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568A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568A
KR20070121568A KR1020070060997A KR20070060997A KR20070121568A KR 20070121568 A KR20070121568 A KR 20070121568A KR 1020070060997 A KR1020070060997 A KR 1020070060997A KR 20070060997 A KR20070060997 A KR 20070060997A KR 20070121568 A KR20070121568 A KR 2007012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factor
audio data
band
valu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3299B1 (en
Inventor
김미영
이시화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66,499 priority Critical patent/US7974848B2/en
Publication of KR2007012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G10L19/035Scalar quant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 audio data are provided to determine a scale factor value of each frequency band quickly by simply comparing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by bands with a preset common scale factor value.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termining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by ea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a quantization error and a maximum permissible distortion level for each frequency band(310);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for each frequency band with a preset common scale factor value,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a scale factor by each frequency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312,314); quantizing the audio data by considering the determined final value of the frequency bands(320); and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328).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udio data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트율 결정부(130)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bit rate determiner 130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율(bit rate)을 조절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mpression of audio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a bit rate.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과정은, 시간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과정, 사람의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계산하는 계산 과정, 주파수 대역별로 계산된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과정,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는 코딩 과정을 포함한다.The encoding process of the audio data includes a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audio data of a time domain into audio data of a frequency domain, a calculation process of calculating a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for each frequency band by reflecting human hearing characteristics, and calcul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A quantization process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and a coding process for performing lossless coding on the quantized audio data.

한편,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과정의 세부 과정들 중,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정은, 양자화 과정이다. 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양자화 과정을 보다 신속히 완료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Meanwhile, among the detailed processes of encoding audio data, a process that occupies most of the time required for encoding audio data is a quantization process.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for completing the encoding of audio data more quickly, and a method for completing the quantization process more quickl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양자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for completing encoding of audio data more quickly, and more specifically, more quickly completing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양자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which completes encoding of audio data more quickly, and more specifically, more quickly completes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가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도록 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가 그 오디오 데이터의 양자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d a computer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that allows a computer to complete encoding of audio data more quickly, and more specifically, a computer that allows the computer to complete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more quickly.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상기 결정된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는 단계; 및 양자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zation error an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Making;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with a value of a preset full-band scale factor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view of the determined final values of the frequency bands; And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결정하는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상기 결정된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양자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무손실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aking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frequency bands of audio data into consideration of a quantization error and a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A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second scale factor determination unit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with a value of a predetermined full band scale factor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A quantizer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final values of the frequency bands; And a lossless encoding unit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 종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상기 결정된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는 단계; 및 양자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itial value of a band-scale scale factor of each frequency band of audio data and a quantization error and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Determining considering the figure;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with a value of a preset full-band scale factor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view of the determined final values of the frequency band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 on a comput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메인(domain) 변환부(110), 심리음향 모델부(120), 비트율 결정부(130), 및 무손실 부호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domain transform unit 110, a psychoacoustic model unit 120, a bit rate determiner 130, and a lossless encoding unit 140 are shown. ) May be included.

도메인 변환부(110)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입력된 시간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도메인 변환부(110)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입력된 시간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다.The domain converter 110 converts audio data (eg, Pulse Code Modulation (PCM) data) in the time domain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1 into audio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To this end, the domain transform unit 110 may perform a 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on the audio data of the time domain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1.

한편, 사람의 청력이 오디오 데이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함에 있어,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사람의 청력 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양자화한다면, 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된 결과의 비트율은 그와 같은 왜곡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할 때에 비해 낮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gree to which a human hearing is sensitive to audio data is generally different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ccordingly, in quantizing the audio data, i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s quantized while allowing a distortion that the human hearing cannot recognize, the bit rate of the encoded result of the audio data can compensate for such distortion. It will be lower than when quantizing the audio data without allowing it.

심리음향(psychoacoustic) 모델부(120)는 입력단자 IN 1을 통해 입력된 시간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사람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란, 사람의 청력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왜곡 중 최대 왜곡을 의미한다. The psychoacoustic model unit 120 converts the audio data of the time domain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1 into the audio data of the frequency domain, and calculates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converted audio data. Calculate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a person. Here,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refers to the maximum distortion among the distortions that the human hearing does not recognize.

