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319A - Sewage discharge apparatus - Google Patents

Sewage dischar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319A
KR20080015319A KR1020060076866A KR20060076866A KR20080015319A KR 20080015319 A KR20080015319 A KR 20080015319A KR 1020060076866 A KR1020060076866 A KR 1020060076866A KR 20060076866 A KR20060076866 A KR 20060076866A KR 20080015319 A KR20080015319 A KR 2008001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wage inlet
pipe
ho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1125B1 (en
Inventor
이종철
서영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Priority to KR102006007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125B1/en
Publication of KR2008001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sewage tray is provided to prevent bad smell from being flown backwards and to discharge pollutants easily by installing an invert at a lower part of a manhole. A sewage tray comprises a cylindrical manhole(1), 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ing hole(2), and a cylindrical sewage outlet connection hole(3). The manhole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ing hole is communicated with a through hole which is formed at a periphery surface of the manhole. The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ing hole is made of the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the hard material and a soft material, and induces the sewage. The cylindrical sewage outlet connecting hole is communicated with the other through hole formed at the periphery surface of the manhole. The cylindrical sewage outlet connecting hole is made of the hard material or the mixture of the hard and softer materials, and drains sewage to a main pipe. The sewage inlet connecting hole has 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2a), and pipe nuts(2d,3d). The hard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is shaped as a cylinder. A semi-ellipse flang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and a top of thread is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A groove which is couples to the top of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is formed at an endostyle surface of the pip nut.

Description

오수받이{Sewage Discharge Apparatus}Sewage Discharg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오수받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m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이 닫힌 상태에서의 오수받이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receiver in a state in which the malodor prevention trap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오수인입 연결관 및 오수배출 연결관의 분리 종단면도.Figure 3a and Figure 3b is a separat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sewage discharge connecto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이 열린 상태에서의 오수받이의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receiver in an open odor prevention trap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인버트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r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odor tra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원통형 맨홀 1a : 맨홀 뚜껑1: cylindrical manhole 1a: manhole cover

2 : 오수인입 연결구 2a : 오수인입 연결관2: sewage inlet connector 2a: sewage inlet connector

2b,3b : 관 볼트 2c,3c : 와셔2b, 3b: Pipe bolt 2c, 3c: Washer

2d,3d : 관 너트 3 : 오수배출 연결구2d, 3d: Pipe nut 3: Sewage discharge connector

3a : 오수배출 연결관 4 : 인버트3a: Sewage discharge connector 4: Invert

4a : 밀착부 4b : 받침대4a: close contact portion 4b: pedestal

4c : 오목부 5 : 악취방지 트랩4c: recess 5: odor prevention trap

5a : 연결부 5b : 개폐부5a: connection part 5b: opening and closing part

5c : 힌지 5d : 힌지핀5c Hinge 5d Hinge Pin

5e : 트랩작동 손잡이 5f : 격판5e: trap operation handle 5f: diaphragm

C : 만곡부 h : 만곡부의 높이C: bend h: height of bend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업소 등의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되는 오수를 받아 메인 오수관 또는 하수관 등으로 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악취가 가정 또는 업소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원통형 맨홀에 형성된 둘 이상의 관통공에 오수인입 연결구 및 오수배출 연결구를 결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에 악취방지 트랩을 연결하고, 맨홀의 하단부에는 낙수되는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는 인버트를 마련하여, 배출관과 하수관의 크기 또는 위치가 다른 각각의 현장 상황에 맞추어서 1:1 맞춤시공이 가능한 오수받이를 제공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가정 또는 업소의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를 유효 적절하게 막도록 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receiving device which effectively prevents odors from entering the home or business while receiving the sewage discharged from a discharge pipe such as a home or a business, and smoothly discharging the sewage into a main sewage pipe or a sewage pipe. , In detail, is provided by combining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sewage discharge connector to two or more through-holes formed in the cylindrical manhole, connects the odor prevention trap 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alling water By providing an invert, it is easy to install by providing a sewage receiver that can be customized 1: 1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and sewage pipe are different in size or location. It is about a sewage catch that is properly blocked.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찌꺼기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거나 또는 찌꺼기를 거르지 않은 상태에서 오수를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 메인관으로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맞는 각각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In general, the sewage receiver acts as an intermediate septic tank that receives and temporarily stores sewage, and discharges the wast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gain through the drain pipe, or sends wastewater back to the main water pipe through the waste water pipe without filtering waste. The sewage receiving device that performs this function is determined by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urpose of use.

종래 가정용 오수받이의 경우에는 악취 때문에 대부분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로 나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ousehold sewage catcher has been used to divide most of the sewage catcher for household wastewater and toilet bowl for odor because of the odor, which has had a problem to purchase and install at least two sewage catchers separately.

그리고 종래 오수받이의 인입관과 배출관은 경도가 높은 재질로서 제조되고 그 위치가 고정되어 일체로 생산되므로 그 구조와 형상에 맞추어서 배관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관의 위치를 변경하기가 곤란하고 정확한 위치가 선정되기 않고 배관작업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오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And since the inlet pipe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conventional sewage collector ar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hardness and their positions are fixed and produced integrally,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ipe because the piping work must be mad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If the piping work is done without be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king water.

