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992A -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992A
KR20080001992A KR1020060060514A KR20060060514A KR20080001992A KR 20080001992 A KR20080001992 A KR 20080001992A KR 1020060060514 A KR1020060060514 A KR 1020060060514A KR 20060060514 A KR20060060514 A KR 20060060514A KR 20080001992 A KR20080001992 A KR 2008000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crystal
barrel
piezoelectric single
thin plates
stee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238B1 (ko
Inventor
정명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2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1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piezoelectric actu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는, 초점조절용 렌즈(31), 상기 초점조절용 렌즈(31)가 부착된 경통(32), 상기 경통(32)을 지지하는 홀더(33), 상기 홀더(33)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슬롯(34a,34b), 상기 경통(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21), 각각의 일단이 상기 홀더(33)의 삽입슬롯(34a,34b)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블록(38a)에 의해 상기 베이스(39)에 고정된 한 쌍의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 및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피시비(22)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는 2개 이상의 적층된 층들을 이루는 스틸 박판들과 상기 스틸 박판들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며 배치된 압전 단결정 박판들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스틸 박판들은 그 단부에서 제2고정블록(38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스틸 박판들에 구동신호가 인가될 때에 상기 압전 단결정 박판들이 인장되어 상기 스틸 박판들에 굽힘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각 스틸 박판 층들의 굽힘 변형이 전체적으로 누적되어 상기 경통(32)이 상기 베이스(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부가적인 안내기구를 제거하여 전체 경통 구동장치의 소형화 및 소비전력의 최소화와 정밀위치제어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 장점이 있다.
경통, 구동장치, 자동 초점조절, 오토 포커싱, 렌즈, 스틸 박판, 압전, 압전 단결정, 박판, 폰 카메라

Description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A Barrel Using Auto-focusing Mechanism}
도1은 종래의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폰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의 구성도이며, 도2b는 도2a의 경통 구동장치(20)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이고, 도2c는 도2b의 상태에서 구동신호 인가로 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인장되어 스틸박판들(35a,35b)의 굽힘변형이 누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a)의 구성도이며, 도3b는 도3a의 경통 구동장치(20a)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이고, 도3c는 스틸박판들(35a,35b)의 굽힘 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b)의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c)의 구성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d)의 구성도이며, 도6b는 도6a의 경통 구동장치(20d)를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이고, 도6c는 스틸 박판들(35a,35b)의 굽힘 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e)의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f)의 구성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경통 구동장치 2, 3: 렌즈
4: 너트 5: 나사봉
6: 종동기어 7: 스테핑 모터
8: 구동축 9: 구동기어
10: 경통 11: 센서
12: 회전판 21: 베이스
22: 플렉서블 PCB 31: 초점조절용 렌즈
32: 경통 33: 홀더
34a, 34b: 삽입홀더 35,35': 압전단결정 구동부
35a,...,35d: 스틸 박판 36a,...,36d: 압전단결정 박판
37a,...,37d: 압전단결정 박판 38a, 38b: 고정블록
43: 검출센서 44: 화상처리장치
45: 구동회로 46: 화상축
본 발명은 폰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절 조절 렌즈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경통 구동장치에서 렌즈가 부착되는 경통의 측면에 구동과 안내의 역할이 가능한 한 쌍의 압전단결정을 반원형으로 각각 형성하여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경통 주위를 원형으로 둘러싸 지지하도록 하고, 부가적인 안내기구를 제거하여 전체 경통 구동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기구적인 부하를 제거하여 소비전력의 최소화와 정밀위치제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압전단결정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는 휴대폰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에서 자동초점 조절 및 광학줌용 경통 구동장치를 제작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박형(薄形)의 휴대폰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는 공간상의 제약 때문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계적인 구동장치를 적용하기가 곤란하므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제시된 경통 구동장치의 활용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 조사되는 광(光)에 따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함으로써 최상의 화상을 촬상소자로부터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에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통구동장치(1)를 사용하였다.