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215A -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215A
KR20080010215A KR1020060070415A KR20060070415A KR20080010215A KR 20080010215 A KR20080010215 A KR 20080010215A KR 1020060070415 A KR1020060070415 A KR 1020060070415A KR 20060070415 A KR20060070415 A KR 20060070415A KR 20080010215 A KR20080010215 A KR 2008001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subject
uni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범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215A/en
Publication of KR2008001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2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Abstract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allow continuous inputting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and accurately input information. A cover(17)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11) allowing light to transmit therethrough. Light source units(15) irradiate light toward the transmissive portion(11). An image sensor(19) captures an image of the cover(17) including the transmissive portion(11) at a lower side of the cover(17) to generate an image frame. A controller recognizes a movement of the subject positioned at the transmissive portion(11) by consecutively comparing a reference frame of the cover(17) and the captured image frame, thus to allow inputting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transmissive portion(11) is a plurality of slits in the shape of a circular arc formed on the cover(17).

Description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Optical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키패드를 이용한 종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input device using a keypad.

도 2는 도 1에서 키패드가 눌려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pad is pressed in FIG.

도 3은 영상처리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촬영 이미지.3 is a photographed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an image sensor of an input device using image process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투광부에 피사체가 없는 기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frame without a subject in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도 6b는 투광부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촬상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ickup frame in which a subject is positioned on a light transmitting part.

도 7a는 피사체가 투광부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7A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subject clockwise along a light transmitting unit;

도 7b는 피사체가 각각의 투광부를 교차하도록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7B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subject to cross each light transmitting part.

<도면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10 광 입력장치 11 투광부10 Optical input device 11 Flood section

13 렌즈 15 광원부13 Lens 15 Light Source

17 커버 19 이미지 센서 17 cover 19 image sensor

21 투과성 물질 23 피사체21 Permeable material 23 Subject

30 휴대 단말기 31 본체부30 Mobile terminal 31 Main unit

33 디스플레이부33 Display

본 발명은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최근의 전자장치는 정보의 입력수단으로서 버튼을 이용한 전자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는 센서 또는 돔버튼을 버튼 아래에 구비하고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센서 또는 돔버튼이 이를 인식하여 정보가 입력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using buttons as a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have become mainstream. That is, a sensor or dome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is provided below the button,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sensor or dome button recognizes this and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s widely adopted.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일 예인 휴대 전화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키패드가 눌려져서 정보가 입력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phone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a conventional input device,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is input by pressing a keypad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50)는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부(51) 및 키패드(55)가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53)로 이루어진다. 키패드(55)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이 기재된 복수 개의 버튼(57)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57)은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키패드(11)의 x축 및 y축 방향의 길이는 각각 Δx, Δy이다.Referring to FIG. 1, the cellular phone 50 includes a display unit 51 on which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main body portion 53 having a keypad 55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keypad 55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57 in which numbers or letters are written, and one side of the button 57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ength of the keypad 11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is Δx and Δy,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버튼(57)의 하면에는 돔버튼(59)이 구비되어 있는데, 돔버튼(59)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버튼(57)의 종류가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에 알려짐으로써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51)에 입력된 정보가 표시된다. 돔버튼(59)은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의 돔(dome)을 구비하고 있는데, 돔의 탄성력에 의해 눌려진 버튼(57)이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a dome button 59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each button 57. The dome button 59 is pressed by a user so that the type of the button 57 is a host processor. By this informa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put, and as a result,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display unit 51 is displayed. The dome button 59 has a metal dome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the button 57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ome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이와 같은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버튼(57)의 하부에 돔버튼(59)이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돔버튼(59)은 일정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Z축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필요하다. 이 두께를 Δz라고 하면, 종래의 키패드(55)가 차지하는 부피는 ΔxΔyΔz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입력장치는 돔 버튼 및 버튼의 두께로 인해 일정 크기의 부피를 갖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버튼을 눌러서 입력해야 하는 방식으로 인해 볼륨 조절, 밝기 조절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값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기 때문에 입력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ome buttons 59 are arranged under the respective buttons 57, and each dome button 59 has a constant thickness, the dome button 59 is fixed in the Z-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Thickness is required. If this thickness is Δz, the volume occupied by the conventional keypad 55 is ΔxΔyΔz. Therefore, since the input device of the related art has a volume of a certain siz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dome button and the butt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due to the way in which each button needs to be input, it has been difficult to input since the corresponding button needs to be pressed several times in order to set continuously changing values such as volume control and brightness control.

