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256A -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256A
KR20080015256A KR1020060076734A KR20060076734A KR20080015256A KR 20080015256 A KR20080015256 A KR 20080015256A KR 1020060076734 A KR1020060076734 A KR 1020060076734A KR 20060076734 A KR20060076734 A KR 20060076734A KR 20080015256 A KR20080015256 A KR 2008001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ark
image
value
quantization
edg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725B1 (ko
Inventor
김원겸
서용석
이선화
유원영
이상광
이성환
이승재
정혜원
윤영석
오원근
서영호
서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7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72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28Adaptive watermarking, e.g. Human Visual System [HVS]-based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5Robust watermarking, e.g. average attack or collusion attack resist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로 워터마크를 삽입/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 및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의 영역에 따라 워터마크가 적응적으로 삽입되어 비가시성과 강인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QIM, 핑거프린팅, fingerprinting, 양자화, 저작권 보호

Description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adaptive quantization watermarking with 2 or more step size for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에지맵을 구하기 전의 원본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5a의 원본 이미지로 에지맵을 구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단위 블록을 각각 4번, 16번 반복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저작권 정보를 삽입/추출하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 중에 하나인 QIM(Quantizer-Index Modulation) 방법에서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step size)로 워터마크를 삽입/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워터마킹 방법은 작은 노이즈 같은 워터마크 신호를 미디어의 지역적 특성과 삽입 강도를 모델화하여 미디어의 계수에 더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삽입하려는 계수를 일정한 수로 양자화하여 1 또는 0의 한 비트를 삽입하는 양자화 워터마킹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을 QIM(quantization index modulation)이라 한다.
워터마킹 시스템에는 다음의 특성이 요구된다.
첫째, 워터마크의 비가시성(Invisibility)으로, 워터마크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 영상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지않아야 하며, 발생하더라도 이는 인간의 시각에 의해서 감지되지 않아야 한다.
둘째,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 정보인 워터마크가 여러 가지 공격에도 검출될 수 있는 강인성(Robustness)으로, 삽입된 워터마크는 데이터의 전송시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비고의적인 데이터의 변형이나 삽입된 워터마크를 삭제하려는 여러 가지 고의적인 공격에도 검출될 수 있도록 강인해야 한다.
종래의 QIM 방법은 일정한 양자화 스탭 사이즈(step size)만을 사용하기 때 문에 워터마크가 이미지에 적응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즉, 이미지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비가시적으로 삽입하도록 설계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비가시성만을 고려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면 워터마크의 강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미지의 영역에 따라 워터마크가 적응적으로 삽입되어 비가시성을 극대화하면서도 강인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의 일 실시예는,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 및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 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의 일 실시예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하는 단계; 및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장치의 일 실시예는,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분리하는 이미지 영역 분리부; 및 분리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장치의 일 실시예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하는 기준 값 역산부; 및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추출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QIM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QIM(quantization index modulation) 방법은 삽입하고자 하는 계수에 1 비트(bit) 메시지를 워터마크로 삽입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step size)를 사용하고, 키는 사용하지 않는다.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를 가지는 스칼라의 균일한 양자기 Q(s)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1
위의 양자기를 가지고 수학식 2와 같은 양자화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2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3
위의 양자화 함수는 실제 워터마크 삽입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4
s는 워터마크를 삽입할 계수이며 m은 삽입할 비트정보, x는 워터마크가 삽입 된 계수이다.
워터마크 메시지의 추출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워터마크가 삽입된 신호 x에 노이즈 w가 첨가된 신호 y를 수학식 4와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5
y로부터 아래의 수학식 5를 이용해 삽입된 메시지를 추출한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6
QIM 디코더는 최소 간격(minimum-distance) 디코더로 |w| < Δ/4 조건을 만족시키면 추출된 메시지는 삽입 메시지와 완벽히 일치하게 된다.
위의 수학식들에서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값이 크면 허용하는 에러의 범위가 커져 삽입한 워터마크의 강인성이 높아지나 비가시성은 떨어진다. 한편 양자화 스탭 사이즈 값은 워터마크 삽입 시 보안성을 제공해 주는 키로 동작한다.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QIM 워터마킹 방법은 하나의 콘텐츠에 하나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 값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콘텐츠에 2개 이상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 값을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워터마크 삽입 과정은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고,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 의 영역으로 상기 이미지를 구분한 후,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한다.
에지 성분 값 산출은 워터마크를 삽입할 도메인의 계수를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하고(S111), 추출된 도메인 계수를 저대역 통과 필터에 통과시킨 후(S112), 필터를 통과한 도메인 계수를 갖는 이미지에 에지 검출 마스크를 적용하여 에지맵(Egde map)을 구한다(S113). 원본 이미지와 이로부터 구한 에지맵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지 검출 마스크로 프리위트(prewitt) 마스크 또는 소벨(sobel)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구분한다(S121).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경우를 설명한다. 에지맵으로부터 아래 수학식 6에 따라 이미지의 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7
T는 이미지를 고주파 영역과 저주파 영역으로 나누는 기준 값으로 에지맵에서 구한 에지 성분 값의 평균값이나 또는 임의의 상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이미지의 영역이 에지 성분 값에 따라 구분되면, 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한다(S122, S123).
