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285A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thereby - Google Patent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285A
KR20080015285A KR1020060076801A KR20060076801A KR20080015285A KR 20080015285 A KR20080015285 A KR 20080015285A KR 1020060076801 A KR1020060076801 A KR 1020060076801A KR 20060076801 A KR20060076801 A KR 20060076801A KR 20080015285 A KR20080015285 A KR 2008001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mb
signal
radio wave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24606B1 (en
Inventor
장문석
육태형
박석흠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606B1/en
Publication of KR2008001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is provided to select an antenna receiving the optimum DMB signal among a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intensity of an electric wave, thereby supplying a high-quality broadcasting signal to a user. A first antenna(111) and a second antenna(112) receive electric waves containing DMB signals, respectively. The first antenna has a higher gain than the second antenna. A control signal supply unit su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gain intensity of the electric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A selector(114) selectively outputs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Description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Thereby }DM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DMB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DMB신호 수신장치 110 : 수신부100: DMB signal receiver 110: receiver

111 : 제1 안테나 112 : 제2 안테나111: first antenna 112: second antenna

113 : AGC 드라이버 114 : 셀렉터113: AGC driver 114: selector

120 : 데이터 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120: data processing unit 130: display unit

본 발명은 DMB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되는 DMB신호를 수신지역의 전계강도에 따라 적당한 강도로 조절해서 제공하는 DMB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method for receiving a DMB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iv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method for a DMB signal for adjusting the received DMB signal to an appropriate intensity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ing area.

일반적으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기존의 AM 방송이나 FM 방송과 같은 단순한 오디오 서비스를 뛰어넘어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수준의 고품질 음성은 물론 문자 그래픽 동화상까지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말한다. 통상 지역적으로 무료 방송을 실시하는 지상파 방송을 가리키지만 넓게는 위성과 지상망을 활용해 멀티미디어 유료 방송을 실시하는 위성 DMB도 DMB의 범주에 포함된다.In general,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fers to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at can transmit not only a simple audio service such as AM broadcasting or FM broadcasting but also high-quality voice of compact disk level as well as text graphic video. Although terrestrial broadcasting generally refers to terrestrial broadcasting that provides free broadcasting locally, satellite DMB, which uses multimedia and terrestrial networks to provide multimedia pay broadcasting, is also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MB.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는 맨 처음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 칭함)에서 출발하였다. DAB는 1987년부터 유럽에서 결성한 Eureka-147 공동 프로젝트 고유 명칭이며, 이동수신에서 고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이였다. 1993년 ITU-R에서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의 고유 명칭으로 DAB를 명명했으며 개발초기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차량을 이용한 이동수신을 목적으로 오디오 및 데이터 방송 이였다. 1995년 2월 DAB 규격이 완성되었으며, 1995년 9월 영국의 BBC에서 세계최초로 DAB방송이 시작 되었다. 이와 같이 DAB에서 시작한 DMB는 크게 위성파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DMB는 지상파 DMB이다.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first started from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B). DAB was the unique name of the Eureka-147 joint project, which was formed in Europe since 1987, and was a digital audio broadcast capable of providing high quality audio services on mobile reception. In 1993, ITU-R named DAB under the unique name of Eureka-147 (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 and the main purpose of the initial development system was audio and data broadcasting for the purpose of mobile vehicle reception. The DAB specification was completed in February 1995, and the world's first DAB broadcasting began in September 1995 at the BBC in the UK. As such, the DMB started from the DAB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satellite DMB and a terrestrial DMB. Of these, DMB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rrestrial DMB.

