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070A -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070A
KR20080006070A KR1020060064746A KR20060064746A KR20080006070A KR 20080006070 A KR20080006070 A KR 20080006070A KR 1020060064746 A KR1020060064746 A KR 1020060064746A KR 20060064746 A KR20060064746 A KR 20060064746A KR 20080006070 A KR20080006070 A KR 20080006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op
puf
extraction
im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호
백재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랜드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랜드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랜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006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070A/ko
Publication of KR2008000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The Person who Uses a crowd utilization Facilities)의 이미지를 로우포맷(Raw format) 형태의 소규모 코딩이미지(Coding image, 즉,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기 저장되어 있던 로우포맷형태의 AOP(Attention Objective Person)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AOP를 최소한의 시간 내에 선별·색출할 수 있는 전산유닛, 각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를 저장 관리하면서, 색출된 특정 AOP의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에 따라, 원본 안면이미지가 반영된 AOP 색출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실시간 보고할 수 있는 전산유닛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는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색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이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The system which searches the attention objective person from crowd utilization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OP 색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가능 PUF 안면이미지 수취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 및 AOP 색출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OP 색출정보 제공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OP 템플릿이미지 누적 갱신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 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의 게시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서, 특정 주목대상인물(Attention Objective Person; 이하, "AOP"라 호칭함)을 색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여러 다중이용시설 이용자들(The Person who Uses a crowd utilization Facilities; 이하, "PUF"라 호칭함)의 안면이미지를 로우포맷(Raw format) 형태의 소규모 코딩이미지(Coding image, 즉,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기 저장되어 있던 로우포맷 형태의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AOP를 최소한의 시간 내에 선별·색출할 수 있는 전산유닛, 각 AOP의 원본 안면이 미지를 저장 관리하면서, 색출된 특정 AOP의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에 따라, 원본 안면이미지가 반영된 AOP 색출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실시간 보고할 수 있는 전산유닛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는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색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이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가 간, 종교 간, 인종 간, 세대 간, 계층 간 분쟁이 심화되면서, 공항, 항만, 은행, 극장, 경기장, 학교, 공원 등의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유형의 대규모 범죄발생 위험성(예컨대, 테러 범죄 발생 위험성, 인질범죄 발생 위험성 등) 또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을 오가는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선택적으로 색출하고, 색출된 AOP를 적절히 사후 처리하는(예컨대, 체포, 주의 관찰, 미행 등) 문제는 대규모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 에서는, 이러한 상황인식 하에서, 예컨대,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한 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들이 관측하여, 특정 AOP를 색출·처리하는 조치>,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경찰(경비)인력들을 배치하고, 이 경찰(경비)인력들의 감시/검문에 의해, 특정 AOP를 색출·처리하는 조치> 등을 광범위하게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PUF는 그 숫자가 매우 많고, 특히, 테러분자, 인질범 등의 범인들은 의도적으로 PUF가 한꺼번에 분비는 시간에, PUF 속에 섞여, 다중이용시설을 배회하거나, 통행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관측한다 하더라도, 관리자가 단순히 자신의 시각에 의존하는 절차만으로, 다수의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시의 적절하게 분별·색출하기란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관리자가 특정 AOP를 실시간으로 조속하게 색출하기 위해서는 각 AOP의 안면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어야 하나, 이 또한,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경찰(경비)인력에 