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693A - Sliding door apparatus - Google Patents
Sliding do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4693A KR20080014693A KR1020070080673A KR20070080673A KR20080014693A KR 20080014693 A KR20080014693 A KR 20080014693A KR 1020070080673 A KR1020070080673 A KR 1020070080673A KR 20070080673 A KR20070080673 A KR 20070080673A KR 20080014693 A KR20080014693 A KR 200800146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pection
- door
- fixed
- sliding doo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oor device having an automatic closing function.
종래,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의 급격한 폐쇄운동을 저지하기 위해, 폐쇄를 바로 앞두고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속도를 감속시켜 완만하게 폐쇄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는 슬라이딩 도어에 형성된 작동돌출편과,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때, 작동편이 에어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누르며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속도를 떨어뜨린다.Conventionally, a sliding door device having an automatic closing function is provided with a brake device for slowing down the closing speed of the sliding door and closing it gently in order to prevent a sudden closing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The brake device is composed of an actua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liding door and an air cylinder formed on the sliding door frame, and when the sliding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the actuating piece moves by pushing the cylinder rod of the air cylinder to lower the closing speed of the sliding door. .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건물 내의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은 출입구(exit-entrance opening)와 도어 케이스(door-case)를 구성하며, 출입구의 상방에 고창(高窓, upper-lateral wall)이 마련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의 레일재에 매달려 지지되고, 출입구와 도어 케이스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한다.The sliding door device has a sliding door frame fixed to a wall that forms an interior space in a building. The sliding door frame constitutes an exit-entrance opening and a door-case, and an upper window is provided above the entrance. The sliding door is suspended from the rail member of the sliding door frame and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door case.
건물 내의 의장을 좋게 하기 위해, 도어 케이스와 고창(웃창)은 벽체의 벽면 과 동일한 장식보드로 동일면이 되도록 피복되며, 이로써 출입구를 제외한 장치 전체의 표면에 벽체와 연속하는 일체적 외관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은 먼저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을 벽체에 고정하고, 장식보드에 의한 내장작업을 완료한 후,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의 레일재에 대해 출입구로부터 슬라이딩 도어를 매달아 지지하고, 또한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확인하여, 에어 실린더의 밸브 조절 등에 의한 브레이크 조정 등을 포함하는 각종 미세조정을 수행하고 있다.In order to enhance the design of the building, the door case and the high window are covered with the same decorative board as the wall of the wall so that they are flush with the wall, giv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device except the doorway a continuous integral appearance with the wall.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sliding door device first fixes the sliding door frame to the wall, completes the interior work by the decorative board, and then suspends the sliding door from the doorway with respect to the rail member of the sliding door frame. By confirm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various fine adjustments are performed, including brake adjustment by valve adjustment of the air cylinder or the like.
또한, 정기적인 점검 혹은 고장 수리 등을 위해, 출입구로부터 슬라이딩 도어나 레일재 등을 완전히 떼어낼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 that a sliding door, a rail material, etc.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an entrance and exit for regular inspection or troubleshooting.
따라서, 출입구의 상부에, 착탈가능한 패널(소위 점검패널)을 점검측(통상적으로는 실내측)에 설치하고, 패널을 분리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의 거치상태나 이동의 확인, 에어 실린더의 조정(슬라이딩 도어의 폐쇄속도 조정)을 포함하는 각종 미세조정 등을 실시한 후, 다시 패널을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레일부재나 에어 실린더 등을 은폐하고 있다.Therefore, by attaching a detachable panel (so-called inspection panel) to the inspection side (usually the indoor side) at the upper part of the entrance and exit and removing the panel,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mounting state or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and adjust the air cylinder (sliding). After the various fine adjustments, including the adjustment of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and the like, the panel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way to conceal the rail member or the air cylinder.
그런데, 브레이크 장치의 에어 실린더는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레일부재의 위쪽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은 상기 패널을 분리한 상태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레일부재 주위의 점검과 상측에 위치하는 에어 실린더의 점검을 수행한 후, 상기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이 부분을 은폐할 필요가 있으므로, 패널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상당히 큰 것이 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8818호 참조)By the way, the air cylinder of a brake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fixing member provided above the rail member so that the movement of a sliding door may not be disturbed. Therefore, the panel needs to conceal this part by installing the panel after performing the inspection around the rail member on the lower side and the air cylinder on the upper side with the panel removed.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irection becomes considerably large. (For example, refer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10-8818.)
그러나, 점검측(통상은 실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패널을 마련하지만, 고정측(통상은 실내측)에는 그와 같은 패널을 마련하지 않으므로, 출입구 상방의 의장이 실내측과 실외측에서 현저히 다르게 된다. However, the panel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inspection side (usually the indoor side), but such a panel is not provided on the fixed side (usually the indoor side), so that the chairman above the doorway is remarkably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Will be different.
즉, 상기 패널로 인해, 출입구를 제외한 장치 전체의 표면에 벽체의 표면과 연속하는 일체적 외관을 부여하는 목적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nel hinders the purpose of imparting an integral appearanc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wall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pparatus except the entrance.