이와 같이 버튼 및 돔버튼을 이용한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영상처리를 이용한 입력장치가 개발되었다. 영상처리를 이용하는 입력장치는 렌즈, LED,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프레임을 촬영한 후 각 이미지에서 손가락의 중심위치를 찾고 해당 위치의 움직임을 트랙킹(tracking) 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의 입력장치는 영상을 통해 입력을 처리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는 반면에 영상 처리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인 손가락 이외에도 다른 이미지가 촬영되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input device using the button and the dome button, an input device using image processing has been developed. An input device using image processing uses a method of finding a center position of a finger in each image and tracking a movement of a corresponding position after photographing successive frames including a lens, an LED, and an image sensor. Since the input device of this type processes the input through the image, no physical switch is required, while in the image processing, as shown in FIG. 3, other images other than the subject finger may be captured and noise may occu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lfunction is likely to occur.

그리고 사용자는 손가락을 입력장치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허공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서 정보를 입력하는데, 이때 손가락은 일정한 평면 상에서 움직일수록 즉,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수록 정확한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상태에서 손가락이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입력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The user inputs information while moving a finger in the air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devi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by the finger moves more accurately on the plane, that is, the more the user keeps a constant height from the input device. However, since it is very difficult for a fing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input device in a space stat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accurate input.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input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volum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at can reduce the malfunction.

본 발명은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력이 편리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input device capable of convenient input and accurate input since continuous input is possib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입력장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를 구비한 커버와, 투광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커버의 하부에서 투광부를 포함한 커버를 촬영하여 촬상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는 이미지 센서와, 커버의 기준 프레임과 촬상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투광부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이동을 인식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input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capturing frame by photographing a cover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 light source part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a cover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under the cover. And an image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inuously compare the reference frame and the imaging frame of the cover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subject located in the light-transmitting unit so as to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른 광 입력장치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부는 커버에 형성된 슬릿으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커버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원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커버의 이면에는 광 흡수 물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에는 투광부에 피사체가 접촉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접촉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는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투광부에 피사체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투광부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 및 광원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transmitting part is a slit formed in a cover, and has a circular arc shape, and a plurality is formed in the cover. The slits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n ellipse shap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absorb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The cover is provided with contact detect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subject touche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by the touch sensing means, and the image sensor when the subject is position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a light source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기는 광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광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커버는 본체부의 일면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input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unit on which the optical input device is mounted, and a display unit on which information input by the optical input device is displayed. The cover is a portable terminal form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그리고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여 투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 및 광원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moves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image sensor and the light source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30)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3) 및 광 입력장치가 장착된 본체부(3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부(31)의 일면을 이루는 커버(17)에는 복수 개의 슬릿(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으로 이루어진 투광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부(11)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광 입력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30 equipped with an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30 includes a display unit 33 on which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re displayed and a main body unit 31 on which an optical input device is mounted. The cover 17 form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31 is formed with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ncluding a plurality of slits 11a, 11b, 11c, 11d, 11e, 11f, 11g, and 11h. The lower portion of the 11 is provided with the optical input device 10 shown in FIG.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30)를 파지한 상태에서 투광부(11)에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를 위치시킨 후 이동하면, 광 입력장치(10)의 이미지 센서가 이를 촬영하여 촬상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기준 프레임과 이를 비교하여 피사체가 투광부(11)에서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인식함으로써 정보가 입력된다.  When the user places and moves a subject such as a finger o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image sensor of the optical input device 10 photographs it to generate an image capturing frame. Information is input by recognizing which direction the subject moves in the light projector 11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frame.

투광부(11)는 복수 개의 슬릿(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슬릿 들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든 슬릿은 개별적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피사 체가 슬릿 11a를 따라서 움직이는 경우 그 방향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서 스크롤 업(scroll up) 또는 스크롤 다운(scroll down)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11b에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볼륨 업(volume up) 또는 볼륨 다운(volume down)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가 슬릿 11c를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 그 방향에 따라서 MP3 또는 동영상 재생 시 앞으로 감기 또는 뒤로 감기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lits 11a, 11b, 11c, 11d, 11e, 11f, 11g, and 11h, and each of the slits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n arc shape as a whole. All slits have individual functions. For example, if the subject moves along slit 11a, the scroll up or scroll down function may be executed depending on whether the direction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volume up or volume down function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in 11b. When the subject moves along the slit 11c, the forward or reverse function may be executed when playing an MP3 or a video according to the direction.