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카메라용 경통구동장치(1)는 경통(10)의 측면에 너트(4)가 설치되고 상기 너트(4)에 나사봉(5)이 나사결합되어 스테핑 모터(7)의 회 전에 의해 경통(10)이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통(10)의 내측에는 렌즈(2,3)가 설치되고, 상기 경통(10)의 측면에 너트(4)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4)에는 나사봉(5)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사봉의 한쪽 끝단에는 종동기어(6)가 고정되며, 스테핑 모터(7)의 구동축(8)에는 구동기어(9)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6)는 상기 구동축(8)의 구동기어(9)와 치차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테핑 모터(7)의 회전력에 의해 종동기어(6)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테핑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봉(5)이 회전하여 경통(10)이 직선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통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스테핑 모터와 나사봉을 사용함으로써 기어들 사이의 마찰로 인해 기구적인 부하가 발생하고,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며, 기어들 사이의 백래시(backlash)가 존재하여 고속이동 및 정밀위치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경통 구동장치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어서 경박단소((輕薄短小)형의 휴대폰 카메라 등에 사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점조절 렌즈를 직선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서 렌즈가 부착되는 경통의 측면에 구동과 안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한 쌍의 압전 단결정을 각각 반원형으로 구성하여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부가적인 안내기구를 제거하여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고, 기구적인 부하를 제거하여 소비전력의 최소화와 정밀위치제어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압전 단결정을 이 용한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는, 초점조절용 렌즈(31); 상기 초점조절용 렌즈(31)가 부착된 경통(32); 상기 경통(32)을 지지하는 홀더(33); 상기 홀더(33)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슬롯(34a,34b); 상기 경통(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21); 각각의 일단이 상기 홀더(33)의 삽입슬롯(34a,34b)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블록(38a)에 의해 상기 베이스(39)에 고정된 한 쌍의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 및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피시비(22);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는 2개 이상의 적층된 층들을 이루는 스틸 박판들과 상기 스틸 박판들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며 배치된 압전 단결정 박판들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스틸 박판들은 그 단부에서 제2고정블록(38b)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틸 박판들에 구동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상기 압전 단결정 박판들이 인장되어 상기 스틸 박판들에 굽힘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각 스틸 박판 층들의 굽힘 변형이 전체적으로 누적되어 상기 경통(32)이 상기 베이스(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폰 카메라의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의 구성도이며, 도2b는 도2a의 경통 구동장치(20)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 면 구성도이고, 도2c는 도2b의 상태에서 구동신호 인가로 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인장되어 스틸박판들(35a,35b)의 굽힘변형이 누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a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는 베이스(21) 위에 렌즈(31), 경통(32), 홀더(33) 및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의 조립체가 설치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21)의 일측에는 초점 조절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서블 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가 설치된다.
상기 경통 구동장치(20)의 구조는, 초점 조절용 렌즈(31)가 경통(32)안에 설치되며, 상기 경통(32)의 둘레에는 홀더(33)가 조립되고, 상기 홀더(33)의 측면에는 2개의 삽입슬롯(34a,34b)이 서로 대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삽입슬롯(34a,34b)의 각각에는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의 일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때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의 일 단부를 삽입슬롯(34a,34b)안에 고정하는 데에는 자외선 접착제(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통(3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 단부는 삽입슬롯(34a,34b)안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1고정블록(38a)에 의해 베이스(21)상에 고정된다.
도2a 및 도2b를 참고하면, 상기 압전단결정 구동부(35)는 2개의 스틸 박판들(35a,35b)이 위 아래로 적층되며, 이 중 제1스틸박판(35a)의 일 단부가 상기 삽입슬롯(34a)안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2고정블록(38b)에 의해 제2스틸박판(35b)과 결합된다. 제2고정블록(38b)은 제1 및 제2스틸박판(35a, 35b)의 끝에 각각 ㄱ자 형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스틸박판(35a)과 상기 제2스틸박판(35b)은 ㄷ자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스틸박판(35b)의 타 단부는 제1고정블록(38a)에 의해 베이스(21)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블록(38b)과 상기 제1 및 제2스틸박판들(35a,35b)간의 결합 및 상기 제1고정블록(38a)과 상기 제2스틸박판(35b), 베이스(21)간의 결합도 자외선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스틸박판들(35a,35b)의 상하면에는 서로 번갈아 가는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b,36c,36d)이 압착 설치된다. 상기 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d)은 압전소자의 특성에 따라 전기가 가해지면 인장됨으로써 그 압착된 위치의 스틸 박판들을 굽힘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스틸 박판에는 동일한 치수(폭, 길이 및 두께)를 가진 2개의 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스틸 박판의 위 아래를 번갈아 가며 압착 설치되는데, 하나의 스틸 박판에 2개의 압전단결정 박판들을 설치할 수도 있고, 그 배수인 4개의 압전단결정 박판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도3a 참조).
