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870A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870A
KR20080005870A KR1020070068710A KR20070068710A KR20080005870A KR 20080005870 A KR20080005870 A KR 20080005870A KR 1020070068710 A KR1020070068710 A KR 1020070068710A KR 20070068710 A KR20070068710 A KR 20070068710A KR 20080005870 A KR20080005870 A KR 2008000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opening
circuit breaker
coi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0849B1 (en
Inventor
아유무 모리타
시게토시 오우치
미노루 호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0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Abstract

A circuit breaker is provided to decrease a size of a manipulation unit for a vacuum valve by reducing a bounce of an axis on a movable electrode using a simple structure. A circuit breaker includes a vacuum valve(51), a manipulation unit, and opening units(170,171). The manipulation unit maintains a closed condition of the vacuum valve using an attractive force from a permanent magnet(306). The opening units move a manipulation axis(65) of the manipulation unit to an open direction by using an electrical repelling force. A release device(900) releases a closed station of the vacuum valve due to the manipulation unit between the opening units and the manipul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opening process of the opening units.

Description

차단기{CIRCUIT BREAKER}Breake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having an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ng shaft of the vacuum valve at a high spe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고속 구동하는 개극수단은, 코일 및 그것과 대향하여 배치한 링형상의 구리판으로 구성된다. 콘덴서방전 등에 의하여 개극수단의 코일을 급속 여자하고, 코일전류와 구리판에 발생하는 와전류와의 전자반발력을 이용하여 진공밸브를 개극동작시킨다.The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ng shaft of the vacuum valve at high spe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is constituted by a coil and a ring-shaped copper plate disposed to face the coil valve. The coil of the opening means is rapidly excited by the capacitor discharge and the like, and the vacuum valve is operated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between the coil current and the eddy current generated in the copper plate.

전자반발기구를 구비한 차단기에는 직류차단기와 고속차단기가 있다. 전자는 미리 콘덴서에 충전하여 둔 전하를 계통전류와 반대방향으로 주입하여 강제적으로 전류 제로점을 만들어 차단하는 것이다. 직류계통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저항 및 인덕턴스의 회로정수로 결정되는 상승이 빠른 지락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차단동작에는 고속 응답성이 요구된다. Circuit breakers with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s include a DC circuit breaker and a high speed circuit breaker. The former injects the charge previously charged in the capaci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ystem current to forcibly cut off the current zero point. When a ground fault occurs in the DC system, a fast rising ground current, which is determined by the circuit constant of resistance and inductance, flows, so that high-speed response is required for the breaking operation.

한편, 후자는 자가발전계통에 관한 것으로, 전력계통 정전시의 자가발전기측으로부터의 전력유출의 방지, 과부하에 따르는 전원 공도(共倒)의 회피, 정전계통으로부터 건전계통으로의 고속 변환에 의한 중요 부하의 운전계속 등을 목적으로 도입된다. 양자 모두 개극지령을 받고 나서 수 ms 이내에서의 응답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자반발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self-generating system, which is important by preventing power leakage from the self-generator during power system outages, avoiding power supply highways caused by overload, and high-speed conversion from the electrostatic system to the health system. It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ntinual operation of the load. Both of them use electronic repulsion mechanisms because they require a response within a few ms after receiving the opening command.

이 전자반발기구를 탑재한 차단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진공밸브와, 이 진공밸브의 개폐방향에 설치한 조작기구와, 이 조작기구의 도중에 설치한 전자반발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전류차단 도중에서의 가동전극측의 축의 튀어오름(bounce)을 저감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As th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this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for example, as shown in Patent Literature 1, a vacuum valve, an operat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vacuum valve, and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mechanism are provided. In addition, a mechanism for reducing the bounce of the shaft on the movable electrode side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is provided.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개2000-29904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99041

상기한 종래의 차단기에서는 고속 차단시에 소정의 개극속도를 얻는 것 뿐만 아니라, 폐극상태를 유지하는 영구자석의 흡인력을 상회하는 전자반발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자반발기구의 대형화 및 전원용량의 증가를 할 수 밖에 없다. 또 진공밸브와 그 조작기구의 사이에 전자반발기구 및 전자반발기구의 작동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의 축의 튀어오름(bounce)을 저감시키는 기구가 상하방향으로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에 의하여 진공밸브를 개폐 조작할 때에는 전자반발기구 및 가동전극측의 축의 튀어오름 저감기구를 함께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not only a predetermined opening speed is obtained at high speed but also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force that exceeds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at maintains the closed pole state is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and increasing the power supply capacity. Have no choice but to. In addition, a vacuum valve is disposed between the vacuum valve and its operating mechanism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bounce of the shaft on the movable electrode side that occurs when the electromagnetic reaction mechanism and the electromagnetic reaction mechanism are operated. It is necessary to move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and the spring reduction mechanism of the shaft on the side of the movable electrode togethe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vacuum valve by the operating mechanism.

이 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가 예를 들면 전자조작방식의 경우, 그 구성부품인 영구자석, 여자코일 등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진공밸브 의 조작기구가 대형화된다. 또 이에 따라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의 조작성도 저하할 가능성도 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is, for example, an electronic operation system, the capacity of the permanent magnet, the excitation coil, and the like, which are its components, must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Moreover, the operability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a vacuum valve may also fall by this.

본 발명은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폐극상태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을 간이한 구성으로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이 양호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with good operability while facilitating release of the closed pole state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and reducing the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haft caus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은, 진공밸브와 영구자석의 흡인력으로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로 유지하는 조작기구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개극수단과 상기 조작기구의 사이에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조작기구에 의한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vacuum valve in a closed electrode state by suction force of a vacuum valve and a permanent magnet, and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of the operation mechanism in an open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mechanism for releasing a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operating mechanism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between the opening means and the operation mechanism.

또, 제 2 발명은 진공밸브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가지고,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개극동작시키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invention is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vacuum valve and an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of the vacuum valve in an open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ve action, the electromagnetic circuit comprising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An operation mechanism for exciting the vacuum valve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exciting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operation to open the vacuum valve. And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 link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또한, 제 3 발명은 진공밸브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가지고,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개극동작시키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레버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ird invention is a circuit breaker having a vacuum valve and an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of the vacuum valve in an open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ve action, comprising: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An operation of exciting the coil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exciting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operation to open the vacuum valve. And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또, 제 4 발명은 주스위치와, 그것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스위치로 구성되는 2개의 스위치군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한쪽의 스위치군에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과,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탑재하여 상기 2개의 스위치군에 대하여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개극동작을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주스위치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e 4th invention is the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two switch groups which consist of a main switch and the subswitch which operate | moves in connection with it, The opening which drives an operation shaft to an opening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to one switch group. And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means,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to excite the coil with respect to the two switch groups to perform a closing operation, and to maintain a closed pole stat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n operation mechanism for exciting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mechanis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state of the main switch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또한, 제 5 발명은 주스위치와, 그것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스위치로 구성되는 2개의 스위치군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한쪽의 스위치군에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과,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 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탑재하여 상기 2개의 스위치군에 대하여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개극동작을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주스위치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레버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fth invention is a circuit breaker having two switch groups comprising a main switch and a sub-switch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witch, the opening being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in the opening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repulsion to one switch group.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means,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is loaded to excite the coil with respect to the two switch groups, and the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a release mechanism consisting of a lev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state of the main switch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by exciting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one.

또,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개극수단 및 상기 조작기구에 대하여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sixth invention, in the first to fifth inventions, the electromagne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opening means and the operation mechanism.

또한 제 7 발명은 제 4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방기구에 상기 폐극수단에 의한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개극하는 2개의 스위치군의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fourth to sixth inventions, the release mechanism is provided wi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timing of two switch groups that are opened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action by the closed pole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을 간이한 구성으로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에서의 영구자석과 가동철심의 흡착, 즉 진공밸브의 폐극을 약간의 힘으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can be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nlarg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can be suppressed, and the electronic repulsion mechanism By the spr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haft, which occurs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ing core of the vacuum valve operation mechanism can be quickly released, that is, the closed electrode of the vacuum valve can be quickly released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Can provide.