또한, 인입관 또는 배출관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여러 곳에서 입수되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관을 연결하기가 곤란하며, 구조물마다 오수가 인입 및 배출되는 위치가 상이하여 배수관이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몸체에 형성된 구멍으로 인입관 또는 배출관을 정확하게 연결하기가 매우 어려워 배관작업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ipe or the discharge pipe is fixed, it is difficult to connect a plurality of drain pipes for discharging the sewage obtained from various places, and the positions of the sewage pipes are different because the sewage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from structure to structure. Due to the hole formed in the body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connect the inlet pipe or discharge pipe was a very uncomfortable pipe work.

종래의 오수받이 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79968호(2005. 3. 26. 공고)로 'U자형 트랩을 사용하여 오수가 공급되지 않을 때, 트랩의 내부에 오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냄새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취기능을 제공하 고 있다.The conventional sewage collecting device is register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79968 (announced on March 26, 2005), when the sewage is not supplied using a U-shaped trap, the smell is maintained while the inside of the trap is filled with sewage. It provides a deodorizing function to prevent from entering inside.

그러나 가정용 오수는 한번에 많은 물이 배출되는 경우보다는 소량의 물이 서서히 자주 배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U자형 트랩의 내부에 이물질이 쉽게 걸리거나 적층되므로 자주 청소를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나 그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쉽게 막히게 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막히는 경우 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However, household sewage is often discharged a small amount of water more frequently than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discharged at on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you need to clean frequently because foreign matter is easily caught or stacked inside the trap-shaped trap, but the cleaning It is not easy to be clogged easily and can not perform its function, or if blocke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water flow back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일체로 성형되지 아니하고 조립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의 상황에 따라 인입관 및 배출관의 갯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여 배관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로 마련되는 와셔에 의하여 긴밀하게 체결되어 좀더 완벽한 수밀이 가능하도록 하고, 오수 또는 폐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오수 또는 폐수에 섞여 있으면서 배출되지 않고 누적되는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without being molded in one piece so that the number, size and location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can be accurately selected and pip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receiver that enables watertightness, prevents odors generated from sewage or wastewater from flowing back, and facilitates the removal of accumulated sewage without mixing with the sewage or wastewater.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ewage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경질의 원통형 맨홀;Rigid cylindrical manholes;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오수의 인입을 유도하는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is made of hard or mixed with soft and hard materials to induce the sewage of sewage;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인입된 오수가 메인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오수 배출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discharge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soft and hard materials to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main pipe;

상기 맨홀의 하단에 마련되어지되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와 맞닿게 하여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에서 인입되는 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판형의 인버트; 및A disc-shaped inve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nhole to be in contact with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so that the sewage introduced from the sewage inlet connector can be smoothly discharged; And

상기 맨홀의 내부에 마련되며 오수 인입 연결구에 끼워져서 인입되는 오수가 상기 맨홀 내부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게 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만곡부를 가진 악취방지 트랩; An odor prevention trap provided in the manhole and having a curved portion inserted in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to allow the introduced filth to flow smoothly into the manhole so that the odor generated does not flow back into the manhole;

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상기에서 경질의 원통형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는 오수받이의 기본적인 틀을 이루는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의 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가져야 하며, 외주면에는 둘 이상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오수 인입 연결구 및 오수 배출 연결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rigid cylindrical manhole forms a basic frame of the sewage collector buried underground, and should have hardness enough to withst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ressure, and at least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sewage discharge. Allow the connector to connect.

바람직하게 상부에는 뚜껑을 마련하여 악취의 외부 유출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관의 이상 유무, 오수의 원활한 배출 등의 점검 또는 누적된 오물의 제거 등을 위하여 이 뚜껑을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Preferably, the upper part of the cap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odors and safety accidents, and the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to check for abnormality of pipes, smooth discharge of sewage, or to remove accumulated dirt. do.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는 가정 또는 업소에서 배출되는 오수 또는 폐수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가정 또는 업소의 배출관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관, 이 연결관의 외주연에 마련되는 관볼트, 이 관볼트에 체결되는 관너트로 구성되어 있다.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home or business to receive the sewage or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home or business, 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a tube bol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or, the tube bolt Consists of a tube nut fastened to it.

바람직하게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은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어 가정의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관통공에 삽입된 후 수밀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is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as a soft material, and its end portion is formed of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discharge pipe of the home can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Ensure that watertightness is ensured after insertion.

바람직하게 위 관볼트는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반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일단부의 내경이 상기 오수 인입연결관의 외경과 일치되도록 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크지만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에 정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Preferably, the upper pipe bolt is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as a hard material,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portion thereof is formed of a semi-elliptic flange, and is formed to be matched to the outside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do.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one end is made to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sewage inlet pipe, and the other end is a semi-elliptical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but can be inserted into the sewage inlet pipe. By being configured so as not to deviate by matching with the sewage inlet pipe.

바람직하게 위 관너트는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내면에 골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tube nut is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as a hard material, and a bon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ube nut to b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tube bolt.

상기에서 오수 인입 연결관과 관볼트의 형상을 반(半) 타원 형상으로 하는 이유는 원통형의 맨홀의 외주연에 형성된 관통공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서다. 즉 상기 관통공은 맨홀 외주연의 곡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면에서 보 았을 때 관통공의 중심부와 관통공의 원둘레인 호(弧)부분은 심도차이(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거리차이)가 있으므로 이 심도차이에 맞추기 위하여 타원 형상의 반을 절단한 반(半) 타원 형상으로 한다.The reason for making the shape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and the pipe bolt in the shape of a semi-ellipse is to match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manhole. That is, since the through hole is circularly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manhole outer periphery,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ircumferential arc portion of the through hole have a depth difference (distance difference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order to match this depth difference, it is set as the half ellipse shape which cut | disconnected half of the ellipse shape.

