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04A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 Google Patents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704A
KR20080006704A KR1020060065740A KR20060065740A KR20080006704A KR 20080006704 A KR20080006704 A KR 20080006704A KR 1020060065740 A KR1020060065740 A KR 1020060065740A KR 20060065740 A KR20060065740 A KR 20060065740A KR 20080006704 A KR20080006704 A KR 2008000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focus
recording
ligh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윤섭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704A/en
Priority to PCT/KR2007/001226 priority patent/WO2007117082A2/en
Priority to US11/727,419 priority patent/US20070237058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1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by non-optical methods, e.g. capaci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discriminating method are provided to change a focusing position where a beam is irradiated to a recording medium and to distinguish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effectively. 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comprises a lens unit, a focus control unit, a driving unit, a beam rece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lens unit collects and irradiates a beam which is emitted from a beam source. The focus control unit changes a focusing position where the beam is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The driving unit adjusts the focus control unit and scans the recording medium. The beam receiving unit receives the beam reflected to the recording medium and generates a signal. The control unit discriminates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scanning the focus of the recording medium by adjusting the focus control unit(S12); a step of detect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change of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S13); and a step of requesting insert of a new recording medium when the recording medium is not a target recording medium(S14).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iscrimining method of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approximately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기록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ferre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광 픽업의 광학계를 기록 매체와 함께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tical system of an optical pickup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recording medium.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렌즈부를 기록 매체와 함께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section together with a recording medium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포커스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렌즈부와 함께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ocus adjusting unit together with a lens uni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포커스 조절부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cus control uni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포커스 조절부와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광의 관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cus adjusting unit and the light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which constitu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4분할 광 검출소자로 구성된 수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light receiving unit composed of a four-segment photodetector. FIG.

도 8은 비점수차 방식에 의한 광 신호의 특성을 도시한다. 8 shows characteristics of an optical signal by the astigmatism method.

도 9는 수광부에 검출되는 반사광의 형태를 도시한다. 9 shows the form of the reflected light detected i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도 10은 포커싱 되는 위치가 변화와 FE의 관계를 도시한 상관관계도이다. FIG. 10 is a correlation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hange in focusing position and FE.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포커싱 되는 위치 변화에 따른 TE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TE according to a change in a focused posi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constitut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showing a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광 픽업(P/U) 2: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 optical pickup (P / U) 2: RF and servo error generator

3: 제어부 4: 포커스 서보 구동부3: control unit 4: focus servo drive unit

5: 트랙킹 서보 구동부 6:디코더5: Tracking Servo Drive 6: Decoder

7: 엔코더 8: ATAPI I/F7: Encoder 8: ATAPI I / F

9: 마이콤 10: 광원9: micom 10: light source

20: 렌즈부 21: 대물 렌즈20: lens unit 21: objective lens

22: 근접장 형성 렌즈 30,30a: 포커스 조절부22: near-field shaping lens 30,30a: focus adjustment unit

31: 제1 렌즈 32: 제2 렌즈31: first lens 32: second lens

40: 분리합성부 45: 실린드리컬 렌즈40: separation synthesizer 45: cylindrical lens

50: 수광부 80: 기록 매체50: light receiver 80: recording medium

92: 엔벨로프92: envelope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기록 재생 방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criminating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fficiently determining a recording medium an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광 기록재생 장치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등과 같은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상기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소비자 기호의 고급화로 고화질의 동영상 처리가 필요해지고 동영상 압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밀도의 기록 매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고밀도의 기록 매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 기술 중의 하나가 광학 헤드 즉, 광 픽업에 관련된 기술이다. In general, a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or recording data on the recording medium using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ompact disc (CD) or a digital versatile disc (DVD) as a recording medium. As consumer preferences require high quality video processing and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develops, high density recording media are required. One of the key technologies necessary for developing a high density recording medium is an optical head, tha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optical pickup.

상기와 같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밀도는 기록 매체의 기록층에 조사되는 광의 직경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집속된 광의 직경이 작을수록 기록 밀도는 높다. 이때, 집속된 광의 직경은 크게 두 가지 인자로 결정된다. 하나는 집속시에 사용되는 렌즈의 성능인 유효개구수(Numeric Aperture, NA)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렌즈로 집속되는 광의 파장이다. In the abov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density may depend on the diameter of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focused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the higher the recording density.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ocused light is largely determined by two factors. One is the number of effective apertures (Numeric Aperture, NA), which is the performance of the lens used for focusing, and the other is the wavelength of light focused to the lens.

상기 집속광은 파장이 짧을수록 기록 밀도가 증가하므로,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파장이 짧은 광이 이용된다. 즉, 적색광에 비하여 청색광을 이용하는 경우 기록 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Since the focused light increases the recording density as the wavelength is shorter, light having a shorter wavelength is used 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cording density. In other words, when blue light is used as compared with red light, the recording density can be further increased.

그러나 일반적인 렌즈를 사용한 원격장(Far Field) 기록계 헤드의 경우는 광의 회절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광의 직경을 줄이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에 따라 광의 파장보다 작은 단위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읽을 수 있는 근접장 광학(Near Field Otics)에 의한 근접장 광기록(Near Field Recording,NFR)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Far Field recorder head using a general lens,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light because of the diffraction limit of the light. Accordingly, a near field recording (NFR) device using near field optics capable of storing or reading information in units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has been developed.