지상파 DMB 기술방식으로는 미국의 IBOC(In-Band On-Channel) 방식, 유럽의 Eureka-147 방식, 일본의 ISDB-TSB 방식이 있는데 우리나라가 채택한 방식은 유럽의 Eureka-147 방식으로 유럽의 DAB 스트림모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비디오 서비스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MPEG-2 TS(Transport Stream)를 사용하고 그 상위계층에 멀티미디어 압축기술인 H.264 비디오 부호화 및 BSAC 오디오 부호화 기술 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지상파 DMB는 유럽의 DAB 시스템의 모든 서비스 기능에 안정적인 비디오 서비스 제공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기본적인 전송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에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지상파 DMB는 DAB의 4개의 전송모드 중에서 VHF(Very High Frequency) 채널의 이동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전송모드 I을 사용한다.Terrestrial DMB technologies include the In-Band On-Channel (IBOC) method in the United States, the Eureka-147 method in Europe, and the ISDB-TSB method in Japan. The method adopted by Korea is the European Eureka-147 method. In order to reliably transmit video service signal through the mode data channel, MPEG-2 TS (Transport Stream) is used, and H.264 video coding and BSAC audio coding, which are multimedia compression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upper layer. Thus, terrestrial DMB has a stable video service providing function in all service functions of European DAB system. The basic transmission scheme uses a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QPSK) modulation scheme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In addition, the terrestrial DMB uses a transmission mode I suitable for a mobile multimedia service of a VHF (Very High Frequency) channel among four transmission modes of the DAB.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음원 처리 방식이나 변조 방식과는 전혀 다른 오디오 방송 형태로서 주요 방송용으로, 음원의 디지털 처리부터 변조 방식 또한 열화나 잡음에 강한 디지털 변조 방식을 채택한 방식이다. 음원 처리 방식은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과 저장에 적합하게 압축하는 MPEG I(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 계층 2의 오디오 압축 방식을 택하였고, 변조 방식으로는 이동체 수신 능력이 뛰어난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In addition, it is an audio broadcasting form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nalog sound source processing method and modulation method. For the main broadcast, the digital processing of the sound source and the modulation method also adopt a digital modulation method that is resistant to degradation or noise. The audio processing method adopts MPEG I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 Layer 2 audio compression method that compresses huge data for transmission and storage.Modulation method is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th excellent moving object reception. Orthogonal Cod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is adopted.

이러한 DMB의 사용주파수가 밴드-III에서는 대략 174-240MHz이고, L 밴드에서는 대략 1452~1492MHz인데, 예를 들어 200Mhz의 λ/4의 파장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구현하면, 그 안테나의 길이는 대략 37cm 정도 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종래의 DMB용 안테나는 현재 차량 및 실내에서 VHF/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TV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에 해당한다. 또한, 일반적인 DMB용 안테나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변형한 구조로,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체를 스트립라인으로 구현하고 이를 접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시킨 구조이 다. The frequency of the DMB is about 174-240 MHz in the band-III and about 1452 ~ 1492 MHz in the L band. For example, if the antenna is implemented using a wavelength of λ / 4 of 200 MHz, the length of the antenna is about 37 cm. Should be enough. Conventional DMB antennas used in this case correspond to antennas capable of receiving analog and digital TVs in VHF / UHF (Ultra High Frequency) bands in vehicles and indoors. In addition, the general DMB antenna is a structure in which a half-wave dipole antenna is modified, and a miniaturized structure is realized by implementing a radiator of a dipole antenna in a stripline and folding the dipole antenna.

이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수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 증폭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증폭기는 약전계 내에서는 약전파를 증폭시켜서 수신율을 높여주지만, 강전계 내에서는 강전파를 더욱 증폭시켜서 오히려 DMB 방송의 수신율에 부작용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antenna, in order to increase the reception rate, most amplifiers are additionally provided. However, such an amplifier amplifies weak waves in the weak electric field to increase the reception rate, but in the strong electric field, there is a problem that amplifies the strong waves further, thus adversely affecting the reception rate of the DMB broadcas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들 중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파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중 최적의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스위칭하여, 고품질의 방송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DMB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to measure the intensity of radio waves received through a high gain antenna among them, and according to the measured intensity of the radio wav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high quality broadcasting signal by switching an antenna capable of receiving an optimal DMB broadcasting signal among the antennas.

