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365A - Ice bank - Google Patents

Ice b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365A
KR20080018365A KR1020060080366A KR20060080366A KR20080018365A KR 20080018365 A KR20080018365 A KR 20080018365A KR 1020060080366 A KR1020060080366 A KR 1020060080366A KR 20060080366 A KR20060080366 A KR 20060080366A KR 20080018365 A KR20080018365 A KR 2008001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ank
pressure sensor
mak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0727B1 (en
Inventor
김용수
김영진
이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727B1/en
Publication of KR2008001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An ice bank is provided to detect fullness of ice in an ice bank by a pressure sensor instead of any additional elements such as an ice-fullness detecting lever, thereby resolving mechanical problems caused by the lever. An ice bank includes a case(3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ice, and a pressure sensor(3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t the ice-fullness height. As ice reaches the ice-fullness height in the case, a load of the ice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outputs an ice-fullness signal so that an ice maker stops making ice in response to the ice-fullness signal.

Description

아이스 뱅크{Ice bank}Ice bank {Ice b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an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제빙기 6: 아이스 뱅크5: ice maker 6: ice bank

7: 얼음 디스펜스 30: 케이스7: ice dispense 30: case

32, 34: 압력센서32, 34: pressure sensor

h: 만빙 위치h: full ice posi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이용되는 아이스 뱅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 뱅크에 수용될 때,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되는 아이스 뱅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bank for use in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bank including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full ice when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is accommodated in the ice bank.

제빙기는 얼음이 제조되는 기기로서, 냉장고의 내부 또는 도어에 부설되어 적절한 크기로 얼음이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한다. 근래 들어서는 사용자의 취향이 고급화됨에 따라서 냉장고의 내부에 제빙기가 고정형으로 장착되는 추세다. 그리고, 아이스 뱅크 또는 아이스 빈(ice bin)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수용되도록 하는 기기로서, 사용자가 많은 양의 얼음이 필요할 때에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다량의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An ice maker is a device for making ice, and is attached to an inside or a door of a refrigerator so that ice is manufactur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supplied to a user. Recently, as the user's taste is advanced, the ice maker is fixedly mounted inside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an ice bank or an ice bin is a device that accommodates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and may store a large amount of ice so that a user can properly supply even when a large amount of ice is required.

이와 같이, 아이스 뱅크에 많은 양의 얼음이 저장되어 만빙되는 경우에, 아이스 뱅크 자체에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As such, when a large amount of ice is stored and iced in the ice bank, there is no means for detecting ice in the ice bank itself.

특히, 상기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냉장고의 도어 내에 고정되는 방식인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 제빙기 자체에 만빙 감지 레버와 홀 소자를 사용하여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였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jector-type ice maker in which the ice maker and the ice bank are fixed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ice maker detects the ice in the ice bank by using the ice sensor lever and the hall element.

아이스 뱅크에 얼음이 저장되면 만빙 레버가 회전하여 아이스 뱅크 내부의 쌓여진 얼음과 만나게 된다. 만약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이 설정된 만빙 수준보다 적을 경우에는 만빙 레버가 회전할 때 레버와 얼음이 만나지 않아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얼음이 만빙 수준 이상이 되면 만빙 레버에 얼음이 걸려서 회전되지 않아 만빙을 감지한다. When the ice is stored in the ice bank, the ice lever rotates to meet the accumulated ice inside the ice bank. If the ice in the ice bank is less than the set ice level, the lever and the ice do not meet when the ice lever rotates, so that it can freely rotate. However, when the ice is above the ice level, ice is caught in the ice lever and the ice does not rotate to detect the ice.

따라서, 종래의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는 얼음이 아이스 뱅크 내에서 만빙 수준 이상이 된 경우 만빙 레버에 얼음이 걸려서 회전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빙을 감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ejector-type ice maker may detect the ice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ice is caught on the ice lever and does not rotate when the ice becomes higher than the ice level in the ice bank.

