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226A -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226A
KR20080015226A KR1020060076660A KR20060076660A KR20080015226A KR 20080015226 A KR20080015226 A KR 20080015226A KR 1020060076660 A KR1020060076660 A KR 1020060076660A KR 20060076660 A KR20060076660 A KR 20060076660A KR 20080015226 A KR20080015226 A KR 2008001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dielectric layer
partition wal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석
추성훈
김준형
김기동
이보원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5226A/en
Publication of KR2008001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3Cross section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A plasma display panel is provided to suppress collapse between a front substrate and a barrier rib member due to thermal deformation. A second substrate(10) is positioned opposite to a first substrate. A barrier rib(16) is formed to define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discharge cell in order to form a discharge gap. A first dielectric layer(14)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address electrode(12) is formed across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dielectric layer is formed to cover the address electrode. A protruded part(31) is selectively formed at a part of the dielectric layer which comes in contact with the barrier rib.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cells and display electrode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격벽과 유전체층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el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rtition wall and a dielectric layer for the portion 'A'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cells and display electrodes of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부분에 대한 격벽과 어드레스전극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elective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address electrode for the portion 'B' of FIG. 5.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5.

본 발명은 휘점(輝點) 문제를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 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 that improves a bright spot problem.

PDP는 기체 방전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발생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PDP는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PDP is a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n image by using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radiation emitted from the plasma formed by the gas discharge excited the phosphor layer. Such PDPs have been spotlighted as next-generation flat panel displays because they can be composed of high resolution large screens.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전극 면방전형 PDP로, 전면기판으로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이 형성되고, 배면기판으로는 어드레스 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사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을 따라 격벽이 방전셀을 구획한다.A three-electrode surface discharge type PDP that is generally used at present, a scan electrode and a sustain electrode are formed on a front substrate, and an address electrode is formed on a rear substrate. The partition wall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s along a portion where the scan electrodes and the address electrodes intersect.

여기서, 격벽은 배면기판 상에 형성되는데, 열변형을 일으켜 형성된다. 즉, 격벽은 시트(sheet) 또는 페이스트(paste)를 배면기판에 도포한 후에 이를 패터닝하고, 소성로에서 고열(약 500℃)로 가열하여 만들어진다. 때문에, 격벽은 열변형을 일으키면서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Her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it is formed by causing the thermal deformation. That is, the partition wall is made by applying a sheet or paste to the back substrate, patterning it, and heating the sheet at a high temperature (about 500 ° C.) in a kiln. Therefore, the partition wall changes shape while causing thermal deformation.

예를 들어서, 격벽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서 각각 방전셀을 구획하고 있는 경우에, 격벽은 소성 중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서 만나는 부분(이하, 교차점)에서 밖으로 퍼져 나가는 응력을 받게 된다. 이처럼 발생하는 응력은 교차점 이외의 부분, 특히 세로 방향에서 방전셀을 구획하는 부분에서 크게 발생해서, 이 부분을 위로 솟게 해서, 소성 후 아치 형상을 이루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partition partitions discharge cel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partition receives a stress that spreads out at a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section) that meet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firing. The stress generated in this way is largely generated at portions other than the intersection point, particularly in the portion which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ortion rises upward to form an arch shape after firing.

그런데, 격벽이 이처럼 아치 형상을 이룬 상태로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을 결합하게 되면, 격벽의 솟음 부분이 전면기판과 부딪쳐 형광체층이 파손되면서 일부 형광체가 방전셀을 비산하게 된다. 이처럼 비산된 불순물들의 일부는 상판에 부착 되어, 휘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However, wh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substrate are combined in such a state that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n arch shape, the rising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collides with the front board and the phosphor layer is damaged, and some phosphors scatter the discharge cells. Some of these scattered impurities are attached to the top plate, causing a problem of bright spots.

또한, 격벽을 이루는 조성물 중 TiO2는 다른 입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 TiO2는 격벽을 백색으로 착색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요즘에 들어와 격벽을 어두운 색상으로 착색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착색 격벽에서 TiO2는 격벽 조성물로 사용되지 않는다. 때문에, 격벽 조성물들은 종전보다 상대적으로 조밀해지면서 열변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이 아치 형상으로 변형되는 정도가 더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TiO 2 in the composition forming the partition has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compared to other particles. This TiO 2 is used to color the partitions to white. However, as nowadays come in developing a technique of coloring the partition walls with a dark color, in the coloring partition TiO 2 is not used as a partition wall composition. As a result, the bulkhead compositions are relatively denser than before, resulting in more severe stresses generated during thermal deformation.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partition wall into an arch shape becomes more severe.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이 기판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artition from colliding with a substrate.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덮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격벽과 만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돌출부가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asma display panel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tions a space between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form a discharge cell. A barrier rib,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cell to form a discharge gap, a first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address electrod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s selectively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ielectric layer meets the barrier rib.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전체층이 부분적으로 상기 격벽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partially protruding the dielectric layer toward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ddress electrode.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2 격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and a second partition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ition wall member. .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격벽부재를 합산한 높이는 상기 제1 격벽부재의 높이와 동일하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barrier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barrier member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barrier member.