그리고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에는 상기 관볼트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상기 관너트에 의하여 조여지게 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셔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관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체결력과 수밀력이 증가되어 체결이 긴밀하게 되고 오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And the sewage inlet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washer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bolt and tightened by the pipe nut. The wash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is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increase the tightening force and watertightness by tightening the tube nut, thereby tightening the tightening and preventing leakage of water.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는 하수 또는 오수 메인관으로 연결되는 관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or sewage main pipe is made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즉 오수 배출 연결관, 관볼트, 관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다. 다만 배출되는 오수 또는 폐수의 양이 인입되는 양보다는 많을 것이므로 그 직경 및 크기가 상이 오수 인입 연결구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consists of sewage discharge connector, pipe bolt, pipe nut and washer. However, since the amount of discharged sewage or wastewater will be greater than the amount introdu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and size of the sewage or wastewater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한편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 및 오수 배출 연결구에서 오수 인입 연결관과 오수 배출 연결관을 경질의 재질로 형성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관볼트가 필요없이 관너트를 직접 체결하여 연결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sewage outlet connector, the sewage inlet connector and the sewage outlet connector are made of a hard material,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o connect the nut directly without the pipe bolt. The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상기 인버트는 유동성이 있는 경질의 재질, 즉 PE 연질과 같이 경도가 낮은 경질이므로 어느 정도는 유동성이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가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이 상부를 지지하고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다. 위 원판형상은 상기 맨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맨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위 받침대는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과 같이 상부를 받쳐줄 수 있는 형상이면 무관하고 사각통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부를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더라도 가능하다.Since the invert is a hard material having a fluidity, that is, a hardness of low hardness, such as PE sof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some extent fluidity, and the upper part is generally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lower part supports the upper part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Pedestals are formed to hold them. The disc shape is formed to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manhol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nhole. The pedestal is irrelevant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top, such as a square column or cylinder,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top, even if it is made of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hape.

위 인버트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경사가 낮은 부분이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 쪽에 접촉하여 장착되도록 하여 유입된 오수 전부가 이 경사에 의하여 오수 배출 연결구로 유도되어 맨홀 내부에는 오수가 남겨지지 않고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invert is formed to have a slo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ow inclined portion is mounted in contact with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so that all of the introduced sewage is led to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by this incline so that all of the sewage can be discharged without leaving any sewage inside the manhole.

또한 위 인버트의 중간부에 경사 방향을 따라 긴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이어지는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오수 배출 연결관의 플랜지부의 아래쪽에 밀착되도록 하여 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 맨홀의 내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 long recess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invert in the oblique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ss is formed in a horizontally curved contact portion downwardly protruding downward to closely contact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Make sure that the sewage is discharged smoothly and does not leak inside the manhole.

그리고 위 인버트의 원판형상의 상부에서 맨홀의 내주면에 닿는 부분에 오링과 같은 수밀수단을 부가하여 오수가 맨홀의 내부 하단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 watertight means such as an O-ring is added to a portion of the upper inverted disk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so that sewage does not leak to the inner lower end of the manhole.

상기 악취방지 트랩은 상기 맨홀의 내부에서 오수 인입 연결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체적으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만곡부를 형성한다.The malodor trap is connected to the sewage inlet pipe in the interior of the manhole and the lower portion forms a curved portion projecting downwards as a whole.

이 만곡부는 중간이 분리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누적된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위 악취방지 트랩은 위 만곡부의 최하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절단하여 일측인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에 연결되는 부분은 연결부라 하고 타측인 개폐가 되는 부분은 개폐부라 한다. 이 연결부와 개폐부는 상부에 힌지(hinge)와 같은 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완전분리되지 아니하고 개폐가 가능하다.This curved portion allows the middle to be separated and opened so that dirt accumulated inside can be removed. In order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the odor prevention trap is cu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basis of the lowest point of the upper curved portion,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sewage inlet pipe on one side is called a connection part, and the part on which the other side is opened and closed is called an opening part. .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such as a hinge (hinge) on the upper side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트랩작동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람이 이 손잡이를 잡고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trap operation handle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so that a person can open and close the handle by holding the handle.

또한 위 힌지가 형성된 악취방지 트랩의 상부에는 판스프링 또는 토션(torsion) 스프링을 부가하여 위 만곡부의 내부에 담긴 유체의 하중에 의하여 위 트랩이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odor prevention trap formed by the upper hinge is attached to the leaf spring or torsion (torsion) spring so that the trap is not opened by the load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curved portion.

