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020U -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 Google Patents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020U
KR20080002020U KR2020060031935U KR20060031935U KR20080002020U KR 20080002020 U KR20080002020 U KR 20080002020U KR 2020060031935 U KR2020060031935 U KR 2020060031935U KR 20060031935 U KR20060031935 U KR 20060031935U KR 20080002020 U KR20080002020 U KR 20080002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card reader
present
unit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룡
김대식
조정일
Original Assignee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filed Critical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Priority to KR2020060031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020U/ko
Publication of KR20080002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comprising keyboard or display, e.g. a pocket calculator sized casing suitable for off-line checking the remaining money on a smart banking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the housing being a portable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5Encryption by serially and continuously modifying data stream elements, e.g. stream cipher systems, RC4, SEAL or A5/3
    • H04L9/0656Pseudorandom key sequence combined element-for-element with data sequence, e.g. one-time-pad [OTP] or Vernam's cip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6/00Indexing scheme related to dedicated interfaces for computers
    • G06F2206/10Indexing scheme related to storage interfaces for computers, indexing schema related to group G06F3/06
    • G06F2206/1014One time programmable [OTP] memory, e.g. PROM, WORM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슬롯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OTP:One Time Password)의 생성을 요청하고,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읽어들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카드 리더기에서 인식한 데이터들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카드, 카드리더기, USB, OTP

Description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Independent Smart card read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작부 110 : 카드 리더부
120 : 제어부 130 : 표시부
140 : USB커넥터 150 : 전원 공급부
200 : 슬롯
본 고안은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는 집적회로 칩을 내장하여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보다 저장 용량이 크고, 보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마트 카드는 기본적인 일반은행업무 이외에 신용카드, 교통카드, 신분증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카드는 인식 기능 이외에 전자화폐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반은행, 혼잡 통행료, 주차장,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통행료 등의 이용료 지불 뿐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 전자상거래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개인 정보의 노출위험이 커짐에 따라 OTP와 같은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OTP는 랜덤하게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된 비밀번호가 노출될 때에 대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카드에 OTP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OTP생성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카드로부터 생성된 OTP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PC와 같은 단말 장치에 연결하여야 확인이 가능했다. 또한 실제 전자 상거래 등에 이용할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회용 패스워드의 생성을 요청받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일회용 패스워드의 생성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들 및 생성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해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으로만 사용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에 컴퓨터와 USB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 625495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이는 휴대 가능한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제공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활용가능 하다는 효과가 있으나, 이 기술에 개시된 스마트 카드 리더기 역시 읽어들인 값들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일 예로 삽입된 스마트 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C와 같은 별도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일회용 패스워드의 생성에 필요한 작업의 지시등은 PC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스마트 카드 리더기는 단순히 스마트 카드 내부의 칩에 기록된 정보만을 읽어들이는 단순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이 경우 모든 절차의 수행은 PC에 탑재된 프로그램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스마트 카드 내부의 칩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작업은 PC와 스마트 카드 리더기 사이에서 여러번의 인터페이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같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별도의 단말 장치와 연계된 상태에서만 확인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OTP의 자동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슬롯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OTP:One Time Password)의 생성을 요청하고,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읽어들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양상에 따라 스마트카드 칩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조작신호에 대응되게 읽어들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USB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반 규격에도 사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스마트카드 내부의 칩 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110)와,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부(130)와,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OTP:One Time Password)의 생성을 요청하고, 카드 리더부(110)로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읽어들여 표시부(130)로 출력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카드 리더부(110)는 스카트 카드에 구비된 바코드 및 전자칩의 인식을 수행 하고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어들이는 통상의 리더 회로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리더부(110)는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RF통신부로 구현되어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박막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LCD와 STN(Super Twisted Nematic) 방식의 LCD와, OLED(Organic Liquid Crystal Display)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30)는 스마트 카드에서 생성된 OTP 혹은 스마트 카드의 충전 잔액을 표시하기에 충분한 자리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배터리의 상태 아이콘, 현재 수행중인 기능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정도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자체내에 내장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작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카드리더부(110)를 통해 읽어들인 데이터를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조작 신호에 따라 슬롯에 삽입되는 스마트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카드 리더부(110)를 통해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읽어들여 이를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이는 실제 제어부(120)의 메모리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RTC(Real time clock)를 더 포함하여 타임방식으로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스마트카드가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함에 있어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정보의 입력이 없더라도 RTC로부터 획득되는 파라미터값으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그 외 도시된 전원공급부(150)는 충전 가능한 소량의 충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150)는 제어부(120) 및 표시부(130)와 같이 카드 리더기의 전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PC와 같은 별도의 장비와 연계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USB 커넥터를 통하여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가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스마트 카드 내부에 기록된 정보 중 해당되는 데이터를 읽어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조작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0)는 하나의 버튼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조작부(100)의 입력 횟수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예를들어 1회의 버튼 입력이 있으면, 카드 리더부(110)를 통해 스마트 카드에서 생성된 OTP값을 읽어들여 표시부(130)로 출력하고, 버튼 입력이 2회 입력이 있으면 스마트 카드의 잔여 충전 금액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RTC(Real Time Clock)로부터 현재 시각을 획 득하여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조작부(100)를 통한 조작법과 그에 따른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리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측면에 스마트카드가 끼워지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카드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얇은 판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측면에 구비된 슬롯(200)에 스마트카드가 끼워지면, 제어부(120)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드가 삽입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슬림한 판상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되게 읽어들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USB 커넥터(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커넥터(140)는 호스트, 예를 들어 PC의 USB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USB 커넥터(140)와 연결되어 USB 커넥터(1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카드 리더부(110)가 스마트 카드의 칩에 저장된 정보중 해당 데이터를 읽어들이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카드 리더부(110)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들을 USB 커넥터(140)를 통하여 PC로 전송한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USB 커넥터(140)가 PC와 연결될 경우, 스마트카드 리더기 자체내에 구비된 조작부(100)와 표시부(130)는 동작을 멈추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스마트 카드 리더기와 같이 PC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제어부(120)는 PC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스마트 카드에서 생성되는 OTP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지 않고, PC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결된 해당 서비스 서버로 직접 자동 전송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USB 커넥터(140)는 휴대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 리더기 본체내에 접혀졌다가 펼쳐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되고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휴대가 간편하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조건에 구애받지않고 OTP생성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스마트카드에 선충전된 잔여금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TP의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전자거래에 있어 개인 정보의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 리더기가 능동적으로 OTP를 생성하고 PC를 통해 전자상거래가 수행되는 서비스 서버로 자동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생성된 패스워드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 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스마트카드 내부의 칩 정보를 읽어들이는 카드 리더부와;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로 일회용 패스워드(OTP:One Time Password)의 생성을 요청하고, 스마트카드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상기 카드 리더부로 읽어들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
    측면에 스마트카드가 끼워지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카드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얇은 판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기가 :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스마트 카드 내부에 기록된 정보 중 해당되는 데이터를 읽어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스마트 카드 리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 리더기는 :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게 읽어들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USB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스마트 카드 리더기.
KR2020060031935U 2006-12-18 2006-12-18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200800020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35U KR20080002020U (ko) 2006-12-18 2006-12-18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35U KR20080002020U (ko) 2006-12-18 2006-12-18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20U true KR20080002020U (ko) 2008-06-23