의한 감시/검문 조치의 경우에도, 별도의 보완책 없이, 단순히,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해, 특정 PUF가 AOP로 의심된다하여, 통행 중인 일반 PUF를 일일이 검색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를 뿐더러, 만약, 검문대상 PUF가 AOP로 판정된다 하더라도, 검문에 처한 AOP가 갑자기 흥분하여, 난동을 일으킬 경우, 주변의 일반 PUF가 피해를 입는 등의 예상 치 못한 더 큰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이미지를 로우포맷 형태의 소규모 코딩이미지(즉,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기 저장되어 있던 로우포맷 형태의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AOP를 최소한의 시간 내에 선별·색출할 수 있는 전 산유닛, 각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를 저장 관리하면서, 색출된 특정 AOP의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에 따라, 원본 안면이미지가 반영된 AOP 색출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실시간 보고할 수 있는 전산유닛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는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색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이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모듈들과 신호 연결되며, AOP의 안면이 반영된 로우포맷 형태의 AOP 템플릿 이미지를 미리 저장 관리하면서,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를 로우포맷 형태의 코딩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코딩이미지에 상응하는 AOP 템플릿이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AOP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색출정보를 생성·제공하는 AOP 색출 서버와, AOP 색출 서버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다수의 관리자 클라이언트들과 교신하며, AOP의 안면 및 관련기록이 반영된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면서, AOP 색출 서버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출정보에 따라, 특정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추출하여, 관리자 클라이언트들을 통해 출력·제공 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100)은 AOP 색출 서버(200)와, 이 AOP 색출 서버(200)와 연동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AOP 색출 서버(200)는 예컨대, 인터넷망 등과 같은 일련의 유/무선 통신망(1)을 기반으로 하여, 공항, 항만, 은행, 극장, 경기장, 학교, 공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C)의 곳곳에 분포/설치된 카메라모듈들(101)과 신호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AOP 색출 서버(200)는 AOP의 안면이 반영된 로우포맷 형태의 AOP 템플릿 이미지를 미리 저장 관리하면서, 앞의 카메라모듈들(101)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의 안면이미지를 로우포맷 형태의 코딩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코딩이미지에 상응하는 AOP 템플릿이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AOP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색출정보(이 경우, 색출정보는 AOP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인덱스 정보 등의 식별정보 및 이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AOP의 다중이용시설 통행기록정보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를 생성하고, 이를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AOP 색출 서버(200)와 연동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는 앞의 유/무선 통신망(1)을 매개로, AOP 색출 서버(200)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다수의 관리자 클라이언트들(400)과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AOP의 안면 및 관련기록이 반영된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추후, AOP 색출 서버(200) 측으로부터 일련의 색출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색출정보에 따라, 특정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예컨대, AOP의 범죄기록 데이터, AOP의 신상데이터, AOP 수배기록 데이터 등)를 추출하여, 관리자 클라이언트들(400)을 통해 출력·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AOP 색출 서버(200)는 AOP 색출 제어모듈(201)과, 이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PUF 안면이미지 수집모듈(203), PUF 안면이미지 전처리모듈(204), PUF 통행기록 수집모듈(205), 비교가능 PUF 안면이미지 수취모듈(206),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207), PUF 로그기록 저장 D/B(208), AOP 관련정보 저장 D/B(212),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210), AOP 색출모듈(211), AOP 색출정보 제공모듈(214), AOP 템플릿이미지 누적 갱신모듈(213), PUF 로그기록 출력모듈(20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AOP 색출 제어모듈(201)은 인터페이스 모듈(202)을 매개로, 카메라모듈(101),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등과 긴밀한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전체적인 AOP 템플릿이미지를 저장/관리하는 절차, 코딩이미지를 생성하는 절차, 코딩이미지와 AOP 템플릿이미지를 비교하는 절차, 색출정보를 생성/제공하는 절차 등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관련정보 저장 D/B(212)는 기 확보되어 있는 AOP 템플릿이미지(504:즉, 각 AOP의 안면이 반영된 템플릿이미지) 및 각 AOP 템플릿이미지(504)에 개별 상응하는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를 저장 관리하게 된다(후술하는 도 5 참조).
