the video production, (a) at least one of the flame, smoke, fragments pre-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the parameters input from the user A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for extracting elements to generate and store blasting source presets; And (b) a visualization crowd modul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crowd image by extracting one of an individual or a crowd source previously stored in a DB according to a parameter input from a user. Provided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to be execu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구조도이다.1 is a conceptu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ta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100)은 하나의 영상물의 제작을 위한 방대한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 자료를 단순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직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시각화 작업(Pre-Visualization)이 어려운 장면의 제작을 지원하고 완성된 시각화 자료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영상제작 솔루션이다.Visualization work progra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roduction (Pre-Production)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 single image, to make a simple and fast intuitive judgment, the visualization work (Pre- Visualization) is a video production solution that supports the creation of difficult scenes and maximizes the utilization of the finished visualization materials.

따라서,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100)은 시각화 작업의 어려운 부분을 자동화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시각화 자료를 보다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각화 결과물을 촬영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개발된 결과물의 수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제작자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visualization work program 100 can automate difficult parts of the visualization work and process them in real tim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produce visualization materials, and provide a method of using the visualization results more effectively at the shooting site. It is easy to modify the developed result so that the manufacturer can add and use the desired function in the preproduction st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100)은 컴퓨터상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시각화 제작지원 툴(Previsual Application Tool)(110) 및 시각화 시뮬레이션 툴(Previsual Simulation Assistance Tool)(120)을 포함한다.Visualization work progra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driven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a visualization preparation tool (Previsual Application Tool) 110 and a visualization simulation tool (Previsual Simulation Assistance Tool 120) .

시각화 제작지원 툴(110)은 시각화 작업의 제작 시에 표현이 어려운 장면들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모듈별로 플러그인화하여 제공하며, 압축된 파이프라인(Pipeline)을 제공하여 프로그램 내부에 장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내장해 몇 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소스(Source)를 만들어볼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함께 제공 되는 DB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황에 맞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visualization production support tool 110 provides a plug-in for each module so as to express scene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in the production of a visualization work in real time, and provides a compressed pipeline to construct a scene inside a program. It is built so that you can create a desired source with a few clicks, and provides the function that can be reconfigured to produce a scene that suits the situation by separately producing the provided DB.

또한, 시각화 시뮬레이션 툴(120)은 콘티와 최종 결과물의 결합(Bridge)을 수행함으로써 시나리오를 통해 이미지화된 콘티를 바탕으로 주요장면의 카메라와 구도를 최종 출력물과 같은 정도까지 미리 시뮬레이션해봄으로써 보다 최적화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영상물의 제작에 참여하는 다수의 프로덕션이 본 제작 이전에 제작의 현장내용을 숙지하여 준비할 수 있고,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감독과 제작자가 해당 장면에 대해 결정한 바이블(Bible) 자료를 갖고 작업하므로 전체 제작참여자들의 리소스(Resource)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simulation tool 120 performs a bridge between conti and the final result to optimize the camera and composition of the main scene to the same level as the final output based on the conti imaged through the scenario. It is possible to express and to prepare a number of productions that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and to prepare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oduction site prior to the production, and the bible material determined by the director and the producer for the scene during the preproduction stage. Work with to provide a function to effectively use the resources of the entire production participa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제작지원 툴(110)은 시각화 폭발(Previz Explosion) 모듈(112) 및 시각화 군중(Previz Crowd) 모듈(114)을 포함한다.The visualization production support tool 1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and a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시각화 폭발 모듈(112)은 사용자가 영상물의 폭파 장면을 쉽게 프리뷰 해볼 수 있게 함으로써 폭파 장면이 어떻게 보이는지 시각화해 볼 수 있는 툴이다. 일반적으로 시각화 과정에서 사실적인 폭파 장면을 표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각화 폭발 모듈(112)은 간단한 몇 단계의 조작만으로 시각화 작업 내에 다양하고 사실적인 폭파 장면을 표현해낼 수 있다. 폭파 장면은 실시간 플레이를 강화하기 위해 가벼운 폴리곤 애니메이션으로 구현되었으며 외부 물리력(바람, 중력 등)의 작용도 사실적으로 적용되도록 설계된다.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is a tool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preview the blasting scene of the image to visualize how the blasting scene looks. In general, it is very difficult to represent realistic blast scenes during the visualization process. However,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ress various and realistic blasting scenes in the visualization operation with only a few simple steps. The blasting scene is implemented with lightweight polygon animations to enhance real-time play and is designed to realistically apply the effects of external physical forces (wind, gravity, etc.).