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출입구의 의장이 점검측(실내측)과 고정측(실외측)에서 거의 동일한 의장이 되어 전체적인 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분리되는 부분을 소형화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분리 작업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천장면에 가까운 커다란 출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는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and the design of the entrance and exit is almost the same design on the inspection side (indoor side) and the fixed side (outdoor side), which not only improves the overall aesthetics but also facilitates handling by miniaturizing the separated par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door device that can safely perform a separation operation and can form a large entrance close to the ceiling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이 제 1 수단으로서 구성한 바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고 자동닫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6)로 이루어지며, 실내측과 실외측 중 한쪽을 점검측(R)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고정측(L)으로 하는 구성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은,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상측 프레임(15)에 의해 문 형태로 형성되며, 도어 전방측에 출입구(E)를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 후방측에 도어 케이스(C)를 구성하고, 적어도 출입구(E)의 윗쪽에 고창(S)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6)는, 출입구(E)와 도어 케이스(C)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출입구(E)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15)의 하측에 배설한 레일 부재(5)에 대해 지지수단(M)에 의해 매달려 있고, 상기 고창(S)은, 각각 점검측(R)과 고정측(L)에 배설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을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설하고 있으며, 고창(S)의 점검측(R) 표 면과 고정측(L) 표면의 각각을 벽체의 내외벽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을 각각 점검측 장식보드(100)와 고정측 장식보드(100)로 덮어서 이루어진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있어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를 형성하고,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의 각각에 의해 점검측 장식보드(100) 및 고정측 장식보드(100)의 하단면을 은폐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의 하방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72)의 내측에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을 설치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함으로써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을 슬라이딩 도어의 지지수단(M)에 향하게 하고, 출입구로부터 상기 개방공간을 통해, 적어도 슬라이딩 도어(6) 및/또는 레일 부재(5)를 설치 및 분리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점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first means comprising a sliding door frame 1 fixed to a wall of a building, and a sliding
또한, 본 발명이 제 2 수단으로서 구성한 바는,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고 자동닫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6)로 이루어지며, 실내측과 실외측 중 한쪽을 점검측(R)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고정측(L)으로 하는 구성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은,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상측 프레임(15)에 의해 문 형태로 형성되며,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하여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 임(30)을 각각 점검측(R)과 고정측(L)에 마련하고, 중간 프레임(3, 30)으로부터 도어 전방측으로 출입구(E)를 구성함과 아울러, 중간 프레임(3, 30)으로부터 도어 후방측으로 도어 케이스(C)를 구성하며, 적어도 출입구(E)의 상방에 고창(S)을 구성하고 있고,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 사이를 도어 케이스 점검측(RC)으로 하며,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를 도어 케이스 고정측(LC)으로 하고,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 사이를 출입구 점검측(RE)으로 하며,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4)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를 출입구 고정측(LE)으로 한 구성이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6)는, 상기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출입구(E)와 도어 케이스(C)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출입구(E)를 개폐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15)의 하측에 배설한 레일부재(5)에 대해 지지수단(M)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상기 고창(S)은, 각각 출입구 점검측(RE)과 출입구 고정측(LE)에 배설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을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설하고 있고, 고창(S)의 출입구 점검측(RE)과 출입구 고정측(LE)의 표면 각각을 벽체의 내외벽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을 각각 점검측 장식보드(100)와 고정측 장식보드(100)로 덮어서 된 슬라이딩 도어 장치에 있어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를 형성하고,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의 각각에 의해 점검측 장식보 드(100) 및 고정측 장식보드(100)의 하단면을 은폐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의 하방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72)의 내측에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을 설치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함으로써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을 슬라이딩 도어의 지지수단(M)에 향하게 하고, 출입구로부터 상기 개방공간을 통해, 적어도 슬라이딩 도어(6) 및/또는 레일부재(5)를 설치 및 분리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점에 있다.In addition, the bar constitu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cond means comprises a sliding door frame 1 fixed to a wall of a building, and a sli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은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 내측에 하방으로부터 연결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기판(72)을 덮는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를 은폐하며 상기 하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벽부(77, 730)와, 상기 돌출벽부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하벽부(732)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의 출입구측 내면에 고정설치된 연결좌(70,70)의 하면에 상기 하벽부(732)의 양단을 중첩시킨 상태로 아래쪽에서 나사(702, 740)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기판(72)의 하단부에 점검측이 개구되는 결합홈(74)을 형성하고,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상단부에 고정측을 향해 돌출하는 결합돌출편(76)을 형성하여, 결합돌출편(76)을 결합홈(74)에 삽입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를 형성하고, 이들 돌출부(73, 155)에 의해 점검측 장식보드(100)와 고정측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를 은폐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점검측과 고정측의 양 방향으로부터 고창(S)을 봤을 때, 아름다운 외관을 띤다. 이 때,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의 하단면이 서로 거의 동일 높이가 되도록 형성해 두면, 고창(S)의 점검측 의장과 고정측 의장이 거의 동일해져서 의장이 뛰어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inspection side
따라서, 이와 같이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과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을 거의 동일 높이 치수로 형성한 구성에 있어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은 기판(72)과 상기 기판(72)에 착탈가능한 점검측 장식돌출부(73)에 의해 구성하고, 기판(72)의 내측에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을 설치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을 레일부재(5)에 대한 슬라이딩 도어(6)의 지지수단(M)에 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spection side high
이 때문에,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6)를 지지수단(M)에 의해 레일 부재(5)에 대해 설치 및 분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공간을 통해, 기판(72) 내측에 대해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을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 work for installing and removing the sliding
그리고, 이와 같은 개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기판(72)의 하방에 위치하며, 지지수단(M)을 향하는 높이 치수로 하면 충분하므로, 레일부재(5)의 설치 높이나 브레이크 장치(9)의 설치 높이에 관계없이, 슬라이딩 도어 상부의 '삽입 정도'를 고려하는 만큼의 작은 높이 치수의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의 높이에 근접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져 출입구 상부의 점검측(R)과 고정측(L)의 의장에 위화감이 없게 되어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된다.The inspection side
