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466U -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466U
KR20080001466U KR2020060030510U KR20060030510U KR20080001466U KR 20080001466 U KR20080001466 U KR 20080001466U KR 2020060030510 U KR2020060030510 U KR 2020060030510U KR 20060030510 U KR20060030510 U KR 20060030510U KR 20080001466 U KR20080001466 U KR 20080001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unnel
heat exchanger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황
Original Assignee
임성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황 filed Critical 임성황
Priority to KR2020060030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466U/ko
Publication of KR20080001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4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3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구/터널 내부온도분포를 파악하여 위치별 차등냉각을 함으로써 냉각효과를 증대시킨 전력구/터널의 위치별 차등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구/터널(25)의 내부온도를 분석해 보면 출입구(24) 근처가 가장 온도가 낮고 통풍이 잘 안되고 출입구(24)에서 먼 중앙부위가 가장 온도가 높다. 특히 전력구의 경우 중앙부위의 온도는 40℃를 넘어 순시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포설된 케이블의 용량을 줄어들게 하여 설비투자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전력구를 냉각시키는 방안이 고안 되었지만 이 방법은 다수의 수냉각관(16)을 전력구 내의 출입구(24)에서 다음 출입구(24)까지 균등하게 배열하여 폐회로를 형성하고, 찬 냉각수를 출입구(24)부터 열교환이 되도록 하여 앞 부위에서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가 중앙부위에서 열교환을 하도록 하여 중앙 부위의 냉각에는 비효율적이고, 중앙부위를 원하는 것과 같이 냉각하려면 냉각기(35)는 커진다.
본 고안에서는 전력구/터널(25) 내부 온도분포에 따라 온도가 높은 부위에 열교환 단면적이 넓은 열교환기를 배치하여 열교환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유속을 느리게 하여 열교환 량을 늘린다. 또한 찬 냉각수가 온도가 높은 지점(대체로 중앙)부터 열교환되도록 하여 냉각효율을 높여 냉각기(35)를 획기적으로 작게 하였다.
또한 냉각수(33)가 순환하는 배관에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를 다수 설치하여 수압을 가함으로써 케이블이나 전력구/터널(25) 내부에 냉각수가 분무되도 록 하여 분무된 물의 기화열로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화재 발생시 동일한 방법으로 화재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전력구, 터널, 케이블, 분무, 스프링쿨러, 소화, 냉각

Description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omitted}
도 1은 전력구 내부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2는 전력구 위치별 온도분포 설명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케이블 간접수냉각 방법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위치별 차등냉각 가능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설명도이다.
도 5는 터널 전구간 1순환회로 위치별 차등냉각 냉각시스템 사례도이다.
도 6은 터널 전구간 1순환회로 위치별 차등냉각 냉각시스템 다른 예이다.
도 7은 위치별 차등냉각 가능 폐순환회로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설명도이다.
도 8은 관형열교환기 설명도이다.
도 9는 트라프 내부에 관형열교환기를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도 10은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 설명도이다.
도 11은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의 배관과 결합부위 설명도이다.
도 12는 압력작동스프링쿨러 작동 설명도이다.
도 13은 관형열교환기를 폐회로로 연결하는 세부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력구/터널박스 12 : 수직지지대
13 : 수평지지대 14 : 케이블
15 : 트라프 16 : 수냉각관
17 : 냉각수회수관 18 : 배수로
19 : 통로 21 : 온도곡선
22 : 한계온도 23 : 온도한계초과구간
24 : 출입구 25 : 전력구/터널
31 : 순환펌프 32 : 냉각수조
33 : 냉각수 34 : 냉각기펌프
35 : 냉각기 41 : 냉각수공급관
42 : 관형열교환기 43 : U자관
44 : 종단변경밸브 45 : 냉각구간확장밸브
46 : 종단밸브 71 : 2차냉매통
72 : 1,2차냉매열교환기 73 : 2차냉매
81 : 반U자관 82 : 결합플랜지
83 : 볼트 84 : 확관볼트
85 : 열교환관 86 : 핀
87 : 냉기공급팬 91 : 판형핀
92 : 고정클리트 93 : 곡면형핀
101 :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 102 : 결합암나사
103 : 피스톤 104 : 피스톤가이드
105 : 분사구 106 : 스프링
107 : 물인출구 108 : 돌출분사기
109 : 통형분사기 111 : 결합수나사
112 : 물유출밸브 113 : 배관
121 : 압력펌프 122 : 순환정지밸브
123 : 압력밸브 124 : 차단밸브
131 : 열교환기연결밸브
전력구/터널(25)의 내부온도를 분석해 보면 출입구(24) 근처가 가장 온도가 낮고 통풍이 잘 안되고 출입구(24)에서 먼 중앙부위가 가장 온도가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케이블을 설치한 역사가 짧아 아직 전력구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지만 최근에 전력구 중앙부위의 온도가 40℃를 넘는 등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케이블을 먼저 사용한 일본이 사용중인 전력구 냉각방법은 다수의 수냉각관(16)을 전력구 내의 출입구(24)에서 다음 출입구(24)까지 균등하게 배열하여 폐회로를 형성하고, 찬 냉각수를 출입구(24)부터 열교환이 되도록 하여 앞 부위에서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가 중앙부위에서 열교환을 하도록 하여 중앙 부위의 냉각에는 비효율적이고, 중앙부위를 원하는 것과 같이 냉각하기 위해서는 냉각기(35) 용량을 크게 해야 한다.