시각화 폭발 모듈(112)로 만들어진 폭파 소스는 프리셋(Preset)으로 별도 저장이 되도록 하며 폭파 소스의 수정 또한 실시간으로 즉시 이루어진다. The blasting source made by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is stored separately as a preset (preset) and modification of the blasting source is also made immediately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100)과 함께 제공되는 폭파 관련 소스는 쉽게 수정/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폭파 소스는 화염/연기/파편으로 구분되며 크기, 속도, 종류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수백 가지의 폭파의 종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시각화 폭발 모듈(112)은 다양한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실적인 폭발의 느낌을 쉽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In addition, the blasting-related source provided with the visualization work progra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 supplemented to use a variety of applications. The blasting source is divided into flame / smoke / debris, and the user can select and modify the size, speed, and type, thus creating hundreds of kinds of blasting. This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can adjust a variety of parameters to make it easy to convey the feeling of a realistic explosion.

시각화 폭발 모듈(112)은 화염/연기/파편들을 분리하여 생성이 가능하며 각각의 요소들은 다시 중력이나 바람, 무게, 폭파범위, 폭파량 등의 특성을 다르게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폭발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도 3은 시각화 폭발 모듈(112)을 통해 만든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이다.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can be generated by separating the flame / smoke / fragments, each of the elements can be input again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gravity, wind, weight, blasting range, blasting quantity, etc. It is easy to make. 3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created through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또한, 시각화 폭발 모듈(112)의 인터페이스의 상단에 있는 수정(Modify) 탭을 통한 실시간 피드백(Feedback)으로 원하는 장면을 수분 안에 제작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피드백 기능을 활용해 복잡한 장면도 짧은 시간 내에 생성할 수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의 폭파 장면을 적용하기 위해 파편 소스는 라이브러리화 되어있으며 라이브러리를 바꾸어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DB에는 유리, 철근, 돌과 같은 종류의 파편 소스가 들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esired scene in minutes with real-time feedback through the Modify tab at the top of the interface of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With this real-time feedback function, even complex scenes can be created in a short time. In addition, the fragment source is libraryed to apply blasting scenes in various situations, and the library can be changed to produce various effects. The DB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debris sources such as glass, rebar and stone.

본 발명에 의한 시각화 폭발 모듈(112)의 구현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폭발 프리셋의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폭파 범위, 폭파량, 바람, 무게, 중력 등과 같은 사용자 지정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종 종류의 화염, 연기, 파편(유리, 철근, 돌 등) 소스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동영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폭파량이 "대", 바람이 "강함", 모든 소스(화염, 연기, 파편)를 포함하도록 "정상(Normal)"이 선택된 경우 그에 맞는 큰 이미지의 화염, 연기, 파편 소스를 DB로부터 추출하여 시간에 따라 폭파 범위가 커졌다가 작아지도록 이미지를 생성하되, 시간 경과에 따라 화염, 연기, 파편이 바람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이러한 시각화 폭발 모듈(11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로서, 엘리먼트(Element) 항목에서는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 파편(Piece)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아래에서는 각 프레임(메인, 서브 프레임)에 대한 스타일(Style) 항목에서는 정상, 화염만(Flame Only), 연기만(Smoke Only)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아래에서는 폭파의 크기(Size), 밀도(Density), 속도(Speed), 바람(Wind)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숫자로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hen a user requests to create an explosion preset from the user, various types of flames, smoke, and debris are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user-specified parameters such as the blasting range, blasting amount, wind, weight, and gravity. Extracts one or more sources (rebars, stones, etc.) to generate video images fo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if "Normal" is selected to include "large", "strong" winds, and all sources (flame, smoke, debris), a large image of flame, smoke, and debris sources will be displayed. Extracted from to create an image that increases and decreases over time, with the flame, smoke, and debris facing the wind over time. FIG. 2 is an example of the UI screen of the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112. In an element item, one or more of a mainframe, a subframe, and a piece may be selected. In the Style item for Main, Sub-frame), you can select Normal, Flame Only, Smoke Only, and below, Size, Density, Parameters such as Speed and Wind can be specified numerically.

