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844A -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844A
KR20080006844A KR1020060066100A KR20060066100A KR20080006844A KR 20080006844 A KR20080006844 A KR 20080006844A KR 1020060066100 A KR1020060066100 A KR 1020060066100A KR 20060066100 A KR20060066100 A KR 20060066100A KR 20080006844 A KR20080006844 A KR 2008000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con
operator
termi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성
Original Assignee
조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성 filed Critical 조지성
Priority to KR102006006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844A/ko
Publication of KR2008000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개시된다.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은 아이콘 등록부, 가상 공간 제 공부, 아이콘 제 공부, 및 상품 제공 수행부를 포함한다. 아이콘 등록부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한다. 가상 공간 제공부는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의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아이콘 제공부는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가상 공간에 아이콘을 제공한다. 상품 제공 수행부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이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한다.
온라인, 상품, 헬스 클럽, 동영상

Description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Onlin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oods and a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과 온라인 상점 운영자 사이의 수익 분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원을 운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관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 발전과 함께 일반인들의 여가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헬스 클럽, 에어로빅 클럽, 요가 클럽, 댄스 클럽과 같은 클럽 형의 학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학원들에서는 종래의 다른 형태의 학원들에서와는 달리 수강생들 전체에 대하여 교습을 하기보다는 개별 수강생별로 교습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충실한 교습을 위해서는 학원마다 충분한 수의 역량 있는 강사를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학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원 간의 경쟁이 치열해져서 학원의 입장에서는 충분한 수의 역량 있는 강사를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확보하더라도 이들의 임금이 부담이 되어 사업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소수의 강사들이 다수의 수강생을 교습해야 하거나, 충분한 역량이 없는 강사들이 수강생들을 교습하게 되어 교습의 질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강사의 입장에서는 개별 수강생마다 반복하여 동일한 내용의 교습을 계속하여야 되어 교습에 있어 의욕이 감소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지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원 경영에 필요한 자본이 없는 경우 저렴한 보수를 받고 고용으로 일할 수밖에 없다.
수강생의 입장에서는 시간적인 제한 또는 강사의 소극적인 태도와 같은 이유로 교습 내용을 반복해서 확인하기 어려워 교습 내용을 충분히 습득할 수 없는 형편이다.
또한, 교습생은 원활한 교습을 위해 교습에 사용되는 교보재 등의 상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학원에서 당해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학원은 상품 판매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품의 재고나 판매 유통의 과정에 부담을 가지게 된다.
또한, 교습생은 학원에서 직접 구매하는 경우, 학원이 자체로 다양한 품목의 상품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상품을 제대로 구매할 수 없고,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하는 일반 매장에서 물품을 구입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당해 물품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적절한 상품을 구매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학원의 강사와 같이 교습에 필요한 물품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자는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가장 적합한 상품을 구비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경제적인 부담 등으로 인하여 전문 매장을 운영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문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재고나 판매 유통의 부담이 없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지 않고 자신의 전문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자도 용이하게 다양한 종류의 전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헬스 클럽과 같은 클럽형 학원 교육에 있어서,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교습생에게 충실한 교습을 실시할 수 있고, 강사는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교습생은 시간이나 강사의 사정에 관계없이 교습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은 아이콘 등록부, 가상 공간 제공부, 아이콘 제공부, 및 상품 제공 수행부를 포함한다.
아이콘 등록부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한다. 가상 공간 제공부는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의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아이콘 제공부는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가상 공간에 아이콘을 제공한다. 상품 제공 수행부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이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문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재고나 판매 유통의 부담이 없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지 않고 자신의 전문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자도 용이하게 다양한 종류의 전문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아이콘 제공부는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의 아이콘의 배열 을 변경할 수 있다.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운영자는 상품 배치에 대한 자신의 노하우와 개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품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상품이 운영자 단말이나 구매자 단말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상품이나 사용자가 특별히 구입한 상품들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등록된 상품은 구매자 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컴퓨터 파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컴퓨터 파일의 내용을 구매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 등의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교습생에게 충실한 교습을 실시할 수 있고, 강사는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교습생은 시간이나 강사의 사정에 관계없이 교습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품 배송자 단말로 상품의 배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품이 오프라인상의 물품인 경우는 상품 배송자의 단말로 상품의 명칭, 배송지 등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청구한 발명,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발명이 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운영자 단말(200), 구매자 단말(300), 및 배송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있다.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아이콘 등록부(110), 가상 공간 제공부(120), 아이콘 제공부(130), 및 상품 제공 수행부(140)를 포함한다.