이하, 본 발명의 차단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circuit breaker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drawing.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를 적용한 시스템회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사고시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통상 운전시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도이다. 1 to 7 show one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lef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Back view of one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urrent 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n in FIG. 5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ystem circuit diagra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pplie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s a time chart showing an operation during an accident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FIG. A time chart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사용방법 및 운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using and driving methods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에서 부호 1은 직류 전원이고, 일반적인 직류 급전회로에서는 양극 1500 V의 전압을 공급한다. 2는 전차(電車) 등의 부하를 나타낸다. 3은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이고, 4는 부하(2)와 직류전원(1)을 연결하는 귀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5)는 급전선(3)의 도중에 삽입되어 직류전원(1)으로부터 부하(2)에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한다. In FIG. 5,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DC power supply, and a general DC power supply circuit supplies a voltage of positive electrode 1500V. 2 represents a load such as a train. 3 is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load, and 4 represents a return line connecting the load 2 and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1.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which is a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feed line 3 to switc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1 to the load 2.

전류식 직류차단기(5)는 제 1 주스위치(51), 제 2 주스위치(52), 제 1 부스위치(53) 및 제 2 부스위치(54)의 4개의 스위치와 제어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식 직류차단기(5)에는 제 1 콘덴서(55), 제 2 콘덴서(56) 및 리액터(57)가 접 속된다. 제 1 주스위치(51)와 제 2 주스위치(52)는 급전선(3)에 직렬하여 삽입되고, 제 1 주스위치(51)를 직류전원(1)측, 제 2 주스위치(52)를 부하(2)측에 각각 배치한다. 제 1 부스위치(53)와 제 1 콘덴서(55)와 리액터(57)의 직렬회로는 제 1 주스위치(51)에 병렬하여 접속하고, 제 2 부스위치(54)와 제 2 콘덴서(56)의 직렬회로는 제 1 콘덴서(55)에 병렬 접속된다.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is composed of four switches and a control device 50 of the first main switch 51, the second main switch 52, the first sub switch 53, and the second sub switch 54. Consists of. A first condenser 55, a second condenser 56, and a reactor 57 are connected to the current type DC circuit breaker 5.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are inserted in series with the feed line 3, and the first main switch 51 is loaded on the DC power source 1 side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is loaded.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2) side, respectively. The series circuit of the first sub-switch 53,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reactor 57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sub-switch 54 and the second condenser 56 are connected. The series circuit of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capacitor 55.

급전선(3)에 설치한 변류기(58)는 급전선(3)의 통전전류를 검출하고, 그 전류값을 과전류 트리핑장치(59)에 입력한다. 과전류 트리핑장치(59)는 자동차단 설정값을 가지고 급전선(3)을 흐르는 전류값이 그 설정값 이상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극 지령(11)을 출력한다. 제어장치(50)는 외부 지령(10) 또는 과전류 트리핑장치(59)로부터의 개극 지령(11)을 받아 전류식 직류차단기(5)에 개폐 지령을 준다. The current transformer 58 provided in the feed line 3 detects the conduction current of the feed line 3, and inputs the current value into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outputs the opening command 11 whe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eder line 3 with the cutoff set value reaches or exceeds the set value. The control device 50 receives the opening command 11 from the external command 10 or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and gives an open / close command to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제 1 부스위치(53)는 제 1 주스위치(51)와 연동하여 제 1 주스위치(51)가 개극한 후, 시간 t1(예를 들면 2 ms)늦게 일단 폐극하고, 그후 개극한다. 한편 제 2 부스위치(54)는 제 2 주스위치(52)와 연동하여 제 2 주스위치(52)가 개극하는 시간 t2(예를 들면 2.5 ms)전에 개극한다. After the first main switch 51 is open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main switch 51, the first sub-switch 53 closes once at a time t1 (for example, 2 ms) and then open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b-switch 54 is open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main switch 52 before the time t2 (for example, 2.5 ms) when the second main switch 52 is opened.

부하(2)를 운전할 때에는 제 1 주스위치(51)와 제 2 주스위치(52)를 폐극하고, 부하(2)에 직류 1500 V를 인가한다. 이때 제 1 부스위치(53)는 개극, 제 2 부스위치(54)는 폐극시켜 둔다. 또 제 1 콘덴서(55)와 제 2 콘덴서(56)는 직류전원(1)측을 기준으로 하여 + 2000 V로 충전하여 둔다. When the load 2 is operated,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are closed, and a direct current 1500V is applied to the load 2. At this time, the first sub switch 53 is opened and the second sub switch 54 is closed.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second condenser 56 are charged to +2000 V on the DC power source 1 side as a reference.

부하(2)의 고장, 또는 급전선(3)의 지락사고 등이 발생하면, 급전선(3)에는 회로정수로 결정되는 매우 크고, 상승이 빠른 사고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면 회로저항 15 mΩ, 회로 인덕턴스 150μH일 때, 최대 도달전류는 100 kA, 최대 돌진률은 10 kA/ms에 미친다. 이와 같은 사고전류가 발생한 경우, 설비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도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사고전류를 차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먼저 변류기(58)에서 사고 전류값을 검출하여 과전류 트리핑장치(59)에 입력한다. 과전류 트리핑장치(59)의 자동차단 설정값을 예를 들면 12000 A로 설정하여 두면 사고 전류값이 12000 A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극 지령(11)이 제어장치(50)에 발신된다. 제어장치(5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제 1 주스위치(51)가 개극한다. 제 1 주스위치(51)의 개극에 의하여 제 1 부스위치(53)가 시간 t1 늦게 폐극된다. 이에 의하여 제 1 콘덴서(55), 제 2 콘덴서(56), 리액터(57), 제 1 주스위치(51), 제 1 부스위치(53), 제 2 부스위치(54)로 이루어지는 LC 공진회로가 성립하고, 미리 충전하여 둔 제 1 콘덴서(55)와 제 2 콘덴서(56)가 방전하여 사고전류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전류 전류가 제 1 주스위치(51)에 주입된다. 제 1 콘덴서(55)의 정전용량을 60μF, 제 2 콘덴서(56)의 정전용량을 1200μF라 하였을 때, 반대방향의 전류 전류값은 최대 40 kA가 되기 때문에 사고 전류값이 40 kA에 도달하기 이전에 제 1 부스위치(53)가 폐극하도록 하면 사고전류와 전류 전류가 상쇄된다. 제 1 주스위치(51)를 통과하는 전류가 제로가 된 시점에서 제 1 주스위치(51)가 차단 완료된다. 제 1 주스위치(51)가 개극한 후, 시간 t3 늦게 제 2 주스위치(52)가 개극하나, 시간(t3)을 t3 > t1 + t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하여 두면, 제 1 부스위치(53)가 폐극하기 전에 제 2 부스위치(54)가 개극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제 1 콘덴서(55) 와 제 2 콘덴서(56)를 동시에 방전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대전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주스위치(51)가 차단 완료되어도 제 1 부스위치(53)와 제 2 부스위치(54)는 모두 폐극상태가 되는 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콘덴서(55)와 제 2 콘덴서(56)가 직류전원(1)에 의하여 충전된다. 이 충전전류는 충전전압이 상승하여 회로전류가 제로부근, 진공밸브의 재단 전류값 이하가 된 시점에서 차단된다. If a failure of the load 2 or a ground fault of the feed line 3 occurs, a very large, fast rising fault current flows through the feed line 3 determined by the circuit constant. For example, with a circuit resistance of 15 mΩ and a circuit inductance of 150 μH, the maximum reached current is 100 kA and the maximum rush rate is 10 kA / ms. In the event of such a fault current, the fault current must be shut off at high speed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installation. First, the fault current value is detected by the current transformer 58 and input to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If the cutoff setting value of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is set to, for example, 12000 A, the opening command 11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50 when the accident current value reaches 12000 A.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device 50, the first main switch 51 is opened. By the opening of the first main switch 51, the first sub-switch 53 is closed later in time t1. As a result, the LC resonant circuit including the first condenser 55, the second condenser 56, the reactor 57, the first main switch 51, the first sub switch 53, and the second sub switch 54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capacitors 55 and 56, which have been established and charged in advance, are discharged and current currents in direction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ccident current are injected into the first main switch 51. When the capacitance of the first condenser 55 is 60 μF and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capacitor 56 is 1200 μF, the current valu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40 kA at maximum, so before the accident current reaches 40 kA. If the first sub-switch 53 is closed, the fault current and the current current cancel each other. When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first main switch 51 becomes zero, the first main switch 51 is cut off. After the first main switch 51 opens, the second main switch 52 opens late at time t3, but if the time t3 is set to satisfy the condition of t3> t1 + t2, the first sub-switch ( Since the second sub-switch 54 does not open before the 53 is closed,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second condenser 56 can b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and the above-described large current can be coped with. Since the first sub switch 53 and the second sub switch 54 both have closed periods even when the first main switch 51 is shut off,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second condenser ( 56 is charged by the DC power source 1. This charging current is cut off when the charging voltage rises and the circuit current becomes near zero and falls below the cutting current value of the vacuum valve.

