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861U -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 Google Patents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861U
KR20080003861U KR2020070004625U KR20070004625U KR20080003861U KR 20080003861 U KR20080003861 U KR 20080003861U KR 2020070004625 U KR2020070004625 U KR 2020070004625U KR 20070004625 U KR20070004625 U KR 20070004625U KR 20080003861 U KR20080003861 U KR 200800038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lastic
ginseng field
hoo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호
Original Assignee
장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호 filed Critical 장병호
Priority to KR202007000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861U/ko
Publication of KR20080003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8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의 설치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지주와 연결대를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2,22)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이 하나의 고정축(30)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탄성 클립(10,20)에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져 물리게 됨으로써 지주(1)의 상부에 연결대(2)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삼밭, 차광막, 골조, 연결구, 개방부, 탄성 클립, Ω형 단면

Description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sunshade frame connector for ginseng field}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를 사용하여 차광막 골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구 결합 사시도,
도 4는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연결대
10 : 탄성 클립(지주용) 12a,12b : 원형 벤딩부
12c : 힌지결합부 12c' : 관통구멍
12d : 걸림돌기 11,21 : 수용부
12,22 : 개방부 13,23 : 미끄럼방지면
14,24 : 축구멍 15,25 : 축지지돌기
16,26 : 보강 클립 17,27 : 고리
20 : 탄성 클립(연결대용) 28 : 수형 탄성 돌기
19,29 : 탈거 홈 30 : 고정축
40 : 비닐(또는 천) 50 : 걸쇠
52 : 걸고리 52a : 걸림축
52b : 걸림부 54a : 고정축
54a' : 편심축 54b : 구멍
54c : 손잡이부
본 고안은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이 하나의 고정축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탄성 클립에 지주와 연결대가 끼워져 탄성 클립 자체의 탄성력 및 걸쇠의 조임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물리게 됨으로써 지주의 상부에 연결대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삼재배용 차광막 골조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46171호의 조립식 인삼지주, 동등록 제263497호의 인삼재배용 차양구조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동등록 제252378호, 제252379호, 제254023호, 제230310호, 제230311호, 제430189호, 제434787호, 제424205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중 실용신안등록 제252378호, 제252379호, 제254023호, 제230310호, 제230311호 등은 기존의 나무를 대신하여 길다란 금속 또는 비철금속제 파이프를 구부려 앞쪽 지주와 상부의 연결대 및 뒤쪽 지주를 일체로 제작하여 두둑에 박아 설치하도록 된 것이었으므로 설치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파이프를 제작하여야 했고,구부린 파이프를 설치현장으로 운반하여야 했었으므로 프레임의 형태가 구부러져 있어 운반도 불편하였으며, 프레임의 앞,뒷쪽 지주를 두둑에 박는 작업도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46171호의 조립식 인삼지주도 나무를 대신하여 연결구와 파이프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간편하게 인삼지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으나, 여기에서 사용되는 연결구는 단순히 십자형의 연결구에 파이프를 억지로 끼워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이의 설치도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설치상태에서 파이프와 연결구간의 결합력도 떨어져 외력을 받게 될 경우 조립된 지주가 파손될 우려가 많았었고, 이의 해체 또한 연결구에서 파이프를 뽑아내는 것이 어렵게 되어 해체중 연결구 또는 파이프를 손상시키게 되어 이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63497호도 일부가 개방된 연결돌기를 갖는 조인트(연 결구)를 사용하여 지주와 연결대를 결합시킴으로써 골조를 조립식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조인트의 연결돌기가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주와 연결대 및 조인트 사이의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82267호의 농업용 조립식 차광막 구조는 전방 지주와 후방 지주 및 상부의 연결대가 연결구에 의해 상호 일체로 조립설치되는 차광막 골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각각 전방 또는 후방 지주가 조립되는 지주결합부와 이 지주결합부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의 선단 또는 후단이 삽입되는 연결대결합부를 구비하되, 양측의 결합부 외측에는 각각 이 결합부의 내경을 탄성적으로 신축시켜 상기 지주와 연결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조임너트가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구조이며, 그 실시 예 중에는 연결구 자체가 두 개의 부분 즉, 별도로 제작된 지주결합체와, 연결대결합체가 상호 힌지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연결구를 이루도록 하여 완전한 평지가 아닌 실제 밭에서의 설치작업시 말뚝의 박힌 각도와 지주 및 연결대의 각도를 조절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연결구는 지주결합부와 연결대결합부가 상호 맞대어지게 됨으로써 연결대의 각도조절은 자유로이 조절가능한 반면, 연결대를 이루는 파이프의 길이를 각 위치마다 정확하게 맞추어 절단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350456호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인삼재배용 차광막 골조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를 개선한 고안도 동등록 제35345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한편,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은 기능상의 장점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이의 제조시 소재비가 많이 소요됨으로써 제품의 단가가 높아져 농민들이 이를 구입하는데 상당한 부담이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설치작업시에도 몇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삼밭용 