위 악취방지 트랩의 내부에는 반원형상의 격판을 부가적으로 형성하여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오수 또는 폐수는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을 통하여 인입되고 위 악취방지 트랩을 통하여 상기 인버트에 낙수하여 상기 오수 배출 연결관으로 배출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만곡부에는 항상 유체가 담겨있게 된다. 이 만곡부에 담겨진 유체는 오수 또는 폐수의 유입과 상관없이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만곡부에 담겨진 유체의 상부에는 공기가 유통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공간을 통하여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므로 이 공간부분을 차단할 수 있는 격판을 형성하여 만곡부에 담겨진 유체의 상부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가 있다. 위 반원형상의 격판의 원호부분은 위 악취방지 트랩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원의 수평면 부분은 최소한 유체의 표면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 semi-circular diaphragm is additionally formed inside the odor prevention trap to prevent odors from flowing back. That is, sewage or waste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falls into the invert through the odor prevention trap and is discharged to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In this process, the curved portion always contains fluid. The fluid contained in this curved portion always maintains a constant level regardless of the inflow of sewage or wastewater. At this time,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curved portion. By forming a diaphragm that can block the portion can block the odor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curved portion. The arc part of the upper semicircular diaphragm is connected to the gas odor trap and the horizontal part of the semicircle is formed so as to be submerged at least on the surface of the fluid.

상기에서 악취방지 트랩과 오수 인입 연결관과의 연결은 억지 끼움 결합을 하거나, 상기 트랩의 외주연에 돌기를 형성하고 오수 인입 연결관에는 이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트랩을 삽입 후 돌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밴드로서 체결하거나 또는 본드결합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odor prevention trap and the sewage inlet pipe is forcibly fitted, or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ap, and the sewage inlet pipe form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n the trap is inserted and then turned. It can be fastened, can be fastened as a separate band or connected by bond coupling.

그리고 상기 연결부와 개폐부가 맞닿는 부분에 오링과 같은 수밀수단을 추가로 마련하여 오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 watertight means such as an O-ring is additionally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art and the opening and abutment part contact each other to prevent water leak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sewag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of all,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오수받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이 닫힌 상태에서의 오수받이의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오수인입 연결관 및 오수배출 연결관의 분리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이 열린 상태에서의 오수받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인버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악취방지 트랩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wage collecting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collec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odor preventing tra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ures 3a and 3b is a sewage inlet pip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receiver in the odor prevention tra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ve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lodor prevention trap of an Example.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뚜껑(1a)에 의해 덮여져 있는 원통형 맨홀(1)의 아래쪽에는 그 외주면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오수인입 연결구(2)와 오수배출 연결구(3)가 연결되어 있되, 오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오수인입 연결구(2)가 오수배출 연결구(3)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rough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whose upper end is covered by the lid (1a) is formed through holes different in height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an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3) is connected,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is connec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3) for the smooth discharge of sewage.

상기 원통형 맨홀(1)의 안쪽에서 오수인입 연결관(2a)의 한쪽 끝단부에 연결되는 악취방지 트랩(5)은, 일자형으로 조금 이어지다 상기 맨홀의 안쪽으로 하향 만곡되어 아래쪽이 만곡부(C)를 이루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트랩(5)은 만곡부(C)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 및 타측이 연결부(5a)와 개폐부(5b)의 양쪽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5a)와 개폐부(5b)는 바깥쪽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5c)에 결합된 힌지핀(5d)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힌지핀(5d)을 축으로 하는 힌지(5c)의 작동에 의해 개폐부(5b)가 위로 들어 올려지거나 연결부(5a)와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The odor preventing trap 5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wage inlet pipe 2a i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is a little straight in shape and is bent downward into the inside of the manhole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curved portion C. The trap 5 is formed in a pipe shape,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separated by both the connecting portion 5a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b around the middle of the curved portion C. The connecting portion 5a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pin 5d coupled to a hinge 5c formed at an outer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b is opened by an operation of the hinge 5c around the hinge pin 5d. The 5b is lifted up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5a.

또 상기 개폐부(5b)의 안쪽인 상기 만곡부(C) 내부와 대향되는 상단부에는 반원형상의 격판(5f)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격판(5f)의 하단 수평면이 만곡부(C)를 향해 아래쪽으로 돌출하면서 형성되어 악취방지 트랩(5) 내부를 가로막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semicircular diaphragm 5f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curved portion C, which is inside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5b, and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of the diaphragm 5f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curved portion C.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malodor prevention trap 5 is blocked.

그리고 상기 개폐부(5b)의 바깥쪽 상단부의 힌지(5c) 바로 옆에는 개폐부(5b)를 들어올려 상기 트랩(5)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트랩작동 손잡이(5e)가 형성되어 있다.And next to the hinge 5c of the outer upper end of the opening portion 5b, a trap operating handle 5e is formed to lift the opening portion 5b and operate the trap 5 manually.

이때 상기 격판(5f)의 하단부는 만곡부(C)의 만곡이 시작되는 지점보다 조금 더 아래쪽 즉 만곡부(C)에 담겨지는 유체의 수평면 이하까지 이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후술하지만 상기 트랩(5)의 악취방지 기능을 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이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diaphragm 5f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a little lower than the point where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C begins, i.e., below the horizontal plane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curved portion 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5) to smoothly perform the odor prevention function.

상기 원통형 맨홀(1)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오수인입 연결관(2a)과 오수배출 연결관(3a)의 한쪽 끝단부는 속이 비어 있는 플랜지 형태의 제 1 플랜지부(f1)로 각각 형성되어 원통형 맨홀(1)의 안쪽 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속이 비어 있는 제 1 플랜지부(f1)에 관볼트(2b, 3b)의 제 2 플랜지부(f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One end portion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2a an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ng pipe 3a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is formed as a first flange portion f1 having a hollow flange shape. I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f2 of the tube bolts (2b, 3b)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first flange portion (f1).