아이콘 등록부(110)는 통신망(500)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300)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한다. 이때, 상품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상품이 운영자 단말(200)이나 구매자 단말(300)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상품이나 사용자가 특별히 구입한 상품들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아이콘(icon)이란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에 조그마한 그림 또는 기호를 만들어 표시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각종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데이터 파일들을 쉽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에 해당되는 조그만 그림 또는 기호를 만들어 화면에 표시한 것이다. 아이콘은 그 기능이나 프로그램, 데이터 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며 컴퓨터를 초보자들도 사용하기 쉽게 해준다.
가상 공간 제공부(120)는 운영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300)의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아이콘 제공부(130)는 운영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가상 공간에 아이콘을 제공한다.
아이콘 제공부(130)는 또한, 운영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 의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운영자는 상품 배치에 대한 자신의 노하우와 개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온라인 쇼핑몰들은 제품을 텍스트 형식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리스트로 나열하여 원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조로서 텍스트 기반의 내비게이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원하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시각화해 한눈에 전달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대다수 사람의 익숙한 구매 형태는 공간의 개념을 가진 오프라인 매장의 형태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인터넷 쇼핑몰은 텍스트와 리스트 기반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실제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구매 형태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상 상점과 같은 가상 공간에 상품 아이콘을 배열함으로써, 상품의 구매자가 오프라인에서의 구매 과정에서처럼 익숙하고 용이하게 상품의 구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품 제공 수행부(14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이 상기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한다.
등록된 상품은 구매자 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컴퓨터 파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컴퓨터 파일의 내용을 구매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 등의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교습생에게 충실한 교습을 실시할 수 있고, 강사는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교습생은 시간이나 강사의 사정에 관계없이 교습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품 배송자 단말로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품이 오프라인상의 물품인 경우는 상품 배송자의 단말로 상품의 명칭, 배송지 등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문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재고나 판매 유통의 부담이 없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지 않고 자신의 전문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자도 용이하게 다양한 종류의 전문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 통신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210)을 통해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점 운영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등록한 운영자에게 상품을 배열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은 판매할 상품에 아이콘을 대응시켜 등록할 수 있으며, 운영자는 자신의 가상 공간에 자신이 판매하기를 원하는 상품의 아이콘을 진열한다.
운영자는 상품의 진열에 있어서, 실제 오프라인 매장에서처럼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표현하여 제품을 진열하고 온라인 매장을 꾸밀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매장을 꾸미듯 룸을 꾸밀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차별화된 매장을 표현할 수 있다.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300)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운영자의 가상 상점에 진열된 물건이나 컨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선택을 하면 해당 물건이나 컨텐츠 아이템에 연결되어 있는 실제 상품이나 컨텐츠 등을 구매하는 페이지로 연결된다.
구매자가 운영자의 가상 상점에서 구매를 하게 되면, 구매 관련 데이터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에 기록되고,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컨텐츠나 상품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100)은 운영자의 계좌로 수수료 개념의 수익을 일정부분 지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과 온라인 상점 운영자 사이의 수익 분배 구조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온라인 클럽A는 도 1의 운영자 단말(210)에 대응하는 온라인 상점이고, 일반 회원은 도 1의 구매자 단말(300)에 대응한다.
일반 회원 A가 온라인 클럽A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의 수입 분배를 나타낸다.
일반 회원이 온라인 클럽 A에 상품 구입의 대가로 비용을 지급하는 경우, 시 스템 운영자와 온라인 클럽의 운용자는 지불받은 비용을 분배하게 된다.
분배의 기준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르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그 기준은 상품의 구입과 유통 등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스템 운용자의 수고, 및 온라인 상점에 배열된 상품의 선택이나 배열과 같은 온라인 상점 운용자의 수고를 고려하여 정해질 것이다.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템 구입의 대가는 상품 판매 시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아이템 구입 시 온라인 상점의 운영자가 시스템 운영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만약, 판매된 상품이 구매자나 다른 온라인 상점 운영자와 같은 다른 시스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어 등록된 상품인 경우, 시스템 운영자는 상품 판매 시 자신에게 분배되는 수익에서 상품 제공의 대가로 미리 설정된 비율을 상품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도 2에는 일반 회원이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수행되는 수익 분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이 별도로 구입하여 제공하는 상품의 경우, 수익 분배는 일반 회원 A가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한번 수행되지만(610),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가 제공한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수익 분배가 두 번 수행(620, 622)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가 제공한 상품에 대해서 실제로 판매되는 경우, 수익 분배가 두 번 발생하도록 구성되었지만, 다른 구현 예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제공한 상품이 시스템에 등록될 때, 시스템이 상품을 등록한 사 용자에게 소정의 비용을 지급하고, 실제 상품의 판매 시에 구매자가 지불하는 비용에 대해서는 시스템 운용자와 상품이 판매된 온라인 상점의 운용자만이 수익을 분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한다(S110). 이를 위해,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신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상품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콘 등록 요청(S120)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품 정보에 따라 상품과 아이콘을 대응시켜 등록하게 된다.
