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628U -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628U
KR20080005628U KR2020070008309U KR20070008309U KR20080005628U KR 20080005628 U KR20080005628 U KR 20080005628U KR 2020070008309 U KR2020070008309 U KR 2020070008309U KR 20070008309 U KR20070008309 U KR 20070008309U KR 20080005628 U KR20080005628 U KR 20080005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radio frequency
tag
frequency identification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070008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628U/ko
Publication of KR20080005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6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8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near field of leaky cables, e.g. of leaky coaxial c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파식별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나 책 등과 같은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객체에 부착되는 전파식별(RFID) 태그와 전파식별(RFID) 태그의 ID(Identification) 및 데이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전파식별 태그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 확인 및 저장하는 전파식별(RFID) 리더기 및 상기 송수신을 위한 RF 신호를 전송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에 덧붙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례는 전파식별 리더기에 저장된 ID 및 데이터 정보를 무선망과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경유하여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무선랜 카드를 더 포함한다. 이때, 누설동축케이블은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고안은 전파식별 리더기에 안테나로서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가능하고,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를 인접하도록 하여 전파식별 리더기가 전파식별 태그를 100% 인식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파식별 리더기, 전파식별 태그, 누설동축케이블, 무선랜 카드.

Description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UTILIZED BY LEAKY COAXIAL CABLE FOR THE ANTENNA}
도 1은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또 다른 전파식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식별 리더기를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와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파식별 장치가 실제 적용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파식별 태그 200 : 전파식별 리더기
300 : 누설동축케이블 400 : 엑세스 포인트(AP)
500 : 데이터 관리 시스템 600 : 무선랜 카드
본 고안은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파식별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나 책 등과 같은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파식별(RFID, Radion Frequency Identification)은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로, 물체나 사람 등에 소형 칩을 부착하여 물체나 사람 등에 대한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 등을 무선 주파수로 전송 및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장치이다.
이러한 전파식별(RFID) 장치는 판독 또는 해독 기능이 있는 RFID 리더기 및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 등으로 구성되며, 전파식별 리더기가 전파식별 태그(Tag)를 인식하여 전파식별 태그에 기록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함으로써 물품의 식별, 도난 방지 등과 같은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접촉식으로 물품을 자동 인식하는 전파식별 장치가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적용되는 분야가 미비하여 바코드를 이용한 물체를 자동 인식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예를 들면, 대형 도서관이나 대형서점에 배치된 책들은 바코드를 부착함으로써 출입구에 설치되거나 사람이 들고 있는 바코드 인식 장치에 의해 책의 입, 출입을 자동 인식하는 단순한 일 처리에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형도서관이나 대 형 서점을 운영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는 수많은 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책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목적과 연계하여 재고 관리를 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또 하나의 일례를 들면, 물류 창고에 보관된 물품들은 바코드를 부착함으로써 물품의 입출입시, 바코드 인식 장치에 의해 물품을 자동 인식하여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는 수동으로 물품 재고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와 연계된 물품의 입,출입을 통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서관이나 대형 서점에 보관된 책 및 물류 창고에 보관된 물품을 효율적으로 재고 관리하는 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RFID)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는 객체에 부착되는 전파식별(RFID) 태그와 상기 전파식별(RFID) 태그의 ID(Identification) 및 데이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 확인 및 저장하는 전파식별(RFID) 리더기 및 상기 송수신을 위한 RF 신호를 전송하는 누설동축케이블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며,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는 객체에 부착되는 전파식별(RFID) 태그와 상기 전파식별(RFID) 태그의 ID(Identification) 및 데이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 확인 및 저장하는 전파식별(RFID) 리더기와 상기 송수신을 위한 RF 신호를 전송하는 누설동축케이블과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에 저장된 ID 및 데이터 정보를 무선망과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경유하여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며,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 사이의 인접 거리는 1cm 내지 50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 태그는 물류창고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물품이거나 도서관 또는 대형서점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책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선반의 일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은 받침대를 포함할 때,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선반의 배면 또는 받침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책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 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을 위한 도서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물품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 위한 물류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는 전파식별 리더기(200), 누설동축케이블(300), 전파식별 태그(100),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을 포함한다.