그리고,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이 제일 두껍게 형성된다.The dielectric layer has the thickest portion facing the second partition member.

또한, 상기 격벽은 무채색으로 착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회색이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be colored achromatic, preferably gray.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덮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돌기부가 형성된다.In the plasma display panel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cell is formed by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 partition wall,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cell to form a discharge gap, a first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address electrod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address And a second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electrode, wherein the address electrode is selectively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partition wall.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이 부분적으로 상기 격벽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진다.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by the address electrode partially protruding toward the partition wall.

그리고, 상기 유전체층은 균일한 두께를 이루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다.The dielectric layer covers the address electrode with a uniform thicknes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의 일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plasm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PDP는, 제1 기판(이하, 전면기판)(20)과 제2 기판(이하, 배면기판)(10)이 서로 대향 배치되고, 이 사이의 공간을 격벽(16)이 구획해서 방전셀들(18)을 형성하고 있다. 방전셀(18)은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인 서브 픽셀(sub pixel)을 이루고, 복수개의 서브 픽셀이 모여 하나의 화소를 이룬다.In the PDP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subst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ont substrate) 20 and the second subst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ck substrate) 1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wall 16 partitions the space therebetween and discharges them. Cells 18 are formed. The discharge cells 18 form a sub pixel, which is a minimum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plurality of sub pixels form one pixel.

그리고, 각각의 방전셀(18)에는 서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제1 전극(이하, 주사전극)(21) 및 제2 전극(이하, 유지전극)(23)의 표시전극(25)과 어드레스전극(12)이 형성된다. 이 표시전극(25)과 어드레스전극(12)은 이격되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각 방전셀(18)은 주사 전극(21)과 어드레스 전극(12)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Each of the discharge cells 18 and the display electrode 25 and the address of the first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stain electrode) 23 which face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gap are described. An electrode 12 is formed. The display electrode 25 and the address electrode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nd each discharge cell 18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address electrode 12 cross each other.

전면기판(20)은 빛이 투과하는 강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전면기판으로는 방전셀(18)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화상이 표시된다.The front substrate 2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through which light passes. On the front substrate, an image formed by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 cells 18 is displayed.

그리고, 각 방전셀(18)에 대응하게 표시전극(25)이 형성된다. 표시전극(25)은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은 방전셀(18)에서 평면으로 마주해 방전갭(g)을 형성한다(도 2 참조). 여기서, 주사전극(21)은 어드레스전극(12)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18)을 선택하고, 유지전극(23)은 주사전극(21)과 작용해서 선택된 방전셀(18)에 대해서 유지기간동안 방전을 형성한다.Then, the display electrode 25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discharge cell 18. The display electrode 25 may be formed as a pair of 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and 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face the plane of the discharge cell 18 to form a discharge gap ( g) (see FIG. 2). Here, the scan electrode 21 selects a discharge cell 18 that is turned on by working with the address electrode 12,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is held for the selected discharge cell 18 by working with the scan electrode 21. A discharge is formed during the period.

이 표시전극(25)은 유전체(예, PbO, B2O3, SiO2)로 형성된 유전체층(28)으로 매립되어 보호된다. 유전체층(28)은 방전시 하전 입자들의 충돌에 의한 표시전극(25)의 손상을 방지한다. The display electrode 25 is embedded and protected by a dielectric layer 28 formed of a dielectric (for example, PbO, B 2 O 3 , SiO 2 ). The dielectric layer 28 prevents damage to the display electrode 25 due to collision of charged particles during discharge.

그리고, 유전체층(28)은 다시 보호막(예, MgO)으로 덮여질 수 있다. 이 보호막(29)은 방전시 하전 입자들이 유전체층(28)에 직접 충돌하여 유전체층(28)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하전 입자들이 충돌하면 2차 전자를 방출시켜 방전 효율을 높인다.In addition, the dielectric layer 28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eg, MgO). The protective film 29 prevents the charged particles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dielectric layer 28 during the discharge to damage the dielectric layer 28, and when the charged particles collide, the secondary electrons are released to increase discharge efficiency.

