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333A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333A
KR20080016333A KR1020060078337A KR20060078337A KR20080016333A KR 20080016333 A KR20080016333 A KR 20080016333A KR 1020060078337 A KR1020060078337 A KR 1020060078337A KR 20060078337 A KR20060078337 A KR 20060078337A KR 20080016333 A KR20080016333 A KR 2008001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history
information
specific software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6333A/ko
Publication of KR200800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성공률이 상당히 낮고,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 중,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 신호를 인가 받는 단계와,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성공률을 제고시키고,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AD(Over Air Download), 소프트웨어(software)

Description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The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a history of downloading SW,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일반적인 OAD(Over Air Download) 동작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시간 관련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도면(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조사 150:방송국
200:방송 수신기 201:튜너부
202:디모듈레이터 203:역다중화부
204:MPEG 디코더부 205:신호 합성부
206:저장부 207:제어부
208:OSD 생성부 209:사용자 입력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history)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제품이 출시될 당시에 적당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출시된다. 이 때,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사용자 사이,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의미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텔레비젼의 시스템 구동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또는 그 성능을 보다 향상 시키기 위해,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다.
첫 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조한 제조사의 서비스맨이 직접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방법이 있다.
둘 째, 사용자가 제조사의 웹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업그레이드 시키는 방법이 있다.
셋 째, 방송 신호에 각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를 포함시키고,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상기 방송 신호에서, 방송 수신기가 해당 소프트웨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상기 셋 째 방법을 OAD(Over Air Download) 방식이라고 하며, 경우에 따라 오버 디 에어(Over The Air) 방식이란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한번에 여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에 소프트웨어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절차가 간편한 장점이 있어서, 상기 OAD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OAD(Over Air Download) 동작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OAD 방식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디지털 방송 수신기 제조사(100)는, 상기 제 조사(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에 적용될 수 있는 업그레이드 버젼의 소프트웨어를 OC 프로토콜(Object Carousel protocol)로 인코딩하여 방송국(15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공된 OAD 소프트웨어는, 즉 OC 인코딩된 스트림은 방송국(150)의 방송 스트림(A/V stream)과, 데이터 방송 및 프로그램 인덱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과, 멀티플렉싱 되어 전송된다.
이 때, 상기 방송국(150)에서 전송되는 스트림은 중계기를 통해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에서 수신되어 방송 신호 외에 포함된 업그레이드 버젼의 소프트웨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수신기(200)를 업그레이드 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각각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 제조사(100)에서는 자신들이 제조하는 제품의 소프트웨어의 규격과, 업그레이드 방법을 각각 별도로 규정하여, 이를 인코딩하여 상기 방송국(15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국(150)은, A/V 스트림과 같이 상기 인코딩된 각 제조사별 OAD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의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OAD 방식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째, 종래에는 사용자의 실수나, 조작 미숙 등으로 말미암아, 상기 OAD 방식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성공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 째, 종래에는 짧지 않은 시간의 다운로드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다운로드 절차에 관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 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OAD 방식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다운로드 절차가 진행되고, 상기 다운로드의 성공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운로드 절차가 진행되는 세부적인 스텝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측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 중,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 신호를 인가 받는 단계와,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로 방송 수신기를 업그레이드 완료하는 절차의 잔여 시간 또는 진행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최초 수신 스텝(step)이나, 압축 해제 스텝이나, 쓰기 스텝이나, 또는 재부팅 스텝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여부를 고지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는, 각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최초 수신 스텝(step), 압축 해제 스텝, 쓰기 스텝, 재부팅 스텝의 시간을 테이블(table)로 기저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기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시간 및 채널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나, 또는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를 예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튜너부와,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 중,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와,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그리고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각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최초 수신 스텝(step), 압축 해제 스텝, 쓰기 스텝, 재부팅 스텝의 시간을 테이블로 기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튜너부를 통해,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경우, 액티브 스탠드바이(active stand-by)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software)의 다운로드(download) 성공률을 제고시키고,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200)는, 튜너 부(Tuner)(201),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202), 역다중화부(Demultiplxer)(203), MPEG 디코더부(MPEG Decoder)(204), 신호 합성부(205), 저장부(206), 제어부(Controller)(207), OSD 생성부(OSD Generator)(208),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User Interface)(20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방송 수신기(200)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 D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튜너부(201)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동조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정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채널로 동조시킬 수 있다.