본 고안은 전력구/터널(25) 내부 온도분포를 감안하여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에서 많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고,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찬 냉각수가 앞선 열교환 없이 온도가 높은 전력구/터널 중간부위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높은 압력에서 작동하는 스프링쿨러를 통해 냉각수를 배관 외부의 케이블이나 전력구/터널(25) 내부에 분무하여 분무된 물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냉각수의 분무기능을 활용하여 전력구/터널(25) 화재시 소화기능을 겸하도록 한다.
도 1은 전력구 내부 설명용 단면도이다. 전력구/터널박스(11) 내부 벽면에 수직지지대(12)가 일정간격으로 양측면에 설치되고, 수직지지대(12)와 직각으로 수평지지대(13)가 수직지지대(12) 상하로 다수 설치된다. 케이블(14)은 수평지지대(13) 위에 그냥 포설되거나 트라프(15)에 포장되어 포설된다. 트라프(15)는 화재시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각관(16)은 상부 여유 있는 공간 또는 트라프(15)내에 설치되고, 열교환을 하여 더워진 냉각수는 냉각수회수관(17)을 통하여 회수된다. 배수로(18)는 전력구 내부로 유입된 물을 집수정으로 모으는 수로 역할을 한다.
도 2는 전력구 위치별 온도분포 설명도이다. 출입구(24) 부근에는 통풍에 의한 열교환이 많아서 온도가 낮은 편이고, 전력구/터널(25) 중앙부위는 통풍이 여의치 않아 온도가 한계온도(22)를 넘는 온도한계초과구간(23)이 발생할 수 있다. 따 라서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의 핵심은 중앙부위의 높은 온도구간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는데 있다.
도 3은 기존의 케이블 간접수냉각 방법 설명도이다. 수조(32)에 담긴 냉각수(33)는 냉각기펌프(34)를 통하여 냉각기(35)로 유입되어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다시 수조(32)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반복하며 수조(32)의 냉각수(33)는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찬 냉각수(33)는 순환펌프(31)를 통하여 수냉각관(16)으로 유입되어 전력구/터널(25) 내부에서 열교환을 하여 더워진 상태에서 냉각수회수관(17)을 통하여 수조(32)로 복귀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력구/터널(25) 내부는 냉각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력구/터널(25) 내부의 온도분포와 상관없이 균등하게 수냉각관(16)이 배관되었으므로 낮은 온도의 출입구(24) 부근이나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나 열교환면적이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전력구/터널(25) 중앙부위를 원하는 만큼 냉각시키려면 필요 없는 출입구(24) 부근도 그만큼 냉각을 시켜야 하므로 냉각기(35) 용량은 커져야 한다. 더구나 수조(32)로부터 새로 공급되는 찬 냉각수(33)가 온도가 낮은 출입구(24)부터 열교환을 하므로 출입구(24) 부근은 과냉각 되고, 더워진 냉각수(33)가 중앙부위를 냉각하므로 중앙부위 냉각효과가 적어 원하는 냉각 목표를 위해서는 냉각기(35) 용량은 또 커져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위치별 차등냉각 가능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설명도이다. 양 출입구(24) 사이의 한 전력구/터널(25) 구간을 양 출입구(24)에서 절반씩 냉각을 분담하는 방법이다. 한 냉각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해도 절반은 가동되는 효과가 있다. 온도가 높은 지점일수록 열교환면적이 많아지도록 열교환관(85)이 많이 병렬로 연결된 관형열교환기(42)를 연결하여 열교환기열을 형성하고 순환펌프(31)와 연결된 냉각수공급관(41)을 단열을 시킨 상태에서 종단 밸브(46)를 거쳐 열교환기열의 한 쪽 단말에 해당하는 중앙부위의 관형열교환기(42)에 연결시킨다. 냉각수회수관(17)을 단열을 시킨 상태에서 열교환기열의 한 쪽 단말에 해당하는 출입구(24) 부근 관형열교환기(42)에 연결시킨다. 냉각수공급관(41)과 냉각수회수관(17)을 종단변경밸브(44)로 연결시킨다. 전력구/터널(25) 중앙을 기점으로 양쪽에 같은 방법으로 냉각시스템을 설치한다. 그리고 양쪽 열교환기열의 말단 종단밸브(46) 전후에 각각 1개씩의 냉각구간확장밸브(45)를 T분기로 설치하여 두 냉각시스템을 연결한다.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수조(32)의 냉각수(33) 냉각원리는 도3과 같다. 종단변경밸브(44)와 냉각구간확장밸브(45)가 모두 닫히고 종단밸브(46) 2개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 전력구/터널(25) 1개구간은 2개로 분리된 출입구(24)에서 중앙까지의 냉각시스템으로 냉각된다. 