또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전체적으로 소형화, 경량화되므로 설치 및 분리시의 취급이 용이하며, 분리하는 부분이 작아도 되므로 출입구(E)의 개구를 천장면 부근까지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inspection side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효과뿐만 아니라, 출입구 이외의 표면이 건물의 실내 벽면과 동일한 장식용 보드로 동일면이 되도록 덮이게 되므로, 전체적인 의장성을 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또한 상기의 효과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은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 내측에 아래쪽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9)의 조정측(92)의 연결작업이 레일부재(5)에 의해 저해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높이 치수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와의 의장적 통일성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효과뿐만 아니라,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하벽부(732)의 양단을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에 고정설치한 연결좌(70, 70)의 하면에 중첩시킨 상태로 아래쪽에서 나 사(702, 740)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게다가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뿐만 아니라,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의 결합홈(74)과,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결합돌출편(76)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므로, 연결시에 결합홈(74)과 결합돌출편(76)을 결합함으로써 임시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나사(702) 등으로 완전하게 고정설치할 때까지 갑자기 낙하하는 일이 없으며,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도 9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은 건물의 벽체(W)에 고정되는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door-forward-side vertical frame)과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door-backward-side vertical frame)과 상측 프레임(15)(upper-side lateral frame)에 의해 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 전방측(door-forward-side)에 출입구(E)(exit-entrance opening)를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 후방측(door-backward-side)에 도어 케이스(door case)를 구성하고, 적어도 출입구(E)의 윗쪽에 고창(S)(高窓, upper lateral wall)을 구성한다. 따라서, 출입구(E)와 도어 케이스(C) 사이에서 슬라이딩 도어(6)를 이동시킴으로써 출입구(E)가 개폐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어 전방측'은 도 1에 화살표(F)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의 폐쇄방향으로 향하는 쪽을 의미하며, '도어 후방측'은 도 1에 화살표(R)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의 개방방향으로 향하는 쪽을 의미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과 실외측 중 한쪽(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실내측)을 '점검측(R)'(checking-side)이라 칭하며, 다른 한쪽(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실외측)을 '고정측(L)'(fixed-side)이라 칭한다.As shown in Fig. 1, the sliding door frame 1 has a door-forward-side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 및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은 건물의 철골(11)에 브래킷(12)을 통해 고정되며(도 5 참조), 상부 프레임(15)은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좌(10,10)를 통해 배설되어 있다(도 2 참조).The door front side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 사이에는 중간의 세로 프레임으로서 중간 프레임(3, 30)(intermediate vertical frame)이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 프레임(3, 30)의 도어 전방측에 출입구(E)가 형성되고, 중간 프레임(3, 30)의 도어 후방측에 도어 케이스(C)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은 점검측(R)에 위치하는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L)에 위치하는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며, 양 프레임(3, 30) 사이에 슬라이딩 도어(6)의 배치공간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 사이를 '도어 케이스 점검측(RC)'이라 칭하고,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를 '도어 케이스 고정측(LC)'이라 칭한다. 또한,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 사이를 '출입구 점검측(RE)'이라 칭하고,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4)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를 '출입구 고정측(LE)'이라 칭한다. 또한, 도어 케이스 점검측(RC)과 도어 케이스 고정측(LC)을 합해 '도어 케이스측'이라 총칭하며, 출입구 점검측(RE)과 출입구 고정측(LE)을 합해 '출입구측'이라 총칭한다.Between the door front side
점검측 중간 프레임(3) 및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은 각각의 상단이 상측 프레임(15)의 점검측(R)과 고정측(L)의 양면에 고정되며, 하단부는 바닥면에 매립되어 있다.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inspection side
상부 프레임(15)의 하측에는 레일부재(5)를 설치하기 위한 레일설치재(2)가 마련되어 있다. 레일설치재(2)는 도어 후방측 단부가 상측 프레임(15)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 마련된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에 의해 지지된다(도 1 참조). 레일설치재(2)의 도어 전방측 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15)의 도어 전방측의 단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L자형 고정용 돌출편(158)에 고정용 볼트(212)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일설치재(2)의 하면에는 레일부재(5)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하는 지지수단(M)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6)가 매달리게 된다.The
도어 케이스측의 바닥면에는 베이스재(16)가 고정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보다도 출입구측으로 약간 돌출된 단부 상면에, 가이드 롤러(17)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 롤러 설치부재(164)가 마련되어 있다.The
도어 케이스(C)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새시 바(4)가 마련되며, 상 기 새시 바(4)는 도어 케이스 점검측(RC)과 도어 케이스 고정측(LC)의 양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설된다.The door case (C) is provided with a chassis bar (4)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e chassis bar (4)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door case check side (RC) and the door case fixing side (LC). The plurality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고창(S)(高窓)은 점검 출입구측(RE)에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이 배설되며, 고정 출입구측(LE)에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이 배설된다.In the high window S, the inspection side high
건물의 벽체에 슬라이딩 도어 장치를 시공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 상측 프레임(15)), 베이스재(16), 점검측 중간 프레임(3),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새시 바(4),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 레일부재(5)를 장착한 레일설치재(2)가 조립되고, 내장 마무리(장식보드 등의 설치)가 이루어지기까지 이들 부재가 조립시공된다. 그 후, 내장마무리를 종료한 후에,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일부(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함으로써 개방공간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도어(6)를 레일부재(5)에 매달고, 슬라이딩 도어(6)의 이동확인이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폐쇄 속도의 조정 등이 이루어진다.When installing the sliding door device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sliding door frame 1 (door front side
이하, 각 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ember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케이스의 내부에 면한 판부(131)와, 점검측을 향하게 절곡된 판부(132)와, 고정측을 향하도록 절곡된 판부(133)를 구비하도록, 횡단면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건물의 철골(11)에는 브래킷(12)을 통해 고정용 부재(134)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을 고정용 부재(134)에 고정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의 하단부는 바닥면 마무리시에 바 닥면에 매립된다.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의 상기 판부(131)에는, 슬라이딩 도어(6)를 개방했을 때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후방측의 끝면을 접촉시키는 완충부재(135)를 장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oor rear side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의 내부에 면한 판부(141)와, 상기 판부로부터 점검측을 향해 내뻗음과 동시에 점검측을 향하도록 절곡된 점검측 보드 폐색부(147)와 고정측을 향해 내뻗음과 동시에 고정측을 향하도록 절곡된 고정측 보드 폐색부(146)를 구비하도록, 횡단면이 편평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체를 점검측으로부터 덮는 장식보드(100)의 출입구측 끝면이 점검측 보드 폐색부(147)에 의해 은폐되며, 벽체를 고정측으로부터 덮는 장식보드(100)의 출입구측 끝면이 고정측 보드 폐색부(146)에 의해 은폐된다. 상기 판부(141)에는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을 향하게 하는 폐쇄용 오목부(148)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건물의 철골(11)에는 브래킷(12)을 통해 고정용 부재(134)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을 고정용 부재(134)에 고정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의 하단부는 바닥면 마무리시에 바닥면에 매립된다.As shown in FIG. 5, the door front side
상측 프레임(15)은,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벽(151)과, 상면벽(151)으로부터 점검측으로 수직으로 늘어뜨려지도록 절곡된 점검측벽(152)과, 상면벽(151)으로부터 고정측으로 수직으로 늘어뜨려지도록 절곡된 고정측벽(153)을 일체로 구비하며, 단면이 대략 역방향의 L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와 관련하여, 점검측벽(152)을 짧게 고정측벽(153)을 길게 형성하고 있 다. 도면 예의 경우, 고정측벽(153)의 높이 치수를 점검측벽(152)의 약 4배나 그 이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고정측벽(153)의 출입구측 부분의 하단부에는 고창 지지용 돌출부(154)가 고정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창 지지용 돌출부(154)에 의해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고창 지지용 돌출부(154)의 고정측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측 장식돌출부(155)가 연결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에 의해 고정측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를 은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출입구의 고정측 상부는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의 측면과 하면 이외에는 고정측 장식보드(100)로 덮이게 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측 프레임(15)은 도어 전방측 단부와 도어 후방측 단부에 역 L자형의 연결좌(10,10)를 마련하고 있으며(도 2 참조), 상기 연결좌를 각각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의 상단부 내면에 나사식으로 고정하고,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을 구성한다.The