상품이 운영자 단말이나 구매자 단말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등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상품이나 사용자가 특별히 구입한 상품들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 중 일부는 자신의 상품을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을 통해 판매하기 위해 가상 공간을 요청하게 되며(S130), 시스템은 이러한 요청에 따라 운영자의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S140).
자신의 가상 공간을 가진 운영자는 통신 단말을 통해 가상 공간에 배열하기 위한 아이콘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S150), 이에 따라,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가상 공간에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S160).
운영자 단말은 자신의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S170),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가상 공간에서의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S180).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운영자는 상품 배치에 대한 자신의 노하우와 개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고,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수의 운영자의 가상 상점을 방문할 수 있다.
구매자의 통신 단말이 운영자의 가상 상점 상에 배열될 아이콘을 선택하여 구매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S190),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한다(S200).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문 매장이 아닌 곳에서도 재고나 판매 유통의 부담이 없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지 않고 자신의 전문 매장을 운영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해 전문 지식이 없는 자도 용이하게 다양한 종류의 전문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품 배송자 단말로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등록된 상품은 구매자 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컴퓨터 파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컴퓨터 파일의 내용을 구매자 단말로 출력하 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파일 등의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교습생에게 충실한 교습을 실시할 수 있고, 강사는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며, 교습생은 시간이나 강사의 사정에 관계없이 교습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품이 오프라인상의 물품인 경우는 상품 배송자의 단말로 상품의 명칭, 배송지 등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 상품이 구매자 단말에 출력되는 컨텐츠인 경우, 운영자는 이를 이용하여 온라인 학원 또는 온라인 클럽을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이 접속하여 신청하는 경우 운영자의 가상 공간, 다시 말해, 가상 클럽을 생성해 준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학원을 운영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의 온라인 학원은 온라인 헬스 클럽으로서, 도 4의 가운데 부분에는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온라인 헬스 클럽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운영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을 통하여 자신의 클럽에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이나, 자신이 직접 제작한 지식 정보 동영상을 배열한다.
이때, 지식 정보 동영상은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대응 아이콘에 탑재되고, 지식 정보 동영상의 배열은 대응 아이콘이 운영자의 가상 클럽에 배열되는 형식으로 구현된다.
판매되는 상품이 헬스 기구 사용 방법의 동영상인 경우, 아이콘의 배열은 도 4에서처럼 당해 헬스 기구 사용 중인 운동자의 모양의 아이콘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은 운영자의 가상 클럽에 가입하여 동영상을 시청하고 훈련 또는 교육을 받는다. 이때 일정 금액의 시청료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시청료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과 운영자 단말의 계좌에 나누어 지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만일, 가상 클럽의 운영자가 실제로 오프라인 클럽의 운영자라면 운영자의 오프라인 클럽 회원들에게 무상 서비스 또는 유상 서비스를 통해 홍보나 회원 유치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추가 수입을 발생 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운영자 단말이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에 자신의 지식 정보를 상품화시켜 등록할 경우에는 다른 운영자 단말도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운영자 단말이 등록한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자신의 온라인 클럽에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과 운영자 단말은 운영자 단말이 운영자 단말의 지식 정보 상품을 이용하여 거둔 수익을 나눌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운영자 단말은 자신이 직접 생산한 컨텐츠는 자신의 온라인 클럽에는 무료로 무기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의 적극적 지식 정보를 컨텐츠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스트 형식의 기존 온라인 쇼핑몰 디스플레이 개념에서 벗어나 실제 오프라인에서처럼 상품 판매를 위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고, 컨텐츠나 상품을 아이콘화시켜 제공된 가상 공간에 제공함으로써 가상 상점의 운영자가 상품의 재고, 판매, 유통의 과정들에 대한 부담이 없이도 아이콘화된 컨텐츠나 상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가상 상점의 구성이나 제품 배열은 텍스트, 리스트화 되어 있는 현재의 온라인 쇼핑몰과 비교하면 구매자의 접근이 매우 용이하고, 판매자 또한 제품의 효과적인 디스플레이와 상품 아이콘의 직접적인 디스플레이로 인해 구매자와 상품 간의 연결 단계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오프라인 학원 운영자가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에 자신의 온라인 학원을 개설하고, 자신의 오프라인 학원에 가입하는 회원에게 무료 시청 쿠폰 등을 지급하여 다른 학원과의 홍보에서 더 유리한 조건으로 회원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종래의 홍보방법처럼 지엽적인 한계를 벗어나 인터넷을 통해 보다 폭넓게 자신의 오프라인 학원을 홍보함으로써 보다 많은 회원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오프라인 학원의 운영자는 동일하게 계속하여 반드시 강사의 직접적인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 아닌 정보 전달이나 훈련과 같은 반복적인 업무, 훈련 업무를 자동화시킬 수 있어 소유주의 고용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개설된 온라인 학원에서는 해당 오프라인 학원에서 제작된 영상뿐만 아니라 다른 제작자가 제작한 영상들도 탑재시킬 수 있어 오프라인 교습생들에게도 다양한 정보를 담은 영상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되며, 교습생은 시간 과 장소에 관계없이 다양한 교습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스템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지식 정보를 컨텐츠화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으므로, 가상 공간에 다수의 학원과 학원 운영자가 생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스템에는 다양한 지식정보가 축적되고, 시스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방대한 지식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오프라인 학원에서 오프라인 학원의 온라인 학원을 개설하는 경우, 다른 경쟁 오프라인 학원에 비해 다양한 교육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온라인 학원에서 