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135A -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135A
KR20080015135A KR1020080008137A KR20080008137A KR20080015135A KR 20080015135 A KR20080015135 A KR 20080015135A KR 1020080008137 A KR1020080008137 A KR 1020080008137A KR 20080008137 A KR20080008137 A KR 20080008137A KR 20080015135 A KR20080015135 A KR 20080015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irculation
water
dental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08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5135A/ko
Publication of KR2008001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61C1/0092Pump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정수 장치에서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정수의 경우에도 배관 내에서 오랫동안 정체되는 경우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 등을 형성하기 쉽고 이로 인해 배관 내를 오염시키기 쉽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의 정수를 특정 시간에 특정 시간 동안 순환시킴으로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바이오필름, 유닛 체어, 정수기

Description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A dental clea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치과용 정수 장치에서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정수의 경우에도 배관 내에서 오랫동안 정체되는 경우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 등을 형성하기 쉽고 이로 인해 배관 내를 오염시키기 쉽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의 정수를 특정 시간에 특정 시간 동안 순환시킴으로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의료 기기(특히, 유닛 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 피스 등과 같은 의료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거나 구강의 양치 시에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상기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되는 물은 위생과 청결이 중요한데, 특히 구강의 상처 부위 및 치료 부위에 직접 닿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되는 물은 수돗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등을 제거한 정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치과의 진료 시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점심 시간, 진료 시간 후의 밤 시간 또는 주말 등과 같이 치과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가 배관에 정체되고, 이로 인해 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Biofilm)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오 필름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곳에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 유해한 미생물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에게 2차 감염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특정 시간에 특정 시간 동안 배관 내의 정수를 무조건적으로 순환시킴으로서 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정수기에 연결되고, 치과용 유닛 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정수기와 연결된 순환 배관 상에 위치한 제1밸브와; 상기 순환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제2밸브와; 상기 제2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 배관의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순환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순환 펌프와;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순환 배관을 순환한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된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된 정수를 상기 제1밸브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닛 체어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기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시간 및 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순환 장치 및 순환 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치과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 순환 배관 내에 정수가 정체되는 경우, 상기 순환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 배관 내의 정수가 순환함으로써 순환 배관 내에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정수기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100) 및 상기 순환 장치(100)에 연결된 순환 배관(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순환 장치(100)에는 원수(즉, 수돗물)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원수 밸브(112)를 구비하는 입수 배관(1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수 배관(110)을 통해 원수가 상기 순환 장치(10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순환 장치(100)에는 상기 순환 장치(100) 내에 구비된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정수 중 일부는 유닛 체어와 같은 치과용 의료 기기로 유입시키고 나머지는 다시 상기 순환 장치(100)로 반송하도록 구성된 순환 배관(12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 배관(120)의 일정 영역에는 T자 배관에 의해 분기되어 유닛 체어(미도시)로 연결되는 분기 배관(1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분기 배관(122)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분기 배관(122)에는 차단 밸브(124)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유닛 체어로 정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 장치(100)에는 상기 순환 장치(100) 내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의 순환 장치(100) 및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의 일실 예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 발명의 순환 장치(100)는 상기 입수 배관(1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할 수 있는 정수기(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200)는 복수 개의 필터, 모터펌프 및 정수 탱크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수 배관(1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상기 정수기(200)가 정수하고, 상기 정수기(200)의 출수구를 통해 정수가 출수된다.