전파식별 리더기(200)는 전파식별 태그(100)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제어 신호에 의해 수집, 확인 및 저장한다. 여기서 ID정보 및 데이터란 전파식별 태그(100) 부착된 객체(책, 물품 등을 의미), 예를 들면, ID 정보는 도서관이나 대형 서점에 보관된 책들의 고유 번호을 말하며, 데이터 정보는 고유번호와 연관된 책 제목, 저자, 출판사, 가격, 선반에 배치된 입고일, 선반에서 나간 출고일 등 재고관리를 위한 여러 정보가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파식별 리더기(200)는 누설동축케이블(300)과 연결되며, 보다 자세한 구성은 이후의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누설동축케이블(300)은 전파식별 태그(100)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 부분에 슬롯(slot, 미도시)이라 불리는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복수의 슬롯(slot)은 서로 인접되어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송,수신 안테나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은 수십MHz에서부터 5GHz까지의 높은 주파수대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으로 전파식별 태그에서 사용되는 수백MHz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누설동축케이블(300)은 전파식별 리더기(200)의 명령 요구로 RF 신호에 의한 전파를 전파식별 태그(100)로 전송하여 전파식별 태그(100)를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때, RF 신호에 의한 전파는 전파식별 태그(100)가 수동형 태그일 경우에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파식별 태그(100)는 객체(미도시)에 부착되는데, 객체란 도서관이나 대형서점의 선반에 진열되어 있는 책이나, 물류창고의 선반에 진열되어 있는 물품일 수 있다. 또한, 객체는 사람에 의해 이동성을 갖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자동차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객체는 책과 물품으로 일례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전파식별 태그(100)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파식별 태그(100)는 배터리의 내장 여부에 따라 배터리가 내장된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전파 범위 내에서 에너지원을 얻는 수동형 태그(Passive Tag)로 구분될 때, 전파식별 태그(100)가 능동형 태그(Active Tag)일 경우에는 태그(100) 내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배터리가 유지되는 동안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에 따라 RF 신호를 송신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ID 및 데이터 정 보를 전파식별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파식별 태그(100)가 수동형 태그(Passive Tag)일 경우에는 안테나(Antenna,미도시), 코일(Coil,미도시) 및 칩(Chip,미도시)을 포함하며,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누설동축케이블에서 방출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활성화될 때 필요하다.
즉, 전파식별 태그(100)가 전파식별 리더기(200)와 연결된 누설동축케이블(300)에서 방출하는 전자기장 범위 내에 들어가게 되면, 전파식별 태그(100)의 안테나 코일에는 교류의 유도 전압이 발생되므로 이 유도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여 칩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한다. 태그(100)에 있는 칩은 일정 전압이 인가되어 작동될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ID 및 데이터 정보를 전파식별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은 전파식별 리더기(200)와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으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망을 형성할 때, 전파식별 리더기(200)로부터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재고 관리 및 이와 연관된 통계 데이터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은 총 관리하고 있는 선반이 몇 개인지, 하나의 선반에 책이나 물품이 총 몇 개인지, 어떤 선반에 책과 물품이 위치하는지, 책과 물품이 그 선반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재고관리를 할 수 있다.
더욱 나아가서, 물류창고, 도서관, 대형 서점이 여러 곳일 경우에는 종합적으로 재고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재고 관리와 출입구에 설치된 입,출입과 관계된 입,출입 관리 시스템(미도시)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전파식별 태그(100)가 사람에 의해 이동성을 갖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자동차 등에 부착될 때, 전파식별 리더기(200)가 입,출입 관리 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은 입,출입 관리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은 도서관이나 대형 서점에 배치된 책을 재고 관리하면 도서 관리 시스템으로 적용되며, 물류 창고에 보관 물품을 재고 관리하면 물류 관리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또 다른 전파식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는 전파식별 리더기(200), 누설동축케이블(300), 전파식별 태그(100), 무선랜 카드(250), 엑세스 포인트(AP, 400),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을 포함한다.
전파식별 리더기(200), 누설동축케이블(300), 전파식별 태그(100)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은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로 대체한다. 다만, 전파식별 리더기(200)와 데이터 관리시스템(500) 사이는 유선이 아닌 서로 무선으로 연결된다는 점이 다르다.
무선랜 카드(600)는 전파식별 리더기(200)에 저장된 ID 및 데이터 정보를 무선망과 엑세스 포인트(400, AP,Access point)를 경유하여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 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으로부터 요구하는 정보 신호를 받도록 어세스 포인트(40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이때, 무선망은 무선 랜(LAN)에 의한 망이다.
엑세스 포인트(400)는 다수의 무선랜 카드(600)를 관리하며, 무선랜 카드(600)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으로부터 받은 재고 파악 및 통계 산출과 관계된 여러 정보 신호를 무선랜 카드(600)로 보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식별 리더기를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도이다.
