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835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835A
KR20080010835A KR1020060071424A KR20060071424A KR20080010835A KR 20080010835 A KR20080010835 A KR 20080010835A KR 1020060071424 A KR1020060071424 A KR 1020060071424A KR 20060071424 A KR20060071424 A KR 20060071424A KR 20080010835 A KR20080010835 A KR 2008001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ee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optic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원
이광수
구영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835A/ko
Publication of KR2008001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 광학 시트, 단열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 및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는, 몸체의 선단 영역이 상기 광학 시트를 지지하고, 몸체의 중간 높이에 마련된 단차 영역이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써포터의 사용 개수가 줄어들어 작업성이 개선되고, 열로 인한 액정 표시 패널의 변형 및 열화가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써포터, 단열 시트, 광학 시트,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써포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써포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부 샤시 120: 액정 표시 패널
130: 몰드 프레임 140: 광학 시트
150: 단열 시트 160: 백라이트 유닛
170: 하부 샤시 200: 써포터
210: 지지체 220: 기밀 부재
230: 장착 부재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를 지지하는 일체형 써포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용 표시 장치는 옥외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에게 장시간 동안 광고 영상을 제공해야 하므로, 대화면, 고휘도, 장수명 및 고 신뢰성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동시에 설치 공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고용 표시 장치로는 CRT(Cathode Ray Tube, CRT) TV, 프로젝션 TV,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CRT TV는 가격이 저렴하여 초기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대화면 구현이 어렵고, 설치 공간의 제약이 많아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반면, 프로젝션 TV는 대화면 구현이 쉽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지만 휘도가 낮아 시인성이 떨어지며, CRT TV와 마찬가지로 설치 공간의 제약이 많아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박형으로 설치 공간의 제약은 없으나 장시간 사용시 열화 현상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액정 표시 장치가 전술한 표시 장치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및 이들을 수납하는 상부 샤시 및 하부 샤시로 구성된다.
특히, 광고용 액정 표시 장치는 대화면, 고휘도의 영상을 장시간 표시해야 하는 사용 환경의 특성상 백라이트 유닛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므로, 광학 시트의 하부에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 시트가 추가되는데, 단열 시트에도 열이 축적될 수 있으므로 광학 시트와 단열 시트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부 샤시에는 광학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써포터(supporter) 및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써포터가 마련된다. 이때, 단열 시트는 제 1 써포터의 선단 영역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광학 시트는 단열 시트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제 2 써포터의 선단 영역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가 별개로 마련되므로 써포터의 사용 개수가 늘어나고, 단열 시트의 관통구가 기밀하게 차폐되지 않아 그 틈새로 대류에 의한 열 전달이 일어난다. 따라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며, 열로 인해 광학 시트 및 액정 표시 패널이 변형 및 열화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써포터의 사용 개수를 줄여 작업성을 개선하고, 단열 시트의 관통구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고 신뢰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광학 시트, 단열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 및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는, 몸체의 선단 영역이 상기 광학 시트를 지지하고, 몸체의 중간 높이에 마련된 단차 영역이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은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은 상기 절연 시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써포터는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에 지지되는 상기 절연 시트의 관통구를 상측에서 고정 밀폐하기 위한 기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하며, 그 하단은 상기 절연 시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써포터는 상기 지지체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하부 샤시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부재는 후크 방식, 나사 방식, 접착 방식, 몰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장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20)과, 액정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140), 단열 시트(150), 백라이트 유닛(160)과, 이들을 수납하는 상부 샤시(110)와 하부 샤시(170) 및 하부 샤시(170)의 배면에 장착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콘트롤 PCB)(미도시)을 포함하고, 하부 샤시(170)의 전면에 장착되어 광학 시트(140) 및 단열 시트(150)를 소정의 높이차를 두어 지지하는 써포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20)에는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향 배치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은 화소 영역에서 입사된 빛을 채색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다수개의 적색(R), 녹색(G), 청색(B) 컬러 필터와, 비화소 영역에서 입사된 빛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블랙 매트릭스가 격자 구조로 배열된 투명 기판이다. 상부 기판의 대향면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광성 도전재료로 형성한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기판은 스위칭 소자인 다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격자 구조로 배열된 투명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 스 전극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에는 ITO 또는 IZO 등의 투광성 도전재료로 형성한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20)에는 데이터 PCB(121) 및 게이트 PCB(122)가 연결되고, 데이터 PCB(121)는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FPC)(미도시)를 통해 콘트롤 PCB(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데이터 PCB(121)는 액정 표시 패널(12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화소에 계조 전압 등을 전달하고, 게이트 PCB(122)는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화소에 게이트 온/오프 전압 등을 전달한다. 물론, 상기 데이터 PCB(121) 및 상기 게이트 PCB(122)는 통합되어 하나로 제작될 수도 있다.