베이스재(16)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이 고정부(161)의 점검측 및 고정측으로부터 기립하도록 절곡된 기립부(162, 162)를 구비한 횡단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재(16)는 도어 케이스(C)의 저부를 따라 연장되며,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까지 연장되는 도어 후방측의 단부는 고정부(161)를 베이스재(16)와 함께 앙카 볼트로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고, 중간 프레임(3, 30)의 사이까지 연장되는 도어 전방측 단부는 기립부(162, 162)를 각각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의 내측면에 연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을 보강 프레임(31)에 의해 보강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프레임(31)의 출입구측 단부를 덮음과 아울러 점검측으로 돌출하는 점검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와, 상기 점검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여 도어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장식보드 지지부(33)와, 상기 장식보드 지지부(33)보다도 내측에 위하여 도어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새시 바 연결부(34)를 마련하고 있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의 상단부는 상측 프레임(15)의 점검측벽(152)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베이스재(16)에 연결됨과 아울러, 바닥면 마무리시에 바닥면에 매립된다. 상기 새시 바 연결부(34)에는 점검측에 배치한 새시 바(4)의 단부가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장식보드 지지부(33)의 표면이 새시 바(4)의 표면과 동일면이 되게 된다. 장식보드 지지부(33)에는 점검측의 도어 케이스 장식보드(100)가 부착되며, 이 상태에서 점검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가 이 도어 케이스 장식보드(100)의 출입구측 끝면을 은폐한다.As shown in FIG. 5, the inspection-side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은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대칭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을 보강 프레임(301)에 의해 보강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싱ㄱ; 보강편(301)의 출입구측 단부를 덮음과 아울러 고정측으로 돌출하는 고정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와, 상기 고정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여 도어 후방측을 향해 연장하는 장식보드 지지부(33)와, 상기 장식보드 지지부(33)보다도 내측에 위치 하여 도어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새시 바 연결부(34)를 마련하고 있다. 도시를 생락하고 있지만,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의 상단부는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베이스재(16)에 연결됨과 아울러, 바닥면 마무리시에 바닥면에 매립된다. 상기 새시 바 연결부(34)에는 점검측에 배치한 새시 바(4)의 단부가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장식보드 지지부(33)의 표면이 새시 바(4)의 표면과 동일면이 되게 된다. 장식보드 지지부(33)에는 고정측의 도어 케이스 장식보드(100)가 점착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가 이 도어 케이스 장식보드(100)의 출입구측 끝면을 은폐한다.The fixed side
새시 바(4)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표면부(41)와, 기판 표면부(41)의 상하단부를 L자형으로 절곡한 상하 플랜지부(42, 43)와, 기판 표면부(41)의 도어 하방측 단부를 내측으로 L자형으로 절곡한 연결용 플랜지부(44)와, 기판 표면부(41)의 점검측 중간 프레임(3)측 단부에 형성된 중간 프레임측 연결부(45)를 구성하고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 사이,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배설된다. 때문에, 최상위에 배치된 새시 바(4)의 상방에서는 상측 플랜지부(42)를 포함하여 상측 프레임(15)의 점검측벽(152) 및 고정측벽(153)에 바탕보드(101)가 점착된다. 또한,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새시 바(4, 4) 사이에서는 상하 플랜지부(42, 43)에 바탕보드(101)가 점착된다. 또한, 최하위에 배치된 새시 바(4)와 바닥면 사이에서는 상기 새시 바(4)의 하측 플랜지부(43)와 베이스재(16)의 기립 부(162, 163)에 바탕보드(101)가 점착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13)의 양측에서는 새시 바(4)의 연결용 플랜지부(44)에 바탕보드(101)가 점착된다. 바탕보드(101)를 점착한 상태에서, 새시 바(4)의 기판 표면부(41)와 바탕보드(101)가 동일면이 되게 되므로, 그 표면에 장식보드(100)가 점착된다.1 and 4, the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 표면 기판(191)의 상단부에 형성한 상부 연결용 돌출편(192)이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며, 고정측 표면 기판(191)의 하단부가 상측 프레임(15)의 고창 지지용 돌출부(154)에 지지된다. 고정측 표면기판(191)의 표면에는 고정측 장식보드(1001)가 점착된다. 상기 고정측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는 고창 지지용 돌출부(154)에 나사식 고정으로 연결된 고정측 장식돌출부(155)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은폐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xed side high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은, 도 2, 도 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72)과, 상기 기판(72)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점검측 장식돌출부(7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72)은 상단에 형성된 상단 연결 돌출편(71)과, 하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기판 하측 돌출편(721)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판(72)의 하단부에 스프링판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을 갖는 결합홈 형성부재(724)를 마련하고 있다. 결합홈 형성부재(724)는 기판 하측 돌출편(721)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 지지 돌출편(723)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지지 돌출편(723)과 기판 하측 돌출편(721) 사이에 점검측을 향해 개구되는 결합홈(74)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6, the inspection side high-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점검측으로부터 결합홈(74)에 삽입 결합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돌출편(76)과, 점검측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를 은폐하고 상기 하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벽부(77)와, 상기 돌출벽부(77)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하벽부(732)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하벽부(73)로부터 하방 또는 고정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점검측 폐색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양단부는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의 상단부의 출입구측 내면에 비스(701) 등으로 설치된 연결좌(70, 70)의 하면에 상기 하벽부(732)를 중첩시키고, 상기 하벽부(732)의 아래쪽에서 나사(702)를 나사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점검측 폐색부(78)는 슬라이딩 도어(6)측으로 돌출되며, 출입구 상부의 점검측을 폐색한다.The inspection 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은 상단 연결 돌출편(71)을 상측 프레임(15)의 점검측벽(152)에 나사식으로 고정하며,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결합돌출편(76)을 결합홈(74)에 삽입 결합하고, 하벽부(732)를 연결좌(70,70)에 나사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inspection side
기판(72)의 점검측 표면에는 점검측 장식보드(100)가 점착되며,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의 고정측 표면기판(191)의 표면에는 고정측 장식보드(100)가 점착된다. 도어 케이스 측에 있어서도, 점검측과 고정측의 표면에 장식보드(100)가 점착된다.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 장치는 출입구 이외의 표면이 건물의 벽체 표면과 동일한 장식용 보드로 동일면이 되도록 덮이게 된다.The inspection side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은 점검측 보드 폐색부(146)와 고정측 보드 폐색부(147)가 각각 장식용 보드(10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은 점검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2)와 고정측 중간 프레임 돌출부(302)가 장식보드(10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출입구의 상부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측 장식돌출부(73)와 고정측 장식돌출부(155)가 장식 보드(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5, in the door front side
그리고, 이 장식보드를 점착한 상태에서, 레일부재(5)를 장착한 레일설치재(2)나 슬라이딩 도어(6) 등의 슬라이딩 도어 작동용 부재가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에 설치 및 분리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decorative board is attached, sliding door operation members such as a