한편, 통상의 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차단동작은, 외부 지령(10)에 의한다. 외부 지령(10)에 의하여 개극지령을 받았을 때, 제 1 주스위치(51)와 제 2 주스위치(52)는 동시에 개극한다. 이때 제 2 부스위치(54)는 제 2 주스위치(52)가 개극하기 전의 시간(t2)에서 먼저 개극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부스위치(53)가 폐극되었을 때에는 제 1 콘덴서(55), 리액터(57), 제 1 주스위치(51), 제 1 부스위치(53)로 이루어지는 LC 공진회로가 성립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reaking operation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is based on the external command 10. When the opening command is received by the external command 10,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open simultaneously.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ub-switch 54 is first opened at the time t2 before the second main switch 52 is opened,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reactor when the first sub-switch 53 is closed. An LC resonant circuit comprising 57, a first main switch 51, and a first sub-switch 53 is established.

미리 충전하여 둔 제 1 콘덴서(55)와 제 2 콘덴서(56) 중, 제 1 콘덴서(55)만이 방전되고, 부하전류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전류 전류가 제 1 주스위치(51)에 주입된다. 여기서 부하전류의 최대값은 과전류 트리핑장치(59)의 설정값 12000 A 이하이다. 제 1 콘덴서(55)만이 방전한 경우의 전류 전류 최대값을 14 kA라 하면, 최대 부하전류 12000 A를 상쇄할 수 있고, 제 1 주스위치(51)의 전류가 제로가 된 시점에서 제 1 주스위치(51)가 차단 완료된다. 또한 제 2 주스위치(52)는 차단기가 개극한 후에 부하(2)와 제 1 콘덴서(55) 및 제 2 콘덴서(56)를 단로하는 역활을 하여 부하측 회로에서의 콘덴서 충전전압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Of the first capacitor 55 and the second capacitor 56 previously charged, only the first capacitor 55 is discharged, and a current curr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load current is injected into the first main switch 51. . Here, the maximum value of the load curre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12000 A of the overcurrent tripping device 59. If the maximum value of current current i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capacitor 55 is discharged is 14 kA, the maximum load current 12000 A can be canceled, and the first week when the current of the first main switch 51 becomes zero The switch 51 is cut off. In addition, the second main switch 52 disconnects the load 2, the first capacitor 55, and the second capacitor 56 after the breaker opens,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due to the capacitor charging voltage in the load side circuit. You can prevent it.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Next,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a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일 실시형태는 2개의 전자석과 기계 링크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4개의 스위치의 동작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실현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모두 운전상태[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스위치(52)가 폐극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개의 스위치는 모두 내부에 1쌍의 접점을 가지는 진공밸브로 기재하고 있으나, 기중 스위치 등으로도 전용 가능하다. One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which is the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alize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four switches described above by means of two electromagnets and a mechanical link configuration. 1 to 4 all show an operating state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switch 52 are closed pole states). All four switches are described as vacuum valves having a pair of contacts therein, but they can also be used as air switches.

먼저,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일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제 1 주스위치(51)의 고정측 피더(10)와 제 2 주스위치(52)의 고정측 피더(114)는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외부에 배치한 모선(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선은 리액터(57)의 한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리액터(57)의 다른쪽 끝은 제 1 콘덴서(55) 및 제 2 콘덴서(5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주스위치(51)의 가동도체(62)는 집전부(101)를 거쳐 가동측 피더(120)에 도통하고 있다. 가동측 피더(120)는 직류전원(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주스위치(51)의 가동도체(62)와 제 1 부스위치(53)의 가동도체(69)는 도체(102, 103), 플렉시블도체(104), 도체(105)를 거쳐 상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The fixed side feeder 10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fixed side feeder 114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are connected to a bus (not shown) arranged outside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have. The bus ba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actor 57. The other end of the reactor 57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er 55 and the second condenser 56. The movable conductor 62 of the first main switch 51 is connected to the movable feeder 120 via the current collector 101. The movable side feeder 120 is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1. In addition, the movable conductor 62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movable conductor 69 of the first sub-switch 53 are always electrically connected via the conductors 102 and 103, the flexible conductor 104, and the conductor 105. Is connected to.

제 1 부스위치(53)의 고정도체(108)에는 피더(106)와 피더(107)가 고정되어 있다. 피더(107)는 제 2 부스위치(54)의 고정도체(10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피더(106)는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외부에서 제 1 콘덴서(5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부스위치(54)의 가동도체(110)는 도체(111), 플렉시블도체(112), 피 더(113)를 거쳐 제 2 콘덴서(56)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주스위치(52)의 가동도체(200)는 집전부(201)를 거쳐 가동측 피더(203)에 도통되어 있다. 가동측 피더(203)는 부하(2)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전기적 접속방법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낸 시스템회로가 실현된다. The feeder 106 and the feeder 107 are fixed to the high conductor 108 of the first sub-switch 53. The feeder 107 is connected to the high conductor 109 of the second sub-switch 54. On the other hand, the feeder 106 is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55 outside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The movable conductor 110 of the second sub-switch 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pacitor 56 via the conductor 111, the flexible conductor 112, and the feeder 113. The movable conductor 200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is connected to the movable feeder 203 via the current collector 201. The movable side feeder 203 is connected to the load 2. By the above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the system circuit shown in Fig. 5 is realized.

다음에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일 실시형태의 기계적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echanical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FIGS.

제 1 주스위치(51)의 가동도체(6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64)에 핀 연결되어 있다. 조작로드(65)는 그 한쪽 끝을 부재(64)에, 다른쪽 끝을 힌지(66)에 고정하고 있다. 제 1 부스위치(53)의 가동도체(69)는 부재(67)를 거쳐 힌지(66)에 핀(534)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제 1 주스위치(51)의 가동도체(62)와 제 1 부스위치(53)의 가동도체(69)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한다. 조작로드(65)는 상하부에 평면가공을 실시한 핀(150)에 관통되어 있다. 핀(150)과 조작로드(65)에 고정한 너트(152)에 의하여 와셔(153), 접압 스프링(151), 와셔(154)를 끼워 유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movable conductor 62 of the 1st main switch 51 is pinned to the member 64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rod 65 fixes one end to the member 64 and the other end to the hinge 66. The movable conductor 69 of the first sub-switch 53 is connected to the hinge 66 by a pin 534 via the member 67. That is, the movable conductor 62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movable conductor 69 of the first sub-switch 53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training rod 65 penetrates through the pin 150 which has been subjected to planar processing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washer 153, the contact spring 151, and the washer 154 are sandwiched and held by the nut 152 fixed to the pin 150 and the operation rod 65. FIG.