이때, 상기 정수기(200)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에컨데, 놋물, 세균 또는 미생물 등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입수 배관(1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하여 출수구를 통해 정수를 출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200)의 출수구 측에는 제1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밸브(210)는 3-웨이 밸브(3-way valve)로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기(200)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120) 쪽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기(200)에서 출수된 정수는 차단하고, 이후 설명할 정수의 순환 동작 시 제2밸브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순환 펌프(220)는 상기 온 상태의 제1밸브(210)에 의해 정수가 유입되는 순환 배관(120)의 일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200) 내부에는 정수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모터펌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모터펌프의 힘으로 상기 순환 배관(120) 내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으나, 이후 설명할 정수의 순환 동작 시에는 상기 정수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순 환 배관(120) 내에서 상기 정수가 순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순환 펌프(220)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220)는 상기 순환 배관(120)의 길이가 길어 상기 정수기(200)의 모터펌프로는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지 못할 때 보조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210)에 의해 상기 순환 배관(120)으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용 의료 기기에 일부 공급되고 나머지는 순환하여 다시 순환 장치(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장치(100) 내부에는 상기 정수가 순환하고 다시 입수되는 쪽의 순환 배관(120)에는 제2밸브(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240)는 3-웨이 밸브로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순환 배관(120)으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상기 배수관(130) 쪽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배수관(13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시키고, 상기 제1밸브(210) 쪽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와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4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140)는 상기 순환 장치(10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등과 같은 중앙 통제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타이머(252)와 장치 제어부(254)로 구성될 수 있 는데,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부(140)에 입력된 데이터(순환 동작 시간 및 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부의 시계와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장치 제어부(254)에 순환 동작 시작 신호 또는 순환 동작 끝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타이머의 순환 동작 시작 신호 또는 순환 동작 끝 신호에 의해 상기 정수기(200), 제1밸브(210), 제2밸브(240) 및 순환 펌프(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순환 장치(100)는 입수 배관(110)을 통해 입수된 원수를 상기 정수기(200)를 이용하여 정수하고, 상기 정수된 정수를 온 상태의 제1밸브(210)를 통해 순환 배관(120)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순환 배관에 연결된 치과용 의료 기기에 상기 순환 배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하고 남은 정수는 상기 순환 배관(120)을 통해 다시 순환 장치(100)로 입수된 다음 온 상태의 제2밸브(240)를 통해 배수관(1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순화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 의료용 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는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는 정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 상기 종래 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순환 배관(120) 내에 바이오 필름이 생성되고, 상기 바이오 필름에 의해 순환 배관(120) 내에 유해한 세균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유해한 세균 또는 곰팡이가 순환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 의료용 기기를 통해 환자에게 유입되어 환자를 2차 감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치과용 의료 기기가 작동하지 않아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가 정체되어 있을 때, 상기 순환 배관(120) 내부의 정수를 의도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가 순환 동작을 할 동작 시간 및 동작 기간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동작 시간은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의료 기기가 동시에 작동하지 않을 시간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치과의 의료 기기가 동시에 정지하는 시간은 점심시간, 저녁 퇴근 후 또는 병원의 휴일 등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정한 시간(상기 순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정한 별도의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시간 및 동작 기간은 상기 제어부(250) 내의 타이머(252)에 기록된다.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된 동작 시간과 타이머(252) 내의 시간을 비교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동작 시간과 타이머(252) 내의 시간(즉, 현재 시간)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장치 제어부(254)에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정수기(200)는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제1밸브(21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2밸브(240)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순환 펌프는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210)는 상기 정수기(200)에서 나온 정수를 차단하고, 제2밸브(240)로부터 순환된 정수를 순환 배관(120)으로 다시 유입시키고, 상기 제2밸브(240)는 순환 배관(120)을 통해 다시 순환 장치(100) 내로 유입된 정수를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밸브(21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순환 펌프(220)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는 계속 순환하는 순환 동작을 실시하여 정수의 침체에 의한 바이오 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 내의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된 동작 기간과 상기 동작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여 동작 기간과 경과된 시간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어부(250)의 장치 제어부(254)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순환 동작을 하고 있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을 종료시키고 일반적인 상태로 복구시키는데, 상기 순환 펌프(220)의 동작은 정지시키고, 상기 제1밸브(210) 및 제2밸브(240)는 각각 온 상태로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의 타이머(252)는 계속해서 상기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고,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의 일치하는 때 동작 시작 신호를 장치 제어부(254)로 송신하여 다시 순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 동작이 끝난 후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순환 배관(120) 내부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꾸준히 청결한 정수를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 발명의 순환 장치(100)는 상기 입수 배 관(1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할 수 있는 정수기(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200)는 복수 개의 필터, 모터펌프 및 정수 탱크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수 배관(1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상기 정수기(200)가 정수하고, 상기 정수기(200)의 출수구를 통해 정수가 출수된다.