물론 오수 인입 연결관(2a)과 관볼트(2b) 그리고 오수 배출 연결관(3a)과 관볼트(3b)를 분리가 되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하지 않고 이중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2a) and pipe bolt (2b) and sewage discharge connecting pipe (3a) and pipe bolt (3b) is formed in one piece not separated or integrally formed by double injection without combining separately It may be formed.

상기 오수인입 연결관(2a)과 오수배출 연결관(3a)의 외주면에 끼워져 정합되도록 하는 각각의 관 볼트(2b,3b)는 그 외주면에 나사 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쪽 끝단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f1)와 정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플랜지부(f2)가 형성되어 속이 비어 있는 제 1 플랜지부(f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Each of the pipe bolts 2b and 3b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2a an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ng pipe 3a are threaded on thei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one end thereof is formed in the first plan. A second flange portion f2 is formed to mate with the branch portion f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first flange portion f1, respectively.

상기 오수인입 연결관(2a)과 오수배출 연결관(3a)의 긴밀한 체결 및 수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 볼트(2b,3b)의 바깥쪽에서 끼워지는 플랜지 형상의 와셔(2c,3c)는 관 볼트의 바깥쪽에서 연달아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관 너트(2d,3d)에 의해 조여져 원통형 맨홀(1)의 바깥쪽 벽에 단단히 밀착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tight coupling and watertight function of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2a an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flange-shaped washers 2c and 3c fitted at the outside of the pipe bolts 2b and 3b are provided. It is tightened by the pipe nuts 2d and 3d which are fastened by screwing in succession from the outside of the pipe bolt, and is firmly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한편, 상기 원통형 맨홀(1) 내의 하부, 즉 상기 오수인입 연결구(2)와 오수 배출 연결구(3)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인버트(4)는 오수인입 연결구(2) 쪽은 높고 오수배출 연결구(3) 쪽은 낮도록 경사지면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상기 오수인입 연결구(2)에서 오수배출 연결구(3)를 향해 길게 이어지는 오목부(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4c)와 이어지는 끝단부에는 상기 오수배출 연결관(3a)의 제 1 플랜지부(f1)의 아래쪽에 단단히 밀착되도록 그 형상과 유사하게 횡으로 만곡되면서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밀착부(4a)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that is, the invert (4)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an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3) has a high sewage inlet connector (2) side and sewage discharge connector (3) )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low,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4c) extending from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toward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3), and the concave portion (4c) An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close contact portion 4a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while curved horizontally similarly to its shape so as to be tight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flange portion f1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방지 트랩이 열린 상태에서의 오수받이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상기 트랩이 닫힌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인 도 2와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receiver in the odor prevention trap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in conjunction with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p in the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오수받이를 설치함에 있어, 먼저 설치현장의 상황 및 시방서를 조사한 후 공장 또는 제조장소에서 오수받이와 연결되는 다른 오수연결관인 가정 또는 업소에 연결된 배출관(미도시) 및 하수처리장 등으로 연결되는 메인관(미도시)의 높이에 맞추어 원통형 맨홀(1)에 관통공을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오수 배출 연결관(3a)에 관볼트(3b)를 삽입하여 체결하고, 이렇게 체결된 것의 플랜지부(f1, f2)를 작업자가 잡고서 맨홀(1)의 내부로 넣고서 관통공을 통하여 위 플랜지부(f1, f2)가 맨홀(1)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나사산 부분이 맨홀(1)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한다. 이렇게 한 다음에 와셔(3c)를 끼우고 관너트(3d)를 관볼트(3b)에 나사결합하여 와셔(3c)가 맨홀(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제 1 플랜 지(f1)가 맨홀(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오수 배출 연결구(3)가 맨홀(1)의 관통공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오수 배출 연결구(3)의 결합이 종료하게 된다.First, in installing the sewage receiver configured as above,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me or business, which is another sewag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receiver at the factory or the manufacturing site, after first examining the situation and spec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manhole 1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i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Next, the pipe bolt 3b is inserted into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ng pipe 3a and fastened, and the worker grasps the flange portions f1 and f2 of the fastened pipe and inserts it into the manhole 1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flange portions f1 and f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nhole 1, and the threaded portion is pulled out of the manhole 1. After doing this, insert the washer 3c and screw the tube nut 3d into the tube bolt 3b so that the washer 3c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1 and the first flange f1 is placed in the manhole (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3 is tight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manhole 1, and the coupling of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3 is terminated.

그리고 인버트(4)의 밀착부(4a)를 작업자가 잡고서 비스듬하게 삽입하면서 받침대(4b)가 맨홀(1)의 하단부에 닿을 때까지 집어넣는다. 이 인버트(4)가 유동성이 있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어는 정도는 구부려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하단부에 밀착되게 할 수 있으며, 받침대(4b)를 절단하여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And while the operator grasps the contact part 4a of the invert 4 and inserts it at an angle, it inserts until the base 4b touches the lower end part of the manhole 1. Since the invert 4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with fluidity, the degree of freezing is bent when the operator exerts force, so that the invert 4 can be easi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cutting the pedestal 4b. have.

그 다음으로 위 오수 인입 배출구(3)의 결합방법과 동일하게 오수 인입 연결구(2)를 결합하게 된다.Next,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is comb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method of combining the sewage inlet outlet 3.