도2a 내지 도2c를 참고하면, 동일한 치수를 가진 제1 및 제2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b)이 제1스틸박판(35a)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며 압착되며, 역시 동일한 치수를 가진 제3 및 제4압전단결정 박판들(36c,36d)이 제2스틸박판(35b)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며 압착된다.
한편, 상기 경통(32)을 둘러싸는데 있어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차지하는 압전단결정 구동부(35')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3 및 제4스틸박판들(35c,35d)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면서 제5 내지 제8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설치된다. 도2a에는 제5압전 단결정 박판(37a)만이 표시되며, 나머지 제6 내지 제8 압전단결정 박판들은 편의상 미도시되었다.
도2b 및 도2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통 구동장치(20)의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폰 카메라의 촬영모드에 의해 렌즈(31)를 통한 피사체의 화상이 검출센서(43)에서 검출되면 피사체의 상이 촬상소자에서 초점을 맺도록 경통 구동장치(20)에 구비된 압전 단결정 구동부(35)에 구동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의 구동 제어신호는 화상 검출센서(43)로부터 화상 처리장치(44)로 보내진 화상신호를 분석하여 경통 위치의 정밀제어를 위해 구동회로(45)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압전단결정 구동부에 인가된다.
도2b는 도2a의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상태도로서, 제1 내지 제4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d)에 구동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L1은 초점조절용 렌즈(31)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면부호 22a는 플렉서블 PCB(22)와 연결된 단자이다.
도2c는 구동회로(45)에 의해 압전단결정 구동부에 구동제어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d)에 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다. 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d)에 구동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인장 변형되면, 상기 압전단결정 박판들(36a,...,36d)에 압착된 제1 및 제2스틸박판들(35a,35b)이 굽힘 변형을 일으키며, 그 결과 초점조절용 렌즈(31)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2c에서 L2는 초점조절용 렌즈의 이동위치를 표시 하며, L3은 굽힘변형 전후의 거리 차이를 나타낸다.
피사체의 상이 촬상소자에 초점을 맺게 되면 렌즈는 일정위치(즉, L3의 위치)에 정지하며, 피사체의 이동에 의해 초점에서 벗어나게 되면 렌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맺도록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및 제2스틸 박판(35a,35b)의 상하 면에 동일한 치수의 압전 단결정 박판들(36a,...,36d)을 사용함으로써 굽힘 변형되는 스틸 박판의 양 끝단에서 상대 굽힘 각도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안내기구의 구비 없이도 초점 조절용 렌즈(31)는 화상축(46)상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층된 스틸 박판들의 굽힘 변형의 효과가 누적됨으로써 경통의 이동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a)의 구성도이며, 도3b는 도3a의 경통 구동장치(20a)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이고, 도3c는 스틸박판들(35a,35b)의 굽힘 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전반적인 구성이 거의 유사하나, 제2스틸박판(35b)과 제4스틸박판(35d)에 각각 4개의 압전단결정박판들을 설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2스틸박판(35b)에는 제3 내지 제6압전단결정 박판들(36c,...,36f)이 상하로 번갈아 가며 압착되며, 제4스틸박판(35d)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4개의 압전단결정박판들이 압착설치된다. 도면부호 37e는 제4스틸박판(35d)의 상면에 압착된 압전단결정 박판을 나타내며, 나머지 압전단결정 박판들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도3b 및 도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통 구동장치(20a)를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상태도들로서, 도3b는 구동제어신호가 인가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3c는 구동제어신호가 인가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3c를 도2c와 비교하면, 제1스틸박판(35a)의 굽힘변형은 동일하나, 제2스틸박판(35b)은 제3 내지 제6압전단결정 박판들(35c,35f)이 보다 작은 크기로 쪼개져 설치됨으로써 2번의 S자형으로 굽힘 변형된 모양을 보여준다. 그 밖의 구동작용 및 도면부호는 도2b 및 도2c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b)의 구성도이다. 