본 발명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는,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이 제2 안테나와 함께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고, 전술한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제1 안테나; 이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전술한 제1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수단 및; 이 제어신호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전술한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포함한다.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wave containing a DMB signal; A first antenna which receives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together with the second antenna and has a higher gain than the above-described second antenna;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gain strength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a selec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여기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예컨대, DMB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다이폴 안테나 및; 이 다이폴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를 증폭하여 전술한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제공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tenna may include, for example, a dipole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And an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dipole antenna and provides a higher gain than the above-described second antenna.

이때, 전술한 증폭기는 예컨대, 임피던스 매칭 및 필터링 기능을 갖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plifier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as a passive type having an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ing function, for example.

한편, 전술한 제어신호 제공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함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AGC 드라이버;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AGC driver for provid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as the gain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above-described first antenna exceeds the set gain strength.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은, 서로 상이한 이득을 갖는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수신단계; 전술한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전술한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전술한 제1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단계 및; 이 발생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전술한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DMB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MB signal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wave reception step of receiving a radio wave including the DMB signal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having different gains; Switching contro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gain strength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having a higher gain than the above-described second antenna A control signal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signal; And a DMB signal output step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generated switching control signal.

여기서, 전술한 제어신호 제공단계는 예컨대, 전술한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측정단계; 이 강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이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전파의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면 전술한 제2 안테나에 접속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판단된 전파의 강도가 설정된 강도에 미달하면 전술한 제1 안테나에 접속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신호 인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control signal providing step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tens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gain intensity of a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aforementioned first antenna; A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measured in this intensity measuring step exceeds the set gain intensity; If the strength of the radio wave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step exceeds the set gain intensit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is applied. If the determined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alls below the set intensity, the radio wave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ntenna. And a control signal applying step of apply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여기서, 후술되는 DMB신호는 지상파 DMB신호를 적용한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MB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pplying a terrestrial DMB signa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수신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100 for receiving DMB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er 110, a data processor 120, a display 130, and a power supply 140.

데이터 처리부(120)는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소정의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The data processor 120 decodes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10 using a predetermined codec.

디스플레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가 디코딩한 결과물인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isplay 130 outputs a video, which is a result of decoding by the data processor 120, to the user.

전원부(140)는 수신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4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receiver 110, the data processor 120, the display 130, and the like.

여기서, 전술한 수신부(11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신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안테나(111,112), 셀렉터(114) 및 AGC 드라이버(113: Automatic Gain Controller Driver)를 포함한다.Here, the above-described receiver 110 is the most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 and 112, a selector 114, and an AGC driver 113 (Automatic Gain Controller Driver) as shown in FIG. 1.

이 경우 제1 안테나(111)는 증폭 기능을 갖는 안테나이며, 제2 안테나(112)는 증폭 기능이 없는 안테나이다. 셀렉터(114 : Selecting Module)는 제1 및 제2 안테나(111,112)와 각각 연결되며, 제1 또는 제2 안테나(111,11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AGC 드라이버(113)는 제1 안테나(111)로부터 강한 전파가 입력되면 셀렉터(114)에 제2 안테나(112)의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first antenna 111 is an antenna having an amplification function, and the second antenna 112 is an antenna having no amplification function. The selector 11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 and 112, respectively, and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or second antennas 111 and 112. Finally, the AGC driver 113 performs a function of apply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econd antenna 112 to the selector 114 when a strong radio wave is input from the first antenna 111.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안테나(111)에 관한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DMB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약전계의 특성을 갖는 영역에서는 제1 안테나(111)를 통하여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13)는 제1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The operation of the antenna 111 of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ncluding such compon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DMB receiving antenna shown in FIG. 1 receives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111 in an area having a characteristic of a weak electric field. At this time, the AGC driver 113 continuously measures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111.