도 5에 도시된 광 입력장치(10)는 휴대 단말기(30)에서 디스플레이부(33)가 이동하여 광 입력장치(10)의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광 입력장치(10)를 작동시키는데,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optical input device 10 shown in FIG. 5, when the display unit 33 moves in the portable terminal 30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of the optical input devic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light and outputs the light. Operating the input device 10,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10)의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ptical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1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11)를 구비하는 커버(17), 커버(17)의 하부에 위치하는 렌즈(13), 렌즈(13)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19), 그리고 커버(17) 아래에 구비되어 있는 광원부(15)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 입력장치(10)는 이미지 센서(19)에 의해 수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광 입력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투광부(11)가 형성된 커버(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의 본체부(31)의 상면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optical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ver 17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nd a lens 13 positioned below the cover 17. , An image sensor 19 positioned below the lens 13, and a light source unit 15 provided under the cover 17.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optical input device 10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mage sensor 19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input device 10. In addition, the cover 17 having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of the portable terminal 30 as shown in FIG. 4.

다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슬릿의 폭을 크게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좁은 폭을 갖는 슬릿을 제작함으로써 외부 광원으로 인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In FIG. 5, although the width of the slit is larg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noise due to the external light source may be reduced by actually manufacturing the slit having a narrow width.

투광부(11)는 휴대 단말기 등의 본체를 형성하는 커버(17)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slit)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슬릿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정한 크기의 타원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슬릿에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23)를 올려 놓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투광부(11)의 슬릿에는 이물질 등의 개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과성 물질(21)이 삽입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lits formed on a cover 17 forming a main body of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and each of the slits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n ellips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user inputs information by placing a subject 23 such as a finger on the slit and moving i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transparent material 21 such as glass, transparent plastic, or the like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light-transmitting part 11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intervening.

투광부(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은 그 폭이 작기 때문에 촬영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는 노이즈로 인해 발생하는 광 입력장치의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23)는 커버(17)의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피사체(23)는 이미지 센서(19)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정확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lurality of slits 11a, 11b, 11c, 11d, 11e, 11f, 11g, and 11h form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are small in width, noise is less likely to occur in the captured image. Therefore, the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the optical input device from malfunctioning due to noise. Since the subject 23, such as the user's finger, move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7 and inputs information, the subject 23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with the image sensor 19, thereby making it more accurate. Input can be performed.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17)에는 피사체가 투광부(11)에 접촉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접촉 감지수단은 접촉 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일 수 있으며, 커버(17)의 표면에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23)가 접촉했는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커버(17)에 피사체(23)가 접촉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는 광원부(15)를 제어하여 빛을 커버(17)의 이면에 조사하고 이미지 센서(19)가 이때의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커버(17)에 피사체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광원부(15) 및 이미지 센서(19)를 작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17 may be provided with contac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subject touches the light emitting unit 11. The touch sensing means may be a touch sensor or a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subject 23, such as a finger, has touched the surface of the cover 17.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subject 23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17 by the touch sensing mean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15 to irradiate light on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7, and the image sensor 19 displays the image at this time. Acquire. When the subject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ver 17, the controller does not operate the light source unit 15 and the image sensor 19,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광원부(15)는 일정한 밝기의 빛을 투광부(11)를 향해 조사하는 것으로,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세기를 갖는 임의의 형태의 광원일 수 있다. 광원부(15)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ED) 및 텅스텐 광원, 광섬유 광원을 포함한다. 만약, 광 섬유 광원이 사용되는 경우 한 쌍의 광섬유 또는 갈라진 섬유가 반사 레이저 빔을 광검출기에 향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5 irradiates light having a constant brightness toward the light-transmitting unit 11, and may be any type of light source having an intensity that light reflected by a subject may be recognized by an image sensor. The light source unit 15 includes, for example, a laser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tungsten light source, and an optical fiber light source. If an optical fiber light source is used, a pair of optical fibers or split fibers may be used to direct the reflective laser beam to the photodetector.

