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245U - Stature measure device - Google Patents
Stature measur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2245U KR20080002245U KR2020060032469U KR20060032469U KR20080002245U KR 20080002245 U KR20080002245 U KR 20080002245U KR 2020060032469 U KR2020060032469 U KR 2020060032469U KR 20060032469 U KR20060032469 U KR 20060032469U KR 20080002245 U KR20080002245 U KR 2008000224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dimension
- head
- main body
- know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의 키를 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유리, 거울, 사물이 비치는 재질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장을 혼자서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키를 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easuring a person's h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easuring a height so that one can easily measure one's own height by using a material of stainless steel, glass, a mirror, and an object.
보 고안에 따르면 자신의 신장을 알고 싶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없이 자신의 눈으로 금방 알 수 있도록 비치는 재질(18)에 치수를 새기고, 70~80도 정도 안쪽으로 꺾어서 치수가 서로 마주보게 하고, 바른 자세로 본체(2) 정면을 보면 치수선(6)이 일직선(3-1)으로 보이고, 정면에서 위쪽을 보면 치수선(6)이 아래쪽으로 꺾어서 보이고, 치수 아래쪽을 보면 치수선(6)이 위쪽으로 꺾어서 보인다.According to the design, when you want to know your height, you need to carve out the material (18) that you can see immediately with your own ey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turn it in about 70-80 degrees to face each other. If you look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in the correct posture, the dimension line 6 appears as a straight line 3-1, and if you look upward from the front, the dimension line 6 appears bent downward, and if you look down the dimension, the dimension line 6 looks upward. Looks folded.
따라서, 본체(2) 정면을 보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그림3-1처럼 일직선으로 보이면 오른쪽 치수를 읽어 자신의 신장을 쉬게 알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Therefore, if the body 2 maintains the correct posture while looking at the fro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know its height by reading the right dimension as shown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3-1.
키, 키재는 장치, 신장 Height, height, height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전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핵심인 사용자의 눈높이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nlarge the eye level of the user is the core of the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머리끝 조정대을 확대한 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nlarge the head of the adjuster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를 사용하는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using a k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머리끝 B. 눈A. Head B. Eye
C. 발끝 D. 눈높이 확대도C. tiptoe D. eye level magnification
E. 머리끝 조정 장치 확대도 E. Overhead adjustment device magnification
3-1. 눈과 치수선이 수평이 되어 치수선이 일직선으로 되는 모습3-1. Eye and dimension line are horizontal, so the dimension line is straight
3-2. 눈높이를 벗어나면 수평선이 교차하는 모습3-2. Cross the horizon when out of eye level
2. 본체 4. 머리끝 조정대2.
6. 치수선 8. 받침대6.
10. 고정치수 18. 비치는 재질 10.
20. 머리끝 조정대 레일 22. 사람20. Head
본 고안은 키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혼자서도 쉽게 원하는 신장을 알 수 있도록 한 키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ing device, and in particular, a keying device that allows one to easily know the desired height.
통상적으로 키재는 장치는 치수가 새겨진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신장을 알 수 있고, 또 별도로 키재는 장치를 구입하여 신장을 재기 위해서는 설치와 사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고, 많은 비용이 뒤따른다.In general, the keying device can know its height with the help of other people using a separate complex device with its dimensions engraved, and the keying device is a separate space for installation and use in order to measure the height by purchasing the device This is required, and costs a lot.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신의 신장을 혼자서도 쉽게 잴 수 있게 하는 편리한 키재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keying device that can easily hold its own height al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비용, 작은 공간, 실시간으로 신장을 알 수 있고, 빠른 시간 안에 자신의 신장을 알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know the height in a small cost, small space, real time, and to know their height in a short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치수선(6)이 새겨진 본체(2) 안쪽에 비치는 재질(18)을 이용하여 눈으로 치수를 읽어 쉽게 신장을 알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2) 안쪽의 치수선(6) 부분에만 비치는 재질(18)(스테인리스, 유리 등)을 사용하고, 왼쪽 면에는 고정치수(10)를 새기고, 오른쪽 면에는 머리끝(A) 즉 눈(B)과 머리끝(A)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끝 조정대(4)을 부착하여 자신의 신장을 눈으로 알 수 있게 하는 편리한 키재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sing a material (18) reflected inside the main body (2) engraved with th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전면도로서, 본체(2)는 보통의 신장을 가진 사람의 3분의 1정도 크게 제작하며, 치수 및 치수선(6)이 새겨진 본체(2)를 70~80도 안쪽으로 꺾어서 서로 마주보게 제작하고, 본체(2)를 지탱하는 받침대(8)가 부착되고, 본체(2)의 오른쪽 면에 머리끝(A)을 조정하는 머리끝 조정대(4)가 부착된다.1 is a front view of a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핵심인 사용자의 눈높이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로서, 본체(2)의 왼쪽 면에는 고정치수(10)가 새겨져 눈(B)에서 머리끝(A)까지의 거리를 비교 및 기준이 되고, 오른쪽 면에는 머리끝(지금까지의 머리끝이란 눈(B)에서 머리끝(A)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눈(B)에서 머리끝(A)까지의 거리는 인종, 신체적 특징으로 다를 수 있어나 평균적으로 10센티미터이다.)