수조(32)의 찬 냉각수(33)는 단열된 냉각수공급관(41)을 타고 순환펌프(31)에 의해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의 관형열교환기(42)로 유입되므로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의 냉각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에 위치한 관형열교환기(42)는 열교환관(85)이 병렬로 많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교환면적이 매우 넓으며 또한 관의 단면적이 넓어진 효과와 같아서 베르누이정리에 따라 유속이 느려지므로 냉각수가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열교환이 더욱더 많이 일어난다. 냉각수(33)가 출입구(24) 부근으로 갈수록 관형열교환기(42)의 열교환관(85)이 줄어 열교환면적이 적어지며 또한 관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유속이 빨라지므로 냉각수가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열교환이 적게 일어난다. 온도 가 높은 중앙부위는 열교환이 많게 하고, 온도가 낮은 출입구(24) 부위는 열교환이 적게 하여 효율적인 냉각을 할 수 있어서 냉각기(35)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냉각시스템 운전중에 한쪽의 냉각시스템이 정지할 경우 정지한 냉각기(35) 쪽 종단변경밸브(44)와 2개의 냉각구간확장밸브(45)를 열고, 2개의 종단밸브(46)를 잠그면 정지하지 않은 냉각시스템에 의해 전력구/터널(25) 전구간이 냉각이 가능하다. 정지하지 않은 냉각장치의 수조(32)의 냉각수(33)는 순환펌프(31)에 의해 냉각구간확장밸브(46)를 거쳐 반대편 출입구(24) 부근의 종단변경밸브(44)를 통하여 연속으로 연결된 열교환기열로 유입된다. 냉각수(33)는 반대편 출입구(24)에서 열교환기열을 통하여 중앙부위를 거쳐 정지하지 않은 냉각기(35)가 있는 출입구(24)로 돌아와 냉각수회수관(17)을 통하여 수조(32) 유입되면서 냉각의 한 주기를 마친다. 따라서 냉각장치의 고장에 대비한 비상운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터널 전구간 1순환회로 위치별 차등냉각 냉각시스템 사례도이다. 한 출입구(24)에서 다음 출입구(24)까지의 냉각을 한 출입구 쪽의 냉각장치에서 담당사례이다. 관형열교환기(42)의 열교환면적을 높이는 병렬 열교환관(85)이 온도가 높은 부위(주로 중앙부위)에 많도록 관형열교환기(42)를 배치하여 상호 연결하여 열교환기열을 형성하고 단열된 냉각수공급관(41)을 반대편 출입구(24) 부근에 위치하는 열교환기열의 말단을 형성하는 관형열교환기(42)에 연결하고, 냉각수회수관(17)은 수조(32)가 있는 쪽의 출입구(24) 부근에 위치하는 열교환기열의 말단의 관형열교환기(42)에 연결하여 폐회로를 형성한다. 작동원리는 도4에서 한 쪽 냉각시스템 정지시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도 6은 터널 전구간 1순환회로 위치별 차등냉각 냉각시스템 다른 예이다. 도5와 동일하나 냉각수공급관(41)과 냉각수회수관(17)이 열교환기열 양단을 바꾸어 연결된 것이 다르다. 찬 냉각수(33)를 2개의 출입구 중 수조(32)가 있는 쪽에 먼저 유입되어 그 쪽을 좀 더 냉각시킬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양 출입구(24)의 온도분포에 따라 도5와 도6의 방법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위치별 차등냉각 가능 폐순환회로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설명도이다. 도4와 동일하나 수조(32)는 2차냉매통(71)으로 대체된다. 냉각기펌프(34)를 통하여 2차냉매(73)는 냉각기(35)로 유입되어 냉각된 다음 2차냉매통(71)으로 돌아와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전력구/터널(25)을 냉각시키고 열을 흡수한 냉각수(33)는 냉각수회수관(17)에 연결되면서 2차냉매통(71) 내부에 설치된 1,2차냉매열교환기(72)를 통해 흐르면서 2차냉매(73)와 열교환을 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냉각수(33)는 순환펌프(31)를 통하여 냉각수공급관(41)로 공급된다. 전력구/터널(25) 내의 순환원리는 도4와 동일하다. 이 경우 냉각수가 폐회로를 따라 흘러가기 때문에 도르래 원리에 의해 순환펌프(31)의 에너지 소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관형열교환기 설명도이다. 관형열교환기(42) 양쪽에는 반U자관(81)이 180도 점대칭 형태로 설치된다. 반U자관(81) 한쪽은 막혔으며 한쪽은 다음 관형열교환기(42)의 또 다른 반U자관(81)과 결합플랜지(82)를 통해 볼트(83)로 상호 연결된다. 원통형 열교환관(85)은 열교환면적이 크게 사각관 형태로 변경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양쪽 2개의 반U자관(81) 사이에는 설치될 위치에 적합한 수의 금속 재질의 열교환관(85)이 병렬로 설치된다. 열교환관(85)에는 핀(86) 또는 판형핀(91) 또는 곡면형핀(93)이 설치되어 열교환량을 늘린다. 반U자관(81)과 열교환관(85)은 용접하든지 설치작업과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확관볼트(84)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양쪽 2개의 반U자관(81)에 의해 유입점에서 유출점으로 이동하는 냉각수(33) 이동거리는 어떤 열교환관(85)을 지나더라도 동일하므로 병렬로 설치된 열교환관(85)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다. 열교환이 잘 되도록 열교환관(85) 인근에 냉기공급팬(87)을 다수 설치할 수도 있다.
