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180U -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 Google Patents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180U
KR20080003180U KR2020070002021U KR20070002021U KR20080003180U KR 20080003180 U KR20080003180 U KR 20080003180U KR 2020070002021 U KR2020070002021 U KR 2020070002021U KR 20070002021 U KR20070002021 U KR 20070002021U KR 20080003180 U KR20080003180 U KR 20080003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rack
rear side
main body
faste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웅
Priority to KR2020070002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180U/ko
Publication of KR20080003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6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military purpose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베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기 불편했던 야전부대의 의류대를 사용 간편하고 각종 기능을 향상시킨 궤도차량 승무원에 적용되는 세움형 의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물품이 수납되도록 길쭉하게 형성된 의류대 본체(100);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 상단 혹은 하단의 양끝에 둘둘 말린 상태에서 버튼과 결속되어 체결되는 제 1,2,3,4버튼체결부(106)(108)(110)(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버튼체결부(106)과 제 2버튼체결부(108) 사이의 중앙부에 손잡이(114)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의 연결부(118)(120)(122)에 슬리핑 백(bag) 등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버클부(118a)(120a)(122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에 소정 길이의 허리끈(124)(126)이 좌우측의 하부 연결부(128)(130)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134)(136)에는 전면 하부에 형성된 보조 수납공간(132)의 하부 버클부(134a)(136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전면 상단에 명함꽂이(140)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내부칸막이(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를 제시한다.
궤도차량, 승무원, 의류대, 배낭

Description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A sack for tracked vehicl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베낭)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기 불편했던 야전부대의 의류대를 사용 간편하고 각종 기능을 향상시킨 궤도차량 승무원에 적용되는 세움형 의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차, 장갑차 등의 궤도차량 승무원용 의류대는 야전부대의 임무 특성에 고려하여 베낭의 구조, 형태 또는 기능 등에 변화를 줌으로서 그 사용 범위가 넓여졌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대는 그 사용범위에 비해 그 기능성이 매우 제한되어 있어 몇 가지의 유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전차 및 자주포 등의 적재공간을 고려하여 세움형(전투베낭형)으로 설계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둘째, 우천시 방수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가공은 봉재를 하지 않고서도 100% 방수기능을 설계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셋째, 개폐부분은 감아 채우는 방식을 고려하여 규정된 수납공간보다 넓히거나 작게 함으로써 임무수행 특성과 동/하절기 수납물품의 증감을 고려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넷째, 침상의 크기와 재질 등을 고려하여 침구류 결속이 용이하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다섯째, 종래 의류대는 모든 물품을 한 곳에 넣어 수납하였으나 물품에 따라 각각 분리수납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 불편했던 야전부대의 의류대 구조를 사용 간편하고 각종 기능이 개선된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물품이 수납되도록 길쭉하게 형성된 의류대 본체(100);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 상단 혹은 하단의 양끝에 둘둘 말린 상태에서 버튼과 결속되어 체결되는 제 1,2,3,4버튼체결부(106)(108)(110)(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버튼체결부(106)과 제 2버튼체결부(108) 사이의 중앙부에 손잡이(114)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의 연결부(118)(120)(122)에 슬리핑 백(bag) 등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버클부(118a)(120a)(122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에 소정 길이의 허리끈(124)(126)이 좌우측의 하부 연결부(128)(130)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134)(136)에는 전면 하부에 형성된 보조 수납공간(132)의 하부 버클부(134a)(136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전면 상단에 명함꽂이(140)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내부칸막이(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의류대는 외부 색상이 얼룩 무늬이며, 우천시 방수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단을 나미네팅 코팅처리하고, 가공은 봉재를 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의류대 본체(100)는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물품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플라스틱 혹은 탄성이 있는 평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앞뒷판을 압착시킨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 상단 혹은 하단의 양끝에는 물품이 수납되어 외부 먼지나 습기를 완전 차단하여 내용물 보호할 수 있도록 둘둘 말린 상태에서 버튼과 결속되어 체결되는 제 1,2,3,4버튼체결부(106)(108)(110)(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버튼체결부(106)과 제 2버튼체결부(108) 사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의 연결부(118)(120)(122)에는 슬리핑 백(bag) 등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버클부(118a)(120a)(122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에는 소정 길이의 허리끈(124)(126)이 좌우측의 하부 연결부(128)(13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버클부(118a)(120a)(122a)는 전차 및 장갑차 승무원 임무 및 보병 임무 수행을 해야할 경우를 대비하여 군 전투배낭처럼 결속하는 방식으로서 미끄러짐을 방지하지 하기 위해 3개의 버클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리끈(124)(126)은 양쪽 하단에 있는 벨트와 연결이 편리하도록 신체외 특성을 맞추어 길이조정이 가능하며, 어깨가 닿는 부위의 뒷면에 패드를 부착하여 통증을 최소화하였다.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134)(136)에는 전면 하부에 형성된 보조 수납공간(132)의 하부 버클부(134a)(136a)와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수납공간(132)의 상부에는 지퍼(1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버클부(134a)(136a)는 하부를 말아 채우는 방식으로 하단 무게는 무거운 물품을 수납해야 하므로 결속 후 이중잠금장치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보조 수납공간(132)의 지퍼(138)는 야전 또는 훈련시 중앙 내부를 개폐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세면도구를 꺼내서 사용하도록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주 이용하는 소품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전면 상단에는 명함꽂이(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와 같이 본체의 내부 중앙부에는 내부칸막이(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명함꽂이(140)는 가장 보이기 쉬운 곳에 위치하며, 이름표가 빠 지지 않도록 입구를 겹치고, 우천시 이름표가 젖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칸막이(140)는 하단부위가 전투화 및 야전삽과 같이 무겁고 젖어 있거나 흙 또는 먼지가 묻어 있는 물품을 넣게 하고, 상단부위는 피복 및 의류와 같이 깨끗하게 보관해야 할 물품을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 분리하였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의류대는 외부 색상이 얼룩무늬이며, 우천시 방수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단을 나미네팅 코팅처리하고, 가공은 봉재를 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방식을 적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에 사용하기 불편했던 야전부대의 의류대를 사용 간편하고 각종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하면, 전차 및 자주포 등의 적재공간을 고려하여 세움형(전투베낭형)으로 설계하여 임무수행에 따라 다목적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하면, 우천시 방수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단을 나미네 팅 코팅처리하고, 가공은 봉재를 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방식을 적용하여 100% 방수가 가능하다.
셋째,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부분은 감아 채우는 방식을 고려하여 규정된 수납공간보다 넓히거나 작게 함으로써 임무수행 특성과 동/하절기 수납물품의 증감을 고려하였다.
넷째, 본 고안에 의하면, 침상의 크기와 재질 등을 고려하여 침구류 결속이 용이하도록 개선하였다.
다섯째,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의류대는 모든 물품을 한 곳에 넣어 수납하였으나 물품에 따라 각각 분리수납할 수 있다.