차광막의 설치를 위한 골조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이 하나의 고정축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탄성 클립에 지주와 연결대가 끼워져 물리게 됨으로써 지주의 상부에 연결대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탄성 클립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 탄성 클립에 탄성을 보강하기 위해 강선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 클립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탄성 클립의 외측에는 차광막을 걸어주거나 도리용 끈을 걸어주기 위한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개방부에 걸쇠를 걸어줌으로써 클립이 지주나 연결대에서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걸쇠는 단순한 형태의 걸쇠보다는 이중 지레 형태의 걸쇠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상 및 조임력의 강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이 걸쇠는 클립 자체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를 사용하여 차광막 골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의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2,22)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10,20)과, 이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고정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탄성 클립(10,20)에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져 물리게 됨으로써 지주(1)의 상부에 연결대(2)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클립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 외부의 햇빛이나 비바람에 대하여 내후성을 갖는 소재를 복합한 소재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기존의 비닐하우스용 클립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여기에 탄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 클립(16,26)이 추가로 끼워져 있 다.
도면 중 부호 3은 지주용 말뚝이고, 부호 11 및 21은 금속재 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주(1) 및 연결대(2)가 끼워지는 부분인 수용부로서, 이 수용부(11,21)의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12,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12,22)를 통해 지주(1)나 연결대(2)를 강제로 밀어 끼우면 개방부(12,22)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된 후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지주(1)와 연결대(2)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21)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여러 줄의 돌기가 평행하게 형성된 미끄럼 방지면(13,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부분이 지주(1)나 연결대(2)에 맞닿아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은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금속재 리벳이 사용되는데, 이 리벳형 고정축(30)은 양측 탄성 클립(10,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축 구멍(14,24)에 끼워져 프레스 또는 해머 가공에 의해 양단에 머리가 형성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축(30)은 상기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리벳이 아닌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탄성 클립(20)에는 수형 탄성 돌기(28)를 형성하고 다른 탄성 클립(10)에는 상기 수형 탄성 돌기(28)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축 구멍(14)을 천공하 여 별도의 고정축(30) 없이도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서 부호 15와 25는 탄성 클립(10,20)의 축 구멍(14,24) 외측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축 지지돌기이며, 부호 17 및 27은 탄성 클립(10,2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차광막이나 도리용 끈을 걸어주기 위한 고리이고, 부호 19,29는 탈거 홈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클립(10,20)이 금속재로 프레스 성형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탄성 클립(10,20)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설치되므로 방식(防蝕)을 위한 도금처리 또는 도색을 하거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탄성 클립(10,20)도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탄성 클립과 소재만 다를 뿐 그 형태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연결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과 하나의 고정축만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암수 형의 탄성 클립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부품 수가 적고 이의 제작이 용이하여 기존의 타사 또는 본인의 선등록 및 출원중인 고안과 대비할 때 제조원가 측면에서 매우 유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현장에서 지주용 탄성 클립(10)과 연결대용 탄성 클립(20)이 모두 폐쇄형태가 아닌 개방형태(즉,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방부(12,22)가 형성되어 있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주용 탄성 클립(10)을 지주(1)의 꼭대기에서부터 끼 워 넣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키가 작은 사람도 별도의 발 받침을 사용하지 않고 골조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연결대용 탄성 클립(20)도 연결대(2)의 끝에서 끼우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서 곧바로 끼울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탄성 클립 자체의 탄성력 만에 의해 지주와 연결대를 고정하게 되므로 별도의 조임나사나 볼트 또는 너트를 조여주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는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이 고정축(30)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탄성 클립(10,20)은 상호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삼을 재배하는 지역의 위도에 따라서 그리고 인삼밭의 현장 지형(바닥 경사)에 따라서 연결대(2)의 설치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를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이는 인삼밭에 전,후방의 지주(1)를 일정 간격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 지주(1)의 필요로 하는 높이 즉, 연결대(2)의 설치각도에 맞게 본 고안 연결구의 지주용 탄성 클립(10)을 설치한 