만일,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송신소 근처와 같은 강전계로 진입할 경우, 수신부(110)의 AGC 드라이버(113)는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가 설정된 소정의 이득 강도(기준값)를 초과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13)는 셀렉터(114)에 제2 안테나(112)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AGC 드라이버(113)는 셀렉터(114)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수단이다.If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enters a strong electric field such as near a transmitting station, the AGC driver 113 of the receiving unit 110 may set a predetermined gain intensity (reference value) in which the measured gain intensity (strength) of the radio wave is set. Detect excess. At this time, the AGC driver 113 applies a control signal for command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ntenna 112 to the selector 114. That is, the AGC driver 113 is a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114.

셀렉터(114)는 약전계의 영역에서는 제1 안테나(1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파를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DMB신호 수신장치가 강전계로 진입하게 되어 AGC 드라이버(113)로부터 제2 안테나(112)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셀렉터(114)는 제1 안테나(111)의 신호가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 안테 나(112)의 신호가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selector 114 controls the radio wave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111 to be applied to the data processor 120 of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n the region of the weak electric field. However, when the DMB signal receiver enters the strong electric field and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antenna 112 from the AGC driver 113, the selector 114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st antenna 111.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120 blocks the application of the signal to the data processor 120.

이때, 제2 안테나(112)는 신호의 증폭 기능이 없으므로 강전계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은 제2 안테나(112)에 의해 과부하가 없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120)은 제 2 안테나(112)로부터 증폭되지 않은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ntenna 112 does not amplify the signal received by the strong electric field since there is no signal amplif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data processor 120 may output a signal without an overload by the second antenna 112.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0 may stably output the signal as the non-amplified signal is applied from the second antenna 112.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는 통상의 약전계 영역에서는 제1 안테나(111)로부터 인가되는 증폭된 DMB신호를 출력하고, 강전계 영역에서는 제2 안테나(112)로부터 인가되는 미증폭된 DMB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는 수신지역의 전계강도에 따라 적합한 강도의 DMB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지역과 상관없이 DMB 방송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amplified DMB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ntenna 111 in the general weak field and applies from the second antenna 112 in the strong field. Outputs an unamplified DMB signal. That i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MB signal having a suitable strength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ing area. Therefore, the user can watch the DMB broadcast stably regardless of the reception area.

한편, 위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2 안테나(112)는 증폭기능이 방지되는 안테나만을 설명하였으나, 설명과 달리 약간의 증폭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2 안테나(112)는 약한 증폭기능을 갖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안테나(112)의 증폭성능은 약전계 영역에서 DMB신호를 적합한 강도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 안테나(111)의 증폭성능 보다 약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antenna 112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the antenna that the amplifier function is prevented, but unlike the description may be configured to enable a slight amplification. That is, the second antenna 112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having weak amplifier capability.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antenna 112 should be weaker than 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ntenna 111 so that the DMB signal can be output at an appropriate intensity in the weak field region.

이러한, 제2 안테나(112)의 증폭성능은 제1 안테나(111)의 증폭성능에 대하여 1 : 0.1~0.6의 비율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안테나(111)의 증폭성능 : 제2 안테나(112)의 증폭성능은 1 : 0.1~0.6의 비율이 바람직하다.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antenna 1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ratio of 1: 0.1 to 0.6 with respect to 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antenna 111. That is, the ratio of 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antenna 111 to the amplifica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antenna 112 is preferably 1: 0.1 to 0.6.

또 한편, 위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AGC 드라이버(113)는 전술한 바와 달리 제2 안테나(112)로부터 강한 전파가 입력되면, 셀렉터(114)에 제2 안테나(112)의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AGC 드라이버(113)는 제2 안테나(112)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제2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14)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AGC driver 113, when a strong radio wave is input from the second antenna 112, the AGC driver 113 appli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econd antenna 112 to the selector 114.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That is, the AGC driver 113 selects 114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112 according to the gain strength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second antenna 112.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다른 한편, 전술한 수신부(110)의 각 요소별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element of the above-described receiver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1 안테나(111) 및 제2 안테나(112)는 다이폴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공중에 존재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제1 및 제2 안테나(111, 112)는 다이폴 안테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antenna 111 and the second antenna 112 include a dipole antenna and the like to receive radio waves existing in the air.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 and 112 are not limited to dipole antennas.