광학 시트(140)는 백라이트 유닛(161,162;160)의 전면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120)로 입사되는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이러한 광학 시트(140)는 아래로부터 확산 시트, 제 1 프리즘 시트 및 제 2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프리즘 시트 상부에 적층되는 휘도 강화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시트는 백라이트 유닛(160)에서 입사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산란시켜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프리즘 시트와 제 2 프리즘 시트는 각각 상부면에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프리즘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휘도 강화 시트는 제 1, 제 2 프리즘 시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손실을 줄여서, 휘도를 상승시키고, 광 시야각 특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휘도 강화 시트로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 Film) 시트나 DRPF(Diffuse Reflective Polarizer Film)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BEF 시트나 DRPF 시트는 얇은 필름 형태의 반사형 편광 시트로서, 광이 액정 표시 패널(120)의 하부 편광판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흡수되어 소실되는 광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휘도가 높아진다.
단열 시트(150)는 백라이트 유닛(160)의 전면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160)에서 발생된 열이 상부 영역 즉, 액정 표시 패널(120) 및 광학 시트(1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단열 시트(150)에는 써포터(200)에 삽입되는 관통구(151a 내지 151c)가 하부 샤시(170)에 장착되는 써포터(20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161), 상기 광원(161)을 그립(grip)하는 램프 소켓(162) 및 램프 소켓(1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광원(161)은 램프 소켓(162) 대신 솔더링 와이어(soldering wire)를 통해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161)으로는 내부 공간에 방전 가스가 충진되고, 내부 표면에 형광 물질이 도포되는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1차광을 생성하는 방전 가스는 아르곤, 네온, 크세논 등의 희가스 또는 아르곤, 네온, 크세논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와 소정량의 수은을 포함할 수 있고, 2차광을 생성하는 형광 물질은 백색광이 발광되도록 적색, 녹색, 청색의 3파장 대역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60)의 광원(161)으로 냉음극 형광 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와 같이 소화면, 초박형, 초절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161)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는 광원(161)에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원 구동부는 소정의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인버터 및 트랜스를 포함한다. 인버터를 거치면서 교류로 변환된 전류는 트랜스를 거치면서 광원(161)의 구동에 적합하게 승압 또는 강압되어 광원(161)에 전달된다. 물론, 상기 백라이트 구동부는 콘트롤 PCB(미도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샤시(17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콘트롤 PCB(미도시)에는 타이밍 콘트롤 회로, 전압 강하 회로, AD 컨버팅 회로 등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화상 신호 및 공급 전원을 액정 표시 패널(120) 및 광원 구동부의 구동에 적합한 구동 신호 및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 를 데이터 PCB(121), 게이트 PCB(122) 및 광원 구동부에 전송한다. 상기 콘트롤 PCB에서 생성된 각종 전기적 신호들은 FPC(미도시)를 통해 데이터 PCB(121)에 전달된다. 물론, 상기 FPC는 게이트 PCB(122)에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 PCB(121) 및 데이터 PCB(122)에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상부 샤시(110)와 하부 샤시(170)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공간에는 충격에 약한 액정 표시 패널(120)의 모서리를 보호하고, 광학 시트(140)의 장착 위치를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130)이 수용된다.
상부 샤시(110)는 액정 표시 패널(120)의 화소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이 형성되는 평면부와 평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샤시(170)는 광학 시트(140) 및 단열 시트(15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써포터(20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의 가장 자리에 4개의 써포터(200)가 장착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써포터(200)의 배치 위치 및 사용 개수는 광학 시트(140) 및 단열 시트(15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써포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써포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a)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써포터(200)는 광학 시트(140) 및 절연 시트(150)를 높이차를 두어 지지하는 지지체(210)와, 상기 지지체(210)에 지지된 절연 시트(150)의 관통구(151)를 밀폐하기 위한 기밀 부재(220) 및 상기 지지체(210)를 하부 샤시(17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210)는 몸체의 선단 영역(A1)이 광학 시트(140)를 제 1 높이(h1)로 지지하고, 몸체의 중간 높이에 마련된 단차 영역(A2)이 절연 시트(150)를 제 2 높이(h2)로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체(210)는 지지물의 무게 분산에 유리하도록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 영역(A2)은 제 2 높이(h2)에서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체(210)의 몸체에 삽입되어 단차 영역(A2)에 안착되는 절연 시트(150)의 관통구(151)가 하측에서 밀폐되도록 단차 영역(A2)은 절연 시트(150)의 관통구(151)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하부 영역에서 상기 관통구(151) 주위의 틈새로 유입되는 대류가 1차적으로 차단된다.