상기 디모듈레이터(202)는, 상기 튜너부(201)를 통해 전송되는 피변조파에서 본래의 신호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역다중화부(203)는, 상기 디모듈레이터(202)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다중화된 각 서비스들을 통해 수신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로 파싱(Parsing)한다.
상기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임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특정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특정 소프트웨어는,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206)는 예를 들어, 플래쉬 롬(flash ROM), HDD(Hard Disk Drive), 메모리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MPEG 디코더부(204)는, 상기 임시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를 디 코딩(Decoding)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복원 출력시킨다.
상기 OSD 생성부(208)는, 디지털 방송 등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방송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OSD 영상을 생성, 출력한다.
상기 신호 합성부(205)는, 상기 MPEG 디코더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OSD 영상을 신호 합성한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각 구성 수단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7)는 구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컴(micom)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206)는, 상기 제어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206)에는, 방송 수신기의 시스템 구동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OS Program)과, 방송 위성과의 동조에 필요한 튜닝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위성에 대응되는 고유의 주파수(Frequency) 정보, 극성(Polarization) 정보, 심볼 레이트(Symbol Rate) 정보 및 포워드 에러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정보가 기록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200)에서는, 시스템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시스템 부팅(Booting)을 통해, 상기 저장부(206)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상기 튜닝 정보를 독출하게 되고, 그 튜닝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위성을 동조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후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송 채널의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 신하여,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복원 및 신호 처리한 후, 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일반 텔레비젼 등으로 전송 출력하게 되며, 또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방송 정보들을, OSD 영상으로 신호 처리한 후, 그 OSD 영상 신호를 일반 텔레비젼 등으로 전송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209)는,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사용자 등으로부터 특정 명령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제어부(207)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9)는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상기 방송 수신기(200)에 부착된 로컬 키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를 전송 받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9)를 통해,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특정 채널을 선택한 경우, 상기 튜너부(201)를 통해, 소프트웨어가 수신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200)는, 액티브 스탠드 바이(active stand-by)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액티브 스탠드 바이 상태라 함은,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화면은 꺼져 있지만, 상기 방송 수신기내 각종 보드(board)들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체크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압축되어 전송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한다.
상기 저장부(206)의 특정 영역을 삭제하고, 새로 전송된 소프트웨어를 라이팅(writting)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전원을 재부팅하여, 새로 전송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2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OAD 방식에 따라 특정 소프트웨어를 전송받는 과정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200)가 액티브 스탠드바이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심코 전원 버튼을 다시 누르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 때, 종래에는 현재의 다운로드 과정을 정지함으로써, 기수신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고, 그 이전에 기저장되어 있던 버젼의 소프트웨어로 방송 수신기가 동작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등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209) 등을 통해, 전원을 온 시키는 명령을 인가한 경우, 상기 제어부(207)의 제어에 따라 상기 OSD 생성부(208)는, 도 3과 같은 OSD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계한다.
즉, OAD를 통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진행 중에, 사용자 등에 의한 파워 키 입력이 인가된 경우, 현재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진행 정도를 도 3 등과 같이 보여 줌으로써, OAD를 통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취소하고 상기 방송 수신기를 바로 켤 것인지 또는 계속 업그레이드 절차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측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3과 같이 새로 전송받는 소프트웨어를 방송 수신기에 적용시 키는데까지 걸리는 시간 및 진행율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계속 진행", 또는 "업그레이드 취소" 또는 "계속 진행 후, 전원 ON"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계속 진행"은 새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작업 종료 후,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정상 상태(ON)로 변경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계속 진행 후, 전원 ON"과 구별된다.
도 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계속 진행" 또는 "계속 진행 후, 전원 ON"을 선택한 경우, 도 4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3과 비교할 때, 도 4는, 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히스토리가 보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에 놓여져 있는지를 알려 준다.