를 상(上)하(下)로 조정하는 머리끝 조정대(4)가 부착되어 사용자(22)에 맞게 치수를 조정할 수 있고, 비치는 재질(18)에 치수선(6)을 새겨 70~80도 안쪽으로 꺾어서 보면 도 2처럼 전체적인 형태가 보이면서 눈높이를 벗어나면 3-2처럼 치수선(6)이 반사 및 교차하여 제대로 읽을 수 없으며, 눈높이가 맞으면 치수선이 3-1처럼 완전히 겹쳐보여 교차하지 않고 일직선으로 되어 쉽게 치수를 읽을 수 있다.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ight of the user's eye height of the ke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of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의 머리끝 조정대(4)을 확대한 확대도로 서, 본체(2)의 오른쪽 면에 위치하여 사용자(22)가 상(上)하(下)로 조정하기 편리하며, 머리끝 조정대(6)가 본체(2)에 밀착되어 상(上)하(下)로 움직이게 하는 레일(20)이 본체(2) 제작과정에 만들어지고, 머리끝 조정대(4)가 머리끝 조정대 레일(20)에 결합하여 사용자(22)에 맞게 상(上)하(下)로 조정가능하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키재는 장치를 사용하는 설명도로서, 사용자(22)가 본체(2)에 바른 자세로 서면 제일 먼저 A에서 B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여기에서 A는 머리끝이고 B는 눈이며 본체(2)의 왼쪽 고정치수(10)를 기준으로 하여 A에서 B까지의 거리만큼 아래로 조정하되 A에서 B까지의 거리는 평균 10센티미터이며 인종 및 신체적 특징으로 다른 경우에는 머리끝 조정대(4)를 사용자(22)에 맞게 조종하여 바른 자세로 몸을 세우면 사용자(22)의 눈높이에서 3-1처럼 일직선으로 보이면 오른쪽 면에 있는 치수를 읽으면 자신의 신장을 알 수 있다. (예-사용자가 A에서 B까지의 거리가 10센티미터이면 오른쪽 고정치수(10)를 기준으로 하여 머리끝 조정대(4)를 10센티미터 아래로 조정하여 3-1처럼 보이면 오른쪽 치수 값을 읽으면 신장을 알 수 있다.)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키재는 장치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 도움없이 혼자서도 자신의 신장을 알 수 있고, 한창 자라는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고, 다른 키재는 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공간과 비용을 줄이고 스테인리스로 제작하면 실내 인테리어에도 도움이 된다. If the key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ok at the effect of the device, you can know their height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can measure their height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ull swing, other key materials Compared to the simple structure, the space and cost are reduced, and stainless steel is also helpful for the interior.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469U KR20080002245U (en) | 2006-12-26 | 2006-12-26 | Stature measur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32469U KR20080002245U (en) | 2006-12-26 | 2006-12-26 | Stature measure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2245U true KR20080002245U (en) | 2008-07-01 |
Family
ID=4132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32469U KR20080002245U (en) | 2006-12-26 | 2006-12-26 | Stature measur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2245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311Y1 (en) * | 2014-10-21 | 2015-02-16 | 박이래 | Mirror for measuring ratio of proportioned figure |
KR20200053847A (en) | 2018-11-09 | 2020-05-19 | 이승아 | Apparatus for measuring a heigh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2006
- 2006-12-26 KR KR2020060032469U patent/KR20080002245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311Y1 (en) * | 2014-10-21 | 2015-02-16 | 박이래 | Mirror for measuring ratio of proportioned figure |
WO2016064058A1 (en) * | 2014-10-21 | 2016-04-28 | 박이래 | Life-size proportion measurement mirror |
KR20200053847A (en) | 2018-11-09 | 2020-05-19 | 이승아 | Apparatus for measuring a height and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2245U (en) | Stature measure device | |
EP1724626A1 (en) | Frame of a pair of spectacles | |
KR101943212B1 (en) | Height adjustable nose pad for glasses | |
CN201345009Y (en) | Myopia control spectacles | |
CN201716486U (en) | Glasses for lying while watching TV | |
KR20080072800A (en) | Refraction | |
CN203506938U (en) | Myopia prevention table | |
CN112297680A (en) | Grating eye protection ruler | |
CN219842590U (en) | Dual-reflection type zoom-out instrument with adjustable vision distance | |
CN209640629U (en) | A kind of plastic cement titanium matter glasses convenient for storage | |
CN218037579U (en) | Self-testing device for wearing position of functional glasses | |
KR20100084880A (en) | Nose support of glasses | |
CN202083847U (en) | Novel distance measuring spectacles | |
AU2003275756A1 (en) | Optical device | |
CN204166213U (en) | The picture frame turning device of glasses | |
CN203564387U (en) | Double-lens shortsightedness preventing lens platform | |
CN210982937U (en) | Glasses with lenses capable of being positioned and turned | |
CN201091413Y (en) | Mirror | |
KR100320991B1 (en) | refracting glasses using prism | |
JP4578571B1 (en) | Glasses with rear view function | |
CN212207827U (en) | Optical health reading and writing sitting posture guiding device | |
CN2397511Y (en) | Horizontal reflector | |
CN2438422Y (en) | Vision spectacles | |
KR20160029361A (en) | Easy ruler watching the scale mirrors | |
KR200234083Y1 (en) | Magnifying glass of stand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