QΔ1과 QΔ2는 Δ값이 다른 양자화 삽입 방법으로, 워터마크의 적응적 삽입을 위하여 Δ1 < Δ2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에지 성분 값이 작은 평면(flat) 지역은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1 값을 4로 세팅하여 삽입 왜곡을 줄이고, 에지 성분 값이 큰 고주파 영역은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2 값을 8이나 16으로 세팅하여 강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에지맵에 따라 삽입 영역이 정해졌으면 해당 영역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워터마크를 단위블록화 하여 반복 삽입한다.
우선 워터마크를 이미지보다 작은 크기로 단위 블록화한다(S131). 단위 블록의 크기는 최대 이미지 크기의 1/4이 될 수 있고, 이미지가 커지면 더 작은 비율이 될 수 있다.
이미지는 다수의 격자 형태로 등분되고, 삽입할 워터마크는 이 격자의 크기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이미지의 각각의 격자에 이 격자 크기의 워터마크가 반복적으로 삽입된다(S132). 즉 동일한 워터마크가 반복 삽입되는 것이다. 도 6에는 단위 블록을 각각 4번, 16번 반복하여 삽입한 이미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블록 단위로 반복 삽입하는 이유는 반복 삽입한 이미지를 자기상관함수(Auto-correlation function)를 사용해 자기상관도를 구해 보면 블록 단위로 에 너지가 높게 생성되는데 이 특성을 워터마크 추출시에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마크 추출 방법은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고,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한 후,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하고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워터마크의 추출 과정은 전반적으로 삽입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나 삽입 시 사용하였던 에지 성분 값의 기준 값 T를 추정하는 부분이 추가된다.
저주파 영역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1과 고주파 영역의 양자화 스탭 사이즈 Δ2는 이미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먼저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에 워터마크가 삽입된 계수를 추출한 후(S211), 저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킨다(S212). 다음으로 워터마크 삽입 시 사용했던 마스크를 사용하여 에지맵을 구한다(S213). 만약 이미지에 왜곡이 가해졌을 경우 이 에지맵의 값은 삽입 시의 값들과 달라진다.
다음으로 워터마크 삽입시 사용한 기준 값 T를 역산해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계산된다.
우선 에지맵의 평균값을 T의 초기값으로 정하고 T를 기준으로 T의 추정 값 범위를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정한다(S221).
Figure 112006057910901-PAT00008
여기서 k는 임의의 상수다. 예를 들어 에지맵의 평균이 25이고 k가 20이라면, T의 범위는 5 ≤ T ≤ 45 가 된다.
이제 T를 위의 추정 값 범위 내에서 증가시키면서(S226)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임시 워터마크를 추출한다(S222).
추출한 임시 워터마크에 자기상관함수를 적용하여 자기상관계수를 구한 후(S223), 이 계수들 중 최대값을 저장한다(S224).
바람직하게는 이미지의 정중앙 부분의 64x64 크기의 마스크 윈도우 내의 계수 중 최대값을 저장할 수 있다(S224). 정중앙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이유는 워터마크가 블록단위로 반복 삽입되었으므로 이미지의 정중앙에서 4개의 블록 모서리가 만나게 되어 이 부분의 자기상관계수가 크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되는 마스크 윈도우의 크기는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제 추정 값 범위 내의 T의 마지막 값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여 범위 내의 모든 최대값을 구한다(S225, S226)
다음으로 그 최대값들 가운데서 다시 최대가 되는 T를 삽입 시의 T값이라 간주한다(S227).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역산된 워터마크 삽입시에 사용된 기준 값 T는 결국 추정 값이지만 오차가 작아 워터마크를 추출하는데 문제가 없다.
기준 값 T가 구해졌으므로 이 기준 값을 수학식 6에 적용하여 영역을 분리하 고(S231), 이 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S232, S233) 워터마크를 추출한다(S23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장치(300)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310), 이미지 영역 분리부(320) 및 워터마크 삽입부(330)을 포함한다.
에지 성분 값 산출부(310)은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한다.
이미지 영역 분리부(320)은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분리한다.
워터마크 삽입부(330)은 분리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장치(400)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410), 기준 값 역산부(420), 및 워터마크 추출부(430)를 포함한다.
에지 성분 값 산출부(410)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 출한다.
기준 값 역산부(420)는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한다.
워터마크 추출부(430)는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에서 워터마크 정보를 적응적으로 삽입하게 해 주어 워터마크의 비가시적인 성질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의 고주파 영역에는 큰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사용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된 워터마크의 강인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상기 이미지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성분 값 산출 단계는,
    워터마크를 삽입할 도메인의 계수를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메인 계수를 저대역 통과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도메인 계수를 갖는 이미지에 에지 검출 마스크를 적용하여 에지맵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검출 마스크는 프리위트(prewitt) 마스크 또는 소벨(sobel)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 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구분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워터마크 삽입 단계에서 상기 에지 성분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영역에서는 작은 스텝 사이즈를 적용하고 상기 기준 값보다 큰 영역에서는 큰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다수의 격자 형태로 등분하고 삽입할 워터마크를 상기 격자 크기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상기 이미지의 각각의 격자에 상기 격자 크기의 워터마크를 반복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방법.