한편 악취방지 트랩(5)은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오수 인입 연결관(2a)의 플랜지부(f1)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결합이 종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dor prevention trap 5 is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f1) of the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2a) in a straight line portion when the coupling of the sewag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이와 같은 과정이 종료한 후 필요한 현장으로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이송하고 배관하여 설치한다.After such a process is completed, the sewage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piped to a necessary site.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은 오수받이를 설치할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송해온 오수받이가 현장의 조건에 맞지 아니할 경우에 위 결합과정을 현장에서 수행하여 현장의 조건에 맞는 오수받이를 결합할 수가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오수 인입 연결구(2), 오수 배출 연결구(3), 인버트(4) 및 악취방지 트랩(5)이 즉석에서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오수 인입 및 배출 연결관(2a, 3a)이 연질의 PVC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각도는 유동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배관이 이루어지지 않더라고 상기 오수인입 연결구(2)와 오수배출 연결구(3)를 원통형 맨홀(1)에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such a combination may be made in the field to install the sewage collecting. In other words, if the sewage collectors that have been transported do not meet the conditions of the site, the above combin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on site to combine the sewage receiver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the site.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the sewage outlet connector 3, the invert 4 and the malodor trap 5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fly. In addition, when the sewage inlet and outlet connecting pipes (2a, 3a) is made of a soft PVC material, the angle can be flowed to some degree, even though the pipe is not made correctly, the sewage inlet connector (2) and sewage discharge connector ( It is easy to connect 3) to the cylindrical manhole 1.

상기와 같이 결합된 오수받이의 오수 인입 연결관(2a)에는 가정 또는 업소에서 배출되는 배출관 또는 오수관이 연결되고, 오수 배출 연결관(3a)에는 하수처리장 또는 메인관으로 연결되는 하수관 또는 배수관이 연결되면 오수받이의 모든 배관이 종료하게 된다.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2a) of the sewage receiver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r sewage pipe discharged from the home or business, and the sewage pipe or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or the main pipe is connected to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If all the pipes in the sump are terminated.

이와 같이 다른 오수연결관까지 연결되어 설치된 오수받이의 작동상태를 보면, 도 1과 같이 악취방지 트랩(5)의 연결부(5a)와 개폐부(5b)는 항상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정 또는 업소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인입 연결관(2a)을 통해 악취방지 트랩(5)으로 흘러가고 인버트(4)에 낙수된다. 이렇게 낙수된 오수는 인버트(4)의 경사와 오목부(4c)에 의하여 오수 배출 연결관(3a)으로 모이면서 배출되어 메인관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때 상기 인버트(4)의 밀착부(4a)와 오수배출 연결관(3a)의 제 1 플랜지부(f1)의 아래쪽이 완전히 밀착되어 있으므로 오수의 전량이 상기 오수배출 연결관(3a)을 통해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part 5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b of the odor prevention trap 5 are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sewage discharged from the shop flows through the sewage inlet pipe 2a to the malodor trap 5 and falls into the invert 4. The sewage that has been dropped in this way is discharged while being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by the inclined portion 4c of the invert 4 and flows to the main pipe.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portion 4a of the invert 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lange portion f1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otal amount of sew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discharge connection pipe 3a. do.

만곡부(C)의 내부에 항상 잔류하고 있는 유체와 이 유체의 수평면 이하까지 잠겨 있는 격판(5f)에 의하여 역류하는 악취가 오수 인입 연결관(2a)으로는 유입되지 아니하여 가정 또는 업소로 악취가 유입되지 아니한다.Odor which flows back by the fluid which always remains inside the curved part C and the diaphragm 5f which is submerged below the horizontal plane of this fluid does not flow into the sewage inlet pipe 2a, It does not flow in.

한편 악취방지 트랩(5)에 이물질이 많이 끼어 있거나 오물이 누적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는, 원통형 맨홀(1)의 뚜껑(1a)을 열어 상기 트랩의 개폐부(5b)에 형성된 트랩작동 손잡이(5e)를 잡고 위로 들어올려 악취 방지 트랩(5)을 연다(도 4 참조). 이렇게 개폐부(5b)가 열리게 되면 누적된 이물질이 스스로 낙하하게 되고 남아 있는 이물질 등을 청소함으로써 상기 트랩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트랩(5)의 상부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을 장착하여 만곡부(C)의 내부에 담긴 유체의 하중에 의하여 트랩(5)이 스스로 개폐되지 않도록 하며, 트랩작동 손잡이(5e)를 작업자가 놓게 되면 열렸던 개폐부(5b)가 닫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is not smooth due to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or dirt accumulated in the odor prevention trap (5), the trap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b) of the trap by opening the lid (1a) of the cylindrical manhole (1) Open the odor prevention trap (5) by holding the operating knob (5e) and lifting it up (see Figure 4).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5b is opened in this way, the accumulated foreign matter falls by itself and the remaining foreign matters are cleaned to allow the trap to operate normally. The upper part of the trap 5 is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not shown) to prevent the trap 5 from opening and closing by itself due to the load of the fluid contained in the curved portion C, and the operator to operate the trap operating handle 5e. When it is released, the open and closed part 5b is clos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의하면, 일체형으로 미리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각 요소를 별도로 제조한 후 공장 또는 제조장소에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상황에 맞춘 1:1 맞춤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미리 결합된 오수받이가 현장의 배관이 맞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여분의 각 요소를 현장에서 즉석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고, 악취방지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누적된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오수인입 연결관 및 오수배출 연결관에 결합되는 관 볼트와 와셔 및 관 너트에 의해 완벽한 수밀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인버트에 의해 오수의 배출이 거의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wag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manufactured as a single piece in advance but can be easily combined in a factory or a manufacturing place after manufacturing each element separately, so that 1: 1 custom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In case that the pre-combined sewage collector does not fit in the field pip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by combining each element on the spot on the spot, to perform the function of odor prevention perfectly, and to easily accumulate dirt It can be removed easily, and the perfect watertight function can be maintained by the pipe bolt, washer and pipe nut coupled to the sewage inlet pipe and the sewage discharge pipe, and the effect of the discharge of the sewage by the invert is almost complete. have.