제 1 주스위치(51)가 개극한 상태에서는 접압 스프링(151)에 의하여 조작로드(65)의 상부의 육각부(155)와 핀(150)이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다. 한편 제 1 주스위치(51)가 폐극동작에서는 주스위치(51)의 고정접점(61)과 가동접점(60)이 접촉한 시점에서 핀(150)과 육각부(15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한 접압 스프링(151)이 압축되면 접압 스프링(151)의 하중은 제 1 주스위치(51)에서의 접점의 접촉력이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main switch 51 is opened, the hexagonal portion 155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65 and the pin 150 are engaged by the contact spring 151.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main switch 51 is clos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pin 150 and the hexagonal portion 155 is released when the fixed contact 61 and the movable contact 60 of the main switch 5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spring 151 is compressed, the load of the contact spring 151 becomes the contact force of the contact point in the first main switch 51.

또, 조작로드(65)는 개극수단을 구성하는 전자반발 코일(170) 및 반발판(171)을 연통하고 있다. 전자반발 코일(170)의 여자에 의하여 반발판(171)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전자반발 코일(170)의 전류와 반발판(171)의 와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 반발력은 반발판(171)을 거쳐 부재(64)로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로드(65)는 도 1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Moreover, the operating rod 65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and the rebound plate 171 constituting the opening means. The eddy current is generated in the repulsion plate 171 by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and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acting between the current of the electromagnetic recoil coil 170 and the eddy current of the rebound plate 171 causes the repulsion plate 171 The member 64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and the operation rod 65 moves upward in FIG. 1 by the repulsive force.

제 2 주스위치(52)의 가동도체(2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재(202)에 핀 연결되어 있다. 조작로드(204)는 그 한쪽 끝을 부재(202)에 고정하고 있다. 조작로드(204)는 상하부에 평면가공된 맞닿음면을 실시한 핀(206)을 관통하고 있다. 핀(206)과 조작로드(202)에 고정한 너트(208)에 의하여 와셔(210), 접압 스프링(212), 와셔(214)를 끼워 유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주스위치(53)의 개극상태에서는 접압 스프링(212)에 의하여 조작로드(202) 상부의 육각부(216)와 핀(206)이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다. 한편 제 2 주스위치(53)의 폐극동작에서는 주스위치(53)의 고정접점(220)과 가동접점(222)이 접촉한 시점에서 핀(206)과 육각부(216)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한 접압 스프링(212)이 압축되면 접압 스프링(212)의 하중은 제 2 주스위치(53)에서의 접점의 접촉력이 된다. The movable conductor 200 of the 2nd main switch 52 is pinned to the member 202,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rod 204 fixes one end to the member 202. The operation rod 204 penetrates through the pin 206 which provided the contact surface flat-process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washer 210, the contact spring 212, and the washer 214 are held by the nut 208 fixed to the pin 206 and the operation rod 202. In the open state of the second main switch 53, the hexagonal portion 216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202 and the pin 206 are engaged by the contact spring 212. Meanwhile, 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switch 53, the engagement between the pin 206 and the hexagonal portion 216 is released when the fixed contact 220 and the movable contact 222 of the main switch 5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spring 212 is compressed, the load of the contact spring 212 becomes the contact force of the contact point in the second main switch 53.

제 1 주스위치(51)의 조작로드(65) 및 제 2 주스위치(52)의 조작로드(20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기 케이스(300) 내에서 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주스위치(52)에 대하여 병설한 전자석(301)으로 구동된다. 전자석(301)의 샤프트(302)는 부재(303)를 거쳐 메인샤프트(500)의 한쪽의 레버(501)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샤프트(500)의 다른쪽 레버(503)에는 제 1 주스위치(51)측으로 연장되 는 절연로드(502)와 제 2 주스위치(52)측으로 연장되는 절연로드(504)가 연결되어 있다. 절연로드(502)는 부샤프트(510)에 의하여 핀(150)에, 절연로드(504)는 부샤프트(512)에 의하여 핀(206)에 각각 걸어맞춰져 있다. 즉, 전자석(301)의 흡인력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500)와 이것에 설치한 레버(501, 503) 및 부샤프트(510, 512)와 이것에 설치한 레버(513, 514)를 거쳐 제 1 주스위치(51)에 있어서의 조작로드(65) 및 제 2 주스위치(52)에 있어서의 조작로드(202)에 전달된다. 제 1 주스위치(51), 제 2 주스위치(52)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전자석(301) 내의 코일(305)을 여자하고, 플런저(304)를 도면에서의 하방향으로 구동하면 좋다. The operation rod 65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operation rod 202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are the first main switch 51 in the manipulator case 300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the electromagnet 301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2nd main switch 52 in parallel.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is connected to one lever 501 of the main shaft 500 via the member 303. The other lever 503 of the main shaft 500 is connected to an insulating rod 502 extending toward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an insulating rod 504 extending toward the second main switch 52. The insulating rod 502 is engaged with the pin 150 by the subshaft 510, and the insulating rod 504 is engaged with the pin 206 by the subshaft 512.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301 is the main shaft 500, the levers 501 and 503 and the sub shafts 510 and 512 attached thereto, and the lever 513 provided thereon. , 514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d 65 in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operation rod 202 in the second main switch 52. In order to insert the 1st main switch 51 and the 2nd main switch 52, the coil 305 in the electromagnet 301 may be excited, and the plunger 304 may be driven downward in the figure.

제 1 부스위치(5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주스위치(51)와 연동하여 구동되나, 도 5에 기재한 조작 타이밍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530)와 레버(531)를 설치하고 있다. 연결부재(530)와 레버(531)는 핀(533)에 의하여 서로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재(530)의 다른쪽 끝은 부샤프트(510)에 접속된다. 한편 레버(531)는 축(532)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switch 53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main switch 51, but in order to realize the operation timing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31) is installed. The connecting member 530 and the lever 5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n 533.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30 is connected to the sub shaft 510. On the other hand, the lever 531 is free to rotate about the shaft 532.

제 1 주스위치(51)가 개극되는 경우, 조작로드(65)가 도 1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부스위치(53)가 일단 폐극되나, 동시에 레버(5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531)와 힌지(66)에 설치한 핀(534)이 걸어맞춰져 제 1 부스위치(53)의 가동도체(69)를 다시 개극방향(하방향)으로 되돌린다. 힌지(66)에 있어서 핀(66)이 관통하는 구멍을 타원형상하고 있는 것은, 조작로드(65)의 위치에 관계없 이 가동도체(68)를 개극방향(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부호 70은 제 1 부스위치(53)에 접촉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이다.When the first main switch 51 is opened, the operation rod 65 moves upward in FIG. 1 so that the first sub switch 53 is closed once, but at the same time, the lever 53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in 534 provided on the lever 531 and the hinge 66 is engaged to return the movable conductor 69 of the first sub-switch 53 back to the opening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The elliptical shape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pin 66 penetrates in the hinge 66 is for enabling the movable conductor 68 to move in the opening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rod 65. to be. 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 spring for applying a contact force to the first sub-switch 53.

제 2 부스위치(54)측에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540)와 레버(541)를 설치하고 있다. 제 2 주스위치(52)가 개극되면 레버(541)가 축(54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부스위치(54)의 가동도체(110)에 설치한 핀(543)과 레버(541)가 걸어맞춰져 가동도체(544)를 개극방향(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부호 71은 제 2 부스위치(54)에 접촉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을 나타낸다. 연결부재(530, 540)는 그 길이를 가변으로 하고 있고, 상기 부재로 주스위치와 부스위치의 개폐 타이밍을 조정한다. The connecting member 540 and the lever 541 are also provided on the second sub-switch 54 side as shown in FIG. When the second main switch 52 is opened, the lever 541 rotates clockwise about the shaft 542, and the pin 543 provided on the movable conductor 110 of the second sub-switch 54 and The lever 541 is engaged to move the movable conductor 544 in the open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Reference numeral 71 denotes a spring for applying a contact force to the second sub-switch 54. The lengths of the connecting members 530 and 540 are variab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timings of the main switch and the subswitch are adjusted by the member.

