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351U -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351U
KR20080004351U KR2020070005274U KR20070005274U KR20080004351U KR 20080004351 U KR20080004351 U KR 20080004351U KR 2020070005274 U KR2020070005274 U KR 2020070005274U KR 20070005274 U KR20070005274 U KR 20070005274U KR 20080004351 U KR20080004351 U KR 20080004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bracket
coupled
long hole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2886Y1 (ko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20070005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8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단(120)에는 유연관(130,Flexible Pipe)이 결합되고 타단(110)에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되는 일자형 관상체로 형성되는 레듀샤(100)와; 상기 유연관(130)이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1용접면(155)과 이 제1용접면(155)으로부터 제1수직연장면(15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1체결면(15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면(153) 상에 복수의 장공(15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브래킷과;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2용접면(165)과 이 제2용접면(165)으로부터 제2수직연장면(16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체결면(16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체결면(163) 상에 복수의 장공(16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브래킷(160)과; 상기 제1브래킷(150)과 제2브래킷(160)에 형성된 각각의 장공(152,162)에 삽입되어 장공(152,162)의 수평방향을 따라 유격조절이 가능한 제1,2체결구(151,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클러, 레듀샤, 브래킷, 체결구, 측벽 시공, 장공

Description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Reducer of the Sprinkler}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1,2브래킷 상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레듀샤 110 : 레듀샤의 타단
120 : 레듀샤의 일단 130 : 유연관
140 : 스프링클러 헤드 150, 160 : 제1,2 브래킷
151, 161 : 제1,2체결구 152, 162 : 장공
153, 163 : 제1,2체결면 154, 164 : 제1,2수직연장면
155, 165 : 제1,2용접면 156, 166 : 보강리브
170 : 천장 180 : 측벽
본 고안은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듀샤가 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은 물론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거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듀샤와, 레듀샤에 연결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연결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원래, 스프링클러(Sprinkler)는 식물을 잘 자라게 하기 위하여 농지나 잔디밭 등에 물을 뿌리는 농업용 살수장치를 가리킨다. 예컨대, 넓은 잔디밭 등을 스프링클러의 시설이 없이 제대로 가꾸기 어렵다. 따라서 요소요소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식재설계의 단계에서 이 시설에 대한 배려를 해야 한다. 가압펌프에 의해 송수된 물은 특수한 스프링이 붙은 스프링클러에 있는 노즐에 의해 분사된다.
살수방식에 따라 팝업형(pop-up type)과 고정형(stationary type), 그리고 이 2가지를 응용한 로터리형(rotary type)이 있다.
팝업형은 스프링클러헤드가 평소에는 땅속에 묻혀 있다가 가동될 때는 땅 위로 솟아나와 가동되고, 가동이 끝나면 원위치로 돌아가는 형이고, 고정형은 평소 땅 위에 솟아 있어 가동 때 회전하면서 살수되는 형으로서 비용은 싸지만 잔디를 깎을 때 등 마찰이 있어 불편하다. 로터리형은 빙빙 돌면서 서서히 살수하기 때문 에 넓은 지역에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스프링클러의 살수량은 5∼400ℓ/min, 살수 지름은 5∼60m, 1회전 소요시간은 30초∼2분이다. 이 밖에 노즐의 앙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 노즐의 수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스프링클러의 설계 시에는 헤드의 선택이 중요하며, 수압 및 수량 점검, 파이프의 결정, 살수의 범위 설정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시설은 한발대책 이외에도 약제, 액체비료의 살포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전술한 농업용 외에도 빌딩이나 건물 등의 천장에 시공되어 다량의 물을 살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도 널리 활용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주거용 혹은 사무용 건물 등의 천장에는 수 내지 수십 평방미터당 하나씩의 스프링클러가 시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빌딩이나 건물 등의 천장에 시공되는 스프링클러는 대부분이 화재감지기와 연계되어 동작되며, 화재 발생 시 천장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되면서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스프링클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클러를 결합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플렉시블하게 구부러지고 금속재로 제작된 플렉시블조인트(Flexible Joint)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플렉시블조인트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져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는 고압으로 용수가 흐를 때 압력으로 인하여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망을 접촉하여 체결링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에는 스프링클러가 고정되는 소위, 레듀샤(Reducer)라고 하는 연결관이 설치되어 있다.