시각화 군중 모듈(114)은 시각화가 힘든 다양한 군중 장면을 미리 프리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몇 명의 군중이 어디에 쓰이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툴이다. 일반적으로 3D 장면에 군중을 표현하는 것은 별도의 프로젝트로 진행될 만큼 힘들고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각화 군중 모듈(114)은 간단한 몇 단계의 조작만으로 시각화 작업에 수십 내지 수천 명의 군중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is a tool that allows you to preview various crowd scenes that are difficult to visualize so that you can check how many crowds are used. In general, expressing the crowd in a 3D scene is a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ask that goes into a separate project. However,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on the screen by variously adjusting the crowd of dozens to thousands of people in the visualization operation with a few simple steps.

또한, 본 발명의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110)과 함께 제공되는 단위군중 소스 는 쉽게 수정/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며, 단위군중은 2D와 3D로 구분되어 있어 상황에 맞게 쉽게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화 군중 모듈(114)을 이용해 원하는 군중의 크기/위치/투입될 인원의 수량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rce of the unit group provided with the visualization task program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 supplemented to use a variety of applications, the unit group is divided into 2D and 3D can be eas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an be used have.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in advance the size / location of the desired crowd / the number of personnel to be input using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and can design in the desired direction.

군중 장면은 영화에서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에서도 비용이 많이 드는 장면이지만 시각화 군중 모듈(114)을 통해서 필요한 군중의 규모를 미리 정해두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영상물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Crowd scenes are expensive scenes not only in movies but also in animation, but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allows the efficient and economical production of video content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rowd required in advance.

모션 캡쳐를 사용하여 개발된 군중단위 캐릭터를 이용하여 시각화 군중 모듈(114)을 적용하면 몇 분 안에 수십 내지 수천의 군중 장면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실행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서 1만 명 이상의 군중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한 장면에 몇 명의 캐릭터가 들어가야 하는지도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같은 수의 군중이라도 공간에 따라 조밀도를 조절하여 적은 수의 군중을 넓은 지역에 채워 넣을 수도 있다. 군중의 배치 방식은 2가지 방식의 단위군중 소스를 독창적인 4중 매트릭스 구조를 이용해 배치하는데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군중의 대열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군중이 단조롭게 보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각 요소의 애니메이션의 시작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위군중 소스를 다양하게 준비하여 대부분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한다.Applying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using crowd-characters developed using motion capture can simulate tens to thousands of crowd scenes in minutes. More than 10,000 people can be simula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execution system. In addition, the interface display also shows how many characters must fit in a scene, and even the same number of crowds can be adjusted in density according to space to fill a small number of crowds in large areas. The crowd arrangement method arranges the source of the two groups of units using the original quad matrix structure, and can easily express the ranks of various crowds with a simple operation. You can vary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element's animation to avoid crowds looking monotonous. It also prepares a variety of sources in the unit so that they can be used effectively in most situations.