레일설치재(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단면 홈 형태로 형성된 외측 설치재(21)와, 상기 외측 설치재(21)의 내면에 고정설치된 내측 보강재(22)로 구성되며, 내측 보강재(22)의 상부 하면에 레일부재(5)를 나사식 고정 등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외측 설치재(21)와 내면 보강재(22)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된 레일 설치재(2)는, 상면 연결벽(23)과, 상기 상면 연결벽(23)의 고정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수직으로 늘어뜨려진 측면 연결벽(24)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면 연결벽(2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의 도어 전방측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L자형의 고정용 돌출편(158)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조정용 볼트(212)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 연결벽(24)은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의 출입구측 소정 부분(실시예에서는 2군데)에 고정볼트(21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는 결합설치좌(400)가 나사식 고정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설치좌(400)는 상측 프레임(15)에 고정설치된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지지된다.The
도 8은 상기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 고정설치한 결합설치좌(400)와, 상측 프레임(15)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 고정설치하는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를 나타내고 있다.FIG. 8 illustrates a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는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의 도어 후방측의 단부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연결용 측편(201)과, 상기 연결용 측편(201)의 도어 전방측 단부로부터 점검측을 향해 절곡된 정면 지지편(202)과, 정면 지지편(202)의 점검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용 측편(201)과 평행하게 뻗는 보강용 돌출편(203)을 구비하며, 횡단면이 대략 홈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8, the door rear
그리고, 정면 지지편(202)에는 점검측과 고정측에 위치하여 나열되도록 한 쌍의 결합지지공(204, 20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지지공(204)의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긴 구멍 형태가 되는 결합공(205)과, 상기 결합공(205)의 하단에 연장설치된 지지공(206)을 구비하고 있으며, 결합공(205)과 지지공(206)을 상호 연통시키는데, 양쪽 구멍의 연통부분에 구멍 폭을 좁게 하는 네크부(207)를 형성하고 있다.The
결합설치좌(400)는 연결볼트(407)에 의해 상호 고정설치된 한 쌍의 내측 설 치기판(403)과 외측 설치기판(406)에 의해 구성되며, 양 기판(403, 406)으로부터 도어 후방측을 향해 결합돌출편(402)을 연장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돌출편(402)의 선단에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리턴방지 걸림돌출편(401)을 형성하고 있다.Coupling
따라서, 선단의 리턴방지 걸림돌출편(401, 401)과 함께 결합돌출편(402, 402)을 상기 결합지지공(204, 204)에 삽입하면, 상기 결합돌출편(402, 402)이 네크부(207, 207)에 놓이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결합돌출편(402, 402)을 결합지지공(204, 204)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리턴방지 걸림돌출편(401, 401)이 네크부(207, 207)의 내측에 걸려 이탈을 저지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돌출편(402, 402)에 대해 햄머 등에 의해 하방으로의 힘을 가하면, 상기 결합돌출편(402, 402)은 네크부(207, 207)에 압입되며, 하면이 지지공(206, 206)에 의해 지지되어, 레일 설치재(2)의 소정의 설치상태가 된다.Accordingly, when the
그런데, 결합돌출편(402, 402)을 결합지지공(204, 204)로부터 빼낼 때에는 레일설치재(2) 또는 결합설치좌(400)에 대해 햄머 등에 의해 상방으로의 힘을 가하면, 결합돌출편(402, 402)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지지공(206, 206)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후, 상기 결합돌출편(402, 402)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네크부(207, 207)에 놓이는 상태가 된다. 때문에,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를 들어올리면서, 결합돌출편(402, 402)을 결합지지공(204, 204)으로부터 빼내면, 레일설치재(2)는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결합돌출편(402, 402)이 결합지지공(204, 204)으로부터 급하게 빼내어지면,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이 무게로 낙하할 우려가 있어 위험하므로, 리턴방지 걸림돌출편(401, 401)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By the way, when pulling out the engaging
또한,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결합돌출편(402)의 길이는 레일설치재(2)의 소정의 설치상태에서 리턴방지 걸림돌출편(401)이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의 도어 후방측의 중간 정도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타이밍이, 인지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을 시공한 후, 레일설치재(2)는 내면에 레일부재(5)를 설치하고, 도어 후방측의 단부 상면에 완전개방 스토퍼장치(8)(도 3 참조)의 스토퍼편(80)을 설치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하여 상측 프레임(15)의 내면에 연결된다.After constructing the sliding door frame 1 as described above, the
즉,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한 상태에서, 점검측 중간 프레임(3)과 고정측 중간 프레임(30) 사이의 하방으로부터 도어 케이스측의 상부방향으로, 레일 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를 출입구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상측 프레임(15)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 마련된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200)의 결합지지공(204, 204)에 결합돌출편(402, 402))을 삽입 결합한 후, 레일설치재(2)의 도어 전방측을 들어올려, 상측 프레임(15)의 도어 전방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용 돌출편(158)에 조정용 볼트(212)를 통해 아래쪽에서 임시로 연결하고, 이어 레일설치재(2)의 상면을 고무 햄머 등으로 타격하여 결합돌출편(402, 402)을 지지공(206, 206) 내에 위치시킨다.That is, the door of the
그 후, 고정용 볼트(212)의 나사결합상태를 조절하여, 슬라이딩 도어(6)를 레일부재(5)에 매단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6)가 자동폐쇄되도록, 레일설치재(2)(레일부재(5))를 도어 전방측이 내려간 소정의 경사상태가 되도록 조정한 후, 레일설치재(20)의 측면 연결벽(24)을 고정볼트(210)로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에 고정한다.Thereafter, the screw mounting state of the fixing
레일부재(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설치재(2)의 상면 연결벽(23)의 하면에 나사식 고정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일부재(5)는 아웃터 멤버(51)와, 볼(5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리테이너(52)와, 인너 멤버(54)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인너 멤버(54)는 아웃터 멤버(5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the
아웃터 멤버(51)는 띠 형태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성형하고, 평평한 설치판부(511)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시켜 볼 가이드부(512, 512)를 형성하고, 설치판부(511)에 고정용 나사의 관통공을 마련하고 있다.The
인너 멤버(54)는 출입구의 폭 치수(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이동방향에 관한 폭치수)보다도 짧은 길이의 띠 형태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성형하고, 중앙에서 대략 단면 홈 형태로 굴곡시킨 설치부(541)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볼 가이드부(542, 542)를 형성하고 있다.The
볼 리테이너(52)는 아웃터 멤버(51)의 설치판부(511)의 하측에서 상기 아웃터 멤버(51)와 인너 멤버(54) 사이에 배치된 기판(5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판(522)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대향하게 내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아웃터 멤 버(51)의 볼 가이드부(512, 512)와 인너 멤버(54)의 볼 가이드부(542, 542)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볼 지지부(521, 521)를 구비하며, 상기 볼 지지부(521, 521)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볼(5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The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이동 거리(인너 멤버(54)의 이동거리)에 대해, 볼 리테이너(52)는 2분의 1의 이동거리가 되므로, 아웃터 멤버(51)는 레일설치재(2)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인너 멤버(54)는 슬라이딩 도어(6)의 폭 치수다 약간 짧게 형성되고, 볼 리테이너(52)는 슬라이딩 도어(6)의 폭 치수에 이동거리의 2분의 1 치수를 더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refore, since 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부재(5)의 인너 멤버(54)의 개폐방향의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도어 전방측의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와 도어 후방측의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6)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66)는 레일부재(5)와 레일설치재(2)를 연결할 때, 혹은 레일설치재(2)를 상측 프레임(15)의 내면에 연결한 후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 볼트(500)에 의해 레일부재(5)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spension
각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65)는 동일하므로,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each suspension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펜션 볼트(62)를 매단 상태에서 지지하는 볼트 지지체(656)와, 상기 볼트 지지체(656)로부터 서스펜션 볼트(62)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이동방지체(659) 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oor front side
볼트 지지체(656)는 점검측이 개구되는 U자형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을 중앙부에 갖는 서스펜션 볼트 지지면(652)과, 볼트 지지면(652)의 이동방향(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의 양단부를 상방으로 외측을 향해 L자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된 연결용 돌출편(653, 653)과, 볼트 지지면(652)의 점검측 양단부를 상방으로 굴곡시켜 형성된 연결면(654, 654)과, 볼트 지지면(652)의 고정측 단부를 상방으로 굴곡시켜 형성된 보강용 돌출편(655)을 구비하고 있다.The