도 4에서 부호 555는 메인샤프트(500)에 연동하도록 조작기 케이스(300) 내에 설치한 트립 스프링, 부호 590은 코일(305)에 여자 에너지를 공급하는 콘덴서, 부호 591은 전자석(301)의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In FIG. 4, reference numeral 555 denotes a trip spring installed in the manipulator case 300 to interlock with the main shaft 500, reference numeral 590 denotes a condenser for supplying excitation energy to the coil 305, and reference numeral 591 denotes a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omagnet 301. Indicates.

도 1에서 제 1 주스위치(51)의 조작로드(65)의 힌지(66)와, 전자석(301)의 샤프트(302)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개극수단을 구성하는 전자반발코일(170) 및 반발판(171)에 의한 제 1 주스위치(51)를 고속으로 개극시킨 경우에 생기는 가동전극측의 축, 즉 조작로드(65)이 튀어오름을 저감시키기 위한 석방기구(900)가 설치되어 있다.In FIG. 1, between the hinge 66 of the operation rod 65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constituting an opening means and A release mechanism 900 for reducing the springing of the shaft on the movable electrode side, that is, the operating rod 65, generated when the first main switch 51 is opened at high speed by the reaction plate 171 is provided. .

이 석방기구(900)는 전자석(301)의 샤프트(302)의 상단에 설치한 핀 지지부재(584)와, 이 핀 지지부재(584)의 설치한 핀(583)과, 전자석(301)측에 한쪽 끝을 축(58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다른쪽 끝을 핀(583)의 하측을 통하여 주 스위치측으로 연장시킨 레버(585)와, 이 레버(585)의 다른쪽 끝에 한쪽 끝이 핀 연결되고, 다른쪽 끝이 핀(580)에 의하여 힌지(66)에 연결된 제 2 절연로드(581)로 이루어지는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석(301)의 샤프트(302)의 상단에 설치한 핀 지지부재(58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레버(585)와 핀(583)이 걸어맞춰지는 타이밍이 조정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시간(t3)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 지지부재(584)의 전자석(301)의 샤프트(302)에의 비틀어 넣음 깊이를 조정하면 좋다. The release mechanism 900 includes a pin support member 584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a pin 583 provided by the pin support member 584, and an electromagnet 301 side. A lever 585 which rotatably supports one end around the shaft 582 and extends the other end to the main switch side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in 583, and on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lever 585. This pin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comprised with the link mechanism which consists of the 2nd insulating rod 581 connected to the hinge 66 by the pin 580. As shown in FIG. The timing at which the lever 585 and the pin 583 are engaged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n support member 584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t3 shown in FIG. 5). ) Can be realized. Specifically, the twist depth of the pin support member 584 to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may be adjusted.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5)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operation | movement of one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5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투입동작에서는 전자석(301)의 코일(305)을 여자하여 플런저(304)에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흡인력은 메인샤프트(500), 부샤프트(510, 512)를 거쳐 제 1 주스위치(51)의 조작로드(65) 및 제 2 주스위치(52)의 조작로드(204)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동도체(62, 200)가 하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주스위치(52)가 폐극된다. 투입동작에서는 각 주스위치(51, 52)의 접압 스프링(151, 212) 및 조작기 케이스(300) 내에 설치한 트립 스프링(555)이 축세되어 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주스위치(52)의 개극동작에 대비하고 있다. In the closing operation, the coil 305 of the electromagnet 301 is excit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on the plunger 304. Since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d 65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operation rod 204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via the main shaft 500 and the sub shafts 510 and 512, the suction force is movable. The conductors 62 and 200 are driven downward to close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In the closing operation, the contact springs 151 and 212 of the main switches 51 and 52 and the trip spring 555 installed in the manipulator case 300 are encapsulated so that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are reduced. ) To prepare for the opening operation.

제 1 부스위치(53)는 레버(531)와 핀(534)의 걸어맞춤에 따라 개극상태가 되고, 한편 제 2 부스위치(54)는 레버(541)와 핀(543)의 걸어맞춤이 해소되어 폐극상태가 된다. 투입동작이 완료되면 전자석(301)의 여자를 해제한다. 축세된 접압 스프링(151, 212) 및 트립 스프링(555)의 반력은 전자석(301) 내부의 영구자 석(306)의 흡인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The first sub-switch 53 is opened when the lever 531 and the pin 534 are engaged, while the second sub-switch 54 eliminates the engagement of the lever 541 and the pin 543. To a closed state. When the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 301 is released. Reaction forces of the contact pressure springs 151 and 212 and the tripping spring 555 are maintain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inside the electromagnet 301.

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주스위치(52)의 통상의 개극동작에서는 상기한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코일(305)을 여자한다. 코일(305)의 역여자에 의하여 영구자석(306)이 발생하는 자속이 캔슬되어 전자석(301)의 흡인력이 스프링의 반력을 하회한 시점에서 제 1 주스위치(51) 및 제 2 주스위치(52)의 개극동작이 개시된다. In the normal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the coil 305 is exci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closing operation. When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306 is canceled by the reverse excitation of the coil 305,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301 falls below the reaction force of the spring, and thus the first main switch 51 and the second main switch 52 The opening operation of

사고시의 고속 차단에서는 전자반발코일(170)을 여자한다. 반발판(171)에 발생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로드(65)는 접압 스프링(151)을 더욱 휘어지게 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주스위치(51)는 개극상태, 제 1 부스위치(53)는 폐극상태가 된다. 이 시점에서는 메인샤프트(500) 및 부샤프트(510)는 동작하지 않고, 제 2 주스위치(52), 제 2 부스위치(54)의 상태는 유지된 그대로이다. In the high-speed cutoff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is excited. The operating rod 65 moves upward by bending the contact spring 151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the reaction plate 171, and the first main switch 51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first sub-switch ( 53) is in the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main shaft 500 and the sub shaft 510 do not operate, and the states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and the second sub switch 54 remain unchanged.

반발판(171)의 전자반발코일(170)에 대한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로드(65)가 더욱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석방기구(900)에서의 레버(585)와 전자석(301)의 샤프트(302)에 설치한 핀(583)이 걸어맞춰지고, 전자반발력이 핀(583)에 전달된다. 이 전달력과 접압스프링(151, 212)의 하중 및 트립 스프링(555)의 하중의 합이 영구자석(306)의 흡인력을 넘으면 플런저(30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동작에 따라 제 2 주스위치(52) 및 제 2 부스위치가 개극되고, 그 재투입이 방지된다.When the operation rod 65 further moves upward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of the reaction plate 171, the shaft 5 of the lever 585 and the electromagnet 301 of the release mechanism 900 ( The pins 583 provided on the 302 are engaged, and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ins 583. When the sum of the transmission force, the load of the contact springs 151 and 212 and the load of the trip spring 555 exceeds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the plunger 304 starts to move upward.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second main switch 52 and the second sub-switch are opened, and re-insertion thereof is prevented.