여기 도 3의 전파식별 리더기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유선망과 무선망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식별 리더기(200)는 태그 인터페이스부(210), 수집부(220), 제어부(230), 확인부(240), 저장부(250) 및 시스템,AP 인터페이스부(260)를 포함한다.
태그 인터페이스부(210)는 전파식별 태그(100)로부터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집부(220), 확인부(240), 저장부(250)로 송,수신하도록 매핑한다.
수집부(220)는 다수의 전파식별 태그(100)가 갖는 각각의 ID 및 데이터 정보들을 수집하는데 이는 전파식별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이나 책이 새로이 배치되는 경우에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확인부(240)는 태그 인터페이스부(210)를 경유하여 각각의 전파식별 태그(100)로 신호를 수시로 보내어 ID 및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거나, 전파식별 태크(100)가 부착된 물품이나 책이 선반에서 이탈되는 경우에 이와 관계된 신호를 전파식별 태그(100)로부터 수신하여 물품이나 책이 선반에서 이탈되었는지 유,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인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ID 및 데이터 정보와 전파식별 태그(100)로부터 보내온 ID 및 데이터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물품이나 책이 선반에서 이탈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부(240)는 본 선반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와 일정거리 떨어진 이웃하고 있는 선반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100)를 구별 짓기 위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후의 도 3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저장부(250)는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ID 및 데이터 정보와 확인부(24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30)는 태그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집부(220), 확인부(240), 저장부(250)를 제어하며, 수집부(220)에서 수집한 ID 및 데이터 정보를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으로 보내기 위해 이와 관계된 정보신호를 AP 인터페이스부(260)로 보낸다. 또한, 제어부(230)는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으로부터 재고 관리를 위한 통계 산출과 관계하여 보내온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어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60)는 유선망을 포함할 때, 데이터 관리시스템(500)으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집부(220), 확인부(240), 저장부(250)로 송,수신하도록 매핑한다. 또한, AP 인터페이스부(260)는 무선망을 포함할 때,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에서 보내온 신호를 엑세스 포인트(AP)를 경유하여 수신하여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집부(220), 확인부(240), 저장부(250)로 송,수신하도록 매핑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식별 장치는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여 형성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와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4에서는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된 누설동축케이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반에 위치한 책이나 물품의 실제 위치를 도시한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파식별 리더기(200)와 연결된 누설동축케이블(300)은 전파식 태그(100)가 부착된 책이나 물품(810)과 인접(a, b)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때, 누설동축케이블(300)과 전파식별 태그(100) 사이는 1cm 내지 50cm의 범위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20c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책이나 물품(810)에 부착된 전파식별 태그(100)와 누설동축케이블(300)과의 거리가 1cm 내지 50cm의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누설동축케이블(300)의 슬롯(slot, 310)에서 방출하는 전자기장의 범위 내에 전파식별 태그(100)가 존 재하면 전파식별 리더기(200)가 전파식별 태그(100)를 100%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나아가서는 본 고안은 누설동축케이블(300)의 누설 전송 손실을 이용하면, 전파식별 리더기(200)에서 인식한 전파식별 태그(100)가 누설동축케이블(30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50cm 이상 떨어진 옆 선반(미도시)의 전파식별 태그 정보인 경우에는 그 전파식별 태그의 세기를 측정하여 본래의 전파식별 리더기(200)에서 50cm 이상 떨어진 옆 선반의 태그 정보를 제외 시킬 수 있다.
한편, 전파식별 태그(100)가 다수 개로 형성될 때, 누설동축케이블(300)은 다수의 전파식별 태그(100)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즉, 누설동축케이블(300)은 전파식별 태그(100)들의 ID 및 데이터 정보를 동시에 읽어 전파식별 리더기(200)로 보낼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전파식별 장치가 실제 적용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식별 장치는 선반(800), 선반(800)에 배치된 책(810), 받침대(820), 전파식별 리더기(200), 누설동축케이블(300)을 구비한다.
선반(800)에는 여러 개의 층을 구별하기 위해 사이사이마다 받침대(820)가 놓여져 있으며, 그 받침대(820) 상단에 책들(810)이 놓여 지게 된다. 이러한 책(810)에는 각각의 고유 ID 및 데이터 정보를 갖고 있는 전파식별 태그(100)가 부 착되어 있다.
