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88U - 스탬프 기구 - Google Patents

스탬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88U
KR20080000688U KR2020060028251U KR20060028251U KR20080000688U KR 20080000688 U KR20080000688 U KR 20080000688U KR 2020060028251 U KR2020060028251 U KR 2020060028251U KR 20060028251 U KR20060028251 U KR 20060028251U KR 20080000688 U KR20080000688 U KR 20080000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amp
base body
ink storage
stamp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창
Original Assignee
김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창 filed Critical 김영창
Priority to KR2020060028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688U/ko
Publication of KR2008000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2Ink reservoirs, e.g. integral with stamp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4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for multicolour stamping

Landscapes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스탬프 기구는 하나 이상의 잉크 저장부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커버부와; 상기 잉크 유로부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된 스탬프부를 포함함고 있어서, 색상의 잉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 색상이 혼색되거나 그 경계 라인이 그어지지 않으며, 스탬핑 후에도 깨끗하게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스탬프 기구{STAMP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를 일부 변형한 스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스템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110,210: 베이스 본체부
11,111,211: 잉크 저장부
15,115,215: 잉크 유로부
20,120,220: 상부 커버부
21,121,221: 캡부
30,130,230: 스탬프부
40,140,240: 하부 커버부
100,200,300: 스탬프 기구
본 고안은 스탬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탬프 잉크를 별도로 도포하는 과정을 요하지 않고, 하나의 스탬프 도안을 가지고 다양한 색상으로 스탬핑 가능하고, 스탬핑 잉크가 누설되지 않는 구조의 스탬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탬프 기구는 나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그립부 바닥에 스탬프용 고무를 접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고, 스탬핑시마다 스탬프 잉크를 스탬핑용 고무에 도포한 후 서류 등에 스탬핑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탬프 기구는 단일 색상의 잉크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다른 색상의 잉크를 스탬프하려면 기존에 도포된 잉크를 세정하고, 다른 색상의 잉크를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잉크의 도포 과정에서 도포된 잉크가 스탬프 대상 서류에 번지거나 스탬핑 이후에 스탬프 기구의 보관 과정에서 다른 곳에 묻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탬프용 고무를 투수성의 다공질 특수재로 대체하고, 그 스탬핑 표면에 대해 스탬프 도안의 각인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방수성 물질로 코팅하고, 별도의 잉크 저장부를 스탬프 기구 상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저장된 잉크가 중력의 작용으로 하부로 스며나오면서 방수 코팅되지 않 은 스탬프 도안의 각인된 부분만을 통과되도록 하여 스탬프 도안이 스탬핑되는 구성의 스탬프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탬프 기구는 복수의 색상의 잉크를 사용할 수는 있었지만 그 색상 경계부에서 색상이 혼색되거나 경계 라인이 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잉크 저장부 근처 부분은 선명하지만 그 주변부는 흐릿하게 스탬핑되는 스탬핑 불균일 현상을 피할 수 없었으며, 스탬핑 후 보관시에도 서류 주변부에 잉크를 묻히게 되는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 색상이 혼색되거나 그 경계 라인이 그어지지 않으며, 스탬핑 후에도 깨끗하게 보관이 용이한 스탬프 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 색상이 혼색되거나 그 경계 라인이 그어지지 않으며, 스탬핑 후에도 깨끗하게 보관이 용이한 스탬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잉크 저장부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커버부와; 상기 잉크 유로부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된 스탬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탬프부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쐐기 돌기와 복수의 잉크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되는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탬프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하부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저장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스탬프부는 잉크 저장부의 경계에 대응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유로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 바로 연통된 수평 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유로 저부에 바로 연통된 복수의 잉크 홀이 추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돌출 잉크 저장부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홀더 포스트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된 상부 오목 커버부와; 상기 돌출 잉크 저장부 및 상기 홀더 포스트가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평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를 수납하는 지지부와; 상기 잉크 유로부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 착된 스탬프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홀더 포스트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탬프부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쐐기 돌기와 복수의 잉크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되는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탬프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하부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저장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스탬프부는 잉크 저장부의 경계에 대응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유로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 바로 연통된 수평 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유로 저부에 바로 연통된 복수의 잉크 홀이 추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부가 협소한 상하부 스텝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 저장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가 지지부 내에 수납시 상기 지지부의 관통구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저장부의 외측면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커버부의 내측면부에는 체결 후크부가 형성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부가 상기 잉크 저장부에 체결시 상부 커버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 스텝부의 높이 중간에 위치하며, 상부 커버부는 그 위치에서 최대로 하부 스텝부까지 탄성 이동 가능하며, 이때 스탬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서 외부로 하방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 기구(100)는 베이스 본체부(10)와, 상부 커버부(20)와, 스탬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부(10)에는 하나 이상의 잉크 저장부(도면에서는 2개; 11a, 11b)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15: 15a, 15b)를 갖는다
상기 잉크 유로부(15)는 상기 잉크 저장부(11a, 11b)에 바로 연통된 수평 유로로 이루어지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유로 저부에 바로 연통된 복수의 잉크 홀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부(20)에는 상기 잉크 저장부(11a, 11b)를 개폐하는 캡부(21a, 21b)를 가지고 베이스 본체부(10) 상부에 개폐 가능한 상부 커버부(20)가 배치된다.