물론,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중, 사용자가 파워 온 버튼을 누른 경우, 도 3의 OSD 화면 대신에, 바로 도 4의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OAD 방식으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히스토리는, 크게 최초 수신 단계, 수신된 SW(SoftWare)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단계(압축 해제 단계), 압축이 해제된 SW 데이터를 플래쉬 ROM 등에 라이팅(writting) 하는 단계(쓰기 단계), 그리고 재부팅 단계로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상기 4가지 단계들 중에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어떤 상태에 놓여져 있는지를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SW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할지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수신 단계, 압축 해제 단계, 쓰기 단계, 재부팅 단계별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처리 시간을 상기 저장부(206) 등에 기저장 시켜 둔다
따라서,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 포함된 메모리 크기 정보를 확인하여, 각 단계별 소요 시간 및 전체 시간 등을 상기 제어부(207)가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업그레이드 취소"를 선택한 경우, 도 6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업그레이드가 취소 되고, 상기 방송 수신기(200)의 전원이 액티브 상태로 전환됨을 표시하는 안내 문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도 7과 같이 다운로드가 취소된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채널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약 전송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로서는 현재 반드시 시청하기를 선호하는 다른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추후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절차도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취소된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채널 및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제조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거나, EPG 정보 등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도 6의 OSD 화면과, 도 7의 OSD 화면을 별도로 도시하였지만, 이들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도면(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후술할 제어 방법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을 시간 흐름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명한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해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방송 수신기는 OAD 방식을 이용하여, 특정 채널을 통해 임의의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S801).
상기 소프트웨어를 수신시, 액티브 스탠드바이(active stand-by) 상태로 진입한다(S802).
상기 S802 단계 진행 중, 사용자 등은 파워 온(power on) 버튼 등을 인가한다(S803).
상기 수신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히스토리 및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할 지 여부를 확인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804).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화면이 상기 S804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5).
상기 판단 결과(S805),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를 계속 수신한다(S806).
상기 소프트웨어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 수신된 특정 소프트웨어에 따라 방송 수신기가 동작하도록 재부팅 절차를 진행한다(S807).
한편, 상기 판단 결과(S805), 계속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예를 들어, 다운로드 취소를 선택한 경우 등등), 상기 수신 중이던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를 중지한다(S808).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켜서, 정상적인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시킨다(S809).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발명에 의하면, OAD 방식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다운로드가 중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의 성공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의 성공율이 높아지면서, 제조사의 서비스(service) 비용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둘 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운로드 절차가 진행되는 세부적인 스텝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측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파워 온 명령 또는 다운로드 계속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 중,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 신호를 인가 받는 단계;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로 방송 수신기를 업그레이드 완료하는 절차의 잔여 시간 또는 진행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최초 수신 스텝(step)이나, 압축 해제 스텝이나, 쓰기 스텝이나, 또는 재부팅 스텝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 여부를 고지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는,
    각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최초 수신 스텝(step), 압축 해제 스텝, 쓰기 스텝, 재부팅 스텝의 시간을 테이블(table)로 기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 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를 결정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시간 및 채널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또는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를 예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의 제어방법.
  6.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를 수신 중,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온(on) 시키는 명령 신호를 인가 받는 입력부;
    상기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는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 그리고
    상기 정보가 계산된 경우, 상기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각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최초 수신 스텝(step), 압축 해제 스텝, 쓰기 스텝, 재부팅 스텝의 시간을 테이블로 기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튜너부를 통해, OAD(Over Air Download) 방식으로 특정 소프트웨어(software)를 수신하는 경우,
    액티브 스탠드바이(active stand-by)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60078337A 2006-08-18 2006-08-18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6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7A KR20080016333A (ko) 2006-08-18 2006-08-18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337A KR20080016333A (ko) 2006-08-18 2006-08-18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333A true KR20080016333A (ko) 2008-02-21

Family

ID=3938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337A KR20080016333A (ko) 2006-08-18 2006-08-18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6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2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20090282434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0137607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842971B1 (ko) 영상표시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US8060911B2 (en) Apparatus, medium, and method for displaying download status of data
US20080129887A1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71753B1 (ko)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그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방법
JP2009211269A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
KR20060089912A (ko) 영상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7625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20080016333A (ko)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3136B1 (ko) 통합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7857A (ko) Ota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KR100710320B1 (ko) 영상기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698261B1 (ko) 영상기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JP3696014B2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698145B1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업그레이드 기능을 구비한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992186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volum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0101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55848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JP200209440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270247A (ja) 映像表示装置
JP200231217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記憶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30466B1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20090074621A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