근접장 형성 렌즈를 이용한 근접장 광기록 장치는 대물렌즈 보다 굴절률이 높은 근접장 형성 렌즈를 이용하여 회절 한계 이하의 광을 얻으며, 상기 광은 소산파(Evanescent wave)의 형태로 계면에 근접한 기록 매체에 전파되어 고밀도의 비트 정보를 저장한다. Th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device using the near field forming lens obtains light below the diffraction limit by using the near field forming lens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objective lens, and the light is propagated to the recording medium near the interface in the form of an evanescent wave. Stores high density bit informatio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소산파를 유지하기 위하여 렌즈는 기록 매체와 근접한 근접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므로 대물 렌즈 자체를 움직여 포커싱되는 위치를 변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order to maintain the dissipation wav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focusing position by moving the objective lens itself because the lens must maintain a close distance to the recording medium.

또한, 기록 매체에 수록된 관리 정보를 통해 기록 매체의 구조 정보를 파악하므로 목적하는 기록 매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edium is grasped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etermine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desired recording mediu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포커스 위치가 가변되는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arying the focus position irradiated to a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집광하거나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광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광이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를 스캔하는 구동부, 상기 기록 매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 및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lens unit for condensing or irradiating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nd a path of the light so that light is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A focus adjusting unit for varying a focus position, a driver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to scan a recording medium,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generating a signal, and a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And a control unit for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상기 포커스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가 고정된 제1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ocus adjuster may include at least one adjustable lens to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first lens having a fixed position and a second len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하는 신호의 주기성에 상응하여,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값이 0이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하거나 RF 또는 TE의 값이 최대가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값이 0이 되고, RF 또는 TE의 값이 최대가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in correspondence with the periodicity of the chang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FE becomes 0, the focused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r when the value of RF or TE becomes maximum, the focused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Can be. Alternatively, when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FE becomes 0 and the value of RF or TE becomes maximum, the focused posi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근접장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물 렌즈와 함께 구비되며, 기록 매체와 근접한 간격을 유지하여 근접장을 형성하는 근접장 형성 렌즈와,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광이 상기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를 스캔하는 구동부, 상기 기록 매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 및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bjective lens in order to use a near field, and is provided on a near field forming lens which forms a near field at intervals close to the recording medium, and is provided on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 focus adjuster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a driver for adjusting the focus adjuster to scan the recording medium,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generating a signal, and the scanning proces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received signal.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주기성에 상응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controller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corresponding to the periodicity of the signal generated during the scan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은 근접장을 형성하며 기록 매체와 근접한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와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의 포커스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구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변화의 주기성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의 값이 '0'이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거나 알 에프(RF) 신호 또는 트랙 에러 신호의 값이 최대가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for forming a near field and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recording medium and a focus adjusting unit provided on the optical path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cus, wherein the focus adjusting unit is provided. By adjusting the scan of the focus of the recording medium,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can be determined by the change of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For example,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iodicity of the signal change. That is, the recording medium can be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becomes '0' 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RF (RF) signal or the track error signal becomes the maximum.

본 발명의 기록 재생 방법은,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 매체를 기록 재생함에 있어서 (a)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포커스를 스캔하는 단계와 (b)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구조를 판단하는 단계 및 (c)상기 기록 매체가 목표 기록 매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새로운 기록 매체의 삽입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a recording medium in the near fiel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to scan the focus and (b) using the change of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and (c) requesting the insertion of a new recording medium if the recording medium does not correspond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록매체"라 함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광 디스크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재생 장치"라 함은, 상기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물 렌즈의 이동이 제한되어 본 발명의 실효성이 큰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Hereinafter,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 recording medium " means any medium in which data is recorded or can be recorded, and specifically, an optical disk can be given. In addition, the term "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ny device capable of recording data or reproducing the recorded data using the recording medium.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ovement of the objective lens is limited and the effective near fiel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s possible at present, but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erms rather than nam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광 픽업(P/U, 1)은 광을 기록 매체에 조사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반사된 광 을 집광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광 픽업(1)을 구성하는 광학계(미도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픽업(1)에 구비되는 광학계는 광원(10), 렌즈부(20), 포커스 조절부(30), 분리합성부(40), 및 수광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optical pickup (P / U) 1 is a portion for irradiating light to a recording medium and condensing the light reflected on the recording medium to generate a signal. An optical system (not shown) constituting the optical pickup 1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That is, the optical system provided in the optical pickup 1 includes a light source 10, a lens unit 20, a focus adjusting unit 30, a separation synthesis unit 40, and a light receiving unit 50.

광원(10)은 직전성이 좋은 레이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원(10)은 구체적으로는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10)에서 방출되어 기록 매체에 조사될 광은 평행광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상에 광의 경로를 평행하게 하는 콜리메이트와 같은 렌즈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s the light source 10, a laser or the like having good directivity may be used. Therefore, the light source 10 is specifically a laser dio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to be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may be composed of parallel light. Therefor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lens, such as a collimate, to parallel the path of light on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렌즈부(20)는 상기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을 기록 매체(80)에 조사하고, 상기 기록 매체(80)에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렌즈부(20)는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렌즈(21)와 상기 대물 렌즈(21)를 통과한 광이 기록 매체로 입사하는 경로 상에 마련된 근접장 형성 렌즈(22)를 포함한다. 즉, 대물 렌즈(21) 이외에 굴절률이 높은 근접장 형성 렌즈(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렌즈부(20)의 개구수를 높이고 이를 통해 소산파(Evanescent wave)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22)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체 합침 렌즈(Solid Immersion Lens, SIL)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형의 렌즈를 절삭하여 형성되는 반구형 또는 초반구형(구와 반구의 중간 높이를 가지는 구형의 일부분을 초반구라 한다)의 렌즈를 이용할 수 있다. The lens unit 20 is a portion that irradiates the recording medium 80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condenses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cording medium 8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lens unit 20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th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bjective lens 21 and the objective lens 21 enters the recording medium. It includes a near field forming lens 22 provided in. That is, by providing the near field forming lens 22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lens 21, the numerical aperture of the lens unit 20 is increased to thereby form an evanescent wave. Here, the near field forming lens 22 may specifically use a solid immersion lens (SIL), for example, a hemispherical or ultra hemispherical shape formed by cutting a spherical lens (a sphere having a middle height between a sphere and a hemisphere). A part of is called the early hemisphere).