도 9는 트라프 내부에 관형열교환기를 설치한 사례 설명도이다. 트라프(15) 내부에 관형열교환기(42)를 내장할 경우 케이블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열교환관(85)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핀(86)을 설치할 수 없고 열교환관(85)에 수평으로 케이블(14) 상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판형핀(91) 또는 케이블(14)과 고정클리트(92)를 감싸는 형태의 금속 재질의 곡면형핀(93)을 설치한다. 트라프(15) 없이 설치되는 케이블(14)에도 판형핀(91) 또는 곡면형핀(93)을 설치하여 열교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0은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 설명도이다.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는 한쪽이 막힌 원통형으로 만들어 진다. 트인 쪽의 원통 내부 벽면에는 결합암나사(102)가 형성되고 막힌 쪽 부근의 원통 둘레에는 분사구(105)가 다수 설치된다. 원통 내부에는 스프링(106)이 넣어지고 그 상부에는 피스톤(103)의 수평을 유지해 주는 피스톤가이드(104)가 설치된 피스톤(103)이 놓인다. 형태를 변경하여 분사구(105) 대신 물인출구(107)를 설치하고 그 끝에 돌출분사기(108)나 통형분사기(10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냉각수에 보통의 수압이 가해지면 스프링 힘에 의해 피스톤(103)은 분사구(105) 또는 물인출구(107) 상부에 위치하여 냉각수(33)의 유출이 없다. 냉각수를 케이블(14)이나 전력구/터널(25) 내부에 분무하여 분무된 냉각수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을 강화할 의도가 있거나 전력구/터널(25) 내부에 화재가 나서 소화를 시킬 의도가 있을 때 냉각수의 수압을 높이면 스프링(106)이 수축되며 피스톤(103)이 분사구(105) 또는 물인출구(107) 하부에 내려와서 냉각수(33)가 분사구(105) 또는 돌출분사기(108) 또는 통형분사기(109)를 통하여 분무되어 냉각강화 또는 화재를 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압을 다시 낮추면 스프링(10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03)은 분사구(105) 또는 물인출구(107) 상부로 이동하여 냉각수(33) 유출을 막는다. 인장되는 스프링 끝에 피스톤을 달거나 피스톤 위에 무게추를 놓는 형태로 변경시키거나 기존 상용화된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쿨러헤더를 설치하는 것(미도시)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1은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의 배관과 결합부위 설명도이다.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는 배관(113)에 T분기로 연결된 물유출밸브(112)의 끝에 형성된 결합수나사(111)에 결합암나사(102)를 연결함으로써 설치된다. 전력구/터널(25) 내부에는 많은 먼지가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물청소를 하여야 하지만 물을 공급받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가 설치된 배관(113)이 있을 경우 물유출밸브(112)를 잠그고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를 제거시킨 다음 물호스를 연결하면 물유출밸브(112)를 사용하여 청소용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2는 압력작동스프링쿨러 작동 설명도이다. 스프링쿨러의 한 가지 작동방법은 냉각수회수관(17)의 관로상에 순환정지밸브(122)를 설치한 후 이를 잠그고 순 환펌프(31)를 가동시키면 관형열교환기(42)와 냉각수공급관(41)의 수압이 올라가 배관에 설치된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는 열려 스프링쿨러는 작동한다. 다른 방법은 압력펌프(121) 입구에 압력밸브(123)를 설치한 상태에서 냉각수공급관(41)에 T분기로 연결하고 수조(32)에서 순환펌프(31)를 지난 냉각수공급관(41)에 차단밸브(124)를 설치한 상태에서 순환펌프(31)를 정지시키고 순환정지밸브(122)와 차단밸브(124)를 막은 다음 압력밸브(123)를 열고 압력펌프(121)를 가동하면 관형열교환기(42)와 냉각수공급관(41)의 수압이 올라가고 이 배관에 설치된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는 열려 스프링쿨러는 더 세게 작동한다. 화재시에는 압력펌프를 통해 산소를 밀어내고 화재를 쉽게 끌 수 있는 유체인 소화액 또는 질소나 이산화탄소를 투입시키면 더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 뿐 만 아니라 열감지 화재방지용 스프링쿨러헤더를 추가로 설치하면 더 효과적이다. 화재발생 감지신호는 전력구/터널(25)에 설치된 별도의 감지시스템으로부터 받는다.