천장 시공용 스프링클러 혹은 천장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69740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공보의 대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경우, 조절나사(14)는 가이드 돌기(11a)의 결합공(미도시) 내부에서 상,하부 스토퍼(미도시)에 얹혀진 상태에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나, 조절나사(14)의 하부는 브라켓(12)의 나사공(12a)에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관이음쇠(11, 도 1에서의 레듀샤)는 가이드돌기(11a)가 가이드공(12b)을 타고 승,하강하면서 관이음쇠(11)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모두가 천장에 시공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샤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며 실질적으로 천장 외의 다른 벽면, 예를 들어 측벽 등에는 스프링클러를 장착할 수 없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전술한 공보들이나 혹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장치를 통해서는 스프링클러를 측벽에 시공할 수 없다. 이는 각 공보들에 개시된 브래킷이나 레듀샤의 구조가 측벽 시공에는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링클러가 측벽에 시공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레듀샤가 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은 물론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거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듀샤와, 레듀샤에 연결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연결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에는 유연관(Flexible Pipe)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되는 일자형 관상체로 형성되는 레듀샤와; 상기 유연관이 결합되는 레듀샤의 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1용접면과 이 제1용접면으로부터 제1수직연장면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1체결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면 상에 복수의 장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브래킷과;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되는 레듀샤의 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2용접면과 이 제2용접면으로부터 제2수직연장면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체결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체결면 상에 복수의 장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에 형성 된 각각의 장공에 삽입되어 장공의 수평방향을 따라 유격조절이 가능한 제1,2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브래킷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각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1,2브래킷 상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는,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장착할 수 있는 레듀샤(100)와 상기 레듀샤(100)를 천장(170)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제1,2 브래킷(150,160)과, 상기 천장(170)에 브래킷을 매개로 레듀샤(10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유격 조절을 할 수 있는 볼트와 같은 복수의 제1,2체결구(151,161)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레듀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에 시공하고자 하여 거의 대부분이“ㄱ”절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측벽(180)에 시공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레듀샤(100)를 굳이 “ㄱ” 형태로 적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일자형 관상체로 된 레듀샤(100)를 적용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관상체로 형성되는 일자형 레듀샤(100)의 일단(120)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관을 통해 물이 제공되는 유연관(130,Flexible Pipe)이 결합되고, 타단(110)에는 측벽(180)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연관(130, Flexible Pipe)은,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자체적인 탄성적 특징으로 인해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관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유연관(130)과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레듀샤(100)는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측벽(180)에 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천장(170)과 수평하게(혹은 나란하게) 체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듀샤(100)의 전후방 양 상단면 각각에 상기 제1,2브래킷(150,160)이 용접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브래킷(150)은 상기 유연관(130)이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후방 상단면에 용접되고, 상기 제2브래킷(160)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전방 상단면에 용접된다.
여기서, 상기 제1브래킷(150)과 제2브래킷(16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브래킷(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듀샤(100)의 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1용접면(155)과 이 제1용접면(155)으로부터 제1수직연장면(15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1체결면(15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면(153) 상에 복수의 장공(15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체결면(153) 상에 형성된 장공(152)은 제1체결면(153) 상에서 제1체결면(15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구(151)가 삽입된 후 제1체결구(151)의 삽입 위치 조절을 통해 수평방향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래킷(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샤(100)의 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2용접면(165)과 이 제2용접면(165)으로부터 제2수직연장면(16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체결면(16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체결면(163) 상에 복수의 장공(16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체결면(163) 상에 형성된 장공(162) 역시 제2체결면(163) 상에서 제2체결면(16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구(161)가 삽입된 후 제2체결구(161)의 삽입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제1브래킷(150)의 장공(152)과 함께 수평방향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브래킷(150) 및 제2브래킷(160)은 레듀샤(100)를 천장(170)에 제1,2체결구(151,161)로 체결할 때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듀샤(100)의 상 단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됨으로 용접이 가능한 재질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재질 금속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브래킷(150,16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 판상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금속 판상체의 경우에는 강도면에서 다소 취약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래킷(150)의 제1체결면(153)과 제1수직연장면(154), 제2브래킷(160)의 제2체결면(163)과 제2수직연장면(164) 상에 각각 강도 보강을 위한 복수의 제1,2보강리브(156,166)를 갖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2브래킷(150,160) 상에 복수의 제1,2보강리브(156,166)를 형성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금속 판상체로 브래킷을 제조 사용하는 것에 비해 그 강도가 훨씬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2보강리브(156,166)는 브래킷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브래킷 중에서 높은 강도를 원하는 부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체결면(153,163)은, 복수의 제1,2체결구(151,161)에 의해 천장(17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2브래킷(150,160)을 천장(170)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제1,2체결구(151,161)로는 통상의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상기 제1,2체결면(153,163)에는 제1,2체결구(151,161)가 통과하는 장공(152,16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장공(152,1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체결구(151,161)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수평방향의 유격을 조절하고자 할 때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체결 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는 2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제1,2체결면(153,163)을 천장(170)에 고정시키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2브래킷(150,160)의 제1,2수직연장면(154,164)은, 상기 제1,2체결면(153,163)의 일단에서 제1,2용접면()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수직연장면(154,164)은 천장(170)과 레듀샤(100) 간의 거리를 조율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제1,2수직연장면(154,164)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천장(170)으로부터 레듀샤(100)가 하방으로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수직연장면(154,164)의 길이가 짧다면 천장(170)에 인접하게 레듀샤(1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1,2수직연장면(154,164)의 길이는 상황에 맞게, 즉 스프링클러가 시공되는 공사 현상의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2용접면(155,165)은, 상기 레듀샤(100)의 전후방 상단면에 용접 고정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1용접면(155)의 길이가 제2용접면(165)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는 레듀샤(100)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와 같이 상기 제1,2용접면(1155,165)의 길이를 서로 달리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각각의 용접이 필요한 길이에 따라 제작자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측벽(180)에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연관(130)과 레듀샤(100) 및 레듀샤(100)의 상단면에 용접된 제1,2브래킷(150,160)은 모두가 측벽(180) 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시공되며, 스프링클러 헤드(140)만이 측벽(18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매달리게 시공된다.
