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26U -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 Google Patents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26U
KR20080006526U KR2020070010191U KR20070010191U KR20080006526U KR 20080006526 U KR20080006526 U KR 20080006526U KR 2020070010191 U KR2020070010191 U KR 2020070010191U KR 20070010191 U KR20070010191 U KR 20070010191U KR 20080006526 U KR20080006526 U KR 200800065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wer arm
exercise
fixing
u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웅
Original Assignee
안병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웅 filed Critical 안병웅
Priority to KR2020070010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526U/ko
Publication of KR20080006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61F2007/0031Upper 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61F2007/0034Lower 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운동 또는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운동구의 발열에 의해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여 효과적인 운동을 돕기 위하여, 사용자 팔의 상완을 고정하는 상완부, 하완을 고정하는 하완부 및 상기 하완부가 상기 상완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여 근육 및 관절 운동하는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의 내표면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 동작하는 발열부; 및 상기 관절부의 외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열, 재활, 치료, 운동구

Description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An exercising apparatus having heating mean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구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운동구 110: 상완부
111: 상완 하판 112: 상부 회절대
113: 상완 상판 120: 하완부
121: 하완 하판 122: 하부 회절대
123: 하완 상판 130: 관절부
132: 발열부 134: 스위치
C: 사용자
본 고안은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 또는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운동구의 발열에 의해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여 효과적인 운동을 돕기 위한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등에 따라 관절에 부상을 입은 환자는, 재활 치료에 의해 부상 부위의 기능을 회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재활 치료는 부상 부위를 온열 찜질을 수행한 뒤, 부하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온열 찜질을 통해 뭉쳐진 근육을 풀어주어야 부하 운동 중에 발생하는 근육 통증 등을 예방하여 효과적인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온열 찜질과 부하 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으나, 착오 등에 의하여 온열 찜질을 수행하지 않고 부하 운동을 하여 효과적인 재활 치료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온열 찜질과 부하 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온열 찜질과 부하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운동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발열부를 내장 한 운동구는, 사용자 팔의 상완을 고정하는 상완부, 하완을 고정하는 하완부 및 상기 하완부가 상기 상완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여 근육 및 관절 운동하는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의 내표면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 동작하는 발열부; 및 상기 관절부의 외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상완부 또는 하완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구의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100: 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는 간략히 '발열 운동구'라 한다)는 크게 상완부(110), 하완부(120) 및 관절부(130)를 포함한다.
상완부(110)는 상완 하판(111)과, 상부 회절대(112)를 통해 상완 하판(111)에 회절 가능하게 결합된 상완 상판(113)을 포함한다.
하완부(120)는 하완 하판(121)과, 하부 회절대(122)를 통해 하완 하판(121)에 회절 가능하게 결합된 하완 상판(123)을 포함한다.
관절부(130)는 하완부(120)가 상완부(110)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하완부(120)의 회절 동작에는 부하가 작용하여 사용자가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됨에 유의한다.
관절부(130)의 내표면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 동작하는 발열부(132)가 결합된다. 발열부(132)는 열선 또는 면상 발열체와 같은 주지의 발열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완부(110)의 내표면 및/또는 하완부(120)의 내표면까지 발열부(132)가 연장 결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관절부(130)의 외표면에는, 발열부(132)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134)가 결합된다.
(적용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운동구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운동구(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제1단계, 상완 상판(113)과 하완 상판(123)을 회절시킨 뒤, 사용자(C)의 팔을 위치시킨다.
제2단계, 상완 상판(113)과 하완 상판(123)을 회절시켜 상완 하판(111)과 하완 하판(121)과 맞물리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제3단계, 스위치(134)를 조작하여 발열부(132)를 동작시킨다.
제4단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근육이 충분히 데워지면, 하완부(120)를 관절부(130)를 기준으로 상완부(110)에 대해 회절 운동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발열부의 발열 동작에 의해 근육 및 사용자의 신체를 데운 뒤에 재활 치료가 가능하여, 재활 치료 시간을 줄이고 근육통과 같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운동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 팔의 상완을 고정하는 상완부, 하완을 고정하는 하완부 및 상기 하완부가 상기 상완부에 대해 회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여 근육 및 관절 운동하는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의 내표면에 결합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 동작하는 발열부; 및
    상기 관절부의 외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열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상완부 또는 하완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KR2020070010191U 2007-06-21 2007-06-21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KR200800065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191U KR20080006526U (ko) 2007-06-21 2007-06-21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191U KR20080006526U (ko) 2007-06-21 2007-06-21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26U true KR20080006526U (ko) 2008-12-26

Family

ID=4929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191U KR20080006526U (ko) 2007-06-21 2007-06-21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5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37B1 (ko) * 2011-01-03 2013-03-27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37B1 (ko) * 2011-01-03 2013-03-27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try et al. Rehabilitative guideline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 review
JP6500008B2 (ja) 人体関節又は人体の一部分を治療又は支持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Mattacola et al. Rehabilitation of the ankle after acute sprain or chronic instability
KR10124823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US6515593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n instrumented orthopedic restrain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Feland et al. Whole body vibration as an adjunct to static stretching
Chinchalkar et al. Rehabilitation of elbow trauma
Lee et al. The effect of McConnell taping on vastus medialis and lateralis activity during squatting in adul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KR10120336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GB2521596A (en) Orthopaedic device
LaPrade et al. Division I intercollegiate ice hockey team coverage
Macdonald Pocketbook of taping techniques
KR20080006526U (ko) 발열부를 내장한 운동구
Shah Increasing knee range of motion using a unique sustained method
Stracciolini et al. Sports rehabilitation of the injured athlete
US20040143199A1 (en) Orthopedic heating pad (OHP) orthopedic vibrating heating pad (OVHP)
WO2021034693A1 (en) Powered orthotic device for hand extens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Vaughn Isolated knee pain: a case report highlighting regional interdependence
US20180140495A1 (en) Multifunction joint brace
Letafatkar et al. Reliability of knee functional tests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Sammarco Principles and techniques in rehabilitation of the athlete's foot: Part III: rehabilitation of ankle sprains
Neumann et al. A physiological comparison of the short-leg walking cast and an ankle-foot orthosis walker following 6 weeks of immobilization
KR101983347B1 (ko) 손가락의 과신전을 막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
Land et al. Soft Tissue Injuries
KR101066130B1 (ko) 냉온가압치료 무릎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