상기에서 광학 시트(140)가 지지되는 제 1 높이(h1)와 단열 시트(150)가 지지되는 제 2 높이(h2)는 상기 광학 시트(140)와 상기 단열 시트(150)가 상하로 이격될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열 시트(150)에 축적된 열이 접촉의 의해 광학 시트(1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밀 부재(220)는 지지체(210)의 단차 영역(A2)에 안착되는 절연 시트(150)의 관통구(151)를 상측에서 밀착하여 고정하고 기밀하게 밀폐한다. 이러한, 기밀 부재(220)는 지지체(2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하며, 그 하단은 절 연 시트(150)의 관통구(151)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부 영역에서 상기 관통구(151) 주위의 틈새로 유입되는 대류가 2차적으로 차단된다. 즉, 상기 대류는 전술한 단차 영역(A1)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기밀 부재(220)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된다.
상기 지지체(210)와 상기 기밀 부재(220)는 상호 결합을 위한 고정 수단(240a,240b;24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210)에 돌기 (240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요홈(240b)이 기밀 부재(22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240a) 및 요홈(240b)은 나사선 형태로 형성되어, 기밀 부재(210)의 회전시 하향 전진하면서 하부 구조물 즉, 단열 시트(150)의 관통구(151) 주위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기밀 부재(220)는 스냅(snap) 방식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결합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이탈되는 방식으로 지지체(210)에 착탈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된다. 물론, 상기 고정 수단(2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 방식, 접착 방식 등 다양한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밀 부재(220)을 탄성체로 제작하여, 지지체(21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장착 부재(230)는 지지체(2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체(210)를 하부 샤시(170)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장착 부재(230)는 지지체(210)를 하부 샤시(17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면 특별한 구조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부재(230)는, 도 2와 같이, 지지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hook)로 구성될 수 있 고, 도 3과 같이, 지지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 및 나사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접착 방식, 몰딩(molding) 방식 등의 장착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써포터를 이용한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의 장착 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장착 부재(230)를 하부 샤시(17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도 4a), 단열 시트(150)의 관통구(151)를 지지체(210)에 삽입하여 지지체(210)의 단차 영역(A2)에 안착시킨다(도 4b). 이때, 단차 영역(A2)의 상단부가 단열 시트(150)의 관통구(151) 주위에 밀착되면서 1차적인 밀폐 효과가 나타난다. 이어, 기밀 부재(220)를 지지체(210)에 삽입하고 돌려주어 적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때, 기밀 부재(220)의 하단부가 단열 시트(150)의 관통구(151) 주위에 밀착되면서 2차적인 밀폐 효과가 나타난다. 이후, 지지체(210)의 선단 영역(A1)에 광학 시트(140)를 안착시킨다(도 4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 시트(140) 및 단열 시트(150)가 일체형 써포터(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써포터(200)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단열 시트(150)의 관통구(151)는 지지체(210) 및 이에 결합되는 기밀 부재(220)에 의하여 상하에서 밀착되어 차폐되므로 관통구(151) 주위의 틈새를 통해 하부의 백라이트 유닛(160)에서 발생된 열이 상부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개량, 대체 및 부가 등의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광학 시트 및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써포터의 사용 개수가 줄어들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단열 시트의 관통구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열이 차단됨으로써 열에 의한 액정 표시 패널의 열화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효과적인 단열이 가능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광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휘도 특성을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대화면, 고휘도, 장수명 및 고 신뢰성 등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광고용 표시 장치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액정 표시 패널, 광학 시트, 단열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 및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기 위한 써포터는,
    몸체의 선단 영역이 상기 광학 시트를 지지하고,
    몸체의 중간 높이에 마련된 단차 영역이 상기 단열 시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은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은 상기 절연 시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포터는,
    상기 지지체의 단차 영역에 지지되는 상기 절연 시트의 관통구를 상측에서 고정 밀폐하기 위한 기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지지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하며, 그 하단은 상기 절연 시트에 형성된 관통구에 비하여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써포터는,
    상기 지지체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하부 샤시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후크 방식, 나사 방식, 접착 방식, 몰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장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71424A 2006-07-28 2006-07-28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10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24A KR20080010835A (ko) 2006-07-28 2006-07-28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24A KR20080010835A (ko) 2006-07-28 2006-07-28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835A true KR20080010835A (ko) 2008-01-31

Family

ID=3922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24A KR20080010835A (ko) 2006-07-28 2006-07-2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8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1342A (zh) * 2021-03-18 2021-06-25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1342A (zh) * 2021-03-18 2021-06-25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13031342B (zh) * 2021-03-18 2024-04-26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276B2 (ja) 放熱構造を改善し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1012149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8721150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004927A5 (ko)
US8045128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264480B2 (en) Display device
JP2006351529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それの製造方法、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US7425133B2 (en) Display device
KR2007011987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69966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874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03163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239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10835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3574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0822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8811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10836A (ko) 램프 써포터,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446934Y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65432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5491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12072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50087232A (ko) 방열용 쉴드 케이스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46842A (ko) 발광 다이오드 블록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0225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