제1 안테나(111)의 다이폴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전파는 이득(Gain)을 높이기 위한 회로에 인가된다. 이렇게, 이득(Gain)을 높이기 위한 회로는 다수의 저항(Resistor), 인덕터(Inductor), 캐패시터(Capacitor) 및 트랜지스터(Transistor) 등을 이용하는 증폭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The radio wave received through the dipole antenna of the first antenna 111 is applied to a circuit for increasing the gain.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for increasing gain may be configured as an amplifier circuit using a plurality of resistors, inductors, capacitors, and transistors.

이와 같은 증폭회로는 일종의 증폭기(Amplifier)에 해당하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제1 안테나(111)는 이득(Gain)을 높이기 위하여 Active Type의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Passive 타입의 회로를 이용하여 충분한 이득(Gain)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 임피던스 매칭과 필터링 기능이 추가된 Passive Type의 회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이 추가된 Passive Type의 회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an amplification circuit corresponds to a kind of amplifier, which is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particular, the first antenna 111 may apply an active type circuit to increase the gain. However, if a sufficient gain can be secured using a passive type circuit, a passive type circuit in which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ing functions are added may be adopted. The passive type circuit to which such a function is added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제1 안테나(111)에서 증폭된 전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GC 드라이버(113)로 인가되어 셀렉터(114)로 전달된다. 이렇게, AGC 드라이버(113)로 신호가 인가되는 이유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이득 강도를 감지하기 위함이다.The radio wave amplified by the aforementioned first antenna 111 is applied to the AGC driver 113 and transmitted to the selector 114 as described above. As such, the reason why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AGC driver 113 is to detect the gain strength of the currently received signal as described above.

한편, 제2 안테나(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 기능이 없으므로 제1 안테나(111) 보다 낮은 이득(Gain) 특성을 갖는다. 이렇게, 낮은 이득(Gain)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 안테나(112)는 일반적인 Passive Type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2 안테나(112)는 DMB 수신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안테나(111)와 마찬가지로 임피던스 매칭 및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더 채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antenna 112 has no amplific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ntenna 112 has a lower gain characteristic than the first antenna 111. As such, in order to secure a low gain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ntenna 112 use a general passive type circuit. Of course, the second antenna 112 may further employ a circuit that performs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ing functions like the first antenna 111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DMB reception rate.

이러한 제2 안테나(112)의 다이폴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별다른 증폭 과정없이 셀렉터(114)로 직접 인가된다.The received signal input through the dipole antenna of the second antenna 112 is directly applied to the selector 114 without any amplification process.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AGC 드라이버(113)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GC(Auto Gain Control)는 무선 수신기나 증폭기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사전적 의미)한다. 이러한 AGC는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은 이득이 입력될 경우 역방향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이득 강도를 강하시키고,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낮은 이득이 입력될 경우 순방향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 는 이득 강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AGC는 출력신호의 진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AGC driver 113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AGC (Auto Gain Control) refers to a device that detects the amplitude variation of a wireless receiver or amplifier input signal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gain so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signal is always constant. The AGC lowers the gain strength by using reverse bias when a gain higher than the set gain intensity is input, and increases the gain strength by using forward bias when a gain lower than the set gain intensity is input. Thus, the AGC keeps the amplitude of the output signal constant at all times.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AGC 드라이버(113)는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보다는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이를 셀렉터(114)에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AGC 드라이버(113)는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작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셀렉터(114)의 작동신호인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However, the AGC driver 113 i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amplitude variation of the input signal and notifies the selector 114, rather than the function of always keeping the amplitude constant. That is, the AGC driver 113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gain, but is used to provide a switching control signal which is an operation signal of the selector 114.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AGC 드라이버(113)는 검출되는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가 보다 클 경우, 이 이득 강도를 설정된 강도 보다 낮게 강하시키는 역방향 바이어스를 생성하지 않고 셀렉터(114)를 작동시키는 전류를 생산한다. 따라서, AGC 드라이버(113)는 검출되는 이득 강도에 따라 셀렉터(114)를 작동시킨다.In particular, the AGC driver 113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cted gain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set gain intensity, the current which operates the selector 114 without generating a reverse bias which lowers this gain intensity below the set intensity. To produce. Thus, the AGC driver 113 operates the selector 114 in accordance with the gain strength detected.