볼트이동방지체(659)는 이동방향측의 양단부가 상기 연결면(654, 654)과 연결되는 이탈방지편(657)과, 이탈방지편(657)의 상단으로부터 고정측으로 돌출하는 부상(浮上)방지편(658)을 구비한 횡방향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bolt
상기 연결용 돌출편(653, 653)과, 연결면(654, 654)과, 이탈방지편(657)의 이동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연결공(650, 660, 670)이 형성되어 있다.Connection holes 650, 660, and 67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지지체(656)는 연결공(650)을 구비한 연결용 돌출편(653, 653)을 레일부재(5)의 인너 멤버(54)의 하면에 나사(500) 등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볼트이동방지체(659)는 양단부를 볼트 지지체(656)의 연결면(654, 654)에 중첩시켜 연결공(660, 670)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나사(501)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이로써 볼트 지지체(656)의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의 개구가 폐쇄된다.As shown in FIG. 7, the
슬라이딩 도어(6)는 도 1∼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panel) 형태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의 하단면에는 개폐이 동방향을 따라 결합홈(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60)에 베이스부재(16)의 가이드 롤러(17)가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의 상단면에는 개폐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매달기용 연결나사구멍(61, 61)이 형성되며, 매달기용 연결나사구멍(61, 61)에 각각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끝면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했을 때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의 폐쇄용 오목부(148)에 접촉하는 도어 접촉부(600)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 접촉부(60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끝면으로부터 돌출한다.The sliding
부호(300)는 슬라이딩 도어(6)의 손잡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단부에서 점검측(실내측), 고정측(실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는 동일 구성의 것이므로, 그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는 헤드부(621)와 나사축부(622)을 구비하며, 나사축부(622)를 슬라이딩 도어(6)의 매달기용 연결나사구멍(61)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6)의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Since the door front
또한, 슬라이딩 도어(6)는 개폐이동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의 상면에 후술하는 브레이크 장치(9)의 조작편(91)을 나사식 고정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하면, 기판(72)의 하방에 위치하는 출입구의 점검측에 개방 공간이 형성된다. 때문에, 슬라이딩 도 어(6)의 상단에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를 마련한 상태에서, 출입구와 개방공간을 통해, 다음과 같이 하여 슬라이딩 도어(6)를 레일부재(5)에 매단다.When the inspection side
슬라이딩 도어(6)의 상단을 레일부재(5)의 하방에 배치시키고,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 및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를, 레일부재(5)의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및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에 매달아 지지한다. 즉, 볼트(62)의 나사축부(622, 622)를 지지체(65)의 나사축 삽입관통공(651, 651)에 삽입관통시키고, 헤드부(621, 621)의 하면을 볼트 지지면(652, 652)에 지지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6)를 매단다. 이 때, 지지체(62)는 볼트 지지체(656)로부터 볼트이동방지체(659)가 분리되어 있으며, 나사축 삽입공(651)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볼트(62)의 나사축부(622)를 측방으로부터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liding
이어, 볼트(62)의 헤드부(621)에 스패너 등을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헤드부(621, 621)를 회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6)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 지지체(656)의 측부에 볼트이동방지체(659)를 나사(501)(도 7 참조)에 의해 설치한다. 이로써, 상기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의 측방의 개구가 폐쇄되어 볼트(62)의 탈락을 방지한다. 또한, 볼트이동방지체(659)의 부상방지편(658)이 볼트(62)의 헤드부(621)의 상단면에 접촉하며,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6)의 상하방향의 유동(遊動)을 방지한다.Subsequently, a spanner or the like is coupled to the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의 볼트 지지체(656)에 볼트이동방지 체(659)를 고정설치할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탄성 스토퍼(81)를 구비한 설치좌(83)가 볼트이동방지체(659)에 설치나사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탄성 스토퍼(81)는 브레이크 장치(9)의 스토퍼편(8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이동방향에 대해 상기 탄성 스토퍼(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치나사를 삽입관통하는 설치좌(83)의 설치공은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방향으로 긴 장공(長孔)을 구성한다.When fixing the bolt
이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6)는 레일부재(5)에 대해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를 각각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에 매달아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매달기 작업은 도어 전방측과 도어 후방측에서, 볼트(62)를 볼트 지지체(65)의 지지체(656)에 형성된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체(656)에 볼트이동방지체(659)를 고정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sli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수단(M)'이란, 슬라이딩 도어(6)에 마련한 서스펜션 볼트(62)와 상기 서스펜션 볼트를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볼트 지지체(65)와 관련하여, 볼트 지지체(656)의 점검측으로 개구된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에 서스펜션 볼트(6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지지체(656)에 볼트이동방지체(659)를 설치함으로써, 볼트(62)를 탈락 불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구성을 의미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볼트이동방지체(659)의 설치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연결 나사(501)를 의미한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M' refers to the
그리고,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에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은, 상기 매달기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지지수단(M)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지지수단(M)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And, when the inspection side
이어, 브레이크 장치(9)의 조작편(91)에 대응하여 에어 실린더(브레이크 장치의 조정측)(92)가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의 내측에 연결되며, 아래쪽에서 드라이버 등에 의해 폐쇄 속도가 조정된다.Subsequently, in response to the
브레이크 장치(9)는 슬라이딩 도어(6)에 마련한 작동돌출편(91)(작동측)과,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에 마련한 에어 실린더(92)(피작동측)로 구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 폐쇄될 때에, 작동편(91)이 에어 실린더(92)의 실린더 로드를 누르며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6)의 폐쇄 속도를 감속하는 것이며, 에어 실린더(92)(피작동측)의 에어 토출 밸브를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작동력을 조정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의 '조정측'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력을 조정가능하게 한 피작동측의 부재 내지 장치(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는 에어 실린더(92))를 의미하고 있다.The
이상의 작업을 완료한 후,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은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된 개방공간이 점검측 장식돌출부(73)에 의해 폐색된다. 즉, 점검측으로부터,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결합돌출편(76)을 기판(72)의 결합홈(74)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임시로 고정한 후, 상기 하벽부(732)의 양단부를 하측으로부터 나사(7092)에 의해 연결좌(70, 70)에 고정설치한다.After the above operation is completed, the inspection-side high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개방 스토퍼 장치(8)는 스토퍼편(80)과 탄성 스토퍼(8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 스토퍼(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에 설치된 설치좌(83)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편(80)은 레일설치재(2)에 고정설치된 설치다리부(82)로부터 점검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설치다리부(8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편(80)의 횡단면이 대략 산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설치다리부(82)는 레일설치재(2)를 상측 프레임(15)에 연결하기 전에, 이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면 연결벽(23)의 상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fully