후, 전, 후방 지주(1) 상에 매달려 있는 연결대용 탄성 클립(20)에 연결대(2)의 앞과 뒤를 각각 체결해주면 연결대(2)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됨으로써 전,후방 지주(1) 사이에 연결대(2)가 가로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설치순서는 단동 차광막의 경우는 물론 연동식 차광막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연동식의 경우에는 하나의 지주가 전방지주와 후방지주를 겸하게 되므로 하나의 지주 상에 2개의 연결구를 각기 다른 위치에 먼저 설치한 후 연결대를 체결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지주와 연결대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40) 또는 천 등을 체결위치에 대고 탄성 클립(10,20)을 체결함으로써 미끄럼방지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4 및 제 5 실시 예에서는 클립 특히, 지주용 클립(10)의 개방부(12)가 벌어져 클립이 지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클립의 물림력을 보강하기 위한 걸쇠(50)가 추가로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걸쇠는 도 8의 철판형 클립(10)에는 개방부(12) 양단의 원형 벤딩부(12a,12b)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 판재의 양단을 원형으로 벤딩한 걸쇠(50)를 외부에서 밀어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9의 합성수지재 클립(10)에는 개방부(12)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부(12c)와 걸림돌기(12d)를 형성하고, 여기에 강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선재로 제작한 철선형 걸쇠(50)를 끼워 물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걸쇠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도 지주용 탄성 클립(10) 및 연결대용 탄성 클립(20)의 개방부(12,22) 양단에 각각 힌지결합부(12c)와 걸림돌기(12d)가 형성되고, 여기에 강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선재로 이루어진 철선형 걸쇠(50)를 끼워 물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걸쇠(50)는 걸고리(52)와 레버(54)로 이루어진 이중 지레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의 걸쇠에 비하여 작업성 즉, 걸쇠를 거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아울러 필요시 이의 해체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이중 지레 형태로 이루어진 걸쇠의 경우에는 조임력이 강화되어 탄성 클립(10,20)이 지주(1)와 연결대(2)를 보다 견고하게 물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중 지레 형태로 이루어진 걸쇠(50)에서 레버(54) 일단의 고정축(54a)은 힌지결합부(12c)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레버(54) 중간의 구멍(54b)에는 걸고리(52) 일단의 걸림축(52a)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걸쇠(50)가 각각의 클립(10,20) 일측에 매달린 상태로 조립되어 수요자에게 제공되므로 수요자는 별도로 걸쇠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걸쇠(50)를 거는 작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52) 타단의 걸림부(52b)를 클립(10)의 개방부(12)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d)측에 걸어 준 후, 레버(54)의 손잡이부(54c)를 클립(10)의 측후방 쪽으로 제껴주면 걸고리(52)는 일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걸고리(52)의 걸림부(52b)와 레버(54)의 고정축(54a) 사이가 좁혀지면서 개방부(12)가 조여져 클립(10)이 지주(1)에 견고하게 물리는 것이며, 연결대(2) 쪽의 클립(20)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걸어주면 된다.
한편, 레버(54)는 클립(10)의 측후방 쪽으로 제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클립(10) 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의도적으로 개방시키지 않는 한 쉽게 풀리지 않으므로 의도되지 않은 해체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지주용 탄성 클립(10) 및 연결대용 탄성 클립(20)의 개방부(12,22) 양단에 각각 관통구멍(12c')과 걸림돌기(12d)가 형성되고, 여기에 강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선재로 이루어진 걸고리(52)와 합성수지재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레버(54)로 구성된 이중 지레 형태의 걸쇠(50)를 끼워 물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걸쇠(50)를 보다 단순화한 것이나, 이의 체결방식과 원리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걸고리(52)의 형태는 그 일단의 걸림축(52a)이 내측으로 벤딩형성된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는 동일하고, 레버(54)의 형태에 있어서는 일단에 고정축(54a) 대신 편심축(54a')이 형성된 차이점이 있으며, 나머지 중간의 구멍(54b)과 손잡이부(54c)는 선재와 판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차이점만 있을 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의 체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걸고리(52) 타단의 걸림부(52b)를 클립(10)의 개방부(12)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d)측에 걸어 준 후, 레버(54)의 손잡이부(54c)를 클립(10)의 측후방 쪽으로 제껴주면 걸고리(52)는 일측으로 당겨지 게 되어 걸고리(52)의 걸림부(52b)와 레버(54)의 편심축(54a') 사이가 좁혀지면서 개방부(12)가 조여져 클립(10)이 지주(1)에 견고하게 물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이 하나의 고정축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탄성 클립에 지주와 연결대가 끼워져 자체의 탄성력 및 걸쇠의 조임력에 의해 물리게 됨으로써 지주의 상부에 연결대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인삼밭 골조의 설치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작업도 매우 용이하므로 골조의 설치와 해체에 투입되는 인력과 시간 및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연결구의 제조원가도 최소화할 수 있어 이의 사용자에게도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각각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지는 수용부(11,21)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2,22)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10,20)과, 이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고정축(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탄성 클립(10,20)에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져 물려 지주(1)의 상부에 연결대(2)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2. 