Claims (55)

경질의 원통형 맨홀;Rigid cylindrical manholes;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오수의 인입을 유도하는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구; 및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is made of hard or mixed with soft and hard materials to induce the sewage of sewage; And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인입된 오수가 메인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오수 배출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discharge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soft and hard materials to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main pip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 및A sewage inlet pipe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th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경질의 원통형 맨홀;Rigid cylindrical manholes;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오수의 인입을 유도하는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is made of hard or mixed with soft and hard materials to induce the sewage of sewage;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인입된 오수가 메인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오수 배출 연결구; 및A cylindrical sewage discharge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soft and hard materials to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main pipe; And 상기 맨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이 상부를 지지하고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인버트;An invert formed in the shape of an entire disc so that the upp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a lower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n inclina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vert is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에서 오수 배출 연결구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from the sewage inlet connect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vert is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 만곡돌출된 부분이 상기 맨홀 내주면에 밀착된 오수 배출 연결구의 플랜지부 아래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End of the sewag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protrudes downward whil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nho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vert is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 만곡돌출된 부분이 상기 맨홀 내주면에 밀착된 오수 배출 연결구의 플랜지부 아래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End of the sewag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protrudes downward whil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nhole.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 및A sewage inlet pipe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th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 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10.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경질의 원통형 맨홀;Rigid cylindrical manholes;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오수의 인입을 유도하는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is made of hard or mixed with soft and hard materials to induce the sewage of sewage;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인입된 오수가 메인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오수 배출 연결구; 및A cylindrical sewage discharge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soft and hard materials to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main pipe; And 상기 맨홀의 내부에 마련되며 오수 인입 연결구에 끼워져서 인입되는 오수가 상기 맨홀 내부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게 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만곡부를 가진 악취방지 트랩;An odor prevention trap provided in the manhole and having a curved portion inserted in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to allow the introduced filth to flow smoothly into the manhole so that the odor generated does not flow back into the manhol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방지 트랩이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alodor trap is 상기 만곡부의 최하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절단하여 일측은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부;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fixed by cutt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basis of the lowest point of the curved portion; 타측은 자유로이 개폐가 되는 개폐부;The other side i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freely; 이 연결부 및 개폐부가 완전분리되지 않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Coupling means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not completely separat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그 상부에 파지하여 개폐시킬 수 있는 트랩작동 손잡이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A sewa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trap operation handl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opposite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인 상기 개폐부 내주면의 상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opposit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인 상기 개폐부 내주면의 상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opposit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0. The sewage inle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9, wherein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 수 인입 연결관; 및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rigid material, the end portion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al flange of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thread;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0. The sewage inle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9, wherein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0. The sewage inle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9, wherein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 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20.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9,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경질의 원통형 맨홀;Rigid cylindrical manholes;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오수의 인입을 유도하는 원통형의 오수 인입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inlet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 through-hol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is made of hard or mixed with soft and hard materials to induce the sewage of sewage; 상기 맨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관통공에 체결되고 경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과 경질의 소재가 혼재되어 이루어져서 인입된 오수가 메인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오수 배출 연결구;A cylindrical sewage discharge connector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hole and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mixture of soft and hard materials to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main pipe; 상기 맨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이 상부를 지지하고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인버트; 및An invert formed in the shape of an entire disc so that the upper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manhole, and a lower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n inclina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상기 맨홀의 내부에 마련되며 오수 인입 연결구에 끼워져서 인입되는 오수가 상기 맨홀 내부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가게 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만곡부를 가진 악취방지 트랩;An odor prevention trap provided in the manhole and having a curved portion inserted in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to allow the introduced filth to flow smoothly into the manhole so that the odor generated does not flow back into the manhol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nvert is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에서 오수 배출 연결구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from the sewage inlet connector.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nvert is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 만곡돌출된 부분이 상기 맨홀 내주면에 밀착된 오수 배출 연결구의 플랜지부 아래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End of the sewag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protrudes downward whil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nhole.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트가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invert is 끝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 만곡돌출된 부분이 상기 맨홀 내주면에 밀착된 오수 배출 연결구의 플랜지부 아래쪽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End of the sewag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protrudes downward while the curved protrud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ewage discharge connector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anhole. 제 24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방지 트랩이28. The odor preventing tra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wherein 상기 만곡부의 최하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으로 절단하여 일측은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부;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fixed by cutt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basis of the lowest point of the curved portion; 타측은 자유로이 개폐가 되는 개폐부;The other side i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freely; 이 연결부 및 개폐부가 완전분리되지 않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Coupling means for enabl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not completely separat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그 상부에 파지하여 개폐시킬 수 있는 트랩작동 손잡이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A sewage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trap operation handle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제 24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opposite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인 상기 개폐부 내주면의 상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opposit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만곡부 내주면의 대향부인 상기 개폐부 내주면의 상부에 격판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ad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opposit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 24항 내지 제 27항, 제 29항, 제 31항 및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sewage inle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29, 31 and 32, wherein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 및A sewage inlet pipe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th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9. The system of claim 28,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 및A sewage inlet pipe formed of a cylindrical material, th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33. The system of claim 30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오 수 인입 연결관; 및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rigid material, the end portion is composed of a semi-elliptical flange of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thread; And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pip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sewage inlet connecto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4항 내지 제 27항, 제 29항, 제 31항 및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The sewage inlet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29, 31 and 32, wherein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9. The system of claim 28,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33. The system of claim 30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 및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너트;A tube nu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4항 내지 제 27항, 제 29항, 제 31항 및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3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4 to 27, 29, 31, and 32,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 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29. The system of claim 28,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가33. The system of claim 30 wherein the sewage inlet connector is 연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된 오수 인입 연결관;A sewage inlet connecting pi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oft material and having an end thereof having a flange of a semi-ellipse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경질의 재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정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끝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직경의 반(半) 타원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위 오수 인입 연결관의 외부에 정합되도록 형성된 관볼트;As a hard materia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n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semi-elliptic flang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ube bolts formed to match the outside of the;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半)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위 관볼트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와셔; 및Washer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made of a semi-ellipse shape to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tube bolt; And 위 관볼트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골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나사 체결에 의하여 위 와셔를 상기 맨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관너트;A tube nu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upper tube bolt and the upper nu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hole by screw fastening;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4항 내지 제 27항, 제 29항, 제 31항 및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33.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4 to 27, 29, 31 and 32,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29. The waste water discharge connector of claim 28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 연결구가31. The wastewater discharge connector of claim 30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wage inlet connector. 제 3항, 제 4항, 제 37항, 제 38항, 제 40항, 제 41항, 제 43항 및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37, 38, 40, 41, 43, and 44,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3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제 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오수 인입 연결관과 상기 관볼트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Sewage rece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let connection pipe and the pipe bolt is formed integrally.
KR1020060076866A 2006-08-14 2006-08-14 Sewage Discharge Apparatus KR100811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66A KR100811125B1 (en) 2006-08-14 2006-08-14 Sewage Dischar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66A KR100811125B1 (en) 2006-08-14 2006-08-14 Sewage Discharg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319A true KR20080015319A (en) 2008-02-19
KR100811125B1 KR100811125B1 (en) 2008-03-20