여기서, 4중 매트릭스구조는 대규모 군중을 위한 2D 기반의 100명 단위군중 소스(플러그인 상의 군중 소스)와 소규모 군중을 위한 3D 기반의 단위군중 소스(플러그인 상의 싱글 소스)를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히 활 용할 수 있다. 군중 장면에 사용된 캐릭터의 수는 플러그인 인터페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전체 군중의 규모와 스케일을 파악할 수 있다. Here, the quad matrix structure can apply both 2D-based 100-unit crowd source (large source on plug-in) for large crowds and 3D-based unit crowd source (single source on plug-in) for small crowds. Can be used appropriately. The number of characters used in the crowd scene is displayed on the plug-in interface, allowing you to see the size and scale of the entire crowd.

본 발명에 의한 시각화 군중 모듈(114)의 일 구현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군중 프리셋의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군중의 크기, 위치, 인원, 형태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각종 개인 소스 및 군중 소스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군중 이미지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선택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 중 크기나 인원은 숫자 등으로 지정할 수 있고, 위치는 예를 들면 3*3 형태의 매트릭스 구조에서 특정 영역을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형태는 군중과 개인 소스마다 달림(Run), 걸음(Walk), 서있음(Stand), 무기를 가지고 뛰어감(Run_Weapon), 무기를 가지고 서있음(Stand_Weapon) 등과 같이 군중 이미지를 구성하는 소스의 형상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이러한 시각화 군중 모듈(11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로서, 중간의 3*3 매트릭스 구조에서 군중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Lv1-Lv4), Popular Scale 항목에서는 인원 수를 지정하고, 아래 Motion 항목에서는 각 개인(single) 및 군중(Crowd)의 형태를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hen a user requests to create a crowd preset from a user, one or more of various personal sources and crowd sources pre-stored in the DB are extracted according to parameters such as size, location, number of people, and type selected by the user. Create crowd images by placing them on. Among the parameters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the size or the number of people can be specified as numbers, and the position can be set by designating a specific area in a matrix structure of 3 * 3 shape, for example, the shape depends on the crowd and individual sources. Allows you to specify the shape of the source that makes up the crowd image, such as Run, Walk, Stand, Run with Weapon, Stand with Weapon, etc. 4 is 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location of the crowd in the middle 3 * 3 matrix structure (Lv1-Lv4), the number of people in the Popular Scale item, The Motion item below allows you to specify the shape of each single and crow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군중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이다.5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면 내에서 시각화 군중 모듈(114)을 적용하면 대규모 군중 장면의 경우 렌더링된 시퀀스 이미지(Sequence Image)를 소스(Source)로 사용하므로 수천의 군중도 가볍게 실시간으로 돌려볼 수 있고, 소규모 군중 장면은 최소의 폴리곤을 사용 하여 동시 50명 정도는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간이 아닌 경우는 2 내지 300명까지도 가능하다.Applying the Visualization Crowd module 114 within a scene allows for the use of a rendered Sequence Image as a source for large crowd scenes, allowing thousands of crowds to be tweaked in real-time and small crowd scenes with minimal Using polygons, about 50 people can be used freely in real time. If not in real time, up to 2 to 300 people are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시뮬레이션 툴(120)은 시각화 카메라(Previz Camera) 모듈(122) 및 시각화 요소(Previz Component) 모듈(12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simulation tool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and a visualization component module 124.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은 영상물의 제작 시 사용자가 시각화 상태의 카메라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카메라를 분석하고 자료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툴이다. 영화나 TV의 CF 등에서는 점점 더 많고 복잡한 장면들이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장면을 분석하여 자료화하는 작업은 영화 제작자에게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준다.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은 카메라의 관점에서 상호 작용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무엇이 불가능한 장면이고 무엇이 가능한 장면인지를 논의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is a tool that allows a user to analyze and document a camera in a form that a user can utilize a camera in a visualization state when producing an image. As more and more complex scenes are increasing in film and television CFs, analyzing and documenting these scenes can save a lot of money and time for filmmakers.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allows for viewing intera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mera. This analysis can provide data to discuss what is impossible and what is possible.