광원부(15)는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데, 휴대 단말기에서 폴더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 하여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압력 센서와 같은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피사체가 커버(17)에 닿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광원부(15)를 동작시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렌즈(13)의 좌우에 한 쌍의 광원부(15)를 도시하였지만, 광원부(15)의 개수 및 배치는 투광부(11)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folder is rotated or slides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subject is placed on the cover 17 by a touch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s reach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light source unit 15 so that an input can be made. In FIG. 5, a pair of light source units 15 are sho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ns 13, bu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units 15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

렌즈(13)는 투광부(11)를 통해 입사한 빛이 이미지 센서(19)에 초점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13)로는 종래의 볼록 렌즈, 구형 또는 실린더형 미러, GRIN 렌즈, 또는 몰드 비구면 렌즈가 이용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어안 렌즈 등과 같은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는 하나의 렌즈(13)가 구비되어 있지만, 다양한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군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ens 13 serves to allow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light projector 11 to be focused on the image sensor 19. As the lens 13, a conventional convex lens, a spherical or cylindrical mirror, a GRIN lens, or a mold aspherical lens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wide-angle lens such as a fisheye lens capable of capturing a wide range of images. . In addition, although one lens 13 is provided in FIG. 5, a lens group consisting of various lenses may be used.

이미지 센서(19)는 표면에 복수 개의 픽셀(pixel)이 배열되어 있는 CCD 또는 CMOS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19)는 렌즈(13)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피사체(23)가 위치한 투광부(11)의 이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상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촬상 프레임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기준 프레임과 제어부에 의해 비교됨으로써 피사체가 어떤 슬릿을 따라서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파악된다. The image sensor 19 is composed of a CCD or CMOS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on a surface thereof. The image sensor 19 is positioned below the lens 13 and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where the subject 23 is located to generate an imaging frame. The image pickup fram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frame, which is already stored, by the controller to determine which direction the subject moves along in which slit.

제어부는 이미지 센서(19)가 작동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도 6b와 같은 촬상 프레임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기준 프레임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가 어떤 슬릿에 위치하고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했는지를 파악한다. 즉, 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ing Signal Processing, ISP)가 촬상 프레임과 기준 프레임을 블록 단위로 비교하여 피사체가 어떤 슬릿에 위치했는지를 파악하고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구하여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이와 같은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When the image sensor 19 is operated to generate an imaging frame as shown in FIG. 6B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controller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frame to determine how much the subject is located in which slit and in which direction. That i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ISP)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maging frame and the reference frame in units of blocks to determine which slit the subject is located in, and obtains a motion vector to move the subject. Get directions. The controller provid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o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에서 투광부(11)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 입력장치(10)의 이미지 센서(19) 및 광원부(15)를 작동하지 않게 하고, 디스플레이부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 하여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19) 및 광원부(15)를 작동시켜 연속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isplay unit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does not operate the image sensor 19 and the light source unit 15 of the optical input device 10, and the display unit rotates or Whe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liding, the image sensor 19 and the light source part 15 are operated to allow continuous shooting.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 하여 투광부(11)과 외부로 노출된 후에도 투광부(11)를 통해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이미지 센서 및 광원부를 정지시키고, 커버(17)에 형성된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피사체가 투광부(11)에 접촉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19) 및 광원부(15)를 작동시킨다. In addition, if information is not input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1 even after the display unit is rotated or slides and expos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1, the control unit stops the image sensor and the light source uni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f it is recognized by the contact sensing means formed at (17) that the subject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the image sensor 19 and the light source unit 15, which are stopped in operation, are operated.

도 6a는 이미지 센서(19)를 통해 생성된 기준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6b는 투광부(11)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19)를 통해 생성된 촬상 프레임을 나타낸다. FIG. 6A illustrates a reference frame generated by the image sensor 19, and FIG. 6B illustrates an imaging frame generated by the image sensor 19 in a state where the subject is positioned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도 6a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9)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 투광부(11)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피사체가 투광부(11)에 접촉하는 것이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커버(17)의 이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한다. 이때 광원부(13)는 투광부(11)를 향해서 빛을 조사한다. 커버(17)의 이면에는 광 흡수 물질 등이 도포되거나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부(11) 이외의 부분은 검은색으로 나타나고, 투광부(11)는 외부의 간접광 등에 의해 일정한 밝기를 갖는다. 그러나 투광부(11)는 외부에서 직사광선이 유입되지 않는 한 아주 밝은 영역은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투광부(11)에 피사체가 위치하지 않은 이미지가 기준 프레임으로서, 이는 도 6b의 촬상 프레임과 비교되어 투광부(11)에 피사체가 어떤 슬릿에 위치하는지 및 피사체의 이동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Referring to FIG. 6A, the image sensor 19 is recognized by the touch sensing means that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subject contacts the light emitting part 11 by rotating or sliding the display part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17 is photographed continuously.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unit 13 irradiates light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Since a light absorbing material or the like is coated or lamin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17, portions other tha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appear black,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has a constant brightness by external indirect light or the like. However,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does not generate a very bright area unless direct sunligh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in which the subject is not positioned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is a reference frame, which is compared with the image pickup frame of FIG. 6B to recognize which slit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To be.