자연스럽게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와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한 친목 도모는 회원의 이탈을 막고 장기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하는 아이콘 등록부;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의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제공부;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자 가상 공간에 상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아이콘 제공부; 및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이 상기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하는 상품 제공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제공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상기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컴퓨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상기 컴퓨터 파일의 내용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품 배송자 단말로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7.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등록된 운영자 단말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품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의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자 가상 공간에 상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단계; 및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매자 단말이 상기 가상 공간에 제공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 공간에서의 상기 아이콘의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상품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컴퓨터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상기 컴퓨터 파일의 내용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출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품 제공 과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품 배송자 단말로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 제공 방법.
  13. 제 7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20060066100A 2006-07-14 2006-07-14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KR20080006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00A KR20080006844A (ko) 2006-07-14 2006-07-14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100A KR20080006844A (ko) 2006-07-14 2006-07-14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44A true KR20080006844A (ko) 2008-01-17

Family

ID=3922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100A KR20080006844A (ko) 2006-07-14 2006-07-14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84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5A (ko) * 1999-08-06 1999-11-05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9194A (ko) * 2001-06-21 2001-08-22 우동준 인터넷 상에서 3차원 가상현실 이미지에 의한 전자쇼핑몰웹사이트의 상품배치방법
KR20020068482A (ko) * 2002-07-27 2002-08-27 이길용 인터넷 상에서 가상백화점 사이트의 운영방법
KR20020084148A (ko) * 2000-03-10 2002-11-04 리츠에프엑스 리미티드 가상현실 쇼핑시스템용 유저 인터페이스
KR20050008928A (ko) * 2003-07-14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전자상거래를 위한 가상매장의 구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775A (ko) * 1999-08-06 1999-11-05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84148A (ko) * 2000-03-10 2002-11-04 리츠에프엑스 리미티드 가상현실 쇼핑시스템용 유저 인터페이스
KR20010079194A (ko) * 2001-06-21 2001-08-22 우동준 인터넷 상에서 3차원 가상현실 이미지에 의한 전자쇼핑몰웹사이트의 상품배치방법
KR20020068482A (ko) * 2002-07-27 2002-08-27 이길용 인터넷 상에서 가상백화점 사이트의 운영방법
KR20050008928A (ko) * 2003-07-14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전자상거래를 위한 가상매장의 구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eyers et al.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in real estate: How customer experience drives attitudes toward properties and the service provider
Clodfelter Retail Buying: From Basics to Fashion-with STUDIO
Csikósová et al. Strategy in direct and interactive marketing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Flavian et al. Web design: a key factor for the website success
KR20080015494A (ko)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Wolfe Assuring business school learning with games
Rippé Show and sell: Teaching sales through hands-on selling
Kundu et al. Personalization in education using recommendation system: an overview
Drake-Bridges et al. Teaching marketing through a micro-economy in virtual reality
Taney et al. Teen spaces: The step-by-step library makeover
Chuang A web-based simulation game for teaching supply chain management
Herhausen et al. Steering customers to the online channel: The influe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learning investments, and attitude toward the firm
Jedin et al. Marketing mix elements and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Empirical evidence in the Malaysia edutainment theme park industry
Paul et al. Teaching customer experience quality and its significance in retail management: a role playing game using Chinese Puzzle ‘Tangram’
Adaji et al. Evaluating the susceptibility of e-commerce shoppers to persuasive strategies. a game-based approach
Lal et al. Website personality: a theoretical study
Visich et al. B2C mass customization in the classroom
Greene Business gaming for marketing decisions
Mott et al. The next-generation CBE architecture: A learning-centric standards-based approach
KR20080006844A (ko) 온라인 상품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매체
US20140201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user network groups
Giridher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informal economies
Smith-Glaviana et al. Students’ Perceptions of a Simulated Store Planning Project Set in a Brick and Mortar Retail Research Lab
Daňo et al. Consumer knowledge about food labelling in Slovakia
Segel Retail business kit for dumm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