즉, 상기 레듀샤(100)에 제1,2브래킷(150,160)을 용접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2브래킷(150,160)의 제1,2체결면(153,163)을 천장(170)에 밀착 배치하고, 상기 제1브래킷(150)의 제1체결면(153) 상에 형성된 장공(152)에 제1체결구(151)를 끼워 약간만 체결한 형태(완전히 조이지 않은 느슨한 상태)로 고정한 다음, 상기 제2브래킷(160)의 제2체결면(163) 상에 형성된 장공(162)에 제2체결구(161)를 끼운 상태에서 측벽(180)과의 레듀샤(100)의 설치 간격(유격)을 감안하여 상기 장공(152,162)들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레듀샤(10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레듀샤(100)의 고정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2체결구(151,161)를 완벽하게 조여 줌으로써, 상기 레듀샤(100)가 천장(170)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1,2브래킷(150,160)을 통해 레듀샤(100)가 천장(170)에 매달린 상태가 되면, 상기 레듀샤(100)의 타단(110)은 거리 조절이 된 상태에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천장(170)을 따라 수평 배치 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듀샤(100)의 일단(120)에 유연관(130)이 결합되고, 상기 레듀샤(100)의 타단(110)에는 측벽(180)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149)가 결합됨으로써, 간편하게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측벽(180)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듀샤(100)가 측벽(18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거리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듀샤(100)와, 레듀샤(100)에 연결되는 측벽(180)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140)와의 연결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레듀샤를 제1,2브래킷을 매개로 천장로 체결구로 체결할 때, 제1,2브래킷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레듀샤가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거리 즉, 수평방향으로의 거리 조절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듀샤와, 레듀샤에 연결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연결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천장으로부터 레듀샤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제1,2브래킷의 제1,2수직연장면의 길이는 상황에 맞게, 즉 스프링클러가 시공되는 공사 현상의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설계 변경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일단(120)에는 유연관(130,Flexible Pipe)이 결합되고 타단(110)에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되는 일자형 관상체로 형성되는 레듀샤(100)와;
    상기 유연관(130)이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1용접면(155)과 이 제1용접면(155)으로부터 제1수직연장면(15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1체결면(15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체결면(153) 상에 복수의 장공(15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브래킷과;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결합되는 레듀샤(100)의 전방 상단면에 용접되는 제2용접면(165)과 이 제2용접면(165)으로부터 제2수직연장면(164)을 갖도록 연장된 후 다시 전방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체결면(16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체결면(163) 상에 복수의 장공(162)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브래킷(160)과;
    상기 제1브래킷(150)과 제2브래킷(160)에 형성된 각각의 장공(152,162)에 삽입되어 장공(152,162)의 수평방향을 따라 유격조절이 가능한 제1,2체결구(151,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래킷(150,16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156,16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20070005274U 2007-03-30 2007-03-30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200442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274U KR200442886Y1 (ko) 2007-03-30 2007-03-30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274U KR200442886Y1 (ko) 2007-03-30 2007-03-30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51U true KR20080004351U (ko) 2008-10-06
KR200442886Y1 KR200442886Y1 (ko) 2008-12-17

Family

ID=4150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5274U KR200442886Y1 (ko) 2007-03-30 2007-03-30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934A (zh) * 2016-08-31 2016-12-07 浙江耀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种植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934A (zh) * 2016-08-31 2016-12-07 浙江耀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种植器
CN106171934B (zh) * 2016-08-31 2023-05-23 浙江耀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种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86Y1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674B2 (en) Structure for fixing reducer for sprinkler in side wall
US20200256489A1 (en) Irrigation pipe and method of fabrication
RU2566634C2 (ru) Ирр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сечения поля ирриг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WO2014042695A1 (en) Truss system
KR20200085569A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
KR200442886Y1 (ko)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CN211581033U (zh) 一种伸缩隐蔽式园林植株浇灌用喷淋设施
JP4225367B1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を天井パネルに対して固定する固定装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2466307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
KR10043530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KR20080004373U (ko) 측벽 시공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102242716B1 (ko) 가정용 호스 거치대
KR20080095407A (ko) 파이프 써포트용 연결구
CN211396893U (zh) 具有喷淋功能的护栏支撑架及基坑护栏
JP4783132B2 (ja) 緑化ユニット
CN214126354U (zh) 灌溉喷雾装置
CN209502378U (zh) 一种玻璃喷淋结构
CN211500066U (zh) 一种园林新型喷灌围栏结构
RU216737U1 (ru) Ферменный пролет многоопорной дождевальной машины
CN208717844U (zh) 一种洒水装置
KR100991338B1 (ko) 꽃탑용 급수장치
CN213881231U (zh) 一种林业给水施肥喷灌装置
CN215269724U (zh) 一种辣椒种植大棚
CN213756065U (zh) 一种农业种植灌溉装置
CN219762118U (zh) 一种农业水利工程的灌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