상기한 개극수단에 있는 고속 차단에서는 영구자석(306)의 흡인력으로부터 접압 스프링(151, 212) 및 트립 스프링(555)의 반력을 뺀 힘, 즉 폐극상태를 유지 하기 위한 잉여력을 넘는 전자반발력을 전자석(301)의 가동부에 작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기술과 같이 전자반발력을 직접 전자석 가동부에 작용시키면 그 반력에 의하여 접점이 재투입될 위험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로드(581), 레버(585) 및 핀(583)으로 구성되는 전자석(301)의 석방기구(900)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이 석방기구(90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석방에 필요한 힘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1/L2배로 저감할 수 있다. In the high-speed cut-off in the opening means, the for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contact springs 151 and 212 and the trip spring 555 from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that is,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force exceeding the surplus force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It must act on the movable part of the electromagnet 301. If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acts directly on the electromagnet movable por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ct is re-injected by the reaction for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elease mechanism 900 of the electromagnet 301 comprised of the insulating rod 581, the lever 585, and the pin 583 was provided, this release mechanism 900 uses the principle of a lever. The force required for release can be reduced to L1 / L2 times as shown in FIG. 1.

즉, 석방기구(900)에 의한 약간의 조작력으로 전자석(301)이 석방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전자석(301)의 석방시의 반력이 저감되어 주스위치의 재투입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이 석방기구(900)는 고속 차단시의 제 2 주스위치(52) 및 제 2 부스위치(54)의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연휴하여 동작하는 주스위치와 부스위치 사이의 동작 타이밍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연결부재(530, 540)로 조정 가능하나, 2개의 스위치군 사이는 개별의 조작기를 준비하여 각각 타이밍을 어긋나게 한 지령을 보내는 등, 복잡한 기구·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 레버(582)와 핀(583)이 걸어맞춰지는 타이밍만을 조정하면 되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electromagnet 301 can be released with a slight operating force by the release mechanism 900. As a result, the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release of the electromagnet 301 can be reduced, and the risk of reentering the main switch can be avoided. This release mechanism 900 also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econd main switch 52 and the second sub-switch 54 at the time of high-speed interruption. The operation timing between the main switch and the sub-switch operated in consecutive holidays can be adjusted by the connecting members 530 and 540 shown in Figs. 1 and 2, but between the two switch groups, a separate manipulator is prepared to shift the timing. Complicated mechanisms, configurations, etc. are requ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timing at which the shaft lever 582 and the pins 583 are engaged can be adjusted, which can be easily achieved.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을 간이한 구성으로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에 있어서의 영구자석과 가동철심의 흡착, 즉 진공밸브의 폐극을 약간의 힘으로 신 속하게 해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can be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nlarg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due to the spr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able core in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are sucked, that is, the closed electrode of the vacuum valve can be released quickly with a slight force. Can provide a highly reliable circuit breaker.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 차단기(6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 차단기(600)의 우측 단면도, 도 9는 배면도, 도 10은 정면도이고, 모두 폐극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좌측 단면도이고, 전자석(301)의 석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부분이다. 8 to 11 show one embodiment of the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600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right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600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rear view. 10 is a front view, and all show closed state. 11 is a lef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release of the electromagnet 301. In these drawings, the same parts as those of Figs. 1 to 4 are the same parts.

이들 도면에 있어서 3상의 고속 차단기(600)는 내부에 접촉 이탈 자유로운 접점을 구비한 진공밸브(601)를 구비하고 있는 진공밸브(601)의 고정전극측의 고정도체(602)는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고, 고정측 피더(60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가동전극측의 가동도체(604)는 집전부(605)를 거쳐 아래쪽측에 배치되고, 가동측 피더(606)에 도통되어 있다. In these figures, the three-phase high-speed circuit breaker 600 has a vacuum conductor 601 having a vacuum-release valve 601 having a contact-free contact therein. And a fixed side feeder 603.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conductor 604 on the movable electrode side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via the current collector 605 and is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feeder 606.

또, 가동도체(604)는 절연로드(607)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다. 절연로드(607)의 다른쪽 끝은 조작로드(608)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로드(608)는 상하부에 평면 가공된 맞닿음면을 실시한 핀(609) 내를 관통하고 있다. 핀(609)은 3상 모두 단일의 메인샤프트(500)의 한쪽의 레버(503)에 걸어맞춰져 있다. 핀(609)과 조작 로드(608)에 고정한 너트(610)에 의하여 와셔(611), 접압 스프링(612), 와셔(613)를 끼워 유지하고 있다. 진공밸브(601)가 개극된 상태에서는 접압 스프링(612)에 의하여 조작로드(608) 하부의 육각부(620)와 핀(609)이 걸어맞춰진 상태가 된다. 한편, 진공밸브(601)의 폐극동작에서는 진공밸브(601)의 고정 접점(621)과 가동 접점(622)이 접촉한 시점에서 핀(609)과 육각부(62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 고, 접압 스프링(612)의 하중은 접점의 접촉력이 된다. The movable conductor 60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sulating rod 607. The other end of the insulating rod 607 is fixed to the operation rod 608. The operating rod 608 penetrates into the pin 609 which provided the contact surface flat-process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pin 609 is engaged with one lever 503 of the single main shaft 500 in all three phases. The washer 611, the contact spring 612, and the washer 613 are held by the nut 610 fixed to the pin 609 and the operation rod 608. In the state where the vacuum valve 601 is opened, the hexagonal part 620 of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on rod 608 and the pin 609 are engaged by the contact spring 612. On the other hand, 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601, the engagement between the pin 609 and the hexagonal portion 620 is released when the fixed contact 621 and the movable contact 622 of the vacuum valve 601 contacts. The load of the contact spring 612 becomes the contact force of the contact.

조작로드(608)는 개극수단을 구성하는 전자반발코일(170) 및 반발판(171)을 연통하고 있다. 전자반발코일(170)의 여자에 의하여 반발판(171)에 발생한 전자반발력은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로드(607)에서 받는 구성으로 되고 있고, 상기 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로드(608)는 도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operating rod 608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and the rebound plate 171 constituting the opening means.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the repellent plate 171 by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coil 170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by the insulating rod 607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operation rod 608 is Move downward

조작로드(607)는 조작기 케이스(300) 내에 진공밸브(601)에 대하여 병설한 전자석(301)으로 구동된다. 전자석(301)의 샤프트(302)는 부재(303)를 거쳐 메인샤프트(500)의 다른쪽 레버(50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전자석(301)의 흡인력은 메인샤프트(500)을 거쳐 조작로드(607)에 전달된다. 진공밸브(601)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전자석(301) 내의 코일(305)을 여자하고, 플런저(304)를 도면에서 하방향으로 구동하면 좋다.The operation rod 607 is driven by an electromagnet 301 provided in parallel to the vacuum valve 601 in the manipulator case 300. The shaft 302 of the electromagnet 301 is connected to the other lever 501 of the main shaft 500 via the member 303. That is,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301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d 607 via the main shaft 500. In order to inject the vacuum valve 601, the coil 305 in the electromagnet 301 may be excited, and the plunger 304 may be driven downward in the drawing.

메인샤프트(500), 레버(503, 501)의 아래쪽에는 전자석(301)의 석방기구(9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석(301)의 석방기구(900)는 축(6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간섭 레버(632)와, 항상 간섭 레버(632)를 부재(303)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간섭 레버(632)와 레버(501)의 사이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633)(도 7참조)과의 레버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석방기구(900)에 있어서의 축(631)은 지렛대의 원리를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하여 전자석(301)측에 배치되어 있다. 간섭 레버(632)의 한쪽 끝은 부재(303)에 맞닿아 있고, 간섭 레버(632)의 다른쪽 끝은 조작로드(608) 하부의 육각부(620)의 끝부에 위치하고 있다. The release mechanism 900 of the electromagnet 301 is provided below the main shaft 500 and the levers 503 and 501. The release mechanism 900 of the electromagnet 301 has an interference lever 632 which can rotate about an axis 631, and an interference lever 632 so as to always rotate the interference lever 632 to the member 303 side. And a lever mechanism with a coil spring 633 (see FIG. 7) provided between the lever 501 and the lever 501. The shaft 631 in the release mechanism 900 is disposed on the electromagnet 301 side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the principle of the lever. One end of the interference lever 632 is in contact with the member 303,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ference lever 632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exagonal portion 620 under the operation rod 608.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차단기(600)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operation | movement of one Embodiment of the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600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투입동작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미리 충전하여 둔 콘덴서(590)에 의하여 전자석(301)의 코일(305)을 여자하여 플런저(304)에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흡인력은 메인샤프트(500)를 거쳐 조작로드(607)에 전달되고, 가동도체(604)가 상방향으로 구동되어 진공밸브(601)가 폐극된다. 투입동작과 동시에 접압 스프링(612) 및 트립 스프링(555)은 축세되어 있어, 개극동작에 대비하고 있다. 투입동작이 완료되면 전자석(301)의 여자를 해제한다. 축적된 접압 스프링(612) 및 트립 스프링(555)의 반력은 전자석(301) 내부의 영구자석(306)의 흡인력으로 유지된다. In the closing operation, the coil 305 of the electromagnet 301 is excited by the pre-charged capacitor 590 shown in FIG. 8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o the plunger 304.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rod 607 via the main shaft 500, and the movable conductor 604 is driven upward to close the vacuum valve 601. Simultaneously with the closing operation, the contact spring 612 and the tripping spring 555 are accumulated and prepared for the opening operation. When the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 301 is released. Accumulated reaction force of the contact spring 612 and the trip spring 555 is maintain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inside the electromagnet 301.