이때, 상기 정수기(200)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에컨데, 놋물, 세균 또는 미생물 등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정수기(200)와 상기 입수 배관(100) 사이에 제4밸브(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밸브(270)는 3-웨이 밸브로 온 상태에서 상기 입수 배관(100)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기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이후 설명할 제3밸브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정수기로 유입시키는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200)의 출수구 측에는 제1밸브(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밸브(210)는 온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기(200)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120) 쪽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정수기(200)에서 출수된 정수는 차단하고, 이후 설명할 정수의 순환 동작 시 제3밸브(260)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120)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온 상태의 제1밸브(210)에 의해 정수가 유입되는 순환 배관(120)의 일정한 위치에 순환 펌프(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정수기(200) 내부에는 정수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모터펌프 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모터펌프의 힘으로 상기 순환 배관(120) 내의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으나, 이후 설명할 정수의 순환 동작 시에는 상기 정수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순환 배관(120) 내에서 상기 정수가 순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순환 펌프(220)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순환 배관(120)의 길이가 길어 상기 정수기(200)의 모터펌프로는 적정한 수압을 유지하지 못할 때 보조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210)에 의해 상기 순화 배관(120)으로 유입된 정수는 상기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용 의료 기기에 일부 공급되고 나머지는 순환하여 다시 순환 장치(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장치(100) 내부에는 상기 정수가 순환하고 다시 입수되는 쪽의 순환 배관(120)에는 제2밸브(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240)는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순환 배관(120)으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상기 배수관(130) 쪽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는 상기 배수관(13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시키고, 이후 설명될 제3밸브(260) 쪽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210) 및 제2밸브(240)의 사이에는 제3밸브(2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3밸브(260)는 3-웨이 밸브로 온 상태에서 상기 제2밸브(24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상기 제1밸브(210)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밸브(24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제4밸브(270)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 장치(100) 내에는 상기 정수기(200), 제1밸브(210), 제2밸브(240), 제3밸브(260), 제4밸브(260) 및 순환 펌프(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와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4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140)는 상기 순환 장치(10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등과 같은 중앙 통제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타이머(252)와 장치 제어부(254)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부(140)에 입력된 데이터(순환 동작 시간 및 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부의 시계와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장치 제어부(254)에 순환 동작 시작 신호 또는 순환 동작 끝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타이머(252)의 순환 동작 시작 신호 또는 순환 동작 끝 신호에 의해 상기 정수기(200), 제1밸브(210), 제2밸브(240), 제3밸브(260), 제4밸브(270) 및 순환 펌프(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순환 장치(100)는 입수 배관(110)을 통해 입수된 원수를 상기 정수기(200)를 이용하여 정수하고, 상기 정수된 정수를 온 상태의 제1밸브(210)를 통해 순환 배관(120)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순환 배관에 연결된 치과용 의료 기기에 상기 순환 배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하고 남은 정수는 상기 순환 배관(120)을 통해 다시 순환 장치(100)로 입수된 다음 온 상태의 제2밸브(240)를 통해 배수관(1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순화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 의료용 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는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는 정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 상기 종래 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순환 배관(120) 내에 바이오 필름이 생성되고, 상기 바이오 필름에 의해 순환 배관(120) 내에 유해한 세균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유해한 세균 또는 곰팡이가 순환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 의료용 기기를 통해 환자에게 유입되어 환자를 2차 감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치과용 의료 기기가 작동하지 않아 순환 배관(120) 내의 정수가 정체되어 있을 때, 상기 순환 배관(120) 내부의 정수를 의도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가 순환 동작을 할 동작 시간 및 동작 기간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동작 시간은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의료 기기가 동시에 작동하지 않을 시간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치과의 의료 기기가 동시에 정지하는 시간은 점심시간, 저녁 퇴근 후 또는 병원의 휴일 등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정한 시간(상기 순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정한 별도의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시간 및 동작 기간은 상기 제어부(250) 내의 타이머(252)에 기록된다.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된 동작 시간과 타이머(252) 내의 시간을 비교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동작 시간과 타이머(252) 내의 시간(즉, 현재 시간)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252)는 상기 장치 제어부(254)에 동작 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동작 시작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정수기(200)는 계속 동작하고, 상기 제1밸브(210)는 온 상태로, 제2밸브(24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3밸브(260)는 오프 상태로, 제4밸브(270)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 또는 유지되도록 상기 정수기(200), 제1밸브(210), 제2밸브(240), 제3밸브(260) 및 제4밸브(27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순환 배관(120)의 구비되어 있는 순환 펌프(220) 역시 가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순환 펌프(220)도 상기 장치 제어부(254)에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4밸브(270)는 입수 배관(110)으로부터 원수가 정수기(200)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제3밸브(260)에서 유입되는 정수를 정수기(200)로 유입시키는 동작을 하고, 상기 정수기(200)는 상기 제4밸브(27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다시 정수하고, 상기 제1밸브(210)는 상기 정수기(200)에 의해 다시 정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120)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동작을 