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238A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238A
KR20080008238A KR1020070070177A KR20070070177A KR20080008238A KR 20080008238 A KR20080008238 A KR 20080008238A KR 1020070070177 A KR1020070070177 A KR 1020070070177A KR 20070070177 A KR20070070177 A KR 20070070177A KR 20080008238 A KR20080008238 A KR 20080008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address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종
김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77Initialisation or configurat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5Initialisation of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치는, 망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운용을 관장하며, 다른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주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프로세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하위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각 프로세서의 환경 정보를 주 프로세서가 모두 관리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운용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구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초기 기동, 환경 정보

Description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MULTI PROCESSOR SYSTEM}
본 발명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or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각 프로세서들의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구조는 점차 복잡해지고 그 양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일 프로세서로는 상기 복잡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서에 집중되어 있는 기능을 여러 프로세서로 분산시켜 처리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의 부담을 줄이고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or System)이 사용된다.
상기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각각의 프로세서들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 다. 즉, 상기 각각의 프로세서들은 외부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각자의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실행 프로그램에 따라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들이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또는 저장 장치 주소 등을 획득해야 한다. 즉, 상기 경로나 장치 주소 등의 환경 정보는 시스템의 초기 기동을 위해서 각 프로세서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할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각 프로세서들의 초기 기동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가 속한 장치의 종류 및 주소,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장치의 주소,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 및 경로 정보 등을 의미한다.
상기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들은 각자의 환경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초기화 시 각 프로세서들은 가지고 있는 환경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하지만, 상기 환경 정보를 각 프로세서들이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 환경 정보를 수정하는 경우, 모든 프로세서들에 각각 저장된 정보들을 일일이 수정해 주어야한다. 이로 인해, 환경 정보의 오류로 인한 문제 발생이 증가하고, 유동성 있는 시스템 설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모든 프로세서의 환경 정보를 주 프로세서에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주 프로세서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치는, 망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운용을 관장하며, 다른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주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프로세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하위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주 프로세서 장치는, 망 관리 장비 내 모든 프로세서들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하위 프로세서 장치는, 망 관리 장비 내의 프로세서 연결 구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와, 프로세서 초기화 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하고,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4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주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은, 망 관리 장비 내의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5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하위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 초기화 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하는 과정과, 망 관리 장비 내의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각 프로세서의 환경 정보를 주 프로세서가 모두 관리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운용을 단순화하고, 다양한 구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or System)에서 시스템 초기 기동에 필요한 각 프로세서들의 환경 정보를 주 프로세서에서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주 프로세서에서 하위 프로세서로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기술될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망 관리 장비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환경 정보는 프로세서가 속한 망 관리 장비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비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 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프로세서(110)는 제어부(111), 위치 정보 저장부(113) 및 환경 정보 저장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주 프로세서(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초기화 시, 상기 환경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13)는 상기 주 프로세서(110)가 프로세서 연결 구조에서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13)는 주 프로세서(110)가 스스로를 주 프로세서(110)라고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환경 정보 저장부(115)는 시스템 내의 모든 프로세서들의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정보 저장부(115)는 비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된 데이터는 시스템의 전원이 온/오프되어도 유지되며, 상기 환경 정보 저장부(115)는 시스템 초기화 시 상기 제어부(111)로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프로세서(120)는 제어부(121) 및 위치 정보 저장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21)는 상기 하위 프로세서(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초기화 시, 환경 정보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하위 프로세서(120)에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1)는 상기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로 상기 주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의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23)는 상기 하위 프로세서(120)가 프로세서 연결 구조에서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23)는 하위 프로세서(120)가 스스로를 하위 프로세서(120)라고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주 프로세서에서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11)는 201단계에서 시스템 초기화 시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통해 주 프로세서임을 확인한다. 즉, 상기 주 프로세서는 상기 하위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제공해야하는 주 프로세서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 요청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환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205단계로 진행 하여 상기 환경 정보를 요청한 하위 프로세서에게 해당 환경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주 프로세서에 직접 연결된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환경 정보 송신을 완료했는지 확인한다. 만일, 환경 정보 송신을 완료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11)는 20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환경 정보 송신을 완료했으면, 상기 제어부(111)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외부로부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하위 프로세서에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21)는 301단계에서 시스템 초기 시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통해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한다. 즉, 주 프로세서가 아님이 확인됨으로 인해, 상기 제어부(121)는 프로세서 내에 상기 환경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판단한다.
상기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한 후, 상기 제어부(121)는 303단계에서 상위 프로세서에게 환경 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21)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환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1)는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상위 프로세서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반면, 상기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21)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주 프로세서로 실행 프로그램을 요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간 신호 교환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서, 주 프로세서(410), 1차 하위 프로세서(420), 2차 하위 프로세서(430)의 연결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전반적인 운용을 관장하고, 시스템의 실행프로그램 다운로딩(Downloading), 형상 정보 관리, 장애/상태 관리, 통계의 최종 수집자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그리고,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 및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20)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동작을 위한 일부 기능들을 분담하며,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는 상기 주 프로세서(410)로부터 직접 환경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를 통해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주 프로세서(410), 1차 하위 프로세서(420) 및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시스템 초기화 시 각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401단계). 즉,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스스로 주 프로세서임을 확인하여 환경 정보 요청 신호 수신을 대기하고,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 및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스스로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요청한다(403, 405단계).
다시 말해, 상기 환경 정보를 확인한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는 스스로 주 프로세서임이 아님을 판단하여 상기 주 프로세서(410)로 환경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03단계). 또한, 상기 환경 정보를 확인한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스스로 주 프로세서임이 아님을 판단하여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로 환경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05단계).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로부터 환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로 환경 정보를 송신한다(407단계). 여기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의 환경 정보 뿐아니라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에 종속된 모든 프로세서의 환경 정보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환경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일정 시간 동안 환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한번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로 상기 환경 정보 요청 신호를 다시 송신한다(409단계).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로부터 환경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된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는 상기 주 프로세서(410)로부터 수신된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의 환경 정보를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로 송신한다(411단계).
1차 하위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 송신을 완료한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한다(413단계).
상기 환경 정보가 수신된 1차 하위 프로세서(420)는 상기 주 프로세서(410)로 실행 프로그램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15단계).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20)로부터 실행 프로그램 요청 신호가 수신된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410)로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송신한 다(417단계).
상기 환경 정보가 수신된 2차 하위 프로세서(430)는 상기 주 프로세서(410)로 실행 프로그램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419단계).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로부터 실행 프로그램 요청 신호가 수신된 상기 주 프로세서(410)는 상기 2차 하위 프로세서(430)로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송신한다(421단계).
상술한 실시 예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시스템 초기화 시, 주 프로세서가 모든 하위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제공한 후,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주 프로세서가 상기 실행 프로그램 로딩 경로와 관련된 하위 프로세서만 환경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한 후, 나머지 하위 프로세서들로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초기화 이후 상기 하위 프로세서가 독자적으로 초기화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 프로세서는 시스템이 초기화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언제라도 환경 정보 제공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하위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다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주 프로세서에서 환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하위 프로세서에서 환경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간 신호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간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25)