진공밸브(601)의 통상의 개극동작에서는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코일(305)을 여자한다. 코일(305)의 역여자에 의하여 영구자석(306)이 발생하는 자속이 캔슬되어 전자석(301)의 흡인력이 스프링의 반력을 하회한 시점에서 진공밸브(601)의 개극동작이 개시된다. In the normal open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601, the coil 305 is exci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in the closing operation.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306 is canceled by the reverse excitation of the coil 305,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601 is started when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301 falls below the reaction force of the spring.

사고시에 있어서의 진공밸브(601)의 고속차단에서는 개극수단의 전자반발코일(170)을 여자한다. 반발판(171)에 발생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조작로드(607)는 접압 스프링(612)을 더욱 휘어지게 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진공밸브(601)는 개극상태가 된다. 이때 메인샤프트(500)는 아직 이동하고 있지 않다.In the high-speed cutoff of the vacuum valve 601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coil 170 of the opening means is excited. Since the operation rod 607 moves downward by further bending the contact spring 612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force generated in the reaction plate 171, the vacuum valve 601 is in an open state. At this time, the main shaft 500 is not moving yet.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반발에 의하여 조작로드(607)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조작로드(607)와 간섭레버(632)가 충돌하고, 이 충돌력이 부재(303)에 전달된다. 이 전달력과 접압 스프링(612) 및 트립 스프링(555)의 하중의 합계가 영구자석(306)의 흡인력을 넘으면 플런저(30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동작에 따라 고속차단기(600)의 조작기구 전체가 개극상태로 이행한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operating rod 607 moves downward by electromagnetic repulsion, the operating rod 607 and the interference lever 632 collide, and this collis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ember 303. As shown in FIG. When the sum of the transmission force and the load of the contact spring 612 and the trip spring 555 exceeds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the plunger 304 starts to move upward. In accordance with this operation, the entire operating mechanism of the high speed circuit breaker 600 shifts to the open state.

상기한 개극수단에 의한 진공밸브(601)의 고속차단에서는 영구자석(306)의 흡인력으로부터 접압 스프링(612) 및 트립 스프링(555)의 반력을 뺀 힘, 즉 진공밸브(601)의 폐극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잉여력을 넘는 전자반발력을 전자석(301)의 가동부에 작용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 기술과 같이 전자반발력을 직접 전자석 가동부에 작용시키면 그 반력에 의하여 접점이 재투입될 위험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631), 간섭 레버(632)로 구성되는 전자석(301)의 석방기구(900)에 의하여 해소되어 있다. 이 석방기구(9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의 이용에 의하여 전자석 가동부의 석방에 필요한 힘을 L1/L2배로 저감할 수 있다. 즉, 석방기구(900)에서의 약간의 힘으로 전자석(301)이 석방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전자석 가동부의 석방시의 반력이 저감되어 진공밸브(601)의 재투입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In the high-speed cutoff of the vacuum valve 601 by the opening means, the for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action force of the contact spring 612 and the trip spring 555 from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6, that is, the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601 is determined.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exceeding the surplus force to maintain must act on the movable part of the electromagnet 301. If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acts directly on the electromagnet movable por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act is re-injected by the reaction force. In this embodiment, the release mechanism 900 of the electromagnet 301 comprised by the shaft 631 and the interference lever 632 is eliminated. As shown in Fig. 9, the release mechanism 900 can reduce the force required for the release of the electromagnet movable portion by L1 / L2 times by utiliz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at is, the electromagnet 301 can be released by a slight force in the release mechanism 900, and as a result, the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release of the electromagnet movable portion is reduced, and the risk of re-injection of the vacuum valve 601 can be avoided. .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를 스위칭하기 위한 전자석과, 사고전류를 고속차단하기 위한 전자석을 개별로 하고 있다. 고속차단에서의 전자반발력의 충격력은 커서 다빈도 개폐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재의 강도 향상이 필수가 된다. 강도 향상은 가동부 질량의 증가로 연결되어 고속개폐를 위해서는 전자반발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고속차단을 사고전류 차단에 한정하면, 수회∼수십회의 내구성을 확보하면 되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전자석에서는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여자하면 진공밸브(601)의 개극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하전류 차단과 사고전류 차단에서 사용하는 전 자석을 변화시켰다 하여도 제어방식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구성부재에는 변화는 없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magnet for switching a load and the electromagnet for high-speed cutoff of a fault current are set separately. The impact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in the high-speed cutoff is large, and the strength improvement of each member is essential to cope with multiple frequency opening and closing. The increase in strengt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ass of the moving part, resulting in a vicious cycl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electron repelling force for high speed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high-speed interruption is limited to the fault current interruption, durability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times can be ensured,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In addition, in the electromagnet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601 can be performed by exci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operation. Therefore, even if all the magnets used in the load current interruption and fault current interruption are changed, the control method There is no change in the components just by changing the.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을 간이한 구성으로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에서의 영구자석과 가동철심의 흡착, 즉 진공밸브의 폐극을 약간의 힘으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can be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nlarg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due to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 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suc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ing core from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that is, quickly releases the closed electrode of the vacuum valve with a slight fo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with high reliability.