상기 스탬프부(30)는 스탬프 잉크가 도포되어 스탬프 도안이 서류에 스탬핑되는 부분으로,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공성 특수재로 되어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상기 스탬프부(30)는 상기 잉크 유로부(15a, 15b)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10)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잉크 저장부가 복수개인 경우(도면에서는 2개), 상기 스탬프부(30)는 잉크 저장부의 경계에 대응하는 구획부(30c)를 경계로 제1 및 제2 스탬부(30a, 30b)로 나눠진다. 이에 따라, 잉크 저장부에 각기 다른 색상의 잉크를 저장하고 있어도, 스탬프부로는 상기 구획부(30c)에 의해 다른 색상의 잉크가 서로 혼합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스탬프부(3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본체부(10) 하부에 추가로 하부 커버부(4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커버부(40)는 상부가 협소한 스텝 구조로 되어 있고(상부 스텝부: 47b), 베이스 본체 하부도 역시 이에 대응하는 슬롯 구조[스텝부(17b)]로 되어 있어서, 양 부분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된다.
이는 상부 커버부(20)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구조로, 하부가 협소한 스텝 구조의 하부 스텝부(27a)가 이에 대응하는 구조의 베이스 본체부 상부의 슬롯부(17a)에 억지끼움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하부 커버부의 각 체결부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본체부(10)의 각 체결부는 서로 스텝부와 슬롯부를 반대로 하여 형성하여도 동일한 체결 효과를 가 지므로, 필요에 따라 서로 스텝부와 슬롯부를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탬프부(3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쐐기 돌기(53)와 복수의 잉크 통과 홀(55a, 55b)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되는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50)도 역시 잉크 저장부(11a, 11b)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획부(50c)를 형성함으로써, 잉크 홀(55a, 55b)를 통해 흘러나온 잉크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50)를 추가한 구성의 스탬프 기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스탬프 기구(200)는 제1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 것으로, 도시된 바로는 잉크 유로부가 수평 유로부(115a, 115b) 이외에 이에 바로 연통된 잉크 홀(116a, 116b)을 추가로 형성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지만, 이는 선택적인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 실시예의 참조 부호를 100 단위대의 숫자를 부가하여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탬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300)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스탬프 기 구(100, 200)의 구성에 비해 스탬프 사용시의 편리성 및 사용후의 보관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부가한 것이 상이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며,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참조 부호를 200 단위대의 번호로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3 실시예의 스탬프 기구(300)는 하나 이상의 돌출 잉크 저장부(도면에서는 2개: 211a, 211b)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215a, 215b)와 상기 잉크 저장부(211a, 211b)에 나란하게 배치된 홀더 포스트(211c)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210)와; 상기 잉크 저장부(211a, 211b)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21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된 상부 오목 커버부(220)와; 상기 돌출 잉크 저장부(211a, 211b) 및 상기 홀더 포스트(211c)가 통과되는 관통구(251a, 251b, 251c)가 형성된 평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210)를 수납하는 지지부(250)와; 상기 잉크 유로부(215a, 215b)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210) 하부에 부착된 스탬프부(230)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210)가 상기 지지부(25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홀더 포스트(211c)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링(S)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포스트(211c)의 단부는 나사부(211c')로 되어 있어서, 스프링(S)은 홀더 포스트(211c)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로 체결 고정됨으로써, 상부 커버부(220)와 베이스 본체부(210)는 스프링(S)에 의해 지지부(250)를 중심으로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50)는 상부가 협소한 상하부 스텝부(250b, 250a)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 저장부(211a, 211b)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210)가 지지부(250) 내에 수납시 상기 지지부의 관통구(251a, 251b)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커버부(220)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의 돌출 잉크 저장부(211a, 211b)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잉크 저장부(211a, 211b)의 외측면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커버부(220)의 내측면부에는 체결 후크부(211d, 22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버부(220)가 상기 잉크 저장부(211a, 211b)에 체결시 상부 커버부(220)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250)의 상부 스텝부(250b)의 높이 중간에 위치한다.
