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685U - 야광 마스크 - Google Patents

야광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685U
KR20080001685U KR2020060031110U KR20060031110U KR20080001685U KR 20080001685 U KR20080001685 U KR 20080001685U KR 2020060031110 U KR2020060031110 U KR 2020060031110U KR 20060031110 U KR20060031110 U KR 20060031110U KR 20080001685 U KR20080001685 U KR 20080001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ous
light emitting
detachable
mas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팍스디자인
Priority to KR2020060031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685U/ko
Publication of KR2008000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야광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본면(本面), 장식면, 및 탈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식면은 상기 본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을 탈부착시킨다. 상기 장식면의 일면은 야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장식면의 다른 일면과 상기 본면의 일면 사이에서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과의 탈부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야광이 포함된 그림이 마스크에 형성됨으로써, 어두운 곳 또는 새벽이나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대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야광 마스크{Luminous mask}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이다.
도 2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이다.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먼지와 같은 유해한 미세 물질 많은 환경에서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종종 황사가 발생하는 봄철이나,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감기가 유행하는 겨울철에 마스크가 많이 사용된다. 현재까지 시중에 판매되는 마스크는 흰색 또는 파란색의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근래 들어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본래의 목적 이외에 구매자의 구매 욕구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아동용, 또는 여성용으로 판매되는 마스크는 얼굴이 닿지 않는 면에 만화 캐릭터나, 여러 가지 사진, 그림 등이 프린트된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봄철과 겨울철, 그리고 새벽과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에 많이 사용되는 마스크의 특성을 고려할 때, 만화 캐릭터, 그림 등을 단순하게 프린트된 경우 어두운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동용의 경우 새벽이나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대에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인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인성이 뛰어난 야광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본면(本面), 장식면, 및 탈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식면은 상기 본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을 탈부착시킨다. 상기 장식면의 일면은 야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장식면의 다른 일면과 상기 본면의 일면 사이에서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과의 탈부착시킨다.
상기 야광부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면은 발광부, 전원부 및 전원공급선을 더 구비한다. 전원부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선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으며, 유 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본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탈부착부, 및 상기 장식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탈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탈부착부와 상기 제 2 탈부착부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상기 장식면이 상기 본면에 탈부착된다.
이 때 상기 탈부착부는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얼굴에 닿는 면의 반대면의 적어도 일부에 야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야광부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발광부, 전원부, 및 전원공급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다. 전원공급선은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도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에 닿는 면의 반대면(즉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는 만화 캐릭터,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프린트, 자수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야광 마스크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 야광부(110)를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 1의 야광 마스크에는 동물(쥐) 캐릭터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물 캐릭터를 나타낼 수 있는 주요 부분이 야광으로 형성된다. 즉 동물 캐릭터의 귀, 얼굴윤곽, 눈썹, 눈동자, 수염, 눈, 코 등의 모양이 야광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야광처리에 의해 도 1의 야광 마스크는 밝은 곳에서 뿐만 아니라, 새벽이나 밤과 같은 어두운 시간 대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야광부(110)는 야광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광부(110)는 야광물질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의 야광 마스크는 발광부(1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발광부(120)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20)가 발광소자인 경우, 도 1의 야광 마스크는 전원부(130) 및 전원공급선(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발광부(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양한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부(130)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마스크가 귀에 걸리는 형태인 점을 고려할 때, 전원 부(130)는 소형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형 전지는 일회용 방식 또는 충전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공급선(140)은 전원부(130)로부터 발광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공급선(140)은 발광부(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들 모두에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며,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들은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선(140)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들을 연결함으로써 전원부(130)로부터 발광소자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야광 마스크는 야광부(120)와 발광부(130)를 각각 따로 구비함으로써 시인성을 확보할 수도 있고, 야광부(120)와 발광부(130)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시인성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 야광부 및/또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세탁 또는 보관 등의 편의를 위해서 야광부 및/또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면이 야광 마스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광 마스크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야광 마스크에서는, 야광부 및/또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면(이하 장식 면(220)이라 함)이 야광 마스크의 본면(210)에 탈부착 가능하다. 이하 도 2의 야광 마스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야광 마스크는 본면(本面)(210), 장식면(220), 및 탈부착부(230)를 구비한다. 장식면의 일면(즉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정면에서 보이는 면)은 야광부(221)를 구비한다.
탈부착부(230)에 의해 장식면(220)은 본면(21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즉 탈부착부(230)는 장식면의 다른 일면(즉 본면(210)과 맞닿는 면)과 본면(210)의 일면(즉 장식면(220)과 맞닿는 면) 사이에서 본면(210)과 장식면(220)과을 탈부착시킨다. 탈부착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한편 장식면(220)이 본면(210)에 탈부착 가능한 점을 제외하고, 장식면(220)에 구비되는 야광부(221), 발광부(223), 전원부(235), 및 전원공급부(237)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야광부(110), 발광부(120), 전원부(130), 및 전원공급부(140)의 구성 및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탈부착부(230)는 본면(2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탈부착부(미도시), 및 장식면(22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탈부착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탈부착부는 실질적인 탈부착이 수행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제 1 탈부착부와 제 2 탈부착부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장식면(220)이 본면(210)에 탈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탈부착부(230)는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나, 단추와 홈을 이용하는 방법과 같은 여러 가지 탈부착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 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야광 마스크는 야광이 포함된 그림이 마스크에 형성됨으로써, 어두운 곳 또는 새벽이나 밤과 같이 어두운 시간대에 시인성을 확보하여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며, 소비자의 구매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본면(本面); 및
    상기 본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면; 및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과의 탈부착을 위한 탈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식면의 일면은 야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장식면의 다른 일면과 상기 본면의 일면 사이에서 상기 본면과 상기 장식면과의 탈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부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면은,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본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탈부착부; 및
    상기 장식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탈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탈부착부와 상기 제 2 탈부착부가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상기 장식면이 상기 본면에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8. 얼굴에 닿는 면의 반대면의 적어도 일부에 야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부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10. 제 8 항에 있어서,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마스크.
KR2020060031110U 2006-12-06 2006-12-06 야광 마스크 KR200800016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10U KR20080001685U (ko) 2006-12-06 2006-12-06 야광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10U KR20080001685U (ko) 2006-12-06 2006-12-06 야광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85U true KR20080001685U (ko) 2008-06-11

