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174U -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174U
KR20080005174U KR2020070007215U KR20070007215U KR20080005174U KR 20080005174 U KR20080005174 U KR 20080005174U KR 2020070007215 U KR2020070007215 U KR 2020070007215U KR 20070007215 U KR20070007215 U KR 20070007215U KR 20080005174 U KR20080005174 U KR 20080005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rent limiting
overcurrent
notebook
volt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이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이젠솔루션
Priority to KR202007000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174U/ko
Publication of KR20080005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1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이나 일반 UMPC(Ultra-Mobile PC)등의 보조 전원장치에 관련한 고안으로 외부의 별도의 2차 전지(충전지)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소모가 다 된 노트북 등의 직류 전원단자에 연결하여 노트북 쪽의 충전과 아울러 노트북의 긴급 재사용을 가능케 한 고안이다.
노트북, 긴급 전원, 배터리

Description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Mobile Computer subsidiary power system combined with 2nd battery voltage sensing and current limiting}
도 1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 장치 구성도
도 2 본 고안의 과전류 검출 부의 동작 파형
도 3 본 고안의 실시 예
도 4 본 고안의 충전장치
본 고안은 노트북이나 일반 UMPC(Ultra-Mobile PC)등의 보조 전원장치에 관련한 고안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보조 배터리 장치는 통상 노트북을 구매하면 별도의 내장형 배터리를 추가해서 공급하는 형태의 것이었으나 본 고안은 노트북의 외부에서 노트북의 전원 잭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으로 이동시에 별도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노트북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도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로 간편하게 노트북의 사용을 가능케 한 고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 노트북의 내부 배터리가 다 사용 되어지면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를 노트북의 전원 잭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 장치의 출력단을 기존의 노트북의 직류 입력 잭과 동일한 형태로 하였으며 사용 노트북의 기종에 따라 전력소모가 상이함으로 과도한 전류가 흘러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한 직류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제한 부 와 본 고안의 2차 전지(배터리)의 직류 전압상태를 항상 체크 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토록 본 배터리 셀 1개를 사용할 경우는 DC-DC Up Converter를 구성하여 통상의 노트북에 요구되는 전원 조건인 12V~19V의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끔 하였다.
본 고안의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 장치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타리 셀 3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상 충전용 배터리 셀 1개의 직류전압이 3.7V~4.2V임으로 3개를 직렬로 구성하여 12V내외의 직류 전압을 구현하였다. 일반적인 노트북은 통상 12V 이상의 직류전압에 의해 거의 작동이 가능하며 실제 노트북용 외 전원장치(어댑터)의 출력 전압은 12V~19V정도로 되어 있으며 19V정도의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노트북 내에 실장 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함이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노트북의 긴급 시의 사용임으로 인해 12V내외로 출력전압을 설정하였다. 상기한 3개의 직렬 구성된 2차 전지 배터리의 출력전압은 다음 단 과전류 시 차단을 위한 스위치 장치(SW2)를 거쳐 과전류 검출 부(48)을 거쳐 최종 출력 직류 포트(36)로 연결 구성된다. 과전류 검출 부(48)의 동작을 보면 도 2의 과전류 검출 부의 파형에서와 같이 3A이하의 전류영역(B영역)에서는 과전류 검출용 저항(Rsen)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0.7V이하 임으로 검출용 트랜지스터가 오프 되어 검출전압(Vcheck)이 0V이다 따라서 과전류 제어장치(40)가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전류 시 차단을 위한 스위치 장치(SW2)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때 과전류 LED가 별도의 표시전류를 출력하지 않아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비정상 상태 즉 과전류 상태(A 영역)일 경우에는 과전류 검출용 저항(Rsen)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0.7V이상 임으로 검출용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검출전압(Vcheck)이 "High"이다 따라서 과전류 제어장치(40)가 동작하여 과전류 시 차단을 위한 스위치 장치(SW2)를 오프시켜 노트북 쪽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때 과전류 LED에 별도의 표시전류를 흘려 과전류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배터리(30)의 전압 상태를 계속 체크 하여 일정 전압 이하로 되면 충전을 해야한다는 표시를 하기 위해 배터리(30)의 출력 전압 단으로부터 A/D변환부(50)를 거쳐 표시용 제어장치(60)에 의해 충전 필요 여부를 충전 LED에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과전류 검출 부의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과전류의 기준을 3A로 기준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직류 출력용 포트(36)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노트북의 공급전류를 3A이하로 규정 설계한 것이다. 따라서 3A이상의 전류가 노트북으로 흐르면 차단시켜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 장치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였고 3A이하의 부하 전류가 흐르면 정상 동작하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전류를 3A로 규정하기 위해 과전류 검출용 저항(Rsen)의 시정 수는 0.23옴 내외로 규정하였다. 즉 V=IR의 옴 법칙 수식에 의해 0.7V = 3A * 0.23 옴의 관 예식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만약 부하전류의 조건을 바꾸려면 과전류 검출용 저항(Rsen)의 시정 수를 상기 관계식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면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이며 도 1의 2차 전지 배터리 셀 3개를 사용하지 않고 1개 혹은 2개를 사용할 경우에 적용한 방식으로 노트북에 필요한 직류전압은 적어도 12V이상이어야 함으로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DC-DC-UP Converter(45)를 구성한 방식이다. 통상의 DC-DC-UP Converter(45)에는 작동 여부를 규정하는 인에이블 포트가 있음으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 과전류 제어장치(40)의 제어출력을 DC-DC-UP Converter(45)에 인에이블 포트에 직접 연결 구성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부 과전류 검출 부(48), A/D변환부(50), 충전 표시용 제어장치(60)는 도 1의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 장치의 동작 구성과 동일하다.
도 4 본 고안의 충전장치로 외부의 교류 상용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브릿지 정류부(10)에서 전파정류한 직류전압은 SMPS 트랜스(TX1)의 1차 측 코일로 인가되며 이때 SMPS 제어장치(15)에서 임의의 주파수의 구형 파가 스위칭 장치(SW1)의 제어포트 인가되어 스위칭 장치(SW1)가 온, 오프를 반복하면 SMPS 트랜스(TX1)의 1차 측 코일에 스위칭 전류가 흘러 2차 측 코일 측으로 전력 에너지가 전달되며 이 2차 측 코일에 유기된 스위칭 전력을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며 이 직류전압을 다음 단 정전압/정전류 제어장치(20)를 거쳐 최종 충전용 포트(25)로 충전 전압이 전달 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노트북의 외부에서 노트북의 전원 잭에 직접 연 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으로 이동시에 별도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노트북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도 노트북의 직류 입력 잭 쪽으로 본 고안의 보조 배터리를 연결구성하여 노트북의 사용을 가능케 한 고안이다.