도 12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이 도 12에서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부분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IG. 1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serving a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이 실시형태는 도 12의 오른쪽 중간부에 위치하는 레버(513)에, 또 하나의 레버(1000)를 배치한 것이다. 이 레버(1000)는 그 한쪽측이 조작로드(65)에 설치한 부재(1001)측에 위치하고, 또 다른쪽측이 절연로드(502)측에 위치하도록 축(1002)에 의하여 레버(5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극수단에서의 반발판(171)의 윗쪽으로의 이동에 의한 고속차단시에는 조작로드(65)의 윗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부재(1001)가 위치 P에서 레버(1000)의 한쪽측이 맞닿고, 레버(1000)를 축(1002)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1000)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레버(1000)의 다른쪽측이 위치 Q에서 절연로드(502)에 충돌한다. 이에 의하여 절연로드(503)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자석 측의 레버(50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전자석(301)을 석방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전자석(301)의 석방시의 반력이 저감되어 주스위치의 재투입의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arrange | positions another lever 1000 in the lever 513 located in the right middle part of FIG. The lever 1000 is positioned on the member 1001 side of which the one side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rod 65, and the lever 1000 is positioned on the lever 513 by the shaft 1002 so that the other side is located on the insulating rod 502 side. It is install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For this reason, at the time of the high speed blocking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reaction plate 171 in the opening means, the member 1001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ng rod 65 so that one side of the lever 1000 is moved at the position P. FIG. It abuts and rotates the lever 1000 counterclockwise with the shaft 1002 as a support point. The other side of the lever 1000 collides with the insulating rod 502 at the position Q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lever 1000. As a result, the insulating rod 503 moves downward, and the lever 501 on the electromagnet side rotates clockwise to release the electromagnet 301. As a result, the reaction force at the time of release of the electromagnet 301 can be reduced, and the risk of reentering the main switch can be avoided.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을 간이한 구성으로 저감할 수 있기때문에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반발기구에 의한 전류차단 도중시에 생기는 가동전극측 축의 튀어오름에 의하여 진공밸브의 조작기구에서의 영구자석과 가동철심의 흡착, 즉 진공밸브의 폐극을 약간의 힘으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springing of the movable electrode-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can be reduc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enlarge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vacuum valv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due to the spring of the movable electrode-side shaft generated during the current interrup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mechanism,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able core of the vacuum valve operating mechanism can be quickly released, that is, the closed electrode of the vacuum valve can be quickly released with a slight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with high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좌측면도,1 is a lef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배면도,FIG. 2 is a rear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우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를 적용한 시스템 회로도,5 is a system circuit diagram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serving a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pplied;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사고시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FIG. 6 is a time chart diagram showing operation during an accident of an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일 실시형태의 통상 운전시의 조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7 is a time chart diagram showing oper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the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8은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차단기의 우측 단면도,8 is a right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차단기의 배면도,9 is a rear view of a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차단기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a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3상의 고속차단기의 좌측 단면도,11 is a left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phase high speed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도 12는 본 발명의 차단기인 전류식 직류차단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좌측면도 이다. 12 is a left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urrent-type DC circuit breaker which is a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5 : 전류식 직류차단기 51 : 제 1 주스위치(진공밸브)5: Current DC Circuit Breaker 51: 1st Main Switch (Vacuum Valve)

170 : 전자반발코일 171 : 반발판170: electromagnetic rebound coil 171: rebound plate

301 : 전자석 306 : 영구자석301: electromagnet 306: permanent magnet

600 : 고속차단기 900 : 석방기구600: high speed breaker 900: release mechanism

Claims (7)

진공밸브와, 영구자석의 흡인력으로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로 유지하는 조작기구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In the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the vacuum valve, the operation mechanism which maintains the said vacuum valve in the closed state by the suction force of a permanent magnet, and the opening means which drives the operation shaft of the said operation mechanism to an open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상기 개극수단과 상기 조작기구의 사이에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조작기구에 의한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And a mechanism for canceling the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operating mechanism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between the opening means and the operation mechanism. 진공밸브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In the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the vacuum valve and the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of the vacuum valve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가지고,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를 유지하며,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개극동작시키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It has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excites the coil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and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n operation mechanism for exciting the coil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vacuum valve, and a link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to release the closed state of the vacuum valve.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진공밸브와,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구동하는 개극수단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In the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the vacuum valve and the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of the vacuum valve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가지고,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상기 진공밸브를 개극동작시키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진공밸브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레버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It has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excites the coil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cuum valve, and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vacuum valv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n operation mechanism for exciting the coil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vacuum valve, and a lev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by the opening means to release the closed electrode state of the vacuum valve.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주스위치와, 그것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스위치로 구성되는 2개의 스위치군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 In a circuit breaker having two switch groups consisting of a main switch and a sub-switch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it, 한쪽의 스위치군에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과,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탑재하고, 상기 2개의 스위치군에 대하여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개극동작을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주스위치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One switch group is provided with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in the opening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and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and exciting the coil with respect to the two switch groups. An operation mechanism which maintains the closed pole stat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excites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operation, and performs the opening action; and responds to the opening action by the opening means. And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 link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state. 주스위치와, 그것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스위치로 구성되는 2개의 스위치군을 구비한 차단기에 있어서,In a circuit breaker having two switch groups consisting of a main switch and a sub-switch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it, 한쪽의 스위치군에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조작축을 개극방향으로 구동하는 개극수단과, 코일, 가동철심,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전자석을 탑재하고, 상기 2개의 스위치군에 대하여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투입동작을 행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폐극상태를 유지하고, 투입동작시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코일을 여자하여 개극동작을 행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개극수단에 의한 개극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주스위치의 폐극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한 레버기구로 이루어지는 석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One switch group is provided with opening means for driving the operation shaft in the opening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repulsion action, and an electromagnet composed of a coil, a moving core and a permanent magnet, and exciting the coil with respect to the two switch groups. An operation mechanism which maintains the closed pole stat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excites the coi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operation, and performs the opening action; and responds to the opening action by the opening means. And a release mechanism comprising a lever mechanism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to release the closed pole stat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개극수단 및 상기 조작기구에 대하여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The electromagnet is provided with the opening means and the operation mechanism in parallel.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석방기구에, 상기 폐극수단에 의한 전자반발작용에 의하여 개극하는 2개의 스위치군의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And said adjusting mechanism is provided in said releas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two switch groups to be opened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action by said closed electrode means.
KR1020070068710A 2006-07-10 2007-07-09 Circuit breaker KR1013108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9635A JP4357505B2 (en) 2006-07-10 2006-07-10 Breaker
JPJP-P-2006-00189635 2006-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70A true KR20080005870A (en) 2008-01-15
KR101310849B1 KR101310849B1 (en) 2013-09-25

Family

ID=3907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710A KR101310849B1 (en) 2006-07-10 2007-07-09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57505B2 (en)
KR (1) KR101310849B1 (en)
TW (1) TW20080747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7054A (en) * 2019-07-16 2022-02-25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Circuit bre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8378B2 (en) * 2013-03-01 2017-02-0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Circuit breaker
JP6042756B2 (en) * 2013-03-21 2016-12-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Circuit breaker
CN116110741B (en) * 2023-02-07 2023-10-20 泰安众诚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Mining high-voltage vacuum switch composite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137B2 (en) * 1998-01-27 2003-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High speed circuit breaker
JP4667664B2 (en) * 2001-07-12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Power switchgear
JP2004342552A (en) * 2003-05-19 2004-12-02 Toshiba Corp Switch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7054A (en) * 2019-07-16 2022-02-25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849B1 (en) 2013-09-25
JP4357505B2 (en) 2009-11-04
JP2008021418A (en) 2008-01-31
TW200807472A (en) 2008-02-01
TWI351705B (en)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23B1 (en)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switch the same
EP2312605B1 (en) Bistable magnetic actuator for a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CN201788887U (en) Direct-acting vacuum breaker equipped with bistable permanent-magnetic operating mechanism
Dullni A vacuum circuit-breaker with permanent magnetic actuator for frequent operations
EP2879150A1 (en) Switch
KR101310849B1 (en) Circuit breaker
CN104303251A (en) Line protection switch
CN101901718A (en) Direct-acting vacuum circuit breaker with bistable permanent magnet actuators
Dullni et al. A vacuum circuit-breaker with permanent magnetic actuator and electronic control
EP2835810A1 (en)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operating method
CN2914304Y (en) Permanent magnetism intelligent mechanism low-voltage vacuum breaker
US20140266520A1 (en) Trip actuator for switch of electric power circuit
KR19990047296A (en) Multi-circuit automatic breaker for underground line using magnetic actuator
JP4269156B2 (en) Electromagnetic operation method and electromagnetic operation device
CN103050320A (en) Miniaturized large-current handcart-typ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925046B1 (en) Contact switch
CN101908435B (en) Permanent magnet-operated vacuum circuit breaker
KR20090071094A (en) Hybrid current limiter using superconduction device
KR102344181B1 (en) Fast Switch
CN114097054B (en) Circuit breaker
RU2224318C1 (en) Vacuum switch
CN209357665U (en) A kind of permanent magnetic spring actuating integral mechanism
CN202018916U (en) Miniaturized high-current vehicle-type vacuum breaker
RU25643U1 (en) VACUUM CIRCUIT BREAKER
Chaly et al. New generation of vacuum circuit breakers with monostable magnetic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