그리고, 전면기판(20)과 대향하는 배면기판(10) 상에는 어드레스전극(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드레스전극(12)은 표시전극(25)과 교차하면서 각 방전셀(18)에 대응하게 일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한 어드레스전극(12)과는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기판(10)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어드레스전극(12) 전체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룬다. 이 어드레스전극(12)은 주사전극(21)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18)을 선택한다.In addition, an address electrode 1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bstrate 10 facing the front substrate 20. As shown, the address electrode 12 crosses the display electrode 25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corresponding to each discharge cell 18, and is adjacent to the neighboring address electrode 12. It is formed side by side. Therefore, when the entire back substrate 10 is viewed, the entire address electrode 12 has a stripe shape. The address electrode 12 selects a discharge cell 18 that is turned on by working with the scan electrode 21.

이 어드레스전극(12)은 유전체층(14)에 의해서 매립되어 보호되며, 그 위로 도면의 x축 방향에서 방전셀(18)을 구획하는 가로격벽부재(16a) 및 이 가로격벽부재(16a)와 함께 y축 방향에서 방전셀(18)을 구획하는 세로격벽부재(16b)를 포함하는 격벽(16)이 형성되어 방전셀(18)을 구획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격벽(16)은 무채색으로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dress electrode 12 is embedded and protected by the dielectric layer 14, and therewith along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which partition the discharge cell 18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partition wall 16 including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partitioning the discharge cell 18 in the y-axis direction is formed to partition the discharge cell 18. The partition 16 thus constructed is preferably colored achromatic.

한편, 가로격벽부재(16a)와 접하는 유전체층(14)으로는 돌출부(31)가 더 형성된다. 이 돌출부(31)는 세로격벽부재(16b)와 비교해서 가로격벽부재(16a)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높혀, 세로격벽부재(16b)가 열변형에 의해서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가로격벽부재(16a)와의 높이 차이를 줄이도록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31 is further formed as the dielectric layer 14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The protrusions 31 selectively increase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compared with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so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with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is increased even though the height of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increases due to thermal deformation. It works to reduce the height difference.

그리고, 방전셀(18) 내부는 색상별 가시광을 발산하는 형광체층(19)이 형성된다. 이 형광체층(19)은 방전셀(18)을 구획하고 있는 격벽(16)의 벽면과 그 바닥면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In the discharge cell 18, a phosphor layer 19 emitting color visible light is formed. The phosphor layer 19 is formed by applying a phosphor to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6 partitioning the discharge cells 18.

또한, 형광체층(19)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별로 방전셀에 형성되며, 적색 방전셀(18R), 녹색 방전셀(18G), 청색 방전셀(18B)이 1 조로 1개의 화소(pixel)를 이룬다.In addition, the phosphor layer 19 is formed in discharge cells for each of red (R), green (G), and blue (B) to display an image, and red discharge cells 18R, green discharge cells 18G, and blue discharges are formed. The cells 18B form one pixel in a set.

이처럼 형광체층(19)이 형성된 방전셀들(18) 내부는 네온, 제논 등의 혼합된 방전가스가 채워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cells 18 in which the phosphor layer 19 is formed are filled with a mixed discharge gas such as neon and xen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PDP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cell and a display electrode of the PDP shown in FIG. 1.

격벽(16)은 어드레스전극(12)과 교차하는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길 게 연장되는 가로격벽부재((16a)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어드레스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세로격벽부재(16b)를 포함한다.The partition wall 16 is a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that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crossing the address electrode 12 and a second direction (y-axis in the drawing)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the longitudinal bulkhead member 16b extending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따라서, 방전셀(18)은 x축 방향에서 가로격벽부재(16a)에 의해서 구획되고, y축 방향에서는 세로격벽부재(16b)에 의해서 구획되어 전체적으로 메트릭스 배열을 이룬다. 이때, 동일한 색상의 방전셀은 열(도면의 y축 방향)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행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는 서로 다른 색상의 방전셀들이 순서대로 위치한다. 따라서, 행방향으로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방전셀, 즉 적색 방전셀(18R), 녹색 방전셀(18G), 청색 방전셀(18B)이 1 조를 이루어 1 개의 화소를 이룬다. 그 결과, 방전셀들(18) 각각은 열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이 행방향(도면의 x축 방향)보다 길게 구획된다.Therefore, the discharge cells 18 are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in the x-axis direction and partitioned by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in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 matrix arrangement as a whole. At this time, the discharge cells of the same color are arranged in a column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discharge cells of different colors are located in the row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n order. Therefore, the discharge cells of different colors positioned in the row direction, that is, the red discharge cells 18R, the green discharge cells 18G, and the blue discharge cells 18B form one set to form one pixel. As a result, each of the discharge cells 18 is partitioned so that the column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e figure) is longer than the row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figure).