Family

ID=3938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66A KR100811125B1 (en) 2006-08-14 2006-08-14 Sewage Dischar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1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16B1 (en) * 2012-12-31 2013-06-07 임삼식 Drainage manhole
KR101384662B1 (en) * 2013-11-11 2014-04-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The assembly type sewage discharg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112A (en)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진안 Sewage drain with multi-tra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532B2 (en) * 1991-08-26 2001-07-30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Branch fitting
JPH06200553A (en) * 1993-01-07 1994-07-19 Maezawa Kasei Ind Co Ltd Synthetic resin house inlet
KR100552492B1 (en) 2005-06-29 2006-02-22 (주)미라이후손관거 A sewage tool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16B1 (en) * 2012-12-31 2013-06-07 임삼식 Drainage manhole
KR101384662B1 (en) * 2013-11-11 2014-04-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The assembly type sewage dischar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125B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077B1 (en) Manhole for combined use of sewage
KR100562898B1 (en) A stink waterproof trap combined with congestion prevent ability
KR100811125B1 (en) Sewage Discharge Apparatus
KR100845544B1 (en) Collection unit of rainwater and sewage
KR200383882Y1 (en) A sewage tool
KR100784857B1 (en) Tub that dirty water that use utrap
KR20060095233A (en) House inlet quarantine fetid air
KR101710061B1 (en) Intercepting Chamber of Sewage Line
KR101384662B1 (en) The assembly type sewage discharge apparatus
KR100552492B1 (en) A sewage tool assembly
KR100707720B1 (en) body stracture of apparatus for drain sewage that having invert and trap
JP5456284B2 (en) Pipe fittings and rods equipped with spring-up prevention devices
KR100923133B1 (en) A drain sewage with insert type water sealing trap
KR101272152B1 (en) Multi pipe joint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KR101308906B1 (en) Manhold having a deodorizing device
KR101050778B1 (en) A intercepting chamber
KR20050080155A (en) The catch basin for domestic sewage ease drea's collecting and foul smell interception
KR20050080171A (en) The manhole which has an offensive odor interception function
KR100605553B1 (en) the well-drained trap structure for drainage inspection chamber
KR101296212B1 (en) A drain sewage with branch fluid paths having reverse flow stopper
KR20160003178U (en) sink hose connector
KR200282577Y1 (en) Drain pipe joint having a filter
KR100740525B1 (en) Apparatus for drain sewage
KR101151632B1 (en) Flowing prevention for wastewater receptacle
KR200434181Y1 (en) A trap for interception of badsm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