이 경우, 각 AOP 템플릿이미지(504)는 후술하는 AOP 색출모듈(211)의 AOP 색출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각 AOP별로, 복수개가 상정·관리되며(예컨대, 각 AOP의 20대부터 현재까지의 안면이미지가 반영된 복수의 템플릿이미지), 나아가, 각 AOP 템플릿이미지(504)는 AOP 색출모듈(211)의 <PUF 코딩이미지 및 AOP 템플릿이미지 간 비교·검색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로우포맷 형식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AOP 템플릿이미지(504)가 로우포맷 형식을 취하게 되는 경우, AOP 템플릿이미지(504)는 예컨대, 300byte~400byte 정도의 적은 규모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AOP 관련정보 저장 D/B(212)는 최소한의 저장공간 내에서도, 최대한 많은 량의 AOP 템플릿이미지(504)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안면이미지 수집모듈(203)은 인터페이스 모듈(202)을 매개로, 각각의 카메라모듈들(101)과 교신하면서, 이 카메라모듈들(101)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501)를 한꺼번에 일괄 수집하고, 수집된 PUF 안면이미지를 프로세싱 버퍼(215)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안면이미지 전처리 모듈(204)은 PUF 안면이미지 수집모듈(203)에 의해 수집된 PUF 안면이미지(501)가 프로세싱 버퍼(215)에 저장 완료되면, 해당 프로세싱 버퍼(215)에 접근하여, PUF 안면이미지(501)를 취득한 후, 예를 들어, PUF 안면이미지(501) 주변의 배경을 제거하는 절차, PUF 안면이미지(501)의 유실부분을 복원하는 절차, PUF 안면이미지(501)의 사이즈를 미리 정해진 표준 사이즈로 조절하는 절차(즉, 크기가 작은 PUF 안면이미지는 그 사이즈를 표준 사이즈에 맞추어, 증가시키고, 크기가 큰 PUF 안면이미지는 그 사이즈를 표준 사이즈에 맞추어, 줄이는 절차), 일정 각도 기울어진 PUF안면이미지를 바로 세우는 절차 등과 같은 일련의 전처리 절차를 진행시키고, 이를 통해, PUF 안면이미지(501)가 별다른 문제없이, 이후 진행될 추가절차의 소스 데이터로 융통성 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통행기록 수집모듈(205)은 각각의 카메라모듈들(101)과 교신하면서, 이 카메라모듈들(101)에 의해, PUF 안면이미지(501)가 촬영·획득되고, 이와 함께, 해당 PUF 안면이미지들(501)에 상응하는 PUF의 통행기록(예컨대, PUF의 촬영당시 통행시간, 통행위치 등)이 출력되면, 이 PUF 통행기록을 한꺼번에 일괄 수집하고, 수집된 PUF 통행기록을 프로세싱 버퍼(215)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또한,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비교가능 안면이미지 수취모듈(206)은 각 카메라모듈들(101)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501)가 프로세싱 버퍼(215)에 저장 완료되고, 이 PUF 안면이미지(501)가 PUF 안면이미지 전처 리 모듈(204)에 의해 전처리 완료되면, 해당 PUF 안면이미지(501)를 미리 정해진 표준 안면이미지와 비교하여, 예컨대, PUF 안면이미지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지의 여부, PUF 안면이미지에 두 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PUF 안면이미지의 두 눈 사이 거리가 20픽셀~30픽셀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판별하고, 이를 통해, 여러 장의 PUF 안면이미지들(501) 중, 추후, AOP 템플릿이미지(504)와 정상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특정 PUF 안면이미지(502)만을 선별하여 수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207)은 프로세싱 버퍼(215)와 교신하면서, 이 프로세싱 버퍼(215)에 PUF 안면이미지(501) 및 PUF 안면이미지들(501)에 상응하는 PUF의 통행기록(예컨대, PUF의 촬영당시 통행시간, 통행위치 등)이 저장되면, 이 PUF 안면이미지들(501)과 해당 PUF 안면이미지들(501)에 상응하는 PUF 통행기록을 추출한 후, 이들을 결합하여, 일련의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F 로그기록 저장 D/B(208)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된 PUF 로그기록 데이터가 PUF 로그기록 저장 D/B(208) 내에서, 안정적으로 갱신·저장 관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로그기록 출력모듈(209)은 PUF 로그기록 데이터가 PUF 로그기록 저장 D/B(208) 내에서 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으로부터, <PUF 로그기록을 전달해달라>는 취지의 요청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 요청메시지에 따라, PUF 로그기록 저장 D/B(208)에 접근하여, PUF 로그기록을 추출한 후, 추출된 PUF 로그기록을 인터페이 스 모듈(202)을 매개로,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에 출력·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PUF 로그기록에는 AOP를 포함한 모든 PUF들의 안면이미지 및 통행기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PUF 로그기록 출력모듈(209)의 기능 수행에 의해, PUF 로그기록이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에 전달되고, 이를 전달받은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가 관리자 클라이언트(400)를 통해, 해당 PUF 로그기록을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면, 관리자 측에서는 만에 하나, AOP를 적정 시점에 색출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추후, 이 PUF 로그기록을 상세히 살펴보면서, AOP의 행적을 정확하게 추적·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비교가능 안면이미지 수취모듈(206)의 기능 수행에 의해, 여러 장의 PUF 안면이미지들(501) 중, 추후, AOP 템플릿이미지(504)와 정상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특정 PUF 안면이미지(502)가 확보 완료되면,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코딩화 루틴을 가동시켜, PUF 안면이미지(502)의 헤더(502a)를 제거하고, 이를 통해, PUF 안면이미지(502)를 로우포맷 형태의 