또한, 상기 렌즈부(20)를 포함하는 광 픽업의 광학계(100)는 기록 매체(80) 와 매우 근접하여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렌즈부(40, 구체적으로는 근접장 형성 렌즈를 지칭한다)와 기록 매체(80)를 광 파장의 약 1/4(즉, λ/4) 이하로 근접시키면, 상기 렌즈부(20) 내부에서 생성된 소산파는 성질을 유지하며 기록 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부(20)와 기록 매체(80)의 간격이 λ/4 이상으로 멀어지면, 광의 파장은 소산파의 성질을 잃어버리며 원래의 파장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상기 렌즈부(20)는 기록 매채(50)와의 간격이 대략 λ/4을 넘지 않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λ/4가 근접장의 한계가 된다.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100 of the optical pickup including the lens unit 20 is located very close to the recording medium 80. The concrete examp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lens portion 40 (specifically referred to as a near field forming lens) and the recording medium 80 are brought close to about 1/4 or less of the optical wavelength (that is, λ / 4) or less, the inside of the lens portion 20 The generated dissipation wave maintains its properties and can be use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Howev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unit 20 and the recording medium 80 is greater than λ / 4 or more, the wavelength of the light loses the property of the dissipated wave and returns to the original wavelength. Therefore,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near field, the lens unit 20 is maintai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recording medium 50 does not exceed approximately [lambda] / 4. Is the limit of the near field.

포커스 조절부(30)는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의 포커스 위치를 가변시키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절부(30)는 렌즈부(20)로 입사하는 광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포커스 조절부(30)는 렌즈부(20)와 별도로 광축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렌즈(3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동 가능한 렌즈(30a)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선을 따라 진행하던 광은 포커스 조절부(30a)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실선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포커스 조절부(30a)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이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The focus adjusting unit 30 is a portion for changing the focus position of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ocus adjusting unit 3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cus by changing a traveling path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unit 20. Therefore, the focus adjusting unit 30 may include at least one movable lens 30a provided on the optical axis separately from the lens unit 20. Therefore, as shown, only one movable lens 30a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traveling along the dotted line is changed by the focus adjusting unit 30a to travel along the solid line. By moving the focus adjuster 30a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position at which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var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커스 조절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31)는 고정되고 제2 렌즈(32)는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렌즈(32)는 제1 렌즈(31)를 통 과한 광이 집속되는 포커스(f)에 위치하거나 포커스(f)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adjuster 30 includes two lenses as shown in FIG. 5, wherein the first lens 31 is fixed and the second lens 32 is movable. Can be configured to That is, the second lens 32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focus f wher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31 is focused or to move along the optical axis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focus f.

여기서, 상기 제1 렌즈(31)를 통과한 광은 제2 렌즈(32)의 위치에 따라 발산광, 수렴광 또는 평행광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렌즈(31)를 통과한 광은 제2 렌즈(32)의 위치에 따라 포커스(f)을 향하여 집속되는 광의 경로를 발산시키거나 더욱 집속시킴으로서 광의 경로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0)에 의해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은 상기 제2 렌즈(32)가 제1 위치(32a)에 있는 경우(실선으로 표시)에는 기록 매체(80)의 표면에 포커싱된다. 반면에 상기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은 상기 제2 렌즈(32)가 제2 위치(32b)에 있는 경우(점선으로 표시)에는 기록 매체(80)의 내부에 포커싱된다. 이를 통해 렌즈부(20)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포커스 조절부(30)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80)에 포커싱되는 광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Her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31 forms divergent light, convergent light, or parallel l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32. That i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31 diverges or further focuses the path of light focused toward the focus f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32 so that the path of the light is chang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by the lens unit 20 is generated when the second lens 32 is at the first position 32a (in a solid line). Display) is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80. On the other hand,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is focused inside the recording medium 80 when the second lens 32 is at the second position 32b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As a result, the focus adjusting unit 30 may be adjusted without moving the lens unit 2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ight focused on the recording medium 80.

여기서, 상기 이동가능한 제2 렌즈(32)는 광 경로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1 렌즈(31)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조절부(30)를 구성하는 렌즈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20)를 통해 조사되는 광의 포커스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Here, the movable second lens 3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lens 31 to enable fine adjustment of the optical path. In addition, the lens constitu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3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to change the focus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lens unit 2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it is not limited to.