도4의 경통 구동장치(20b)는 제1실시예(도2)의 경통 구동장치(20)와 비교하여, 뒤쪽에 위치한 압전단결정 구동부(35')의 배치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통 구동장치(20)는 압전단결정 구동부들(35,35')이 렌즈(31)를 중심으로 거울형 대칭을 이루고 있어 경통(32)이 좌우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었는데, 도4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압전단결정 구동부들(35,35')이 렌즈(31)를 중심으로 완벽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경통(32)이 항상 중앙의 화상축(미도시)을 따라 기울어짐 없이 똑바로 이동하도록 배려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c)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경통 구동장치(20b)와 동일한 방식으로 압전단결정 구동부(35')가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스틸박판(35b) 및 제4스틸박판(35d)에 각각 4개의 압전단결정 박판들을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d)의 구성도이며, 도6b는 도6a의 경통 구동장치(20d)를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이고, 도6c는 스틸 박판들(35a,35b)의 굽힘 변형이 일어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경통 구동장치(20d)는 스틸 박판들(35a,..,35d)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2a의 제1실시예(20) 및 도4의 제3실시예(20b)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5실시예의 경통 구동장치(20d)는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를 구성하는 제1 및 제3스틸박판들(35a,35c)이 한쪽의 삽입슬롯(34a,34b)에서 시작하여 거의 반원형으로 연장된 다음 제2고정블록(38b)에 의해 제2 및 제4스틸박판들(35b,35d)과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틸 박판(35a,...,35d)의 전체 길이가 전술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비해 연장됨으로써, 스틸 박판들의 굽힘 변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b 및 도6c는 도6a의 경통 구동장치(20d)의 굽힘변형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들로서, 전술한 도2b, 도2c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e)의 구성도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경통 구동장치(20e)는 도6a에 도시된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스틸 박판들(35a,...,35d)마다 2개의 압전단결정 박판들이 압착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그 외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20f)의 구성도이다. 도8을 참고하면,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의 스틸 박판들의 층수를 각 각 3개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면부호 351, 352 및 353은 각각 제1, 제2 및 제3스틸박판을 나타내며, 354, 355 및 356은 제4, 제5 및 제6스틸박판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361 내지 366은 상기 제1 내지 제3스틸박판(351,352,353)에 압착된 압전단결정 박판들을 나타내며, 371 내지 376은 상기 제4 내지 제6스틸박판(354,355,356)에 압착된 압전단결정 박판들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틸 박판들의 개수를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원하는 만큼 적층할 수 있으며, 스틸 박판들을 보다 많이 적층할수록 더 많은 굽힘 변형의 효과를 이용해 경통의 이동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스틸 박판에 압착하는 압전단결정 박판들의 개수는 2개일 수도 있고, 4개일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초점조절 렌즈를 직선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경통 구동장치에서 렌즈가 부착되는 경통의 측면에 구동과 안내의 역할이 가능한 한 쌍의 압전 단결정 구동부를 각각 반원형으로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동장치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부가적인 안내기구의 제거가 가능하여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구적인 부하를 제거함으로써 소비전력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는 구동신호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른 압전 단결정을 사용함으로써 초점조절 렌즈의 고속 정밀위치제어 가 가능하게 되어 피사체의 초점조절을 위한 시간이 단축되고, 최상의 화상을 촬상소자로부터 얻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초점조절용 렌즈(31);
    상기 초점조절용 렌즈(31)가 부착된 경통(32);
    상기 경통(32)을 지지하는 홀더(33);
    상기 홀더(33)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삽입슬롯(34a,34b);
    상기 경통(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21);
    각각의 일단이 상기 홀더(33)의 삽입슬롯(34a,34b)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블록(38a)에 의해 상기 베이스(39)에 고정된 한 쌍의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 및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피시비(22);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단결정 구동부(35,35')는 2개 이상의 적층된 층들(layers)을 이루는 스틸 박판들과 상기 스틸 박판들의 상하면에 번갈아 가며 배치된 압전 단결정 박판들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된 스틸 박판들은 그 단부에서 제2고정블록(38b)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틸 박판들에 구동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상기 압전 단결정 박판들이 인장되어 상기 스틸 박판들에 굽힘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각 스틸 박판 층들의 굽힘 변형이 전체적으로 누적되어 상기 경통(32)이 상기 베이스(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는 각각 