코딩이미지(503:즉,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코딩이미지(503)는 헤더가 제거된 로우포맷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크기를 300byte~400byte 정도의 적은 규모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색출모듈(211)은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210)의 기능 수행에 의해, PUF 코딩이미지(503)가 생성되면, 그 즉시, 상술한 AOP 관련정보 저장 D/B(212)와 교신을 취하여,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210)에 의해 코딩된 PUF 코딩이미지(503)를 AOP 관련정보 D/B(212)에 저장되어 있던 AOP 템플릿이미지(504)와 비교하는 절차, 예컨대, PUF 코딩이미지(503)의 두 눈 주변(또는, 얼굴 전체)에 300여개의 특징점을 부여한 후, 이 특징점들의 픽셀좌표를 AOP 템플릿이미지(504)의 두 눈 주변에 존재하는 특징점들의 픽셀좌표와 픽셀 대 픽셀(Pixel-to-Pixel) 방식으로 비교하는 절차(또는, PUF 코딩이미지에 부여된 특징점들의 벡터값을 AOP 템플릿이미지에 존재하는 특징점들의 벡터값과 비교하는 절차 등)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해당 코딩이미지(503)와 일정 기준 이상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들(504), 예컨대, PUF 코딩이미지와 그 특징점이 70%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PUF 코딩이미지와 그 특징점이 75%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PUF 코딩이미지와 그 특징점이 80%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등을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PUF 코딩이미지(503) 및 AOP 템플릿이미지(504)는 모두,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로우포맷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AOP 색출모듈(211)은 별다른 부담 없이, 최적의 속도로 <PUF 코딩이미지 및 AOP 템플릿이미지 간 비교·검색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위 절차를 통해, 코딩이미지(503)와 그 특징점이 일정 기준, 예컨대, 70% 이상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코딩이미지와 그 특징점이 75%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코딩이미지와 그 특징점이 80%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 등이 선별적으로 확 보 완료되면, AOP 색출모듈(211)은 그 즉시, 선별된 각 AOP 템플릿이미지(504)에 상응하는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를 선택적으로 색출(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여기서,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색출정보 제공모듈(214)은 상술한 AOP 색출모듈(211)의 기능 수행에 의해, PUF 코딩이미지(503)와 유사한 여러 AOP 템플릿이미지(504)가 선별되고, 이 AOP 템플릿이미지(504)에 상응하는 여러 식별정보가 선택적으로 색출(추출) 완료되면, 그 즉시, PUF 통행기록 수집모듈(205), 프로세싱 버퍼(215) 등과 교신을 취하여, 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PUF의 통행기록(즉,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AOP 템플릿이미지와 유사한 것으로 판정된 PUF 코딩이미지 당사자들의 통행기록)을 수취·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위 절차를 통해, AOP 템플릿이미지(504)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및 해당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PUF의 통행기록이 확보 완료되면, AOP 색출정보 제공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출된 식별정보(SI1)와, 해당 식별정보(SI1)에 대응되는 특정 AOP의 통행기록(SI2)을 결합하여, 일련의 AOP 색출정보(SI)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202)을 매개로,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된 AOP 색출정보(SI)를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으로 출력·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AOP 색출 제어모듈(2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템플릿이미지 누적 갱신모듈(2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OP 관련정보 저장 D/B(212)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술한 AOP 색출모듈(211)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PUF 코딩이미 지(503)가 특정 AOP 템플릿이미지(504)와 유사한 것으로 판정되면, 이 PUF 코딩이미지(503)를 기존 AOP 템플릿이미지에 더하여, 추가로 누적 저장 및 갱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특정 AOP와 관련된 기존 AOP 템플릿이미지(504)에 신규 PUF 코딩이미지(503)가 추가로 더해져, 이 신규 PUF 코딩이미지(503)가 AOP 템플릿이미지 자격을 획득하게 되는 경우, 해당 AOP와 관련된 AOP 템플릿이미지(504)는 좀더 최신의 정보내역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AOP 색출 서버(200) 측에서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 측에, 좀더 신뢰성 있는 AOP 색출 데이터를 융통성 있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AOP 색출 서버(200)와 교신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300)는(도 1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과, 이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 운영모듈(303), AOP 색출정보 수취모듈(305),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306), AOP 추가정보 수집모듈(308),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304), PUF 로그기록 수취모듈(311),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31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은 인터페이스 모듈(302)을 매개로, AOP 색출 서버(200), 관리자 클라이언트(40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AOP 색출 서버(20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출정보(SI)를 수신하는 절차, 해당 색출정보(SI)에 따라, 특정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추출하는 절차, 추출된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관리자 클라이언트(400)를 통해, 관리자 측에 출력·제공하는 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게 된다.