그리고, 표시전극(25)의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방전셀(18)에서 마주해 방전갭(g)을 형성한다.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of the display electrode 25 face the discharge cell 18 to form a discharge gap g.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g)를 유지하면서 길게 연장된다. 이때,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전면기판(20) 중 배면기판(10)과 마주하는 대향면(201)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고 벨트 형상의 투명전극(211, 231)과 이 투명전극(211, 231) 위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버스전극(213, 233)을 포함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서, 표시전극(25)은 방전셀(18)의 상면에 위치한다(도 4 참조).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extend long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g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scan electrode 21 and the sustain electrode 23 are formed in a thin film on the opposite surface 201 of the front substrate 20 facing the rear substrate 10, and the belt-shaped transparent electrodes 211 and 231 are formed. It may be formed by including the band-shaped bus electrodes 213 and 233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s 211 and 23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electrode 25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ell 18 (see FIG. 4).

여기서, 버스전극(213, 233)은 구리(Cu), 은(Ag)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물질 인 금속으로 형성되고, 투명전극(211, 231)은 ITO와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방전셀의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버스전극(213, 233)과 투명전극(211, 231)은 전면기판(20)의 대향면(201)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어 배면기판(10)과의 조합에 의해서 각 방전셀(18)의 상면에 대응하게 배치된다.Here, the bus electrodes 213 and 233 are made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copper (Cu) and silver (Ag),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211 and 231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ITO,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cell. It is made not to obscure. In addition, the bus electrodes 213 and 233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211 and 231 are formed in a thin film on the opposite surface 201 of the front substrate 20 so that each discharge cell 18 is combined with the back substrate 10. I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도 3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처럼, 가로격벽부재(16a)는 유전체층(14)의 돌출부(31) 상에 형성된다. 도 3은 격벽과 유전체층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2의 'A'부분을 선택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horizontal barrier rib member 16a is formed on the protrusion 31 of the dielectric layer 14.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electively showing the portion 'A' of FIG. 2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dielectric layer.

제1 실시예에서, 돌출부(31)는 유전체층(14)이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돌출부(31)는 유전체층(14) 중 가로격벽부재(16a)와 만나는 부분이 격벽(16)을 향해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otrusions 31 are formed with the dielectric layer 14 partially protruding. That is, the protrusion 31 has a shape in which the portion of the dielectric layer 14 which meets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protrudes toward the partition 16.

그리고, 가로격벽부재(16a)는 이 돌출부(31) 위로 형성된다. 따라서, 격벽(16)이 열변형되기 전에 가로격벽부재(16a)는 세로격벽부재(16b)보다 더 높게 된다.The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member 16a is formed above this protrusion 31. Therefore, before the partition 16 is thermally deformed,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becomes higher than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하지만, 격벽(16)이 열변형을 일으키게 되면, 세로격벽부재(16b)는 가로격벽부재(16a)와 비교해서, 방전셀을 구획하는 길이가 길며, 또한 가로격벽부재(16a)와 세로격벽부재(16b)가 만나는 교차 부분보다는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변형이 더 심하게 일어나, 세로격벽부재(16b) 중 교차 부분 사이가 변형을 일으킨다. 이때, 격벽(16)은 하면이 유전체층(14)에 고착되나, 상면은 자유단이기 때문에, 변형은 상면쪽으로 일어나면서 격벽(16)을 전면기판(20)을 향해 솟게 한다.However, when the partition 16 causes thermal deformation,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has a longer length for partitioning the discharge cells than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furthermore,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Deformation occurs more severely at portions other than the intersection portion 16b meets, causing deformation between the intersection portions of the vertical bulkhead members 16b. At this time, the partition 16 is fixed on the lower surface to the dielectric layer 14, but because the upper surface is a free end, the deformation occurs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causes the partition 16 to rise toward the front substrate 20.