이와 같은 방법은 아이스 뱅크에 거의 만빙 위치까지 얼음이 쌓인 경우, 만빙 감지 레버가 회전할 때 얼음 사이를 지나갈 수 있어 만빙 감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얼음 사이를 지나가지 못한 상태에서 결빙이 생기는 경우 만빙 레버의 기계적 구속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Such a method may have a problem in that when the ice is accumulated in the ice bank to the almost full ice position, the ice detection lever may pass between the ice when the ice detection lever rotates, thereby causing a full ice detection error. In addi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mechanical restraint of the ice lever occurs when freezing occurs in a state that does not pass between the ice.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 뱅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가능한 아이스 뱅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n ice bank, to provide an ice bank applicable to an ejector type ice maker which may not use an ice le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이스 뱅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아이스 뱅크 자체에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스 뱅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ice bank, to provide an ice bank that can detect the ice of the ice bank itself.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는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The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ice is accommodated, and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a height of ice in the case to detect ice in the 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of the ice b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ent or curved outward from the height of the 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스트립 형상으로 둘러질 수 있다. The sensing unit of the ice b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nclosed in a strip shape at the ice level.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만빙 레버 없는 구성이 간단한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ejector-type ice maker that can not use the ice le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ufactured an ejector-type ice make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the ice le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가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에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problem that the ice level lever is mechanically bound to the ice in the ice bank.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an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1)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1)는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2)과,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 등과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3)의 내부에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5)와, 상기 제빙기(5)에서 제조되는 얼음이 축적 보관되는 아이스 뱅크(6)와, 상기 아이스 뱅크(6)에 보관되는 얼음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얼음 디스펜서(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tor 1 to which an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device in which food is stored therein by using a predetermined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der, and an evaporator.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2 in which food is stored cold at an image temperature, and a freezing compartment 3 in which food such as ice is stored at a sub-zero temperature.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n ice maker 5 in which ice is manufactu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3, an ice bank 6 in which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5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ice bank ( And an ice dispenser 7 so that the ice stored in 6) is properly supplied at the time desired by the user.

상기 제빙기(5)와 관련되는 구성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ice maker 5 will be described briefly.

먼저, 상기 제빙기(5)로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된 뒤에, 제빙기(5)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제빙기(5)에서 얼음이 제조된 뒤에는, 제빙기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리되어 아이스 뱅크(6)로 자유 낙하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6)에 수용된 얼음은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원하는 양만큼 얼음 디스펜서(7)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Firs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5, and then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5. After ice is produced in the ice maker 5 by the supplied cold air, the ice is separated and freely dropped into the ice bank 6 by its own operation. The ice contained in the ice bank 6 is supplied to the user by the ice dispenser 7 in a desired amount whenever the user requests i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show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빙기(5)는 냉장고(1) 내부의 냉기를 이용해 얼음을 제조하는 물품이다. 상기 제빙기(5)는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12)와,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실(13)과, 상기 제빙실(13)의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이젝터(14)와, 상기 이젝터(14)가 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제어박스(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후방에는 제빙기(5)가 냉장고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9)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illustrated ice maker 5 is an article that manufactures ice using cold air inside the refrigerator 1. The ice maker 5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2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an ice maker 13 for ice making ice, and an ejector 14 for separating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13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box 11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for allowing the ejector 14 to rotate. In addition, a seating unit 19 for forming the ice maker 5 in the refrigerator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ice making chamber 13.

상세히, 상기 이젝터(14)는 상기 제어박스(1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축(15)과, 상기 축(15)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15)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얼음을 퍼 올리는 연장부(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내부에는 제빙실(13)의 큰 공간이 다수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되어 얼음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획 돌기(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14)에 의해서 퍼 올려진 얼음이 아이스 뱅크(6)로 안내되어 떨어지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하측에는 얼음과 제빙실(13) 내주면의 계면이 상호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In detail, the ejector 14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11 to perform a rotational movement, and extends outwardly of the shaft 15 to rotat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15. And an extension 16 for pumping ice. In addition, a partition protrusion 20 is formed in the ice making chamber 13 so that a large sp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1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spaces so that the size of the ice is adjusted. In addition, a separator 17 is installed above the ice making chamber 13 so that the ice spread by the ejector 14 is guided to the ice bank 6 and dropped. In addition, a heater (not shown) to which heat is applied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13 so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13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술된 구성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기(5)의 동작 내지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ice maker 5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소정 형상의 급수관에 의해서 안내된 물이 상기 급수부(12)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된 물은 제빙실(13)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구획 돌기(20)에 의해서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영하의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실(13)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려진다.First, water guided by a water supply pi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2. Water supplied as described above flows into the ice making chamber 13 and is accommodate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protrusion 20. Sub-zero cold air is supplied to free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making chamber 13.