각각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지는 수용부(11,21)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12,22)를 갖는 Ω형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탄성 클립(10,20)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탄성 클립(20)에는 수형 탄성 돌기(28)가 형성되고 다른 탄성 클립(10)에는 상기 수형 탄성 돌기(28)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축 구멍(14)이 천공되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탄성 클립(10,20)에 지주(1)와 연결대(2)가 끼워져 물려 지주(1)의 상부에 연결대(2)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21)의 내면에는 미끄럼 방지면(13,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0)은 금속재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10,20)의 외측에는 차광막이나 도리용 끈을 걸어주기 위한 고리(17,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10,20)은 금속재로 프레스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22)에는 클립(10,20)이 지주(1)나 연결대(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쇠(5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결합부(12c)와 걸림돌기(12d)가 형성 되고, 상기 걸쇠(50)는 걸고리(52)와 레버(54)로 이루어진 이중 지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고리(52)는 그 양단에 각각 레버(54)에 연결되는 걸림축(52a)과 상기 걸림돌기(12d)에 걸리는 걸림부(52b)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54)는 그 일단에 상기 힌지결합부(12c)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축(54a)이 형성되고, 레버(54)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걸고리(52) 일단의 걸림축(52a)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54b)이 형성되며, 레버(54)의 타단에는 손잡이부(54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의 양단에는 각각 관통구멍(12c')과 걸림돌기(12d)가 형성되고, 상기 걸쇠(50)는 걸고리(52)와 레버(54)로 이루어진 이중 지레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고리(52)는 그 양단에 각각 레버(54)에 연결되는 걸림축(52a)과 상기 걸림돌기(12d)에 걸리는 걸림부(52b)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54)는 그 일단에 편심축(54a')이 형성되고, 레버(54)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걸고리(52) 일단의 걸림축(52a)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54b)이 형성되며, 레버(54)의 타단에는 손잡이부(54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20070004625U 2007-03-08 2007-03-21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800038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625U KR20080003861U (ko) 2007-03-08 2007-03-21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812 2007-03-08
KR2020070004625U KR20080003861U (ko) 2007-03-08 2007-03-21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61U true KR20080003861U (ko) 2008-09-11

Family

ID=4133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625U KR20080003861U (ko) 2007-03-08 2007-03-21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86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62Y1 (ko) * 2009-04-13 2013-08-22 양승운 조립식 트라스구조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설치용 연결부재
KR200476475Y1 (ko) * 2013-03-27 2015-03-04 (주)현승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CN108419574A (zh) * 2018-04-02 2018-08-2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藤蔓蔬菜植物牵引架辅助器
KR102162066B1 (ko) * 2020-03-19 2020-10-06 김택수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04288A (ko) * 2020-02-17 2021-08-2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로봇암 확장용 크로스조인트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62Y1 (ko) * 2009-04-13 2013-08-22 양승운 조립식 트라스구조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설치용 연결부재
KR200476475Y1 (ko) * 2013-03-27 2015-03-04 (주)현승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CN108419574A (zh) * 2018-04-02 2018-08-2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藤蔓蔬菜植物牵引架辅助器
KR20210104288A (ko) * 2020-02-17 2021-08-2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로봇암 확장용 크로스조인트조립체
KR102162066B1 (ko) * 2020-03-19 2020-10-06 김택수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7902A (ko) * 2020-03-19 2021-09-29 김택수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3861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KR100932039B1 (ko) 텐트 폴 커넥터
KR200476868Y1 (ko) 착탈식 차광막 고정구
AU2013354902A1 (en) Adjustable safety panel connector
US20180155939A1 (en) Rapid assemble coupler
WO2016081973A1 (en) Mounting fixture of a connection fixture
US20070175163A1 (en) Landscape timber connector
KR101819456B1 (ko) 비닐하우스 프레임 고정장치
KR200442648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80004207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110000213U (ko) 분리 및 조립 가능한 행거
KR20080002896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80003163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100431761B1 (ko) 하우스 골조
KR200438628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38611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38629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76265Y1 (ko) 농업용 해가림 시설의 골조 연결구
KR102219349B1 (ko) 메쉬망 체결구
KR20100095085A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KR200425170Y1 (ko) 비닐하우스 상부 2단 골조 고정구
KR200350456Y1 (ko) 인삼재배용 차광막 골조
CN210685356U (zh) 一种连接扣件
KR20080002936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