도 2의 분리합성부(40)는 동일한 방향에서 입사한 광의 경로를 분리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입사한 광의 경로를 합성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합성부(40)는 편광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의 편광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합성부(40)는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수평 방향의 편광 성분은 반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수평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은 반사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분리합성부(40)는 반사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후술할 수광부로 입사하도록 한다. The separation and synthesis unit 40 of FIG. 2 is a part that separates paths of light incident in the same direction or synthesizes paths of light incident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synthesis unit 40 may be configured to pass only polariz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For example, the separation composition part 40 may be configured to pass only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flect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pass only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reflect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the separation synthesis unit 40 changes the path of the reflected light to be incident to the light receiv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수광부(50)는 반사광을 수광하고 광전변환하여, 상기 반사광의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광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80)의 신호트랙방향과 래디얼 방향으로 특정분할,예를 들면 4분할한 4개의 광 검출 소자(PDA, PDB, PDC, PD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광 검출 소자(PDA, PDB, PDC, PDD)는 수광된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 a,b,c,d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50)를 구성하는 광 검출 소자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2분할 또는 그 이외의 구성이 가능하다. The light receiving unit 50 is a portion that receives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s the reflected light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reflected l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light receiving unit 50 includes four photodetecting elements (PDA, PDB, etc.), each of which is specifically divided into a signal track direction and a radial direction of the recording medium 80. PDC, PDD). Each of the photodetecting elements PDA, PDB, PDC, and PDD generates electrical signals a, b, c, and d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detecting device constituting the light receiving unit 50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divided into two or other configurations as necessary.

도 1의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는 상기 광 픽업(1)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재생에 필요한 알 에프 신호(RF)와 서보 제어에 필요한 트랙킹 에러 신호(TE), 포커스 에러 신호(FE) 등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광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a+b+c+d)하여 상기 RF얻을 수 있고, 상기 수광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a+d)-(b+c)하여 상기 TE를 얻을 수 있다.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ion unit 2 of FIG. 1 use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ptical pickup 1 to produce an RF signal RF for data reproduction, a tracking error signal TE for servo control, and a focus error. To generate a signal F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F may be obtained by (a + b + c + d)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a + d) − (b + c)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used to obtain the RF. Can be obtained.

제어부(3)는 상기 수광부 또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 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FE를 신호 처리하 여 포커싱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포커스 서보 구동부(4)로 출력하고, TE를 신호 처리하여 트랙킹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트랙킹 서보 구동부(5)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3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or 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ing unit 2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or a driving signal. For example, the FE is signal-processed to output a drive signal for focusing control to the focus servo driver 4, and the TE signal is processed to output a drive signal for tracking control to the tracking servo driver 5.

상기 포커스 서보 구동부(4)는 광 픽업(1) 내의 포커스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 또는 광 픽업의 렌즈부(20)를 상하로 움직인다. 이를 통해 상기 광 픽업(1) 또는 광 픽업의 렌즈부(20)는 기록 매체(80)의 회전과 함께 상하 움직임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서보 구동부(4)는 광 픽업의 포커스 조절부(30)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의 포커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커스 조절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ocus servo driver 4 moves the optical pickup 1 or the lens 20 of the optical pickup up and down by driving a focus actuator (not shown) in the optical pickup 1. As a result, the optical pickup 1 or the lens unit 20 of the optical pickup can track the vertical movement with the rotation of the recording medium 80. In addition, the focus servo driver 4 may adjust the focus adjuster 30 of the optical pickup to change the focus of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Here,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ocus adjusting unit 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상기 트랙킹 서보 구동부(9)는 광 픽업(1) 내의 트랙킹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킴에 의해 광 픽업(1) 또는 광 픽업의 렌즈부(20)를 래디얼(radial) 방향으로 움직여서 광의 위치를 수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광 픽업(1) 또는 광 픽업의 렌즈부(20)는 기록 매체(80)에 마련된 소정의 트랙을 추종할 수 있다.The tracking servo driver 9 drives a tracking actuator (not shown) in the optical pickup 1 to move the optical pickup 1 or the lens portion 20 of the optical pickup in the radial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ight. Correct it. As a result, the optical pickup 1 or the lens unit 20 of the optical pickup can follow a predetermined track provided on the recording medium 80.

상기와 같은 기록 재생 장치에는 PC와 같은 호스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재생 명령을 마이콤(9)으로 전송하고, 디코더(6)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기록할 데이터를 엔코더(7)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9)은 상기 호스트의 기록/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디코더(6), 엔코더(7) 및 제어부(3)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통상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ed Packet Interface, 8)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ATAPI(8)는 CD나 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기록/재생 장치와 호스트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규격이며,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인 패킷 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A host such as a PC may be connected to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host transmits a recording / reproducing command to the microcomputer 9 through the interface, receives the reproduced data from the decoder 6, and transmits data to be recorded to the encoder 7. The microcomputer 9 controls the decoder 6, the encoder 7, and the controller 3 according to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mmand of the host. In this case, the interface may use an ATAPI (Advanced Technology Attached Packet Interface) 8. Here, ATAPI (8) is an interface standard between an optical recording / playback device such as a CD or DVD drive and a host, and it is a standard proposed to transmit data decoded by an optical recording / playback device to a host, and the decoded data is processed by the host. It converts and transmits the packet data which is possible data.

이하에서는 상기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픽업에 있어서 광학계(100) 내부에서는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외에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작동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the pickup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 operation sequ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within the optical system 100 and on the basis of the flow of signals other than the above. do.