비트율 결정부(130)는 도메인 변환부(1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한다. 한편, 어떠한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해서는, 그 데이터가 양자화될 경우의 그 양자화된 결과들간의 간격(소위, '양자화 스텝(step) 사이즈(size)')이 결정되어야 한다. The bit rate determiner 130 quantizes the audio data input from the domain converter 110.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quantize some data, an interval (the so-called 'quantization step size') between the quantized results when the data is quantized must be determined.

즉, 비트율 결정부(13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결정한 뒤,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역별 스케일팩터란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의미하며,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hat is, the bit rate determiner 130 determines the scale factor value of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nd then quantizes the audio dat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means a quantization step size, and values of band-specific scale factors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비트율 결정부(13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심리음향 모델부(120)에서 계산된 값이다. 이 후, 비트율 결정부(130)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그 결정된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가용 비트량이란,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최대 비트수를 의미한다. 이 후, 비트율 결정부(130)는, 그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의 대역별 스케일팩터들의 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이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된 결과의 비트율은 미리 설정된 어떤 비트율을 만족할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된 결과의 비트율은 미리 설정된 어떤 비트율을 항상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bit rate determination unit 130 allows the distortion of the band factor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t a level not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t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At this time,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is a value calculated by the psychoacoustic model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reafter, the bit rate determining unit 130 sets the determined valu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so that the used bit amount, which is the number of bits necessary for encoding the audio data,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You can adjust the value to quantize the data. Here, the maximum usable bit amount means the maximum number of bits that can be used to encode audio data. Thereafter, the bit rate determiner 130 may quantize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values of band scale factors of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s a result, the bit rate of the encoded result of the audio data may satisfy a predetermined bit rate. That is, the bit rate of the encoded result of the audio data may not always exceed some preset bit rate.

무손실 부호화부(140)는 비트율 결정부(130)로부터 입력된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무손실 부호화(lossless coding)를 수행하고, 무손실 부호화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 1을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무손실 부호화부(140)는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를 수행할 수 있다.The lossless coding unit 140 performs lossless coding on the quantized audio data input from the bit rate determining unit 130 and outputs a lossless coding resul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1. For example, the lossless encoder 140 may perform entropy coding on quantized audio dat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트율 결정부(130)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 양자화부(230), 사용비트량 계산부(240), 비트량 비교부(250), 및 스케일팩터 갱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it rate determiner 130 shown in FIG. 1, wherein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the quantizer 230, The use bit amount calculator 240, the bit amount comparer 250, and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may be included.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quantization error)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도메인 변환부(1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이다.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may set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and allow a quantization error and a maximum allowanc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Determine the distortion degree. Here,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is the audio data input from the domain converter 110.

구체적으로,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양자화 에러'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가 양자화로 인해 왜곡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양자화 에러'의 값은,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가 오디오 데이터가 양자화된 후에 그 양자화된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한 값일 수도 있고,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가 오디오 데이터가 양자화되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예측한 값일 수도 있다. 한편,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심리음향 모델부(120)에서 계산된 값이다. In detail,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considers an initial value of a band scale factor of a certain frequency band of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quantization error' and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of any frequency band. Decide Here, the 'quantization error' of any frequency band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audio data of any frequency band is distorted due to quantization. The value of the quantization error may be a value calculated by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using the quantized result after the audio data is quantized, and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may calculate the audio data. It may be a value predicted with assuming that is quantiz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any frequency band is a value calculated by the psychoacoustic model unit 120 as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어떤 주파수 대역의 '양자화 에러'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가능한 값들 중 최대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determines the band-scale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so that the 'quantization error' of a frequency band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any frequency band. The maximum of the possible values of may be determin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결국,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가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가능한 값들 각각마다, 그 가능한 값에 따른 '양자화 에러'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그 가능한 값들 중, 그 가능한 값에 따른 '양자화 에러'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검사된 값들을 찾아내고, 그 찾아낸 값들 중 최대값을 찾아내야 한다.As a result, in order for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to determine an initial value of a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 certain frequency band,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may determine each of the possible values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Checks whether the 'quantization error' according to the value exceeds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any frequency band, and among the possible values, the 'quantization error' according to the possible value is the maximum allowable value of any frequency band We need to find out the values that were checked to not exceed the degree of distortion, and find the maximum of those values.