이때,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관련정보 D/B(307)는 기 확보되어 있는 <AOP의 안면 및 관련기록이 반영된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예컨대, AOP의 범죄기록 데이터, AOP의 신상데이터, AOP 수배기록 데이터 등)>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여기서,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는 앞의 AOP 색출 서버와 달리, AOP 템플릿이미지가 아니라, AOP 원본 안면이미지를 저장 관리함).
이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 운영모듈(303)은 자가 정보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기 위한 스킨정보, 이미지정보, 문자정보, 링크정보, 설정정보 등을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생성하고, 생성된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관리자 클라이언트(400)를 통해 게시·운영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색출정보 수취모듈(306)은 인터페이스 모듈(302)을 매개로, AOP 색출 서버(200)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AOP 색출 서버(200) 측으로부터 <PUF 코딩이미지(503)와 그 유사성이 의심되는 특정 AOP들의 템플릿이미지들(504)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들(SI1:예컨대,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70% 의심되는 AOP XXX의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 는 식별정보,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75% 의심되는 AOP △△△의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80% 의심되는 AOP ○○○의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식별정보 등)> 및 해당 식별정보들(SI1)에 대응되는 각 AOP들(XXX, △△△, ○○○)의 통행기록(SI2)이 담겨진 AOP 색출정보(SI)가 전송되면(도 6 참조), 이를 수취한 후, 수취된 AOP 색출정보(SI)를 프로세싱 버퍼(301a) 내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306)은 AOP 색출정보 수취모듈(305)의 기능 수행에 의해, AOP 색출정보(SI:AOP 식별정보 및 AOP 통행기록)가 프로세싱 버퍼(301a)에 저장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버퍼(301a)와 교신을 취하여, AOP 식별정보(SI1)를 취득한 후, AOP 관련정보 D/B(307)와 교신을 취하여, 각 식별정보들(SI1)에 상응하는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들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AOP XXX의 원본 안면이미지(801) 및 관련데이터(802),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801) 및 관련데이터(802),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801) 및 관련데이터(802) 등이 결과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AOP 추가정보 수집모듈(308)은 인터페이스 모듈(302)을 매개로, 외부 정보기관 서버(600)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도 1 참조), 이 외부 정보기관 서버(600) 측으로부터 AOP XXX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등을 수집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추가정보(803)를 후술하는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304) 측으로 추가 제공함으로써, 해당 추가정보가 AOP 색출결과 페이지(702)에 융통성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30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306)의 기능 수행에 의해, AOP XXX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등이 결과물(801,802)로 출력되고, AOP 추가정보 수집모듈(308)의 기능 수행에 의해, AOP XXX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등이 결과물(803)로 출력되면, 프로세싱 버퍼(301a)에 접근하여, AOP 색출 서버(200) 측으로부터 전송된 색출정보(SI)로부터 <AOP XXX의 통행기록(SI2), AOP △△△의 통행기록(SI2), AOP ○○○의 통행기록(SI2)> 등을 추출하면서, 이들 중,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가장 의심되는 AOP의 정보들, 즉,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80% 의심되는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801), 관련데이터(802), 추가정보(803), 통행기록(SI2) 등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후, 이들을 토대로, 일련의 AOP 색출결과 페이지(702)를 생성하고,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 운영모듈(303)과 교신을 취하여, 생성된 AOP 색출결과 페이지(702)를 상술한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통해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9 참조).