광 픽업(1) 내부의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은 분리합성부(40)를 통과하여 포커스 조절부(30)로 입사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은 상기 포커스 조절부(3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렌즈부(20)에 입사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의 포커스 위치는 포커스 조절부(30)가 광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하면 함께 일정하게 이동한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nside the optical pickup 1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and synthesis unit 40 and enters the focus adjusting unit 3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lens unit 20 in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adjusting unit 30. Therefore, the focus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moves constantly when the focus adjusting unit 30 constantly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렌즈부(20)의 대물 렌즈(21)로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 렌즈를(42) 통과하면서 소산파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22)에 입사한 광은 렌즈의 표면과 기록 매체(80)의 표면에서 전반사한다. 그리고 상기 임계각을 넘지 않는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22)에 입사한 광은 기록 매체(80)의 기록층에 반사된다. 이 과정에서 소산파가 생성된다.Light incident on the objective lens 21 of the lens unit 20 passes through the near field forming lens 42 to form a dissipation wave. Specifically, light incident on the near field forming lens 22 at a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is totally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lens and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80. Light incident on the near field forming lens 22 at an angle not exceeding the critical angle is reflected on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80. Dissipation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그리고 상기 기록 매체(80)에 반사된 광은 다시 렌즈부(20)를 통하여 분리합성부(40)로 입사한다. 이때, 상기 분리합성부(30)로 입사하는 경로상에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광 변환면은 기록 매체(80)로 입사하는 광과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편광 변환면으로 1/4 파장판(QWP, Quater wave plate)을 사용하면, 상기 1/4 파장판은 기록 매체(80)로 입사되는 광을 좌원 편광시키고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광을 우원 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1/4 파장판을 통과한 반사광은 입사광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변환되며, 서로 90도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분리합성부(40)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만 통과되어 입사된 광은 기록 매체(80)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분리합성부(40)로 입사될 때 수직 편광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 편광 성분의 반사광은 상기 분리합성부(40)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은 수광부(50)로 입사하게 된다.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cording medium 80 again enters the separation and synthesis unit 40 through the lens unit 20. In this case, a polarization converting surface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 path incident to the separation and synthesis unit 30. The polarization converting surface converts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recording medium 80 and the reflected light. For example, when a quarter wave plate (QWP) is used as the polarization converting surface, the quarter wave plate polarizes the light incident on the recording medium 80 in a left circle, and the reflected light proceeds in the reverse direction. Polarize. As a resul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quarter wave plate is converted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cident light, and has a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light incident only by the horizontally polarized component passed by the separating composition part 40 is reflected by the recording medium 80 to have a vertically polarizing component when it is incident on the separating composition part 40 again. Therefore, the reflected light of the vertically polarized light component is reflected by the separation and synthesis unit 40, and the reflected light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50.

상기 수광부(50)는 수광된 반사광의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는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알 에프 신호(RF) 및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랙 에러 신호(TE)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는 생성된 RF를 재생을 위해 디코더(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디코더(6)는 상기 RF로부터 원래 형태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또한,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는 데이터 기록을 위한 제어 신호는 엔코더(7)로 출력한다. 상기 엔코더(7)는 기록할 데이터를 기록 매체가 요구하는 포맷의 기록 펄스로 부호화한 후 광 픽업(1)을 통해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The light receiving unit 5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ight amount of the received reflected light. 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or 2 generates an RF signal RF, a focus error signal FE, a track error signal TE, and the like using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receiver. 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or 2 then outputs the generated RF to the decoder 6 for reproduction. The decoder 6 here recovers the original form of data from the RF. In addition, 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or 2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ata recording to the encoder 7. The encoder 7 encodes data to be recorded into recording pulses in a format required by the recording medium, and then records them on the recording medium via the optical pickup 1.

또한,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2)는 상기 생성된 신호를 제어부(3)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신호 생성부(2)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기록 재생 과정에서 정확한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F and servo error generator 2 outpu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controller 3. The controller 90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accurate data is recorded or reproduced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process.

이하에서는 상기 기록 재생 장치 또는 상기와 같이 포커스 조절부(30)를 통해 포커싱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 매체(80)를 판별하는 방법 및 기록 재생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ecording medium 80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in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r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whose position focused by the focus adjusting unit 3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매체(80)를 포커스 스캔하는 과정에서 얻는 포커스 에러 신호(Focus Error Signal, 이하 'FE'라 한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도 8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80 may be determined using a focus error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 obtained during the focus scan of the recording medium 80. hav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상기 FE는 수광부(50)에 수광되는 반사광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비점수차 방식으로 연산될 수 있다. 비점수차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기록 재생 장치는 도 2의 수광부(50)로 향하는 광 경로상에 비점수차 렌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E is a signal representing the symmetry of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50 and may be calculated in an astigmatism manner. In the case of using the astigmatism method,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stigmatism lens (not shown) on the optical path direc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50 of FIG.

도 8은 비점수차 방식에 의한 광 신호의 특징을 도시하며, 여기서 비점수차 렌즈는 실린드리컬 렌즈(45)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드리컬 렌즈(45)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포커스 거리가 다른 특징을 가지는데, 이를 비점수차 (Astigmatism)라 한다. 즉,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광에 의해 두 개의 포커스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포커스 사이에는 발산광과 수속광에 의한 광의 반경이 동일한 지점이 형성되는데 이 지점에서의 광의 분포 단면은 원형이 된다. 그리고 두 개의 포커스 중 상기 실린드리컬 렌즈(45)에 가까운 곳에서는 수직 방향, 먼 곳에 있는 포커스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광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수광부(50)를 상기 원형의 광 분포가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시키면, 광 분 포의 변화에 따라 포커싱 되는 위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드리컬 렌즈(45)를 통과한 광의 포커스가 정확히 기록층에 위치했는지 여부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를 형성한다. 즉, 렌즈부(20)의 포커싱 되는 위치가 기록층보다 멀 경우 (a), 가까울 경우 (c), 그리고 기록층에 위치하는 경우 (b)와 같은 분포를 나타낸다.8 illustrates a characteristic of an optical signal based on an astigmatism method, in which a cylindrical lens 45 may be used. The cylindrical lens 45 has a different focal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ich is called astigmatism. That is, two focuses are formed by light dir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Here, a point is formed between the two focus points having the same radius of light due to divergent light and converging light, and the light distribution section at this point is circular. An ellipse light having a long axis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loser to the cylindrical lens 45 and a horizontal direction at a focus at a far position among the two focuses. Therefore,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50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circular light distribution is form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ocus as the light distribution changes. That is, a signal as shown in FIG. 9 is 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focus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ylindrical lens 45 is correctly positioned in the recording layer. That is, when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lens unit 20 is farther than the recording layer (a), when it is close (c), and when it is located on the recording layer, the distribution is the same.