상기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빙실(13) 내부의 물이 완전히 얼려진 뒤에는 제어박스(11)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구동 기구에 의해서 이젝터(14)가 동작된다. 상세히, 상기 축(15)이 회전되고, 성가 축(15)의 회전은 상기 연장부(16)의 회전으로 연계되어 제빙실(13)의 내부에 얼려진 얼음이 제빙실(13)의 내주면을 따라서 퍼 올려진다. 상기 이젝터(14)가 동작되기 전에 히터에 의해서 열이 가하여져서 얼음과 제빙실(13)의 접면이 상호 박리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After the water in the ice-making chamber 13 is completely frozen while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the ejector 14 is operated by a predetermined driving mechanism placed inside the control box 11. In detail, the shaft 15 is rotated, and the rotation of the choir shaft 15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art 16 so that ice frozen in the ice making chamber 13 form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13. Therefore, it is raised. Of course, before the ejector 14 is operated, heat is applied by a heater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ice and the ice making chamber 13 are peeled off from each other.

상기 이젝터(14)에 의해서 얼음이 퍼 올려진 뒤에는, 얼음은 상기 세퍼레이터(17)에 의해서 안내되어 아이스 뱅크(6)의 내부로 떨어져서 축적된다. After the ice is pumped up by the ejector 14, the ice is guided by the separator 17 to fall inside the ice bank 6 and accumulate.

상기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어 아이스 뱅크(6) 내로 얼음이 계속하여 채워지게 된다.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ice is continuously filled into the ice bank 6.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스 뱅크(6)는 얼음(40)이 수용되는 내부공 간을 구비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ice bank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case 30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ice 40 is accommodated, and attached to a height of ice in the case 30, so that the ice can be filled. 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32 for sensing.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제빙기(5)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자유 낙하하여 그 내부공간에 쌓이면서 저장된다. In the case 30, the ice iced from the ice maker 5 is freely dropped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케이스(30)는 만빙 높이(h)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어, 냉장고의 도어 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에 대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ase 30 is formed to be bent or curved outwardly at the height of the h, which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can prevent the door from shaking.

상기 압력센서(32)는 상기 케이스(30)의 만빙 높이(h)에 부착되는데,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부착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32 is attached to the ice level h of the case 30, and may be attached to a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아이스 뱅크(6)의 케이스(30) 내에 쌓인 얼음(40)이 상기 압력센서(32) 상부에까지 쌓이게 되면 압력 센서에 얼음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압력센서(32)가 가압상태로 인식하게 되어 만빙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ice 40 accumulated in the case 30 of the ice bank 6 is stacked up to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e sensor 32, a load of ice acts on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32 is recognized as a pressurized state. Output the ice signal.

제빙기(5)가 상기 만빙 신호를 감지하면, 제빙 동작을 중단하여 얼음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하여 얼음이 만빙 감지 레벨 이하가 되면, 압력 센서(32) 상부에 쌓여진 얼음이 없어져서 가압 상태에서 해제되고, 제빙기는 제빙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얼음을 생산한다. When the ice maker 5 detects the ice signal,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opped to stop the ice production. If the user uses the ice to lower the ice level, the ice accumulated on the pressure sensor 32 disappears and is released from the pressurized state, and the ice maker performs ice making again to produce i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b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6)도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40)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ice bank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attached to a case 30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ice is accommodated and a height of the ice in the case 30, so that the ice 40 is filled. 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32 for detecting.