Family

ID=4132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110U KR20080001685U (ko) 2006-12-06 2006-12-06 야광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68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62U (ko) * 2016-10-10 2018-04-18 문병조 실용-패션 마스크
KR20190132620A (ko) * 2019-11-21 2019-11-28 여의(주) 패션 디자인이 결합된 마스크
KR102088938B1 (ko) 2018-10-22 2020-03-13 조세호 긴급 재난용 필터 마스크
KR102333112B1 (ko) * 2021-01-08 2021-12-01 김성길 아동용 마스크
KR102381703B1 (ko) * 2021-02-25 2022-04-04 김성길 마스크
KR20220001054U (ko) 2020-11-04 2022-05-11 신만균 모션기능을 갖는 캐릭터 마스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62U (ko) * 2016-10-10 2018-04-18 문병조 실용-패션 마스크
KR102088938B1 (ko) 2018-10-22 2020-03-13 조세호 긴급 재난용 필터 마스크
KR20190132620A (ko) * 2019-11-21 2019-11-28 여의(주) 패션 디자인이 결합된 마스크
KR20220001054U (ko) 2020-11-04 2022-05-11 신만균 모션기능을 갖는 캐릭터 마스크
KR102333112B1 (ko) * 2021-01-08 2021-12-01 김성길 아동용 마스크
KR102381703B1 (ko) * 2021-02-25 2022-04-04 김성길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685U (ko) 야광 마스크
US7495835B2 (en) Display novelty
JP7307748B2 (ja) セルフカスタマイズ眼鏡
US200802977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8905540B2 (en)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character eyes
JP2009535079A5 (ko)
CN205848757U (zh) 一种防护面罩
US20120047765A1 (en) Helmet Accessory for Goggles
JPWO2015159344A1 (ja) マスク貼付用シ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US20080034458A1 (en) Mask structure
US9740029B2 (en) Eyeblack glass frames
CN201005079Y (zh) 一种迎风护面防尘脸罩
US6224208B1 (en) Color changing sunglass frames
KR20140003324U (ko) 마스크 팩
JP2005292750A (ja) 遮光用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
USD560797S1 (en) Headgear for respiratory mask
KR102229771B1 (ko) 필름 착탈이 용이한 페이스 쉴드
JP6867720B2 (ja) マスク
US11906816B2 (en) Goggles and air filter combination
KR101196879B1 (ko) 다용도 가면
KR200496615Y1 (ko) 안경용 마스크 걸이구
KR200377953Y1 (ko) 수면안대
KR200304331Y1 (ko) 자외선차단용 안면보호대
KR102004927B1 (ko) 애완 동물 이름표
KR200298076Y1 (ko) 위장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