광 흡수 물질로는 일반적인 흑색 페인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성분이 흑연, 암모니아, 계면활성제, 순수 및 규산알카리염으로 이루어진 특수한 광 흡수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 흡수 물질로서 블랙 카본(black carbon) 및 검 댕(soot)을 사용할 수도 있다. As the light absorbing material, a general black paint or the like can be used, and a special light absorbing material whose main component is graphite, ammonia, surfactant, pure water, and alkali silicate salt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black carbon and soot may be used as the light absorbing material.

도 6b는 투광부(11)에 피사체(23)가 위치할 때 이미지 센서(19)가 커버(17)의 이면을 촬영한 촬상 프레임을 나타낸다. 6B illustrates an image pickup frame in which the image sensor 19 photographs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7 when the subject 23 is position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투광부(11)에 손가락 등과 같은 피사체(23)가 위치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19)는 이때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상 프레임을 생성하게 한다. 촬상 프레임에서 피사체(23)는 내부의 광원부(13)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밝기의 변화를 영상처리를 통해서 인식함으로써 피사체(23)가 투광부(11)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및 피사체(23)의 이동 방향을 제어부가 인식하게 된다. When the subject 23 such as a finger is positioned o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the image sensor 19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image at this time to generate an imaging frame. In the image pickup frame, the object 23 is relatively brightened by the light source unit 13 inside. By recognizing such a change in brightness through image process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23 and the object (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moving direction of 23).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센서 및 렌즈 등을 구비하고 영상처리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버튼 및 돔버튼 등을 이용한 종래의 입력장치에 비해 그 부피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input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n image sensor, a lens, and the like, and input information by image processing. Its volume can be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device.

도 7a 내지 도 7b는 슬릿 상에서 피사체인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 및 피사체가 각각 다른 슬릿을 교차하면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7A to 7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s finger, which is an object on a slit, mov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 subject moves while crossing different slits.

도 7a는 슬릿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입력방법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시의 볼륨, 동영상 또는 MP3 파일의 재생시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슬릿 11a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륨이 증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륨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릿 11a, 11b, 11h, 11g와 같이 상호 인접하는 슬릿들을 연속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와 동일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슬릿 11a, 11b, 11h, 11g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륨을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슬릿 11c, 11d, 11f, 11e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크롤 업(scroll up) 또는 스크롤 다운(scroll down)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user's finger moves in a clockwise direction on a slit. Through the input method, the portable terminal may adjust a volume during a call, a volume when playing a video or an MP3 file. That is, the volume may increase when moving clockwise along the slit 11a, and the volume may decrease when moving counterclockwise. The same or different functions may be performed by continuously moving adjacent slits such as slits 11a, 11b, 11h, and 11g.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fing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continuously along the slits 11a, 11b, 11h, 11g, the volume can be continuously increased or decreased. When the user continuously moves the finger along the slits 11c, 11d, 11f, and 11e, a scroll up or scroll down function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는 버튼을 여러 번 누를 필요 없이, 슬릿을 따라서 손가락 등을 연속적으로 움직이기만 하면 연속적인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의 입력이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venient for inputting inform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nput information only by continuously moving a finger or the like along the slit without pressing a button several times.