한편, 가로격벽부재(16a)는 열변형 과정에서 세로격벽부재(16b)보다 응력을 적게 받아 솟는 높이가 세로격벽부재(16b)에 비해 작다. 그 결과로, 열변형이 일어난 후에 가로격벽부재(16a)와 세로격벽부재(16b)의 높이는 같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로격벽부재(16a)와 돌출부(31)의 높이(h1, h2)를 각각 합산한 것은 세로격벽부재(16b)의 높이(h3)와 같게 된다(도 4 참조).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bulkhead member 16a has a smaller height than the vertical bulkhead member 16b due to less stress than the vertical bulkhead member 16b in the heat deformation process. As a result, the heights of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become the same after the heat deformation has occurred. In other words, the sum of the heights h1 and h2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member 16a and the protrusion 31 is equal to the height h3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member 16b (see FIG. 4).

한편, 유전체층(14)은 배면기판 전체에 균일한 두께(t1)로 형성되고, 돌출부(31)에서는 이 두께(t1)보다 두꺼운 두께(t2)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전체층(14)은 돌출부(31)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with a uniform thickness t1 over the entire back substrate, and the protrusions 31 are formed with a thickness t2 thicker than this thickness t1. Thus, the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thickest in the protrusion 31.

이하에서는 도 4를 가지고, 방전셀의 단면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charge cel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도 4에서, 전면기판(20)의 대향면(201)으로는 표시전극(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표시전극(25)은 유전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28)에 덮여져 매립되고, 보호된다. 상기 유전체층(28)은 상기 전면기판(20)의 대향면(201) 상에 유전체(PbO, B2O3, SiO2 등)를 증착해서 형성되고, 방전셀의 가스방전에 의해 형성된 가시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진다.In FIG. 4, the display electrode 25 is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 201 of the front substrate 20. The display electrode 25 is covered with a dielectric layer 28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and embedded and protected. The dielectric layer 28 is formed by depositing a dielectric (PbO, B 2 O 3 , SiO 2, etc.) on the opposite surface 201 of the front substrate 20, and blocks the visible light formed by the gas discharge of the discharge cell It is made transparent so as not to.

그리고, 배면기판(10)의 대향면으로는 어드레스전극(12)이 형성되는데, 표시전극(25)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 어드레스전극(12)은 유전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14)에 덮여져 매립되고, 보호된다.An address electrode 12 is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back substrate 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splay electrode 25. The address electrode 12 is covered with a dielectric layer 14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embedded and protected.

그리고, 이 유전체층(14) 위로는 격벽(16)이 전면기판(20)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 격벽(16)은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1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 서 방전셀(18)을 형성한다.The partition wall 1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front substrate 20 above the dielectric layer 14. The partition wall 16 divide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 and the rear substrate 10 to form a discharge cell 18.

제1 실시예에서, 이 격벽(16)은 PDP의 화상 표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무채색으로 채색된다. 도면에서, 점선은 PDP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하, 외광)을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처럼, 외광 중 일부는 격벽(16)을 향해서 입사되는데, 본 실시예처럼 무채색으로 착색된 격벽(16)은 외광을 반사시키지 않고, 오히려 흡수하게 되므로, 외광 반사를 줄여 화상의 표시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artition 16 is colored achromatic in order to enhance the image display performance of the PDP. In the drawing, dotted lines illustrate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PDP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rnal light). As shown, some of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toward the partition 16. The achromatic colored partition 16,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reflect the external light, but rather absorbs it, thereby reducing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o display the image. Will improve.

격벽(16)은 바람직하게 회색으로 착색된다. 외광을 흡수하고, PDP의 품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정색이 바람직하나, 검정색은 방전셀(18)에서 나오는 빛 역시도 반사하지 않고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휘도를 떨어트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6)을 회색으로 착색한다.The partition 16 is preferably colored grey. In order to absorb external light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DP, black is preferable. However, since black absorbs all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cell 18 without reflecting it, a problem of lowering the luminance occurs. In view of this poi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16 is colored in gray.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DP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cell and a display electrode of a PD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실시예에서, 방전셀(48R, 48G, 48B)은 어드레스전극(41)의 돌기부(41a) 위로 형성되는 가로격벽부재(16a)와 세로격벽부재(16b)에 의해서 구획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ischarge cells 48R, 48G, 48B are partition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formed over the protrusion 41a of the address electrode 41.

어드레스전극(41)은 세로격벽부재(16b)의 연장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웃한 것과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어드레스전극(41)은 스트라이프 배열을 이룬다.The address electrodes 41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member 16b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viewed as a whole, the address electrodes 41 form a stripe arrangement.