결국, 이러한 절차의 진행 하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2)을 통해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관련데이터, 추가정보, 통행기록 등이 담겨진 AOP 색출결과 페이지(702)가 게시되면, 관리자 클라이언트(400)를 통해 이를 관측하던 관리자 측에서는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던 종래의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 예컨대, AOP ○○○를 색출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일련의 후속조치(예컨대, 체포, 주의 관찰, 미행 등)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당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을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관리자 측에서는 AOP의 현 통행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검문절차 없이도, 경찰(경비)인력과 신속하게 교신을 취하여, 통행 중인 AOP를 조심스럽게 제압하거나, 연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검문에 처한 AOP가 갑자기 흥분하여, 난동을 일으키는 등의 갑작스런 사고의 발생을 자연스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로그기록 수취모듈(311)은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주시하던 사용자가 일련의 <PUF 로그기록을 수취하기 위한 전산 이벤트>를 진행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 측으로부터 <PUF 로그기록을 수취하라>는 취지의 지시메시지가 전달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302)을 매개로, AOP 색출 서버(200) 측과 교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저장 관리되던 PUF 로그기록(PUF 안면이미지들과 해당 PUF 안면이미지들에 상응하는 PUF 통행기록)을 수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에 의해 제어되는 PUF 로그기 록 갱신모듈(310)은 PUF 로그기록 수취모듈(311)에 의해, 일련의 PUF 로그기록이 수취 완료되면, 이를 확보한 후, PUF 로그기록 저장 D/B(309)와 교신을 취하여, 해당 PUF 로그기록을 PUF 로그기록 저장 D/B(309)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PUF 로그기록의 D/B 저장 상황에서,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301) 측에서는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 운영모듈(303)을 활용하여, 해당 PUF 로그기록을 관리자 측에 신속하게 출력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PUF 로그기록에는 AOP를 포함한 모든 PUF들의 안면이미지 및 통행기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PUF 로그기록이 관리자 클라이언트(400) 및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통해 게시·제공되는 경우, 관리자 측에서는 만에 하나, AOP를 적정 시점에 색출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추후, 이 PUF 로그기록을 상세히 살펴보면서, AOP의 행적을 정확하게 추적·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에서,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304)은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306)의 기능 수행에 의해, AOP XXX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 등이 결과물(801,802)로 출력되고, AOP 추가정보 수집모듈(308)의 기능 수행에 의해, AOP XXX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AOP ○○○와 관련된 추가정보 등이 결과물(803)로 출력되면, 그와 함께, 프로세싱 버퍼(301)에 접근하여, AOP 색출 서버(200) 측으로부터 전송된 색출정보(SI)로부터 <AOP XXX의 통행기록, AOP △△△ 의 통행기록, AOP ○○○의 통행기록> 등을 추출한 후,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의심되는 우선순위 별로, AOP 색출결과 페이지(702a)를 순차 생성하고, 이를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701)을 통해 출력하는 변화를 꾀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절차 하에서, 관리자 측에서는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70% 의심되는 AOP XXX의 원본 안면이미지, 관련데이터, 추가정보, 통행기록 등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AOP 색출결과 페이지>,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70% 의심되는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관련데이터, 추가정보, 통행기록 등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AOP 색출결과 페이지>, <최초 PUF 코딩이미지와 그 유사성이 80% 의심되는 AOP ○○○의 원본 안면이미지, 관련데이터, 추가정보, 통행기록 등이 선택적으로 조합된 AOP 색출결과 페이지>를 전체적으로 관측한 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사후처리가 요구되는 최종 AOP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 하에서도, 관리자 측에서는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던 종래의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색출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일련의 후속조치(예컨대, 체포, 주의 관찰, 미행 등)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당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을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술한 AOP는 범죄자, 수배자 등의 위험인물뿐만 아니라, 정치인, 경제인사, 군인, 스포츠인 등과 같은 귀빈(VIP:Very Important person) , 나아가, 실종신고가 접수된 실종자(미아) 등으로 다양한 대상변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다양한 대상변화 상황 하에서도, 관리자 측에서는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던 종래의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선별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일련의 