반원형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홀더(33)를 원형으로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틸 박판(35a,35b,35c,35d)의 길이 중 일부 길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 하면에 1개 이상의 압전단결정 박판이 압착되고, 나머지 길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면에 1개 이상의 압전단결정 박판이 압착되되, 상기 압전단결정 박판들은 상기 스틸박판의 상하면을 번갈아가면서 상기 스틸박판의 표면에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단결정 구동부(35,35')의 스틸박판들(35a,35b,35c,35d)은 각각의 단부에 상기 고정블록(38a,38b)이 부착됨으로써 인접한 스틸박판 또는 베이스(21)와 ㄱ자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KR1020060060514A 2006-06-30 2006-06-30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KR10080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14A KR100801238B1 (ko) 2006-06-30 2006-06-30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514A KR100801238B1 (ko) 2006-06-30 2006-06-30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92A true KR20080001992A (ko) 2008-01-04
KR100801238B1 KR100801238B1 (ko) 2008-02-04

Family

ID=3921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514A KR100801238B1 (ko) 2006-06-30 2006-06-30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2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445A (ko) 2014-07-14 2016-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유닛 및 렌즈 모듈
KR20160025760A (ko) 2014-08-28 2016-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유닛 및 렌즈 모듈
KR20160103827A (ko) 2015-02-25 2016-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70011248A (ko) 2015-07-22 2017-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CN111399164A (zh) * 2020-03-27 2020-07-10 睿恩光电有限责任公司 压电片式对焦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857A (ko) * 2004-11-16 2006-05-23 정명진 압전 단결정을 이용한 경통 구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445A (ko) 2014-07-14 2016-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유닛 및 렌즈 모듈
KR20160025760A (ko) 2014-08-28 2016-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추에이터 유닛 및 렌즈 모듈
KR20160103827A (ko) 2015-02-25 2016-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70011248A (ko) 2015-07-22 2017-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US9874716B2 (en) 2015-07-22 2018-01-23 Samsung Electro-Ma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CN111399164A (zh) * 2020-03-27 2020-07-10 睿恩光电有限责任公司 压电片式对焦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238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481B1 (ko) 줌 렌즈 모듈
US6804068B2 (en) Optical unit
EP1720049B1 (en) Driving mechanism
US8134634B2 (en) Lens driving unit and image photographing module comprising the same
US8040623B2 (en) Compact auto focus lens module with piezoelectric actuator
CN213843634U (zh) 光学系统
CN111880278A (zh) 具有防抖及对焦功能的透镜驱动装置、相机及电子设备
KR100801238B1 (ko) 자동초점조절용 경통 구동장치
CN111384871A (zh) 压电陶瓷驱动器夹持结构、线性驱动装置及潜望式镜头
US8824071B2 (en) Lens barrel and camera
CN218917760U (zh) 镜头驱动装置
US20070182277A1 (en) Piezoelectric drive unit and piezoelectric drive element
JP4795083B2 (ja) 圧電駆動装置、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8520329B2 (en) Piezoelectric actuator, lens barrel and optical device
EP1983589A2 (en) Driv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height thereof
EP3240179B1 (en) Mo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motor
JP20061016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駆動用ピエゾ素子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300708A (ja) 圧電駆動装置、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60054857A (ko) 압전 단결정을 이용한 경통 구동장치
WO2023051118A1 (zh) 驱动器及其制作方法、驱动装置、摄像头模组、电子设备
WO2023051117A1 (zh) 驱动装置、摄像头模组以及电子设备
CN213457506U (zh) 光学系统
KR101029052B1 (ko) 초음파모터를 이용한 필터교체형 카메라모듈
WO2023051132A1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5515677B2 (ja) アクチュエータ、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