예를 들어, CG로 제작될 물체가 촬영 현장의 실사물과 부딪히게 될 경우 어느 타이밍에서 어떤 각도로 촬영해야 하고 부딪히는 실사물은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등에 대한 사전 촬영계획을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을 통해 세울 수가 있다. 또한, 시각화 결과물에서 인물이 어디서 출발하여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시각화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n object to be produced in CG collides with a real object of a shooting site,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displays a preliminary photographing plan for which angle should be taken at which angle and in which direction the collided real object should be moved. Can be built through. 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where the person should start and where to head in the visualization result can be obtained, the visualization resul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field.

또한,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은 시각화 요소 모듈(124)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원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면 3D 공간의 거리와 실제 공간의 거리 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트를 얼마나 넓게 놓아야 하는지 얼마나 와이어를 높게 설치해야 하는지 등을 미리 알 수 있다. 이것은 촬영 현장에서의 오류를 줄이고 사전에 각 파트 간에 세밀한 검토를 가능하게 해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현장에서의 제작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is manufactur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and when a desired camera is selected, the distance of the 3D space and the actual space are automatically matched. This allows the user to know in advance how wide the set should be, how high the wire should be, etc. This reduces errors at the shooting site and enables detailed review between parts in advance, resulting in users saving on-site manufacturing costs.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이다.6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을 통해 실제 제작 현장에서 시각화 자료 내에 카메라의 위치, 초점 길이(Focal Length) 값, 카메라 렌즈의 종류, 카메라 앵글, 프레임 수(Frame Count), 타임 카운트(Time Count), 장면(Scene) 넘버/명칭, 카메라와 장면 내에 있는 사람과 물체 등의 위치 값과 회전 값 등을 포함시켜 복잡하고 방대한 자료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rough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focal length value, the type of the camera lens, the camera angle, the frame count, the time count, the time count, It includes a scene number / name, a position value and a rotation value of cameras and people and objects in the scene, and provides a function to intuitively check a large amount of complicated data.

특히 프레임 수나 타임 카운트를 3D 상에서 직접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별도의 2D 작업 없이 실시간으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원근(Persp) 카메라와 톱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생성되며 원하는 종류의 카메라를 선택하고 생성시키면 미리 측정된 해당 카메라에 대한 "공간의 파라미터 값"이 인식되어 CG 상에서의 거리가 실제 현장의 거리와 일치하도록 제작된다. 공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가로 세로 1M의 격자(Grid)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간의 크기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다. 또한, 3D 상에서 카메라의 동선을 시각화하여 궤도(Trajectory)로 표현할 수 있어 직관적인 카메라 뷰를 제공한다. 특히 카메라의 궤도에 시간의 흐름을 문자로 표시해 시각화하고 현장에서의 바로 참고할 수 있 게 하기 위해 궤도의 시간 정보에 각 시간별 카메라의 위치 값과 회전 값을 표시한다. 이 값은 현장의 실제 거리가 적용되어 있으므로 제작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각화 요소 모듈(124)을 활용하면 카메라와 요소들의 위치자료를 얻을 수 있어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바로 제작 비용의 절감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by displaying the frame count or time count directly in 3D, time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without any 2D work. Persp cameras and top cameras that can check camera information are created by default, and if you select and create the desired type of camera, the "measured parameter value of the space" for the corresponding measured camera is recognized and the distance on the CG can be determined. Made to match the distance of the actual site. To help understand the space, you can display a grid of 1M width and height, and help you understand the size of the space intuitively.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camera in 3D can be visualized and represented as a trajectory to provide an intuitive camera view. In particular, in order to visualize and visualize the passage of time on the track of the camera, the position and rotation values of the cameras are displayed for each time in the track's time information. Since this value is applied to the actual distance of the site, when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is used for the production site, the position data of the camera and the elements can be obtained so that the resul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field. This can lead to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s.