이때, 스탬핑을 위해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220)를 손으로 눌러 내리면, 상부 커버부(220)는 그 위치에서 최대로 하부 스텝부(250a)까지 탄성 이동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상부 커버부에 고정된 베이스 본체부의 저면에 부착된 스탬프부(230)는 상기 지지부(250) 내부에서 외부로 하방 돌출되면서 서류 등에 스탬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비사용시에는 스탬프부(230)가 지지부(250)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 존재하여 스탬프부가 보호되며, 스탬핑시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220)를 누르면, 스탬프부(230)가 지지부(250) 밖으로 돌출되면서 스탬핑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다시 스탬프부가 지지부(250) 내로 수납되어 진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동시에 사용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 색상이 혼색되거나 그 경계 라인이 그어지지 않으며, 스탬핑 후에도 깨끗하게 보관이 용이한 스탬프 기구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스탬프 기구로서,
    하나 이상의 잉크 저장부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커버부와;
    상기 잉크 유로부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된 스탬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부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쐐기 돌기와 복수의 잉크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되는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하부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스탬프부는 잉크 저장부의 경계에 대응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로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 바로 연통된 수평 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로 저부에 바로 연통된 복수의 잉크 홀이 추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8. 스탬프 기구로서,
    하나 이상의 돌출 잉크 저장부와 이 잉크 저장부에 연통된 잉크 유로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홀더 포스트를 갖는 베이스 본체부와;
    상기 잉크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 본체부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체결된 상부 오목 커버부와;
    상기 돌출 잉크 저장부 및 상기 홀더 포스트가 통과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평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를 수납하는 지지부와;
    상기 잉크 유로부에 면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된 스탬프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홀더 포스트에 끼 워져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부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쐐기 돌기와 복수의 잉크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부착되는 스탬프 고정 프레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하부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스탬프부는 잉크 저장부의 경계에 대응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유로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 바로 연통된 수평 유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로 저부에 바로 연통된 복수의 잉크 홀이 추 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가 협소한 상하부 스텝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잉크 저장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가 지지부 내에 수납시 상기 지지부의 관통구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의 외측면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커버부의 내측면부에는 체결 후크부가 형성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부가 상기 잉크 저장부에 체결시 상부 커버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 스텝부의 높이 중간에 위치하며, 상부 커버부는 그 위치에서 최대로 하부 스텝부까지 탄성 이동 가능하며, 이때 스탬프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서 외부로 하방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프 기구.
KR2020060028251U 2006-10-23 2006-10-23 스탬프 기구 KR20080000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51U KR20080000688U (ko) 2006-10-23 2006-10-23 스탬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51U KR20080000688U (ko) 2006-10-23 2006-10-23 스탬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88U true KR20080000688U (ko) 2008-04-28

Family

ID=4132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251U KR20080000688U (ko) 2006-10-23 2006-10-23 스탬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6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39Y1 (ko) * 2021-02-25 2021-09-16 박 상 준 다기능 스템프
KR20230018250A (ko) 2021-07-29 2023-02-07 최웅진 다색 만년 스탬프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색 만년 스탬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39Y1 (ko) * 2021-02-25 2021-09-16 박 상 준 다기능 스템프
KR20230018250A (ko) 2021-07-29 2023-02-07 최웅진 다색 만년 스탬프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색 만년 스탬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450B1 (en) Ink refillable stamp
TWI668128B (zh) 印章、印臺和封閉罩
CN201530185U (zh) 上部着墨的手动印章
US6047639A (en) Ink refillable stamp
JP5294157B2 (ja) 反転式印判
PL1603755T3 (pl) Stempel samotuszujący z nasączaniem tuszem od góry oraz pojemnik z poduszką na tusz do tego stempla
ITTO930694A1 (it) Modulo di stampa a getto di inchiostro ricaricabile
TW201713511A (zh) 印章以及尤其作為用於印章的配件的模印單元
CN205130639U (zh) 墨容纳单元和喷墨打印机
US7124684B1 (en) Ink pad holder for self-inking stamp
US6968781B1 (en) Ink cartridge for hand stamp
KR19980070501A (ko) 압인 도구
KR20080000688U (ko) 스탬프 기구
US5586500A (en) Stencil stamp
US20050132912A1 (en) Self-inking stamp with ink cartridge barrier
US20100170409A1 (en) Stamp pen
KR200420183Y1 (ko) 잉크공급부를 내장한 도장
US7267054B2 (en) Telescopic multi-color inkpad assembly with easy-demountable-and-assembled inkpad bases
RU150253U1 (ru) Самокрасящий штемпель и штемпельная подушка для штемпеля
JP3885348B2 (ja) 印判製造装置
US6178885B1 (en) Ink vessel-containing stamp pad
US4208143A (en) Embossed seal marking device
KR100850442B1 (ko) 다중색상 만년인장
KR200152670Y1 (ko) 잉크충전식 필기구
JP4915428B2 (ja) スタ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