FE는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a,b,c,d는 도 7의 수광부(50)에서 생성되는 신호이고 k1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비례 상수에 해당한다.FE may be generated as follows, where a, b, c, and d are signals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er 50 of FIG. 7 and k1 corresponds to a proportional constant determined experimentally.

FE = k1[(a+c)-(b+d)]FE = k1 [(a + c)-(b + d)]

상기와 같이 형성된 FE는 포커싱 되는 위치가 기록층로부터 먼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까지 포커스를 스캔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S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FE=0이 될 때 기록 매체(80)의 포커싱된 위치가 기록층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상기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검출되는 FE에서 FE=0(Zero-cross)이 되는 지점을 검출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e FE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s an S-shaped curv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focusing position is scanned from a position far from the recording layer to a position close to the recording layer. Here, when FE = 0, the focused position of the recording medium 80 corresponds to the recording layer. Therefore, information about the recording medium can be obtained by detecting a point where FE = 0 (zero-cross) in the FE detected during the focus scan process.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매체(80)의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검출되는 FE=0이 되는 지점을 카운트하여 단일층(single layer)과 복수층(multi-layer)의 기록 매체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층 기록 매체에서 기록층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follows. A single layer and a multi-layer recording medium can be distinguished by counting a point at which FE = 0 detected in the focus scan process of the recording medium 80. In addition, the number of recording layers can be counted in a multi-layer recording medium.

그리고 상기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FE=0이 되는 지점이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층의 상부에 마련되어 기록층을 보호하는 보호층(cover layer)의 두께와 기록층 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록층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층(spacer)가 마련된 경우 상기 FE=0이 반복되는 간격을 측정하여 스페이서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In the focus scan process, a point at which FE = 0 is provided on the recording layer on the basis of the time poin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thickness of the cover layer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 and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In addition, when a spacer layer is provided to space the record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an interval at which FE = 0 is repeated. In this manner,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can be obtained. Based on this,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determined.

기록 매체 판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매체(80)가 기록 재생 장치에 로딩된다(S11). 그러면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80)에 수록된 정보를 읽기 전에 포커스 조절부(30)를 조정하여 포커스 스캔을 수행한다(S12). 즉, 제어부(3)는 포커스 조절부(30)의 이동가능한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을 스캐닝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cording medium discrimin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recording medium 80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S11). The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erforms the focus scan by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30 before read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80 (S12). That is, the control unit 3 scans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by moving the movable lens of the focus adjusting unit 3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3)는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생성되는 FE와 함께 FE=0이 되는 위치를 검출한다(S13). 상기 검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록층의 개수, 두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읽어 사용자 또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 기록 매체에 해당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S14). In addition, the controller 3 detects a position at which FE = 0 along with the FE generated during the focus scan process (S13).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contents,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position, etc. of the recording layer may be rea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spond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required by the user or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S1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매체(80)를 포커스 스캔하는 과정에서 얻는 트랙킹 에러 신호(Tracking Error Signal, 이하 'TE'라고 한다) 또는 알 에프 신호(이하 'RF'라고 한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TE 와 RF를 이용하는 방법은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므로 TE의 경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cking error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 or an RF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obtained during the focus scan of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recording medium 80. Since the method using the TE and the RF uses the same principle, the case of 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 and the case of using the same principle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서 상기 TE는 광이 기록 매체(80)의 트랙을 벗어남에 따른 반사광의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회전하고 있는 기록 매체(80)의 트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트랙 흔들림이 생긴다. 이 트랙 흔들림은 간단하게 기록 매체(80)의 회전 주파수 성분뿐만이 아닌 여러 고주파 성분을 가진다. 이때, 진동이나 온도 변화 등의 외란이 있어도 광이 조사되는 포커싱 되는 위치는 트랙 흔들림에 추종하게 하여 상기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편심되는 즉, 트랙을 벗어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항상 픽업이 트랙을 추종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편심에 의해 픽업이 한 트랙을 벗어나면 트랙 에러에 하나의 정현파가 출력되므로 기록 매체 1회전 동안 정현파가 몇 개 출력되는지 카운트하여 장착된 기록 매체의 편심량이 얼마인지 측정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트랙 에러 신호는 정현파의 형태로 나타난다. The TE is a signal indicating the asymmetry of the reflected light as the light leaves the track of the recording medium 80. Tracks of the rotating recording medium 80 are caused by track shaking due to various causes. This track oscillation has not only the rotation frequency component of the recording medium 80 but also various high frequency components. At this time, even if there is a disturbance such as vibration or temperature change, the focused position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follows the track shaking so that data can be recorded or reproduced on the track. It is then possible to drive the actua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ccentric, i.e. out of the track, so that the pickup always follows the track. In this case, if the pickup leaves one track due to the eccentricity, one sinusoidal wave is output to the track error, so that the number of sinusoidal waves is output during one rotation of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mounted recording medium is measured. Error signals appear in the form of sinusoids.