여기서, 전술한 AGC 드라이버(113)는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는 BAS40-07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BAS40-07 소자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회로(Schottky Barrier Diode)의 일종에 해당한다.Here, the aforementioned AGC driver 113 may include a BAS40-07 device including two diodes. The BAS40-07 device is a type of Schottky Barrier Diode.

이와 같은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여 AGC 드라이버(113)는 제1 안테나(111)에 수신된 현재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는 연산 증폭기 등을 경유하여 셀렉터(114)로 인가될 수 있다.Using the diode device, the AGC driver 113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11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applied to the selector 114 via an operational amplifier or the like.

셀렉터(114)는 AGC 드라이버(113)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제1 및 제2 안테나(111, 112)로부터 각각 증폭된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셀렉터(114)는 AGC 드라이버(113)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통상의 경우에는 제1 안테나(111)의 신호를 출력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AGC 드라이버(113)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는 제2 안테나(11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셀렉터(114)는 AGC 드라이버(113)의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가변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The selector 114 receives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AGC driver 113 and an amplified signal and an unamplified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 and 112, respectively. The selector 114 transmits a signal of the first antenna 111 to the output unit in a normal case in which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not applied from the AGC driver 113. When the control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GC driver 113, an operation of output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antenna 112 is performed. That is, the selector 114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variable switch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AGC driver 113.

여기서, 전술한 셀렉터(114)는 멀티플렉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selector 114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using a multiplexer, or may be configured through an element such as a transistor that performs a switch function.

한편,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은 전술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Meanwhile,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 DMB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for receiving a DMB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 At this time, the DMB signal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mplemen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은 전술한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제1 및 제2 안테나(111, 112)를 통해 DMB신호를 제각기 수신한다(S201, S202).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다이버시티 형태의 시스템이다.2, in the method for receiving a DMB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MB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11 and 112 of the above-described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S201, S202). That i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s a diversity type system.

이때, 제1 안테나(11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MB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S201) 그리고, 제2 안테나(11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MB신호를 증폭할 수 없다.(S202)In this case, the first antenna 111 may amplify the DMB signal as described above (S201). The second antenna 112 may not amplify the DMB signal as described above (S202).

이러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평상시 제1 안테나(111)의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DMB 방송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203).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평상시에는 수신율이 높아지도록 증폭된 DMB 신호를 출력시킨다.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DMB broadcast to a user by using the broadcast signal of the first antenna 111 at normal time (S203). That i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usually outputs an amplified DMB signal so that the reception rate is high.

이때,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제1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세 기, 즉 이득 강도를 감지(S204)하여,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전파는 디지털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제1 안테나(111)가 수신할 수 있는 모든 대역폭의 전파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속해있는 영역의 전계 강도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기타 전파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senses the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111, that is, the gain strength (S204), so that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exists in the region of the weak electric field. Determine if it exists in the area of strong electric field. In this case, the radio wave means not only a digital broadcast signal but also a radio wave of all bandwidths that the first antenna 111 can receive. This is becaus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gion to which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belongs is determined by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other radio waves.