Family

ID=4132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935U KR20080002020U (ko) 2006-12-18 2006-12-18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0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91A (ko) * 2014-12-29 2016-07-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91A (ko) * 2014-12-29 2016-07-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052B2 (en) Secure smart card system
RU2591639C2 (ru) Банковская карта с отображающим экраном
US8253531B2 (en) On chip verification and consequent enablement of card OS operation in smart cards
US20130311363A1 (en) Dynamically re-programmable transaction card
CN203366367U (zh) 多功能智能卡
CN101373552B (zh) 一种带有智能存储卡插槽的pos机及其应用
US20080017703A1 (en) Smart card capable of processing financial transaction messages and operating method therein
CN101107635A (zh) 安全信用卡适配器
US20180039987A1 (en) Multi-function transaction card
WO2012078990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red communicator
CN103368743A (zh) 多功能智能卡及其身份认证方法和运行方法
JP2008516354A5 (ko)
KR20100110642A (ko) 보안토큰 장치
RU2575989C2 (ru) Банковская карта с отображающим экраном
KR20090050582A (ko)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갖는 칩 카드
KR100814377B1 (ko) 다기능 오티피 토큰
KR20190033899A (ko) 멀티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80002020U (ko) 독립형 스마트카드 리더기
KR20070019051A (ko) 네트워크 카드
JP4676734B2 (ja) Simリーダライタ
CN210377529U (zh) 一种具有指纹验证功能的ic卡
SK500172011A3 (sk) Payment card, method for cashless payment
KR200218544Y1 (ko) 보조 메모리수단을 내장하는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KR101237437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KR20050114520A (ko) 콤비칩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겸용 선불용 usb 토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