시각화 요소 모듈(124)은 영상물의 제작 시 시각화 상태의 무대 세트, 캐릭터, 카메라 등의 현장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위치 값을 출력해주는 툴이다. 시각화 요소 모듈(124)은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과 연동하여 동작한다.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is a tool for outputting position values of all objects existing in the scene such as a stage set of a visualization state, a character, a camera, and the like during the production of an image.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시각화 요소 모듈(124)이 정확한 값을 산출해내기 위해서는 현장의 실측자료가 중요하다. 따라서, 카메라를 이용해 현장과 CG의 실제 거리간의 파라미터 값을 찾아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 내에 내장한다.Field measurements are important for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to produce accurate values. Therefore, the camera finds the parameter values between the field and the actual distance of the CG and embeds them in the visualization program.

시각화 카메라 모듈(122)에서의 CG 상에서의 거리와 실제 현장에서의 거리 사이의 관계는 촬영용 카메라의 초점 길이와 그 초점 길이를 시각화 단계에서 사용했을 때 실사촬영 이미지와 CG 상의 이미지 간의 3D 공간 상에서의 차이를 보간해 주는 파라미터 값으로 알아낼 수 있다. 이 관계를 알게 되면 CG 상에서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현장의 거리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시각화 자료 상의 카메라의 위치, 캐릭터의 위치, 구조물의 크기와 위치, 카메라의 위치, 그 외 다양한 소품이나 요소들에 대한 위치와 스케일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시각화 결과물 상에는 나타나지 않던 자료를 추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on the CG and the actual field distance in the visualization camera module 122 depends on the focal length of the shooting camera and the 3D space between the real-world image and the image on the CG when the focal length is used in the visualization step. This can be determined from the parameter values that interpolate the difference. If you know this relationship, you can use the distance information on the CG to know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actual site.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various other props and elements on the visualization. By knowing the position and scale information for, we can see additional data that did not appear on the visualiz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화 요소 모듈을 통해 생성한 시각화 결과물의 예시 화면이다.7 is an exemplary screen of a visualiz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시각화 요소 모듈(124)은 시각화 결과물 상에는 나타나지 않던 추가적인 2차 정보를 3D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툴이다.That is, the visualization element module 124 is a tool that enables to display additional secondary information in 3D that did not appear on the visualization resul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화나 방송 등의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연출자가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제 제작 현장에 적용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영상물 제작이 활성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isualization work program in the initial production stage of a movie or broadcast video, the director can directly help to apply a variety of ideas to the actual production site, and thus, a variety of video There is an effect that crafting can be activated.

또한, 프리프로덕션의 단계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제작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철저하게 계획되고 기획된 영상물 제작이 활성화 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nvesting more resources in the preproduction stage can result in lower overall production costs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oroughly planned and planned video production.

또한, 시각화 작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작비의 절감은 물론 결과적으로 제작 자체의 활성화를 통해 국내 영상문화의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domestic video culture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using the visualization work program and consequently activating the production itself.

Claims (5)