이러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측정된 전파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강전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전파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에 미달할 경우 약전계의 영역(강전계가 아닌 지역)으로 판단한다.(S205)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할 경우 강전계 영역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에 미달할 경우에는 약전계 영역으로 판단한다. 이때,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전술한 AGC 드라이버(113)를 이용하여 이득 강도를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strong electric field when it exceeds the set reference value. If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s less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the radio wave is determined to be a region of the weak electric field (a region other than a strong electric field) (S205). If it exceeds, it is determined as the strong electric field area, and when the measured gain strength of the measured radio wave is less than the set gain intensity, it is determined as the weak electric field area. At this tim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determine the gain strength by using the AGC driver 113 described above.

한편,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되지 않은 제2 안테나(112)에서 인가되는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06)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되지 않은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exists in the region of the strong electric field,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uses a DMB broadcast using the DMB signal applied from the second antenna 112 that is not amplified. In other word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outputs the DMB broadcast by decoding the non-amplified DMB signal.

이때,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제1 안테나(111) 또는 제2 안테나(112)에서 인가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술한 셀렉터(114)를 통해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셀렉터(114)는 전술한 바 와 같이 AGC 드라이버(113)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작동하면서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DMB broadcasting to the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lector 114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ntenna 111 or the second antenna 112. It is preferable. Of course, the selector 114 selectively outputs the DMB signal while switching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AGC driver 113 as described above.

반대로,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DMB 수신 장치(100)는 제1 안테나(111)에서 증폭된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03)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된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weak electric field, the DMB receiving apparatus 100 provides a DMB broadcast using the DMB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ntenna 111 to the user. That is,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decodes the amplified DMB signal and outputs a DMB broadcast.

전술한 바와 같이 DMB신호 수신장치(100)를 구성할 경우,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전술한 AGC 드라이버(113)를 통해 제1 안테나(111)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한 후, 이 측정된 이득 강도를 설정된 이득 강도와 비교한다. 그리고, 전술한 AGC 드라이버(113)를 통해 셀렉터(114)를 작동시켜서 제1 안테나(111) 또는 제2 안테나(112)의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킨다.When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measures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111 through the above-described AGC driver 113. Then, the measured gain intensity is compared with the set gain intensity. Then, the selector 114 is op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GC driver 113 to selectively output the DMB signal of the first antenna 111 or the second antenna 112.

이때, AGC 드라이버(113)는 제1 안테나(111)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 및 설정된 이득 강도를 비교하여,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1 안테나(111)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을 경우, 제2 안테나(112)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14)에 인가한다. 이와 달리, 제1 안테나(111)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낮을 경우, 제1 안테나(11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14)에 인가한다. 따라서, 셀렉터(114)는 제1 안테나(111)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에 따라 제1 또는 제2 안테나(111, 112)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킨다. 물론,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셀렉터(114)에 의해 제1 또는 제2 안테나(111, 112)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AGC driver 113 compares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11 and the set gain intensity to determine whether the gain intensity of the received radio wave is higher than the set gain intensity. When the gain strength of the first antenna 111 is higher than the set gain strength,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antenna 112 is applied to the selector 114. On the contrary, when the gain strength of the first antenna 111 is lower than the set gain strength,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11 is applied to the selector 114. Accordingly, the selector 114 selectively outputs the signals of the first or second antennas 111 and 112 according to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11. Of cours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selectively decodes the DMB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or second antennas 111 and 112 by the selector 114 selectively operated to output the DMB broadcast.

이상과 같은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두 개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전계 영역 뿐만 아니라 강전계의 영역에서도 원활하게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may selectively use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two antennas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fore, the user can smoothly watch the DMB broadcast not only in the weak electric field but also in the strong electric fiel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은, 약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이득 강도가 높은 신호만을 이용하고, 강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이득 강도가 낮은 신호만을 이용하므로 DMB 방송 신호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디코딩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품질의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AGC와 같은 기존에 존재하는 소자를 이용하므로, DMB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DMB신호 수신장치를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 only a signal having a high gain intensity when entering the region of the weak field, and use only a signal having a low gain intensity when entering the region of the strong field. The reception rate of the DMB broadcast signal can be increased, and in addition, an error does not occur in decoding, thereby providing a DMB broadcast service of higher quality to the user. In addition, by using an existing device such as AGC,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user with a DMB signal receiving device that can receive the DMB signal stably at a lower price.