도 13은 관형열교환기를 폐회로로 연결하는 세부 설명도이다. 관형열교환기(42) 양단에 설치된 반U자관(81)은 결합되는 다른 관형열교환기(42)의 반U자관(81) 사이에 열교환기연결밸브(131)를 두고 결합되어 완전한 U자관을 만든다. 열교환기연결밸브(131) 양단 관의 길이를 조절하면 관형열교환기(42)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정 관형열교환기(42)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 관형열교환기(42) 양단의 열교환기연결밸브(131)를 잠그고 바이패스관(미도시)을 통하여 냉각시스템을 연결시켜 작동하게하고 고장난 관형열교환기(42)를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직렬로 연결되는 관형열교환기(42)열 양단에 냉각수공급관(41)과 냉각수회수관(17)이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는 전력구/터널(25) 내부 온도분포에 따라 온도가 높은 부위(주로 중앙부위)에 많은 열교환관(85)이 병렬로 연결된 관형열교환기(42)를 배치하여 열교환 단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유속을 느리게 하여 열교환 량을 늘리고 찬 냉각수가 온도가 높은 지점(주로 중앙부위)에 바로 투입되도록 하여 중앙부위를 집중 냉각함으로써 냉각효과를 높이고 냉각기(35)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배관에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를 다수 설치하여 수압을 가함으로써 케이블이나 전력구/터널(25) 내부에 냉각수가 분무되도록 하며 분무된 물의 기화열로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화재 발생시 동일한 방법으로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가 설치된 배관(113)에서 물유출밸브(112)를 잠그고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를 제거한 후 물호스를 연결시켜 물유출밸브(112)를 사용하여 전력구/터널(25) 내부 청소용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4)

  1. 전력구/터널(25)보다 상부에 설치되는 수조(32)와; 수조(32)에 채워지는 냉각수(33)와; 수조(32)와 2개 배관으로 연결되는 냉각기(35)와; 수조(32)와 냉각기 연결 배관상에 설치되는 냉각기펌프(34)와; 온도가 높은 위치에 설치될 관형열교환기(42)에 열교환관(85)이 많도록 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관형열교환기(42)를 전력구/터널(25) 내부 또는 전력구/터널(25) 내의 트라프(15) 내부에 연속 배치하여 인접한 관형열교환기(42)의 반U자관(81) 끼리 완전한 U자를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한 열교환기열과: 열교환기열의 온도가 높은 위치의 끝 관형열교환기(42) 반U자관(81)에 연결되는 종단밸브(46)와; 흡입구 배관이 수조(32)와 연결되는 순환펌프(31)와; 종단밸브(46)의 다른 끝과 순환펌프(31) 토출구를 연결하는 단열된 냉각수공급관(41)과; 전력구/터널(25) 내부 또는 전력구/터널(25) 내부의 트라프(15)에 설치된 열교환기열의 다른 한쪽 끝의 반U자관(81)과 수조(32)를 연결하는 단열된 냉각수회수관(17)과; 출입구(24)에서 냉각수회수관(17)과 냉각수공급관(41)을 T분기로 연결하는 종단연결밸브(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수공급관(41), 냉각수회수관(17), 열교환관(85)에 설치되는 다수의 물유출밸브(112)와; 물유출밸브(112)에 연결되는 압력작동스프링쿨러헤더(10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 력구/터널 냉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관형열교환기(42)를 구성하는 열교환관(85)의 표면에 열교환관(85)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핀(86) 또는 열교환관(85)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판형핀(91) 또는 곡면형핀(9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전력구/터널(25) 반대편 출입구(24) 방향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는 냉각시스템과; 두 개의 냉각시스템에 존재하는 2개의 종단밸브(46) 전단과 후단에 T분기로 각각 1개씩 연결하는 2개의 냉각구간확장밸브(45)가 설치되어 한 냉각시스템이 정지시 비상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KR2020060030510U 2006-11-28 2006-11-28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KR200800014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10U KR20080001466U (ko) 2006-11-28 2006-11-28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510U KR20080001466U (ko) 2006-11-28 2006-11-28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66U true KR20080001466U (ko) 2008-06-02