영상물 제작의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의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As a program that performs the visualization work in the preproduction stage of video production, (a)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기저장된 화염, 연기, 파편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폭파 소스 프리셋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각화 폭발 모듈; 및(a) a visualization explos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blasting source preset by extracting one or more components of flame, smoke, and debris previously stored in a DB according to a parameter input from a user; And (b)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에 따라 DB에 기저장된 개인 또는 군중 소스 중 하나를 추출하여 군중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각화 군중 모듈(b) Visualization crowd module that extracts one of the individual or crowd sources already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the parameter input from the user to generate and store the crowd imag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visualization operations in the initial production stage of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에서의 파라미터는 중력, 바람, 무게, 폭파범위, 폭파량 중 하나 이상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parameter in (a) may be one or more of gravity, wind, weight, blasting range, and blasting quantity. Record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에서의 파라미터는 군중의 크기, 위치, 형태 중 하나 이상이며, 위치는 매트릭스 구조에서 특정 영역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 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parameter in (b) is at least one of the size, position, and shape of the crowd, and the position is designated as a specific region in the matrix structure. Readable media 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gram, 제작 현장에서의 카메라의 위치, 초점 길이(Focal Length) 값, 카메라 렌즈의 종류, 카메라 앵글, 프레임 수(Frame Count), 타임 카운트(Time Count), 장면(Scene) 넘버/명칭 및 카메라와 장면 내에 있는 사람과 물체의 위치 값과 회전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며, 가로 세로 1M의 격자(Grid)를 표시하여 3D 상에서 상기 카메라의 동선을 시각화하여 궤도(Trajectory)로 표현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카메라 모듈Camera position at the production site, focal length value, camera lens type, camera angle, frame count, time count, scene number / name, and camera and scene A visualization camera module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position values and rotation values of a person and an object, and displays a grid of 1M width and height to visualize the moving line of the camera in 3D and express it as a trajectory.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operation in the initial production stage of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gram, 제작 현장의 무대 세트, 캐릭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물의 위치 값을 출력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물의 위치 값으로부터 사물 간의 거리 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시각화 요소 모듈Visualization element module for outputting and providing a position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set, character and camera of the production site, and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objects from the position value of the object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의 초기제작단계에서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visualization operation in the initial production stage of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60080451A 2006-08-24 2006-08-24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KR200800184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451A KR20080018403A (en) 2006-08-24 2006-08-24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451A KR20080018403A (en) 2006-08-24 2006-08-24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403A true KR20080018403A (en) 2008-02-28

Family

ID=3938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451A KR20080018403A (en) 2006-08-24 2006-08-24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840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2185B2 (en) 2009-10-15 2013-12-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saving information of metadata regarding film production
KR101875887B1 (en) * 2017-04-12 2018-07-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Expressing Visual Effect about Explosion and Destruction of Objects using Thermal Energy and Center of Mass
CN108597292A (en) * 2018-05-31 2018-09-28 安徽沃屹智能装备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Experimental Management system of industry teach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2185B2 (en) 2009-10-15 2013-12-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saving information of metadata regarding film production
KR101875887B1 (en) * 2017-04-12 2018-07-06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Expressing Visual Effect about Explosion and Destruction of Objects using Thermal Energy and Center of Mass
CN108597292A (en) * 2018-05-31 2018-09-28 安徽沃屹智能装备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Experimental Management system of industry tea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3671B2 (en) Authoring content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EP3599587B1 (en) A parallel method of flood filling, and apparatus
CN108683848A (en) A kind of 720 ° of panorama construction methods based on BIM+MR
CN108133078A (en) Virtual model based on 720 distant view photographs is led the way quality management-control method
CN107767432A (en) A kind of real estate promotional system using three dimensional virtual technique
CN113781660A (en) Method and device for rendering and processing virtual scene on line in live broadcast room
KR20110045719A (en) Animation produc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i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stored and animation production system in online using the method
Baglivo et al. X3D/X3DOM, Blender Game Engine and OSG4WEB: open source visualisation for cultural heritage environments
KR20080018403A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ed program for performing pre-visualization in pre-production of images
CN111429578A (en) Three-dimensional model generation method and three-dimensional virtual maintenance system for thermal power plant unit
KR102099093B1 (en) Customized Motion Graphic Video Production System
CN103325135B (en) Resource display method, device and terminal
KR20200102722A (en) Build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using Modeling - based VR
Nop et al.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 frameworks using game engine: unreal engine
KR20120001114A (en) Method for controlling 3d object in virtual world, ineterface and input/output therefor
Lizcano et al. Virtual reality to assess visual impact in wind energy projects
Yuan et al. Virtual reality platform based on open sourced graphics toolkit openscenegraph
CN112423014A (en) Remote review method and device
CN111921192B (en) Virtual object control method and device
Hsu et al. The visual web user interface design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irschner Toward a Machinima Studio
KR101057581B1 (en) Animation Delivery Systems, Servers, and Methods
Kersten et al. Step into Virtual Reality-Visiting Past Monuments in Video Sequences and as Immersive Experiences
Xiao Research on Computer 3D Interactive Software Design of Animation Peripheral Products
KR101861129B1 (en) 3D Animation produc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