한편, 어드레스전극(41)과는 교차하게 가로격벽부재(16a)가 형성되어서, 방전셀(48)을 구획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is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address electrode 41 to partition the discharge cell 48.

도 6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어드레스전극(41)은 가로격벽부재(16a)와 교차하는 부분을 따라서 돌기부(41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기부(41a)는 어드레스전극(41)의 일부가 격벽(16)을 향해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address electrode 41 forms a protrusion 41a along a portion that intersects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The protrusion 41a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address electrode 41 toward the partition wall 16.

이 같은 돌기부(41a)를 구비하는 어드레스전극(41)은 유전체로 덮여지고, 바닥면은 유전체층(14)을 이루게 된다.The address electrode 41 having the protrusion 41a is covered with a dielectric, and the bottom surface forms the dielectric layer 14.

유전체층(14)은 배면기판(10)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t4)로 형성된다. 그 결과, 어드레스전극(41)의 돌기부(41a)가 형성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전면기판(20)을 향해 돌출하게 형성된다(도 7 참조).The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t4 over the entire back substrate 10. As a result, a portion where the projection 41a of the address electrode 41 is formed is partially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ubstrate 20 (see FIG. 7).

따라서, 이 돌기부(41a) 위로 형성되는 가로격벽부재(16a)는 전면기판(20)을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이 부분에서 가로격벽부재(16a)는 제일 높게 형성된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bulkhead member 16a formed over the protrusion 41a has a shape that partially protrudes toward the front substrate 20, and the horizontal bulkhead member 16a is formed highest in this portion.

한편, 세로격벽부재(16b)는 열변형을 일으키면서 전면기판(20)을 향해서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 같은 결과로, 가로격벽부재(16a)와 세로격벽부재(16b)는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형성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ubstrate 20 while causing thermal deformation. As a result, the horizontal partition member 16a and the vertical partition member 16b are form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격벽(16)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무채색으로 착색되고, 바람직하게는 회색으로 착색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16 is colored achromatic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preferably colored gre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부 및 돌기부에 따르면, 세로격벽부재가 열변형을 일으키면서 높아진 만큼 가로격벽부재도 높아지기 때문에 격벽이 전면기판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격벽을 착색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ulkhead member also increases as the vertical bulkhead member increases while causing thermal deformation, thereby preventing the bulkhead from colliding with the front substrat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ery usefully used when coloring partition walls.

Claims (16)

제1 기판,First substrate,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form a discharge cell,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cell to form a discharge gap;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덮는 제1 유전체층,A first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An address electrod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제2 유전체층A second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을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격벽과 만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The dielectric layer may have a protrusion formed selectively at a portion where the dielectric layer meets the barrier rib.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전체층이 부분적으로 상기 격벽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is formed by the dielectric layer partially protruding toward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부는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is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ddress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벽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2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ition memb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partition memb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격벽부재를 합산한 높이는 상기 제1 격벽부재의 높이와 동일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he height of the sum of the protrusions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member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wall memb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이 제일 두껍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has the thickest portion facing the second partition membe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격벽은 무채색으로 착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artition wall is colored achromatic.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격벽은 회색으로 착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barrier rib is colored in gray. 제1 기판,First substrate,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form a discharge cell,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discharge cell to form a discharge gap;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덮는 제1 유전체층,A first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An address electrod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제2 유전체층A second dielectric layer covering the address electrode 을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돌기부가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electrode is selective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facing the barrier rib.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돌기부는 상기 어드레스전극이 부분적으로 상기 격벽을 향해 돌출되어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the address electrode partially protrudes toward the barrier rib.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격벽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방전셀을 구획하는 제2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dress electrod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member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ition memb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second partition memb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유전체층은 균일한 두께를 이루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The dielectric layer has a uniform thickness and covers the address electrode.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4, 상기 격벽은 무채색으로 착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partition wall is colored achromatic.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격벽은 회색으로 착색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And the barrier rib is colored in gray.
KR1020060076660A 2006-08-14 2006-08-14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152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60A KR20080015226A (en) 2006-08-14 2006-08-14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60A KR20080015226A (en) 2006-08-14 2006-08-14 Plasma display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26A true KR20080015226A (en) 2008-02-19

Family

ID=3938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660A KR20080015226A (en) 2006-08-14 2006-08-14 Plasma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52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419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49613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96659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58711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15226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15227A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86854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090561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121156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60098936A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814828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69399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96658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38637A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17804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78980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937960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39597B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15809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69391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84785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49226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30203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42297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46494A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