  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망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운용을 관장하며, 다른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주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프로세서 초기화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하위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장치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 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프로세서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주 프로세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하위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부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하위 프로세서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하위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초기화 시 자신이 하위 프로세서임을 인식한 후, 상기 주 프로세서로 환경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2차 하위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주 프로세서 장치에 있어서,
    망 관리 장비 내 모든 프로세서들의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하위 프로세서에게 해당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 연결 구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임을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장비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하위 프로세서 장치에 있어서,
    망 관리 장비 내의 프로세서 연결 구조에 대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와,
    프로세서 초기화 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하고,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망 관리 장비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비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에게 해당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장비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주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망 관리 장비 내의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환경 정보를 하위 프로세서들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치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장비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를 갖는 망 관리 장비의 하위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 초기화 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자신이 주 프로세서가 아님을 확인하는 과정과,
    망 관리 장비 내의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망 관리 장비의 식별자, 상기 망 관리 장비의 종류, 시스템 관리 서버 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코어 망(Core Network)에 연결되는 링크 종류, 코어 망으로 연결되는 링크별 IP 주소, 디버그(Debug) 용 링크에 사용할 MAC(Media Access Contorl) 주소,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사용 여부, 코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이벤트(Event)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 제공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종속된 하위 프로세서에게 해당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 장비는,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또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된 서브넷(Subnet)의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70177A 2006-07-18 2007-07-12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80008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6797 2006-07-18
KR1020060066797 2006-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38A true KR20080008238A (ko) 2008-01-23

Family

ID=3897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77A KR20080008238A (ko) 2006-07-18 2007-07-12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21986A1 (ko)
KR (1) KR200800082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5217A1 (de) * 2013-05-22 2014-11-27 Illinois Tool Works Inc. Kompressor zum Erzeugen eines Druckmediums
CA2949348A1 (en) 2014-05-16 2015-11-19 Cardlytic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identifier matching and management
US11526881B1 (en) 2016-12-12 2022-12-13 Dosh Holdings, Inc. System for generating and tracking offers chain of titles
US11538052B1 (en) 2016-12-12 2022-12-27 Dosh Holdings, Inc. System for generating and tracking offers chain of titles
US11488190B1 (en) 2016-12-12 2022-11-01 Dosh, Llc System for sharing and transferring currency
US10992738B1 (en) 2019-12-31 2021-04-27 Cardlytics, Inc. Transmitting interactive content for rendering by an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1986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6711C2 (ru) Вычис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тим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хранением и передачей компьютерных программ в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сети
CN101884208B (zh) 在多个适配器间同时支持多个虚拟ip地址的主机中的故障转移
CN110366276B (zh) 服务化架构基站
US20070110039A1 (en) Port forwarding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networks
KR20080008238A (ko)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N102090020A (zh) 通过在服务插入体系的节点中安装软件使服务动态实例化
GB2462160A (en) A distributed server system includes a table indicating communication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service programs
CN104346198A (zh) 信息处理装置、服务器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5827496A (zh) 管理pe设备的方法及装置
CN116996908A (zh) 主从网关和无线ap的融合管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2667293B (zh) 一种部署操作系统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108588B2 (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n internet of things multiplexer
US7417958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control element
JP5176482B2 (ja) 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管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0146246A (ja) マルチ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用フレームワーク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エージェント間通信方法
KR20170052262A (ko) 동적 명령어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3098728B (zh) 负载均衡系统的健康检查方法及相关设备
KR100522715B1 (ko) 디지털 홈서비스 분배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관리방법
US9509658B2 (en) Method of restoring a MAC address and recording medium
JP2005136629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22254517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6519411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管理プログラム
JP2008131641A (ja) 流動ip住所環境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基盤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JP6453141B2 (ja) Ip通信端末収容装置及びip通信端末収容システム
CN117176788A (zh) 物联网设备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