탄성 스토퍼(81)는 도어 후방측의 단부에 위치하여 세로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탄성다리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이동시에 레일부재(5)의 인너 멤버(54)와 동행하며 이동한다.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6)를 완전개방했을 때, 롤러가 산 형태의 스토퍼편(80)을 타고 넘으며, 그 상태에서 탄성다리체가 슬라이딩 도어(6)의 자동 폐쇄력을 초과하는 탄성력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완전개방상태를 유지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스토퍼(81)는 즉, 설치좌(83)의 설치나사를 헐겁게 함으로써,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설치공을 통해 설치좌(83)를 슬라이딩 도어(6)의 개폐이동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6)의 완전개폐시의 스토퍼편(80)과 탄성 스토퍼(81)의 상호위치관계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에어 실린더(9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설치좌(94)의 상단부의 고정측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설치좌(94)는 하단부에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을 향 해 돌출하는 연결용 하측 돌출편(9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기판(72) 내측에 고정설치된 대략 L자형의 연결고정좌(93)로부터 고정측으로 돌출하는 고정용 하측 돌출편(931)의 하면에 상기 연결용 하측 돌출편(941)을 중첩시켜, 아래쪽에서 연결나사(95)에 의해 상기 연결용 하측 돌출편(941)과 고정용 하측 돌출편(931)을 고정설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어, 제 2 실시예를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제 2 실시예는 레일설치재(2)와 레일부재(5)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즉,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 점검측 중간 프레임, 고정측 중간 프레임, 새시 바, 슬라이딩 도어(6),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 점검측 장식돌출부(73), 브레이크 장치(9) 등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econd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nfigurations of the
제 2 실시예의 레일설치재(2)는 알루미늄재의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내부를 중공으로 하는 대략 세로로 긴 직사각형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설치재(2)의 도어 후방측 단부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설치좌가 연결되어 있다.The
레일설치재(2)는 점검측 하단으로부터 점검측을 향해 레일 지지용 돌출편(21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고정측 하단으로부터 연결수하편(垂下片)(221)을 하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으며, 연결수하편(221)은 상 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에 나사에 의해 고정설치된다.The
제 2 실시예의 레일설치재(2)는 알루미늄재의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대략 단면 C형의 레일보강부재(550)와, 레일보강부재(550)의 점검측에 결합상태로 연결된 대략 단면 C형의 고정측 멤버(551)와, 고정측 멤버(5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측 멤버(552)로 구성되며, 고정측 멤버(551)와 이동측 멤버(552) 사이에 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볼 리테이너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레일보강부재(550)를 레일 지지용 돌출편(210)에 지지시킨 상태로 레일설치재(2)에 고정설치된다.The
이동측 멤버(552)의 점검측에는 슬라이딩 도어(6)의 매달기용 금속기구(553)가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며, 매달기용 금속기구(553),(553)의 하면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와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inspection side of the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트 지지체(656)의 점검측으로 개구된 나사축 삽입관통공(651)에 서스펜션 볼트(6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지지체(656)에 볼트이동방지체(659)를 설치함으로써, 볼트(62)를 탈락 불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기술적 구성에 의해 '지지수단(M)'이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볼트이동방지체(659)의 설치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연결나사(501)에 의해 '지지수단(M)'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이 상기 지지수단(M)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지지수단(M)을 향하고, 슬라이딩 도어(6)의 매달기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이어, 제 3 실시예를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 레일설치재(2), 레일부재(5), 레일부재(5)에 연결되는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및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 및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의 구성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와 서로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The third embodiment is the door mounting
즉,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 점검측 중간 프레임, 고정측 중간 프레임, 새시 바, 슬라이딩 도어(6),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 고정측 고창 바탕패널(19), 점검측 장식돌출부(73), 브레이크 장치(9) 등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That is, the sliding door frame, the inspection side intermediate frame, the fixed side intermediate frame, the chassis bar, the sliding
제 3 실시예의 레일설치재(2)는 상측 프레임(15)의 고정측벽(153)에 나사로 고정설치되는 연결수하편(231)을 갖는 역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측 단부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설치좌에 연결되어 있다.The
제 3 실시예의 레일부재(5)는 알루미늄재의 압출성형에 의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설치재(2)의 연결수하편(212)에 나사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측 연결벽(554)와, 상기 고정측 연결벽(554)의 하단부로부터 점검측을 향해 돌 출하는 슬라이딩 도어 지지벽(556)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지지벽(556)의 점검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궤조(軌條, rail)(555)를 구비하고 있다.The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65), 슬라이딩 도어(6)의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62), 도어 후방측 서스펜션 볼트(62)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슬라이딩 도어(6)의 상면의 도어 전방측과 도어 후방측 각각에 대략 L형의 도어 전방측 슬라이딩 도어 설치금구(559) 및 도어 후방측 슬라이딩 도어 설치금구(559)가 설치되며, 상기 금구(559)의 고정측에 횡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558)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롤러(558)는 둘레면에 요홈(557)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door front side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6)를 레일부재(5)에 매달아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도어 전방측 및 도어 후방측의 롤러(558)를 레일부재(5)의 궤조(555)에 태운 후, 점검측에서부터, 도어 전방측 및 도어 후방측의 슬라이딩 도어 설치금구(559)에, 나사가 형성된 핀(560)을 나사식으로 삽입한다. 핀(560)은 슬라이딩 도어 설치금구(559)를 관통하여 레일부재(5)의 슬라이딩 도어 지지벽(556)의 하면에 근접한 상태로 향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6)는 상방으로의 부상(浮上)이 핀(560)에 의해 저지되므로, 도어 전방측 및 도어 후방측의 롤러(558)가 궤조(555)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다.In the third embodiment, in order to suspend and support the sliding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6)를 레일부재(5)에 대해 탈락 불가능하게 연결지지하는 '지지수단(M)'이 상기 핀(5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그리고, 점검측 고창 바탕패널(7)의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상기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에 기판(7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개방공간'이 상기 지지수단(M)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지지수단(M)을 향하며, 슬라이딩 도어(6)를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spection-side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 4 실시예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점검측 바탕패널(7)은 기판(72)의 하방에 위치하여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착탈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점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데, 점검측 장식돌출부(73)의 설치 구조를 서로 달리하고 있다.A fourth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inspection
점검측 바탕패널(7)은 기판(7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된 기판 하측 돌출편(721)을 마련하고 있다.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과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의 상단부의 출입구측 내면에는 연결좌(70, 70)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좌(70)는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 및 점검측 중간 프레임(3)의 출입구를 향하는 면에 비스(701)로 고정설치되는 비스공(702)이 형성된 판부(710)를 구비하고, 상기 판부(710)의 상단으로부터 출입구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상측편(711)과,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측편(711)에 평행이 되도록 절곡된 하측편(7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측편(712)에, 나사가 형성된 구멍(740)을 마련하고 있다. 도시한 예의 경우, 하측편(712)의 상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설치된 너트에 의해, 나사가 형성된 구멍(740)을 구성하고 있다. 때문에, 연결좌(70)는 상측편(711)을 기판 하측 돌출 편(721)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4) 및 점검측 중간 프레임(3)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비스(701)를 중심으로 하여 연결좌(70)가 회동하는 일은 없다.The inspection-