상기 케이스(30)도 만빙 높이(h)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빙 높이(h)에서 압력센서(32)가 스트립 형상으로 부착되어 만빙 감지를 더욱 민감하게 할 수 있다. The case 30 is also bent or curved outward at the height of the ice h. At the height of the ice h, the pressure sensor 32 may be attached in a strip shape to make the detection of the ice cube more sensitive.

본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6)의 동작 또한 도 3의 아이스 뱅크의 동작과 유사하다. 제빙기(5)에서 얼음이 자유 낙하되어 아이스 뱅크(6)의 내부공간에 쌓이고, 만빙 위치까지 얼음(40)이 쌓이면, 압력센서(32)를 얼음이 가압하게 되고 만빙 신호를 출력한다.The operation of the ice bank 6 of this embodiment is also similar to that of the ice bank of FIG. When the ice falls freely in the ice maker 5 and accumulates in the inner space of the ice bank 6, and the ice 40 accumulates to the full ice position, the ice is pressurized by the pressure sensor 32 to output the ice signal.

제빙기(5)가 상기 만빙 신호를 감지하면, 제빙 동작을 중단하여 얼음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하여 얼음이 만빙 감지 레벨 이하가 되면, 압력 센서(32) 상부에 쌓여진 얼음(40)이 없어져서 가압 상태에서 해제되고, 제빙기는 제빙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얼음을 생산한다. When the ice maker 5 detects the ice signal, the ice making operation is stopped to stop the ice production. If the user uses the ice to lower the ice level, the ice 40 accumulated on the pressure sensor 32 is removed and released from the pressurized state, and the ice maker performs ice making again to produce ice.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만빙 레버 없는 구성이 간단한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ejector-type ice maker that can not use the ice le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nufactured an ejector-type ice make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the ice le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구속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ce b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mechanical restraint problem that may occur with the ice lever.

Claims (3)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ice is accommodated; And 상기 케이스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되는 아이스 뱅크. And a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ice level in the case and detecting the ice level of the 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는 아이스 뱅크. The case is the ice bank is formed to be bent or curved outward from the height of the 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스트립 형상으로 둘러지는 아이스 뱅크. The sensing unit is an ice bank surrounded by a strip shape at the height of the ice.
KR1020060080366A 2006-08-24 2006-08-24 Ice bank KR101320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en) 2006-08-24 2006-08-24 Ice b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en) 2006-08-24 2006-08-24 Ice b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65A true KR20080018365A (en) 2008-02-28
KR101320727B1 KR101320727B1 (en) 2013-10-21

Family

ID=3938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en) 2006-08-24 2006-08-24 Ice b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72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134A (en)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Refrigerator ice trays and refrigerators having the ice tray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0416907B1 (en) * 2002-03-22 2004-02-05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Large Scale Ice-making Machine of Vertical Type
JP2004085098A (en) * 2002-08-27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Ice storage box for automatic ice machine built i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20050033729A (en)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er i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727B1 (en) 201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161B2 (en) Ice maker with reversing condenser fan motor to maintain clean condenser
KR100900287B1 (en) Device for ice making ?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9341407B2 (en) Apparatus for storing 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456572B1 (en) Sensor heater controlling method of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90115307A (en)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full ice detecting method thereof
KR101535481B1 (en)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132076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US9091473B2 (en) Float-type ice making assembly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KR100758325B1 (en) Refrigerator
KR20090109418A (en)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90092384A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KR101507037B1 (en) Ice dispenser Housing for use of ice maker
KR101320727B1 (en) Ice bank
KR20060133729A (en)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0722051B1 (en) ice maker in th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389674B1 (en) Method for estimating completion of ice-making for an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KR100408573B1 (en) How to control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JP4749886B2 (en) Ice machine
KR101442838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overflow therein
KR20040102570A (en) Refrigerator with bottom freezer
KR100688163B1 (en) Ice Sensing apparatus
KR101535483B1 (en)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80108188A (en)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0726B1 (en) Ice maker
KR101500732B1 (en) Method for estimating completion of ice-making for an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