  6.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상기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성분 값 산출 단계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도메인의 계수를 상기 이미지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도메인 계수를 저대역 통과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도메인 계수를 갖는 이미지에 에지 검출 마스크를 적용하여 에지맵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검출 마스크는 프리위트(prewitt) 마스크 또는 소벨(sobel) 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기준 값 역산 단계는,
    상기 에지 성분 값들의 평균을 초기값으로 정하고, 상기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를 상기 사용된 기준 값의 추정 값 범위로 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 값 범위 내의 임의의 값을 기준 값으로 하여 상기 이미지의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마다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임시의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임시 워터마크에 자기상관함수를 적용하여 자기상관계수를 구하고, 상기 자기상관계수 중의 최대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값 범위 내의 값들에 대하여 상기 임시 워터마크 추출 단계 및 상기 최대값 저장 단계를 반복하여 저장된 최대값들 가운데 다시 최대가 되는 값을 상기 사용된 기준 값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값 저장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정중앙에 임의의 크기의 마스크 윈도우를 씌운 후 상기 윈도우 내에서만 최대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방법.
  11.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
    임의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에지 성분 값에 따라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상기 이미지를 분리하는 이미지 영역 분리부; 및
    상기 분리된 영역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삽입 장치.
  12.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의 에지 성분 값을 산출하는 에지 성분 값 산출부;
    워터마크 삽입 시에 서로 다른 양자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값을 역산하는 기준 값 역산부; 및
    상기 역산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한 후,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스탭 사이즈를 적용하여 상기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 이상의 스탭 사이즈를 갖는 양자화 워터마크 추출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76734A 2006-08-14 2006-08-14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KR10082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734A KR100825725B1 (ko) 2006-08-14 2006-08-14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734A KR100825725B1 (ko) 2006-08-14 2006-08-14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56A true KR20080015256A (ko) 2008-02-19
KR100825725B1 KR100825725B1 (ko) 2008-04-29

Family

ID=3938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734A KR100825725B1 (ko) 2006-08-14 2006-08-14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33B1 (ko) * 2008-07-03 2013-01-17 주식회사 마크애니 자기 상관도의 대칭성을 이용한 회전 및 스케일 정보 추출방법
KR101333825B1 (ko) * 2012-06-18 2013-11-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디오 워터마크 삽입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오디오 워터마크 검출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7972B1 (en) * 1999-10-20 2002-06-18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743B1 (ko) * 2003-04-08 2005-06-10 주식회사 마크애니 신호의 특성값의 양자화에 의한 워터마크 삽입 및 검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33B1 (ko) * 2008-07-03 2013-01-17 주식회사 마크애니 자기 상관도의 대칭성을 이용한 회전 및 스케일 정보 추출방법
KR101333825B1 (ko) * 2012-06-18 2013-11-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디오 워터마크 삽입장치 및 방법, 그리고, 오디오 워터마크 검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725B1 (ko)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024B1 (ko) 하이브리드 이미지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Stamm et al. Anti-forensics of digital image compression
KR100554680B1 (ko) 크기 변화에 강인한 양자화 기반 오디오 워터마킹 장치 및방법
US7292708B2 (en) Method for blindly embedding and extracting a watermark by using wavelet transform and an HVS model
US20060176299A1 (en) Robust hidden data extraction method for scaling attacks
Yu et al. Mean quantization blind watermarking for image authentication
KR100523978B1 (ko) 웨이블릿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추출장치 및 방법
CN111028850B (zh) 一种音频水印的嵌入方法和提取方法
KR100825725B1 (ko) 2개 이상의 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적 이미지 양자화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KR100319451B1 (ko) 가변크기 블록 기반 워터마킹 방법
KR100560429B1 (ko) 비선형 양자화를 이용한 워터마킹 장치 및 그 방법
Piao et al. A blind watermarking algorithm based on HVS and RBF neural network for digital image
Ahmederahgi et al. Spread spectrum image watermarking based on the discrete shearlet transform
Bas et al. Security of DM quantization watermarking schemes: a practical study for digital images
Talbi et al. Image watermarking using data compression
Leng et al. High payload data hiding based on just noticeable distortion profile and LSB substitution
CN108062957B (zh) 基于稳健局部特征的强鲁棒数字水印检测方法
Lou et al. Adaptive DWT-based watermarking scheme using neighboring mean value relationship
Huang et al. The algorithm for detecting hiding information based on SVM
Guzik et al. Real data performance evaluation of CAISS watermarking scheme
مجدي فرج البريكي et al. Enhanced Dct Image Watermarking Scheme Based on Zonal Sampling Algorithm Applied With Sspce Contour Extraction, Ramer and Adaptive Triangle Contour Compression Methods
Maity et al. Modified difference expansion for reversible watermarking using fuzzy logic based distortion control
Lin et al. A block-based watermarking method using wavelet coefficient quantization
Alturki et al. Robust adaptive digital watermark for still images using hybrid modulation
Knowles et al. Towards tampe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with robust water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