후속조치(예컨대, 구조, 주의 관찰, 경호인력 강화 등)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당 AOP를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보호(구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이미지를 로우포맷(Raw format) 형태의 소규모 코딩이미지(Coding image, 즉, 헤더 정보는 없고, 컨텐츠 정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기 저장되어 있던 로우포맷형태의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AOP를 최소한의 시간 내에 선별·색출할 수 있는 전산유닛, 각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를 저장 관리하면서, 색출된 특정 AOP의 식별정보(예컨대, 인덱스정보)에 따라, 원본 안면이미지가 반영된 AOP 색출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실시간 보고할 수 있는 전산유닛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자신 또는 경찰(경비)인력의 주관적인 시각에 의존하는 불합리한 패턴을 벗어나, 좀더 빠르고, 정확하게, 여러 PUF 중에서, 특정 AOP를 색출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AOP에 의한 대규모 범죄의 발생이 좀더 효과적으로 사전 예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중이용시설의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모듈들과 신호 연결되며, 주목대상인물들(AOP:Attention Objective Person)의 안면이 반영된 로우포맷(Raw format) 형태의 AOP 템플릿 이미지를 미리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다중이용시설 이용자들(PUF:The Person who Uses a crowd utilization Facilities) 안면이미지를 로우포맷(Raw format) 형태의 코딩이미지(Coding image)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딩이미지를 상기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코딩이미지에 상응하는 AOP 템플릿이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AOP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색출정보를 생성·제공하는 AOP 색출 서버와;
    상기 AOP 색출 서버와 신호 연결된 상태로, 다수의 관리자 클라이언트들과 교신하며, AOP의 안면 및 관련기록이 반영된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면서, 상기 AOP 색출 서버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출정보에 따라, 특정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들을 통해 출력·제공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OP 색출 서버는 전체적인 AOP 템플릿이미지 저장 관리절차, 코딩이미지 생성절차 및 색출정보 생성·제공절차를 제어하는 AOP 색출 제어모듈과;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템플릿이미지 및 각 AOP 템플릿이미지에 개별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AOP 관련정보 저장 D/B와;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들 중, 상기 AOP 템플릿이미지와 정상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특정 PUF 안면이미지만을 선별하여 수취하는 비교가능 PUF 안면이미지 수취모듈과;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PUF 안면이미지 수취모듈에 의해 선별 수취된 PUF 안면이미지의 헤더를 제거하여, 상기 PUF 안면이미지를 상기 코딩이미지로 변환하는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과;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PUF 안면이미지 코딩모듈에 의해 코딩된 코딩이미지를 상기 AOP 관련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던 AOP 템플릿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코딩이미지와 유사한 AOP 템플릿이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AOP 템플릿이미지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색출하는 AOP 색출모듈과;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색출모듈에 의해 색출된 식별정보와,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AOP의 통행기록을 결합하여, AOP 색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AOP 색출정보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 측으로 출력·제공하는 AOP 색출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들과 해당 PUF 안면이미지들에 상응하는 PUF 통행기록을 결합하여,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갱신 관리하는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과;
    상기 AOP 색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 측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던 상기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 측으로 출력 제공하는 PUF 로그기록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서버는 상기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절차를 제어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 측 전산 이벤트에 따라, 상기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의 출력절차를 가이드 하기 위한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을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시 운영하는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 운영모듈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의 안면 및 관련기록이 반영된 AOP 원본 안면이미지 및 AOP 관련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AOP 관련정보 D/B와;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색출 서버 측 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출정보에 