Family

ID=4132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510U KR20080001466U (ko) 2006-11-28 2006-11-28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46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01B1 (ko) * 2008-01-25 2010-07-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구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470304B1 (ko) * 2013-01-30 2014-12-08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지하구용 송풍시스템
KR20160139840A (ko) 2015-05-29 2016-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화저수 마감재를 이용한 물분무 방식의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터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01B1 (ko) * 2008-01-25 2010-07-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구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470304B1 (ko) * 2013-01-30 2014-12-08 덕산공조기계주식회사 지하구용 송풍시스템
KR20160139840A (ko) 2015-05-29 2016-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내화저수 마감재를 이용한 물분무 방식의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터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0168B (zh) 用于变流器功率模块的水冷却装置
RU25211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хлаждающей башни и способ косвенного сухого охлаждения
US10811147B2 (en) Passive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and atomic power plant comprising same
WO2008009289A1 (en) A heat exchange module, in particular for a ground source heat pump
KR20150064558A (ko) 피동격납건물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40078351A (ko) 히트펌프가 구비된 가열탑
KR20080001466U (ko) 위치별 차등냉각이 가능한 소화겸용 전력구/터널냉각시스템
CN108721821A (zh) 一种数据中心液氮防灭火及温湿度调控系统
CN118066737A (zh) 间壁式取热热泵系统以及取热箱
KR101624561B1 (ko) 격납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한 원전
CN104867526A (zh) 一种具有热管导液装置的非能动安全壳冷却系统
CN108151367B (zh) 直冷式深焓取热乏风热泵系统除霜群控方法
KR200441997Y1 (ko) 냉매기화열을 이용한 전력구/터널 냉각시스템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20110106667A (ko) 전력구 냉각을 위한 양방향 냉각시스템 및 방법
KR101570076B1 (ko) 격납부 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102182B1 (ko) 모듈형 열교환기
KR101109200B1 (ko) 빗물이용 냉난방 겸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65551B1 (ko) 피동 잔열 제거 계통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CN207162728U (zh) 喷液塔直接蒸发式热泵供暖系统
KR100820097B1 (ko) 전력구 냉각을 위한 양방향 냉각시스템 및 방법
KR101005066B1 (ko) 공냉식 응축기
CN216620365U (zh) 空调用冷凝器和空调
CN110671764A (zh) 一种集成喷雾功能的空调机组
CN110307679A (zh) 一种冷水机及其低温防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