Claims (3)

  1.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물품이 수납되도록 길쭉하게 형성된 의류대 본체(100);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 상단 혹은 하단의 양끝에 둘둘 말린 상태에서 버튼과 결속되어 체결되는 제 1,2,3,4버튼체결부(106)(108)(110)(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버튼체결부(106)과 제 2버튼체결부(108) 사이의 중앙부에 손잡이(114)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의 연결부(118)(120)(122)에 슬리핑 백(bag) 등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버클부(118a)(120a)(122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고정띠(116)에 소정 길이의 허리끈(124)(126)이 좌우측의 하부 연결부(128)(130)와 연결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재(134)(136)에는 전면 하부에 형성된 보조 수납공간(132)의 하부 버클부(134a)(136a)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전면 상단에 명함꽂이(140)가 형성되며, 상기 의류대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내부칸막이(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파스너(102)(104)는 플라스틱 혹은 탄 성이 있는 평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앞뒷판을 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대는 외부 색상이 얼룩 무늬이며, 우천시 방수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단을 나미네팅 코팅처리하고, 가공은 봉재를 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KR2020070002021U 2007-02-05 2007-02-05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KR20080003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021U KR20080003180U (ko) 2007-02-05 2007-02-05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021U KR20080003180U (ko) 2007-02-05 2007-02-05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80U true KR20080003180U (ko) 2008-08-08

Family

ID=4132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021U KR20080003180U (ko) 2007-02-05 2007-02-05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1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187A1 (ko) * 2018-01-10 2019-07-18 이삼열 백팩형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187A1 (ko) * 2018-01-10 2019-07-18 이삼열 백팩형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25B2 (en) System for cinching a resilient luggage case
US6510974B2 (en) Backpack for displaying objects stored within
US5105920A (en) Zipped suitcase with wheels supported by peripheral frame sections
KR200413679Y1 (ko) 쇼핑백
US5526969A (en) Convertible backpack
US20020029946A1 (en) Combination cosmetic bag and travel bag with multiple carrying modes
US20170020250A1 (en) Suitcase system with detachable garment bag
US20150173473A1 (en) Convertible Activity Mat
US2487596A (en) Cover for hand luggage
US20160227908A1 (en) Backpack with at least one partitioned, multi-access portion
US3945415A (en) Apparel valise
CA2915230A1 (en) Garment bag
US1730603A (en) Shopping bag
US4958760A (en) Multi-purpose carrier for skis and the like
KR20080003180U (ko) 궤도차량 승무원용 세움형 의류대
US20210145137A1 (en) Multi-purpose wheeled sports backpack bag
KR200441044Y1 (ko) 궤도차량 승무원용 눕힘형 의류대
US1984446A (en) Hand luggage
US8469249B2 (en) Cart attachment for a backpack
CN209931745U (zh) 一种多功能包
KR20040106204A (ko) 배낭
KR200475054Y1 (ko) 방수가방
JP6080673B2 (ja) キャリーバッグ
CN206275301U (zh) 一种有独立鞋仓的箱包
EP2996512A1 (en)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