따라, 상기 AOP 관련정보 D/B와 교신을 취하여, 해당 색출정보에 대응되는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추출하는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관련정보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특정 AOP의 원본 안면이미지 및 관련데이터를 토대로, AOP 색출결과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AOP 색출결과 페이지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가이드 플랫폼을 통해 출력하는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OP 색출 서버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각 카메라모듈들에 의해 촬영·획득된 PUF 안면이미지들과 해당 PUF 안면이미지들에 상응하는 PUF 통행기록이 반영된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수취하는 PUF 로그기록 수취모듈과;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PUF 로그기록 수취모듈에 의해 수취된 PUF 로그기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갱신 관리하는 PUF 로그기록 갱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OP 색출결과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외부 정보기관 서버와 교신을 취하여, 특정 AOP와 관련된 추가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추가정보를 상기 AOP 색출결과 페이지 생성모듈 측으로 추가 제공하여, 해당 추가정보가 상기 AOP 색출결과 페이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AOP 추가정보 수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OP 색출 시스템.
KR1020060064746A 2006-07-11 2006-07-11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KR20080006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46A KR20080006070A (ko) 2006-07-11 2006-07-11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46A KR20080006070A (ko) 2006-07-11 2006-07-11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070A true KR20080006070A (ko) 2008-01-16

Family

ID=3921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746A KR20080006070A (ko) 2006-07-11 2006-07-11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15B1 (ko) * 2011-09-20 2012-02-29 제주특별자치도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비디오 색인 시스템 및 방법
CN104636333A (zh) * 2013-11-06 2015-05-20 宁夏新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领域驱动开发插件系统
KR101710200B1 (ko) * 2015-11-05 2017-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사용한 자동 출석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15B1 (ko) * 2011-09-20 2012-02-29 제주특별자치도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비디오 색인 시스템 및 방법
CN104636333A (zh) * 2013-11-06 2015-05-20 宁夏新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领域驱动开发插件系统
KR101710200B1 (ko) * 2015-11-05 2017-02-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사용한 자동 출석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48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al And Object Recognition Using Metadata Heuristic Search
KR101297295B1 (ko) 얼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
KR101133924B1 (ko) 행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능동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875466A (zh) 基于人脸识别的监控方法、监控系统与存储介质
US9418078B2 (en) Dynamic identity matching in response to threat levels
JP2018101317A (ja) 異常監視システム
CN107038675B (zh) 一种公安盘查管理系统及其运行方法
KR102149832B1 (ko) 딥러닝 기반의 자동 폭력 감지 시스템
CN10877770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异常行为处理方法及系统
KR101957677B1 (ko) 얼굴인식을 통한 학습형 실시간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방법
CN111539338A (zh) 行人口罩佩戴管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918039A (zh) 基于5g网络的人工智能高风险作业管控系统
CN109327328A (zh) 监管方法、装置、系统、云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222373A (zh) 一种人员行为分析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096606B (zh) 一种外籍人员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64886A (ko)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699328A (zh) 网点服务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5088463B2 (ja) 監視システム
KR20080006070A (ko)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주목대상인물 색출 시스템
CN111400415B (zh) 人员的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6797993B (zh) 一种基于智慧社区场景的监控方法、系统、介质及设备
CN109460714B (zh) 识别对象的方法、系统和装置
JP2021056869A (ja) 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CN109871456A (zh) 一种看守所人员关系分析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040052403A1 (en) High volume mobile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