TE는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 있으며, a,b,c,d는 도 7의 수광부(50)에서 생성되는 신호이고 k2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비례 상수에 해당한다. TE may be generated as follows, and a, b, c, and d are signals generated by the light receiver 50 of FIG. 7 and k2 corresponds to a proportional constant determined experimentally.

TE = k2[(a+d)-(b+c)]TE = k2 [(a + d)-(b + c)]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TE는 포커싱 되는 위치가 기록층로부터 먼 위치에서 가까운 위치까지 포커스를 스캔한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정현파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주기적인 변화는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이 기록층의 표면에 포커싱되면 반사광의 광량이 최대가 되고, 그 이외의 경우 광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록 매체(80)에 포커싱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반사광의 광량에 차이가 생겨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정현파를 형성하게 된다. The TE form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sine wave which changes periodically as shown in FIG. 12 when the focusing position is scanned from a position far from the recording layer to a position close to the recording layer. This periodic change is because when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is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layer,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is maximized, otherwise the amount of light is reduced. Therefore, as the position focused on the recording medium 80 is changed, a difference occurs in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thereby forming a sinusoidal wave that changes periodically.

즉, 기록층의 표면에 포커싱된 경우 반사광이 형성하는 신호의 광량은 최대값(91)을 가지며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그리고 다음번 기록층의 표면에 광이 조사되면 다시 최대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정현파의 피크점을 연결하여 도시한 엔벨로프(92)를 통해 주기적인 신호의 변화를 파악하고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That is, when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layer, the amount of light of the signal formed by the reflected light has a maximum value 91 and gradually decreases as the position moves. Next, when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layer, the maximum value is again obtained. Therefore, the envelope 92 illustrated by connecting the peak points of the sinusoids can be used to grasp the change in the periodic signal and to determine the recording medium 80.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매체(80)의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검출되는 TE가 최대값인 지점을 카운트하여 단일층(single layer)과 복수층(multi-layer)의 기록 매체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층 기록 매체에서 기록층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follows. A single layer and a multi-layer recording medium may be distinguished by counting a point at which the TE detected in the focus scan process of the recording medium 80 is the maximum value. In addition, the number of recording layers can be counted in a multi-layer recording medium.

그리고 상기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TE가 최대값인 지점이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층의 상부에 마련되어 기록층을 보호하는 보호층(cover layer)의 두께와 기록층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록층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층(spacer)가 마련된 경우 상기 TE가 최대값인 지점이 반복되는 간격을 측정하여 스페이서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In the focus scan process, a point having a maximum value of T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cording layer based on a viewpoin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thickness of a cover layer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 and a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In addition, when a spacer layer is provided to space the record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spacer layer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an interval in which the point having the maximum value of TE is repeated. In this manner,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can be obtained. Based on this,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determined.

기록 매체 판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록 매체(80)가 기록 재생 장치에 로딩된다(S21). 그러면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80)에 수록된 정보를 읽기 전에 포커스 조절부(30) 를 조정하여 포커스 스캔을 수행한다(S22). 즉, 제어부(3)는 포커스 조절부(30)의 이동가능한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을 스캐닝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cording medium discrimin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recording medium 80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S21). The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erforms the focus scan by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30 before read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80 (S22). That is, the control unit 3 scans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80 by moving the movable lens of the focus adjusting unit 3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3)는 포커스 스캔 과정에서 생성되는 TE의 엔벨로프(92)에서 최대값을 갖는 위치를 검출한다(S23). 상기 검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록층의 개수, 두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읽어 사용자 또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 기록 매체에 해당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S24). In addition, the controller 3 detects a position having the maximum value in the envelope 92 of the TE generated in the focus scan process (S23).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content,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position, etc. of the recording layer may be read to determine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required by the user or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S2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매체(80)를 포커스 스캔하는 과정에서 얻는 FE와 함께 TE 또는 RF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80)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FE를 이용하는 방법은 기록 매체(80)에 조사되는 광이 편심 등에 의해 트랙을 벗어난 경우 옵셋을 포함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FE를 이용한 판단 과정에서, 상기 TE 또는 RF를 함께 확인하여 옵셋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FE를 이용하여 검출한 FE=0의 포커싱된 위치에서 TE 또는 RF가 최대값을 가지는지 확인해보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determined using TE or RF together with the FE obtained in the process of focus scanning the recording medium 80. The method using the F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n offset when the light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80 deviates from the track due to eccentricity or the like. Therefore,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using the F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offset is included by checking the TE or the RF together. For examp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whether the TE or the RF has the maximum value at the focused position of FE = 0 detected using the FE.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80)가 로딩되면, 데이터를 읽는 단계에 선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기록 매체(80)를 판별한다(S30). 즉, 포커스 스캔을 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기록 매체(80)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When the recording medium 80 is loaded,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termines the recording medium 8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prior to the step of reading data (S30). That is,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medium 80 is obtained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ocus scan.