이에 비해,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기판(72)을 덮는 장식보드(100)의 하단 가장자리를 은폐함과 아울러 상기 하단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벽부(730)와, 상기 세로 판부(70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고정측을 향해 절곡된 돌출편(731)과, 돌출벽부(730)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고정측을 향해 뻗도록 절곡된 하벽부(73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출벽부(730)는 도어 전방측 및 도어 후방측의 연결좌(70, 70) 사이의 공간을 점검측에서부터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벽부(732)의 양단부에는, 상기 나사가 형성된 구멍(740)에 대응하는 구멍(733)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contrary, the inspection side
따라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점검측으로부터 고정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양단 위치에서 하벽부(732)를 연결좌(70, 70)의 하측편(712)의 하방에 진입시킴과 아울러, 돌출편(731)을 기판 하측 돌출편(721)의 상방에 진입시킴으로 인해 임시고정상태가 된다. 이 때, 돌출편(731)이 점검측 장식보드(100)에 펼쳐진 클로스(103)의 하측 가장자리를 은폐한다. 이러한 임시고정상태에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돌출편(731)과 하벽부(732)에 의해, 기판 하측 돌출편(721)을 포함해 연결좌(70, 70)를 상하로부터 감싸 지지한다.Therefore, the inspection side
이러한 임시고정상태로부터, 상기 구멍(733)을 통해, 나사가 형성된 구멍(740)에 장식 나사(740)를 나사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점검측 장식돌출부(73)는 탈락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나사(740)는 작업자의 손가락 끝으로 회전가능한 헤드부(74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나사(740)를, 나사가 형성된 구멍(740)에 조여 고정하거나 빼낼 수 있다. 또한, 점검측 장식돌출부(73)를 분리했을 때, 슬라이딩 도어의 지지수단(M)에 면한 개방공간이 기판(72)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From this temporary fixing state, through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점검측(실내측)에서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inspection side (indoor side).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확대단면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4는 도 1의 C-C선에 따른 확대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5는 도 1의 D-D선에 따른 확대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도 6은 점검측 장식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formed on the inspection side decorative projections.
도 7은 레일부재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rail member is formed.
도 8은 도어 후방측 지지부재와 결합설치좌(座)를 나타낸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rear side support member and the coupling installation seat.
도 9는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 지지체와 도어 전방측 서스펜션 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front suspension bolt support and the door front suspension bolt;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 3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Fig. 11 is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third embodiment.
도 12는 제 4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fourth embodiment;
도 13은 연결좌(座)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sea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 11 : 철골1: sliding door frame 11: steel frame
13 : 도어 후방측 세로 프레임 14 : 도어 전방측 세로 프레임13: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14: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15 : 상측 프레임 100 : 장식보드15: upper frame 100: decorative board
3 : 점검측(실내측) 중간 프레임 30 : 고정측(실외측) 중간 프레임3: Inspection side (indoor side) intermediate frame 30: Fixed side (outdoor side) intermediate frame
4 : 새시 바 5 : 레일부재4: chassis bar 5: rail member
6 : 슬라이딩 도어 7 : 점검측 고창(高窓) 바탕패널6: sliding door 7: inspection side gochang base panel
72 : 기판 73 : 점검측 장식돌출부72: substrate 73: decorative projection on the inspection side
74 : 결합홈 76 : 결합돌출편74: coupling groove 76: coupling protrusion
9 : 브레이크 장치 9: brake device
92 : 브레이크 장치의 조정측(에어 실린더)92: adjusting side of the brake device (air cylinder)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19296A JP4814010B2 (en) | 2006-08-11 | 2006-08-11 | Sliding door device |
JPJP-P-2006-00219296 | 2006-08-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693A true KR20080014693A (en) | 2008-02-14 |
KR101046841B1 KR101046841B1 (en) | 2011-07-06 |
Family
ID=3917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0673A KR101046841B1 (en) | 2006-08-11 | 2007-08-10 | Sliding door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814010B2 (en) |
KR (1) | KR10104684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0541A (en) * | 2015-04-08 | 2016-10-18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Device for fixing the damper adapter of furniture hin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14010B2 (en) * | 2006-08-11 | 2011-11-09 |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 Sliding door device |
WO2021235579A1 (en) * | 2020-05-22 | 2021-11-25 | 윤태산 | Furniture having easily attachable/detachable sliding do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818A (en) | 1996-06-25 | 1998-01-13 | Takenaka Komuten Co Ltd | Semiautomatic sliding door |
JP3321417B2 (en) * | 1998-08-27 | 2002-09-03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Sliding door device |
JP3685948B2 (en) * | 1999-03-31 | 2005-08-24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Door pocket structure |
JP4331061B2 (en) * | 2004-06-24 | 2009-09-16 |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 Hanging door device |
JP4814010B2 (en) * | 2006-08-11 | 2011-11-09 |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 Sliding door device |
-
2006
- 2006-08-11 JP JP2006219296A patent/JP4814010B2/en active Active
-
2007
- 2007-08-10 KR KR1020070080673A patent/KR10104684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0541A (en) * | 2015-04-08 | 2016-10-18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Device for fixing the damper adapter of furniture hin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6841B1 (en) | 2011-07-06 |
JP4814010B2 (en) | 2011-11-09 |
JP2008045288A (en) | 2008-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6841B1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214180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3474777B2 (en) | sliding door | |
JP3513439B2 (en) | sliding door | |
JP2010065448A (en) | Fully opening stopper device of sliding door | |
JP5841806B2 (en) | Hanging door device | |
JP4861235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318362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144105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4252517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4912795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148160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6335593B2 (en) | Sliding door device with emergency release type stopper | |
KR101860304B1 (en) | Semi-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by air cylinder | |
KR20050120191A (en) | Sliding door | |
JP4874708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3519619B2 (en) | sliding door | |
JP4198609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6370680B2 (en) | Method of installing a retracting device in a sliding door device | |
JP4912901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144099B2 (en) | Sliding door device | |
JP4927578B2 (en) | Sliding door device | |
KR200360453Y1 (en) | Sliding door | |
JP2022045707A (en) | Sliding door device | |
JP5148154B2 (en) | Sliding do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