한편, 상술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지지 않고,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description of a preferre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6)

DMB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In the DMB signal receiving apparatus,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A second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상기 제2 안테나와 함께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제1 안테나;A first antenna which receives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together with the second antenna and has a higher gain than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수단; 및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gain intensity (wave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장치.And a selec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DMB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다이폴 안테나; 및A dipole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wave including a DMB signal; And 상기 다이폴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를 증폭하여 상기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제공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장치.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radio wave received by the dipole antenna to provide a higher gain than the second antenn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증폭기는, 임피던스 매칭 및 필터링 기능을 갖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신호 수신장치.The amplifier has a passive type (Passive Type) having an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ing func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은,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trol signal providing means,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함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AGC 드라이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신호 수신장치.And an AGC driver for provid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when the gain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exceeds a set gain strength. DMB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ceiving a DMB signal, 서로 상이한 이득을 갖는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수신단계;A radio wave reception step of receiving radio waves including a DMB signal through first and second antennas having different gains; 상기 제2 안테나 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단계; 및Provid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gain strength (intensity) of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having a higher gain than the second antenna Providing a control signal; And 상기 발생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DMB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방법.And a DMB signal output step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or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generated switching control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제공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control signal comprises: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측정단 계;An intensity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gain intensity of a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상기 강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ain intensity of the radio wave measured in the intensity measurement step exceeds a set gain intensity; And 상기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전파의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안테나에 접속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판단된 전파의 강도가 설정된 강도에 미달하면 상기 제1 안테나에 접속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신호 인가단계;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방법.When the strength of the radio wave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step exceeds the set gain intensity, a switching control signal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is applied. When the determined intensity of the radio wave falls below the set intensity, the switch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 control signal applying step of applying a control signal; DMB signal receiv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060076801A 2006-08-14 2006-08-1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KR100824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01A KR100824606B1 (en) 2006-08-14 2006-08-1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01A KR100824606B1 (en) 2006-08-14 2006-08-1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85A true KR20080015285A (en) 2008-02-19
KR100824606B1 KR100824606B1 (en) 2008-04-23

Family

ID=3938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01A KR100824606B1 (en) 2006-08-14 2006-08-14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6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6650B1 (en) 2021-08-06 2023-01-03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US11838680B2 (en)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553245B1 (en) 2021-08-06 2023-01-10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US11611790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30A (en) * 2004-08-09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ow noise amplifier in terminal of recei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639491B1 (en) * 2004-08-17 2006-10-26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606B1 (en)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606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US77739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ing phase-noise in the mobile terminal
US7454180B2 (en) Vehicle-mounted receiving apparatus for reducing distortion,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and saving power
US7894786B2 (en) Gain controlled and multi-band processing receiver
US20060150219A1 (en)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of single tuning type
US200800763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for short range transmissions to broadcast receivers
US20070249309A1 (en) Diversity receiver
JP2002050976A (en) Antenna unit and receiver
US200800816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Frequency Modulation (FM) Antenna To Receive 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Signals
US8249205B2 (en) HD radio diversity receiver with shared processing paths
KR100865094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KR100649636B1 (en) Satellite dmb receiver
JPH09139681A (en) Device for controlling conversion gain of down converter
US20070287398A1 (en)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carrier waves
WO2007021127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KR100664256B1 (en) An apparatus for improving receive sensitivity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1156046B1 (en) Digital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23151B1 (en) Mobile digital tv receiving module
KR20080047219A (en) Method and apparatus simultaneous multi-channel reception in broadcasting service system
KR20060064359A (en) Apparatus for receiving dmb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pparatus
KR100716909B1 (en) Radio Frequency module of diversity receiver type
KR100466070B1 (en) Digital audio broadcasting tuner
JP2008236414A (en) Digital signal receiver
JPH1093459A (en) Receiver with antenna booster
KR200464064Y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