도 7b는 우측 상단의 슬릿(11b, 11d)을 교차하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와 같은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거나 각각 상이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슬릿 11d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크롤 다운 기능이 수행되다가 슬릿 11b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스크롤 업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가 슬릿 11d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동영상 파일 또는 MP3 파일의 되감기 기능이 수행되다가 슬릿 11b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볼륨 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피사체가 슬릿 11d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동영상 또는 MP3 파일의 빨리 감기 기능이 실행되고 슬릿 11b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볼륨 업 또는 화면의 밝기가 증가할 수 있다.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a subject crossing the slits 11b and 11d at the upper right, and the same function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or different functions may be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scroll down func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subject moves the slit 11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croll up func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subject moves clockwise along the slit 11b. When the subject moves the slit 11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rewinding function of the video file or the MP3 file is performed, and when the subject moves clockwise along the slit 11b, the volume up function may be executed. Meanwhile, when the subject moves clockwise along the slit 11d, the fast forwarding function of the video or MP3 file is executed, and when the subject moves clockwise along the slit 11b, the volume up or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may increase.

물론 이와 같은 기능은 예시적인 것으로, 피사체가 어떤 슬릿을 따라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슬릿 11c, 11d, 11f 및 11g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의 촬영시 촬영되는 화면의 밝기를 크게 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피사체가 이동하면 화면을 어둡게 할 수 있다. Of course, such a function is exemplary, and various information may be input depending on which direction the subject moves along which slit. For example, if the subject moves clockwise along the slits 11c, 11d, 11f, and 11g, you can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taken when taking a picture or shoot a movie, and darken the screen when the subject moves counterclockwise. can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서 본체부와 슬라이드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된 폴더 타입의 단말기를 예시하였지만, 슬라이드형(slide type) 단말기 또는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도 광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 뿐만 아니라 휴대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도 상기 실시예에 따른 광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above, a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er type terminal in which a main body portion and a slide portion are coupled by a hinge is illustrated, but a slide type terminal or a bar type Of course, the terminal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optical input device. The optica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provided not only in the mobile phone but also in a portable computer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als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cal input device that can reduce the volum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cal input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at can reduce the malfunction.

본 발명은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력이 편리하고 정확한 입력이 가능한 광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cal input device capable of convenient input and accurate input because of continuous input,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laims (8)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를 구비한 커버와;A cover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상기 투광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A light source unit radiating light towar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투광부를 포함한 상기 커버를 촬영하여 촬상 프레임을 생성하게 하는 이미지 센서와;An image sensor for photographing the cover includ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under the cover to generate an imaging frame; 상기 커버의 기준 프레임과 상기 촬상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투광부에 위치하는 상기 피사체의 이동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는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입력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inuously compare the reference frame of the cover and the imaging frame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subject located in the light-transmitting unit, thereby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광부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입력장치.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s a slit formed in the cov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슬릿은 원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입력장치.The slit has an arc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in the cov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슬릿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입력장치.The slit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n ellips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버의 이면에는 광 흡수 물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입력장치.And a light absorbing material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버에는 상기 투광부에 피사체가 접촉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접촉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고,The cover is provided with contact detect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in contact with the light-transmitting pa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투광부에 상기 피사체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투광부에 상기 피사체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광원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입력장치.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ubject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projecting unit by the touch sensing unit, and operates the image sensor and the light source unit when the subject is positioned in the light projecting unit.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광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optical input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광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부와;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unit on which the optical input device is mounted; 상기 광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optical input device,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이루는 휴대 단말기. The cover is a portable terminal forming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여 상기 투광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광원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mage sensor and the light source unit when the display unit moves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060070415A 2006-07-26 2006-07-26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102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15A KR20080010215A (en) 2006-07-26 2006-07-26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15A KR20080010215A (en) 2006-07-26 2006-07-26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15A true KR20080010215A (en) 2008-01-30

Family

ID=3922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415A KR20080010215A (en) 2006-07-26 2006-07-26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2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340B2 (en) Mobile device case and techniques for multi-view imaging
CN106716318B (en) Projection display unit and function control method
US7176881B2 (en) Presentation system, material presen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for presentation
JP2008507787A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
CN103299259A (en) Detection device, input device, proj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1404133A (en) Automatic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JP2012053584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100843590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81714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64289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66196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JP201212325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80020343A (en) Fingerprint recogniton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589440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JP2013205543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816095B1 (en)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6195706A (en) Optical coordinat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010215A (en) Optical 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1170754A (en) Optical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same
JP6362282B2 (en) Scanner unit and image scanner device
KR100734246B1 (en) Optical pointing device with reflector
JP6146765B2 (en) Scanner unit and image scanner device
KR100788499B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406657Y1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optical pointing apparatus
JP2014233005A (en) Image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