하고, 상기 제2밸브(240)는 상기 순환 배 관(120)을 순환한 정수를 상기 제3밸브(260)로 유입시키는 동작을 하고, 상기 제3밸브(260)는 상기 제2밸브(24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상기 제4밸브(270)로 유입되도록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순환 배관(120) 내에 정체되는 정수를 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수기(200)로 정수시킴으로써 순환 배관(120) 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의 침체에 의한 바이오 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 내의 타이머(252)는 상기 입력된 동작 기간과 상기 동작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여 동작 기간과 경과된 시간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어부(250)의 장치 제어부(254)로 동작 끝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동작 끝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254)는 상기 순환 동작을 하고 있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을 종료시키고 일반적인 상태로 복구시키는데, 정수기(200) 및 순환 펌프(220)는 정지시키고, 제2밸브 및 제4밸브는 온 상태로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순환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이나 끝난 후에는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정지해 있는 경우임으로 상기와 같이 정수기(200)의 동작을 멈추게 하나, 상기 순환 동작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순환 배관(120)에 연결된 치과용 의료 기기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200)의 동작은 계속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끝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210) 및 제3밸브(260)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것은 상기 제1밸브(210)가 순환 동작이든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를 이용하는 동안이든 온 상태에서 변화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상기 제3밸 브(260)는 상기 제1밸브(210)가 온 상태, 제2밸브(240)가 온 상태 및 제4밸브(270)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어떤 상태가 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상태 변화를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의 타이머(252)는 계속해서 상기 입력부(140)에서 입력된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고, 동작 시간과 현재 시간의 일치하는 때 동작 시작 신호를 장치 제어부(254)로 송신하여 다시 순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 동작이 끝난 후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순환 배관(120) 내부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꾸준히 청결한 정수를 치과용 의료 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도 1의 순환 장치 및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의 순환 동작의 일실 예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순환 장치 110 : 입수 배관
120 : 순환 배관 130 : 배수 배관
200 : 정수기 210 : 제1밸브
220 : 순환 펌프 240 : 제2밸브
250 : 제어부 252 : 타이머
254 : 장치 제어부 260 : 제3밸브
270 : 제4밸브

Claims (5)

  1. 정수기에 연결되고, 치과용 유닛 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에 정수를 공급하는 순환 배관과;
    상기 정수기와 연결된 순환 배관 상에 위치한 제1밸브와;
    상기 순환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제2밸브와;
    상기 제2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 배관의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순환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순환 펌프와;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정수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순환 펌프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기에서 출수된 정수를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순환 배관을 순환한 정수를 다시 순환 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된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순환 배관을 통해 순환된 정수를 상기 제1밸브로 유입시키는 유동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상기 순환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닛 체어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기 배관의 일정 위치에 위치한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시간 및 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1020080008137A 2008-01-25 2008-01-25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20080015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37A KR20080015135A (ko) 2008-01-25 2008-01-25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37A KR20080015135A (ko) 2008-01-25 2008-01-25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372A Division KR100835695B1 (ko) 2006-08-07 2006-08-07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135A true KR20080015135A (ko) 2008-02-18

Family

ID=3938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37A KR20080015135A (ko) 2008-01-25 2008-01-25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5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58B1 (ko) * 2009-12-17 2014-10-17 (주)신성이엔지 크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의 습도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58B1 (ko) * 2009-12-17 2014-10-17 (주)신성이엔지 크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의 습도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533B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KR100874510B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20080015135A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JP2013183976A (ja) 歯科用診療装置の配管内部の洗浄方法
KR100835695B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100959672B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100874509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0433988Y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200433990Y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KR200432183Y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JP7129757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滅菌方法
KR20043218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100874511B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처리 장치
KR200432186Y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처리 장치
KR100898144B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
KR100885866B1 (ko) 치과용 구강 세척수 공급장치
KR20080078171A (ko) 치과용 의료배관 및 치과용 의료기기를 소독하기 위한정수장치
KR200432185Y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
KR20043523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100907340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080017874A (ko) 바이패스 배관을 구비한 치과용 정수기
TWI236892B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KR101580505B1 (ko) 치과 체어용 물공급 장치
KR101423385B1 (ko) 정수기
WO2008018669A1 (en) A dental clean water pro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