누설동축케이블(300)은 선반(8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전파식별 리더기(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파식별 리더기(200)는 다수의 누설동축케이블(300)을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누설 동축케이블(300)은 선반(8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대(820)의 내부에도 형성가능하다. 또한, 선반(800)의 일부 재질을 누설동축케이블(300)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820) 내부에 누설동축케이블(300)이 형성될 때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받침대(82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파식별 리더기(200)는 선반(800)의 옆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누설동축케이블(300)을 관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반이 위치한 공간의 실내, 벽면 등 다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전파식별 리더기에 안테나로서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하여 전파식별 태그를 효과적으로 인식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를 인접하도록 하여 전파식별 리더기가 전파식별 태그를 100% 인식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객체에 부착되는 전파식별(RFID) 태그;
    상기 전파식별(RFID) 태그의 ID(Identification) 및 데이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 확인 및 저장하는 전파식별(RFID) 리더기; 및
    상기 송수신을 위한 RF 신호를 전송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며,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 사이의 인접 거리는 1cm 내지 50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부착된 객체는 물류창고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물품이거나 도서관 또는 대형서점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선반의 일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선반의 배면 또는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책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을 위한 도서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물품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 위한 물류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8. 객체에 부착된 전파식별 태그;
    전파식별(RFID) 태그의 ID(Identification) 및 데이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송수신하여 ID 및 데이터 정보를 수집, 확인 및 저장하는 전파식별(RFID) 리더기;
    상기 송수신을 위한 RF 신호를 전송하는 누설동축케이블;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에 저장된 ID 및 데이터 정보를 무선망과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경유하여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인접하며,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식별 태그 사이의 인접 거리는 1cm 내지 50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는 물류창고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물품이거나 도서관 또는 대형서점에 설치된 선반에 보관된 책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선반의 일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은 상기 선반의 배면 또는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책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을 위한 도서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가 물품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전파식별 태그와 전파식별 리더기는 재고 파악과 통계 산출 위한 물류 관리 시스템과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KR2020070008309U 2007-05-21 2007-05-21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KR200800056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309U KR20080005628U (ko) 2007-05-21 2007-05-21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309U KR20080005628U (ko) 2007-05-21 2007-05-21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628U true KR20080005628U (ko) 2008-11-26

Family

ID=4132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309U KR20080005628U (ko) 2007-05-21 2007-05-21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6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9813A (zh) * 2011-12-02 2012-04-18 中天日立射频电缆有限公司 一种基于漏泄电缆的无线识别和定位系统
CN104021404A (zh) * 2014-05-30 2014-09-03 深圳市远望谷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使用的射频识别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9813A (zh) * 2011-12-02 2012-04-18 中天日立射频电缆有限公司 一种基于漏泄电缆的无线识别和定位系统
CN102419813B (zh) * 2011-12-02 2014-06-18 中天日立射频电缆有限公司 一种基于漏泄电缆的无线识别和定位系统
CN104021404A (zh) * 2014-05-30 2014-09-03 深圳市远望谷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使用的射频识别系统
CN104021404B (zh) * 2014-05-30 2018-01-23 深圳市远望谷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使用的射频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6187B (zh) 具有低频功率辅助的物品级uhf rfid标签的系统和方法
Chawla et al. An overview of passive RFID
US77776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baggage using RFID
EP1298573A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s
US9575156B2 (en) Spatial recognition of RFID tag placement using antenna multiplexing
CN103914047A (zh) 智能化档案管理控制系统及方法
CN101014968A (zh) 具有截头圆锥体工作区的非接触式支付卡读卡器
KR20060029273A (ko) 객체 매칭 시스템 및 방법
EP2987117B1 (en) Interrogato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276878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611027A (zh) 一种出库检测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1160162A (ja) 並列識別システム
KR20080005628U (ko) 누설동축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한 전파식별 장치
KR20070057601A (ko) 다수의 rfid 태그의 인식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10012750A1 (en) Tracking the movement of rfid reader-equipped devices within a defined area using barrier series
US20210232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acting multiple forms of rfid technology to give additional information, security, and performance
US20190130144A1 (en) Radio frequency apparatus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detection method thereof
EP3543895A1 (en) Intelligent shelf system
Galhotra et al. Applic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in libraries
JP2002151947A (ja) Rfidタグのアンテナ構造
Weldemedhin RFID based Anti-theft System for Metropolia UAS Electronics laboratories
KR101012478B1 (ko) Rfid를 이용한 창고내 차량 위치 확인 시스템
Sadiku et al. A primer on RFID
Jankowski-Mihułowicz et al. Efficiency Problem of FMCG Identification in HF RFID System with Multiplexed Antennas for Commercial Refrigerator
US10719748B2 (en) RFID screw specifically for use on eyeglass fr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