그리고 상기 기록 재생 장치는 로드된 기록 매체(80)가 사용자 또는 기록 매 체가 필요로 하는 목적 기록 매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S31). 만약, 목적 기록 매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기록 매체를 삽입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S32). 그리고 목적 기록 매체에 부합하는 기록 매체(80)가 로딩된 경우, 기록 매체(80)에 수록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 기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33). 이를 통하여, 기록 매체(80)에 수록된 관리 정보를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기록 매체(80)를 판별하여 기록 재생할 수 있다.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loaded recording medium 80 corresponds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required by the user or the recording medium (S31).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it may be required to insert a new recording medium (S32). When the recording medium 80 corresponding to the target recording medium is loaded, a process of reading data or recording data including managem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80 is performed (S33). In this way, the time required for read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shortened, and the recording medium 80 can be determined and recorded and reproduced.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he method of discriminating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즉, 렌즈부와 별도로 마련된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광의 위치가 가변되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is varied by adjusting the focus adjust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ens portion.

또한, 기록 매체에 포함된 기록층의 개수와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기록층의 위치로 광이 조사되는 위치를 변경하고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recording layers included i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position thereof can be grasped, and control can be made to change and maintai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desired recording layer.

또한, 기록 매체에 수록된 관리 정보를 읽지 않고도 기록 매체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ording medium can be determined without read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cording medium.

Claims (15)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집광하거나 조사하는 렌즈부;A lens unit for collecting or irradia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광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광이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A focus adjuster provided on the path of the light to vary the position of the focus on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를 스캔하는 구동부;A driving unit which scans a recording medium by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상기 기록 매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 및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generating a signal; And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조절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cus adjustment unit,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at least one adjustable lens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l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조절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cus adjustment unit, 위치가 고정된 제1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a second lens fixed in position and a second lens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변화하는 신호의 주기성에 상응하여,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 께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in response to the changing periodicity of th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값이 0이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the focus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when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FE) becomes zero.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FE)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ocus error signal FE, 비점수차법에 따라 형성되는 광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a signal representing the symmetry of light formed by the astigmatism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F 또는 TE의 값이 최대가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the focused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when the value of RF or TE becomes maxim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포커스 에러 신호(FE)의 값이 0이 되고, RF 또는 TE의 값이 최대가 될 때 포커스된 위치를 상기 기록층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when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FE) becomes 0 and the value of RF or TE becomes maximum, the focused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near field, 대물 렌즈와 함께 구비되며, 기록 매체와 근접한 간격을 유지하여 근접장을 형성하는 근접장 형성 렌즈;A near field forming lens provided with an objective lens and configured to form a near field at a distance from the recording medium;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광이 상기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A focus adjuster provided on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he focus adjuster configured to vary a position of a focus at which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를 스캔하는 구동부;A driving unit which scans a recording medium by adjusting the focus adjusting unit; 상기 기록 매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 및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generating a signal; And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주기성에 상응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corresponding to the periodicity of the signal generated during the scanning process. 근접장을 형성하며 기록 매체와 근접한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와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포커스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포커스 조절부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에서,In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lens for forming a near field and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recording medium and a focus adjus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ptical path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ocus, 상기 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기록 매체의 포커스를 스캔하고, 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구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And adjusting the focus adjuster to scan the focus of the recording medium, and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by changing the signal generated during the scanning proc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rmination method, 상기 신호 변화의 주기성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층의 개수나 두께 또는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And determining the number, thickness, or position of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ity of the signal ch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method, 포커스 에러 신호의 값이 '0'이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focus error signal becomes '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ing method, 알 에프(RF) 신호 또는 트랙 에러 신호의 값이 최대가 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판별 방법.A counting method of a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value of the RF (RF) signal or the track error signal becomes maximum is counted.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 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 recording medium in a near fiel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a)포커스 조절부를 조정하여 포커스를 스캔하는 단계;(a) adjusting the focus adjuster to scan the focus; (b)상기 스캔 과정에서 생성된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구조를 판단하는 단계;(b)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change of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canning process; (c)상기 기록 매체가 목표 기록 매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새로운 기록 매체의 삽입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방법.(c) requesting insertion of a new recording medium if the recording medium does not correspond to a target recording medium.
KR1020060065740A 2006-04-11 2006-07-13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KR20080006704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40A KR20080006704A (en) 2006-07-13 2006-07-13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PCT/KR2007/001226 WO2007117082A2 (en) 2006-04-11 2007-03-13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medium
US11/727,419 US20070237058A1 (en) 2006-04-11 2007-03-26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40A KR20080006704A (en) 2006-07-13 2006-07-13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04A true KR20080006704A (en) 2008-01-17

Family

ID=3922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740A KR20080006704A (en) 2006-04-11 2006-07-13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7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44351A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hea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skew detection method
US7885163B2 (en) Optical pickup,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8009524B2 (en) Optical pickup unit,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0099987A (en) Magneto-optical head device
KR20080006704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discriminating method of medium
US20070237058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medium
KR20080034384A (en)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70101603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457468B2 (en) Optical pickup,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EP0803869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both CD and DVD
KR20080104529A (en) Optical apparatus,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80638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JP2009522712A (en)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080092125A (en) Optical apparatus,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0144510B1 (en) Multi-focusing optical pick-up device
KR100229680B1 (en) Optical pickup for different type disc
KR2008001329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method of track seek
KR20090030859A (en) Lens unit, optical system,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to and/or reproducing from a recording meidum
US553247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lens group for determining paths of an incident beam and a reflected & beam
KR20080083464A (en)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80026016A (en)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unit
KR19990055074A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477680B1 (en) Optical pickup
JP2594957B2 (e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JP2008108392A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