Claims (2)

  1. 휴대용 컴퓨터장치의 내부 배터리 방전시 컴퓨터 장치의 직류 포트에 직결하여 외부 전원공급에 의해 보조 배터리 장치에 있어
    외부 전원구성을 위한 2차 전지 형태의 1개 이상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출력단에 연결 구성된 전류 제한용 스위치장치와 컴퓨터장치로의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과전류 검출 부와 제어장치 그리고 상기한 2차 전지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표시부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 전류 제한용 스위치장치를 대체하여 DC-DC UP Converter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20070007215U 2007-05-02 2007-05-02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0800051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15U KR20080005174U (ko) 2007-05-02 2007-05-02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215U KR20080005174U (ko) 2007-05-02 2007-05-02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174U true KR20080005174U (ko) 2008-11-06

Family

ID=4150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215U KR20080005174U (ko) 2007-05-02 2007-05-02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1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178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장 배터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5178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장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9281B2 (en) Low power lo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WI514734B (zh) 電源適配器、電源適配器之控制方法及筆記型電腦
US8698450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28702B1 (en) Power adapter for dynamically adjusting output voltag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the same
US7948212B2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method
US9570930B2 (en) UPS electricity supply control circuit and UPS electricity supply
US8203234B2 (en) Power safety system
KR102458732B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작동 방법
US9825478B2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 load with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21417B2 (en) Secondary battery control circuit
JP2012191838A (ja) 電池パック、電動工具、電池パックと電動工具とを接続するアダプタ、及び、電動工具システム
US20010004198A1 (en) Battery pack and charge circuit therefor
US20050017676A1 (en) Portable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7143397A (ja) 電源制御方法、電流・電圧変換回路及び電子装置
JP3904489B2 (ja) 充電制御回路、充電器、電源回路、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電池パック
TW201236308A (en) Battery charger for use with low voltage energy harvesting device
US20150280459A1 (en) Charger
US20100188052A1 (en) Charge Device
US20090179496A1 (en) Power sav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6650027B1 (en) Emergency power supply
KR20080005174U (ko) 2차 전지 전압 감지 및 전류제한기능을 갖는 휴대용컴퓨터용 보조 배터리 장치
US20230361580A1 (en) Portable Fast Charger Using Capacitors
US8729853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88656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50062785A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