한편,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어떤 주파수 대역의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따른 양자화 에러'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조정하고, 조정된 결과를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따른 양자화 에러'와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간의 차이가 클수록,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과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결정될 값'간의 차이도 크다.Meanwhile,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may set a value set as a default of a frequency band of audio data to a quantization error according to a value set as a default of a band scale factor of a certain frequency band. It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any frequency band', and the adjusted result may be determin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In this case,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ization error according to the default value of the band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an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any frequency band, the larger the band-specific scale of any frequency band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ault value of the factor' and the 'value to be determined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is large.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에서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common scalefactor)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이란,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으로서,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이 서로 동일하도록 설정된 값을 의미한다.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may have an 'initial value determined by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The final values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s of the respective frequency bands a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eset values of the common scale factor' and 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s. Here,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is a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nd means a value set such that the values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are the same.

구체적으로,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오디오 데이터의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과 '그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 중 크지 않은 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a value that is not greater than an initial value of a band scale factor of a certain frequency band of audio data and a value of a full band scale factor preset for the audio data. It can be determined as 'the fin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즉,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보다 크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보다 작으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한다. 다만,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과 동일하다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 즉,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한다.That is, if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is larger than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converts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o the final value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Determined as a value. In addition,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at any frequency. Determined as the fin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the band. However, if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is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that is, the full band. The value of the scale factor is determined as the fin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any frequency band.

이러한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 및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의 동작은, 비트율 결정부(130)가,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서 결정하는 동작이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and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is performed by the bit rate determiner 130 using the scale factor of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audio data as a value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while allowing a level of distortion not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어떤 주파수 대역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단순히 비교 하기만 하면,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어떤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simply compares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a frequency band with a value of a preset full-band scale factor, and allows the maximum allowance of any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band scale factor for quantizing audio data in any frequency band while allowing a level of distortion that does not exceed the degree of distortion. That is,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may quickly determine the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양자화부(230)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모든 주파수 대역들의 대역별 스케일팩터들의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한다.The quantization unit 230 quantizes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in consideration of final values of band-specific scale factors of all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사용비트량 계산부(240)는 입력단자 IN 2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을, 양자화부(230)로부터 입력된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The use bit amount calculation unit 240 calculates the use bit amount, which is the number of bits necessary for encodi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2, in consideration of 'quantized audio data' input from the quantization unit 230. do.

비트량 비교부(250)는 사용비트량 계산부(240)에서 계산된 사용 비트량과 '미리 설정된 최대가용 비트량'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비트량 비교부(250)는 그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The bit amount comparison unit 250 compares the used bit amount calculated by the used bit amount calculating unit 240 with the 'preset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Specifically, the bit amount comparison unit 250 checks whether the calculated used bit amount exceeds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만일, 그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한다고 검사되면, 비트량 비교부(250)는 스케일팩터 갱신부(260)의 동작을 지시한다. 이 경우, 스케일팩터 갱신부(260)는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일팩터 갱신부(260)는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일정 수치만큼 증가시킨다. 이 후, 스케일팩터 갱신부(26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제어신호에 응답하 여 동작함으로써, 재동작하게 된다.If it is checked that the calculated used bit amount exceeds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the bit amount comparison unit 250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In this case,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updates the value of the full band scale factor. In detail,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increases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by a predetermined value. Thereafter,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In this case,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reby reoperating.

그에 반해, 그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검사되면, 양자화부(230)는 가장 최근에 양자화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 2를 통해 무손실 부호화부(140)로 출력한다.On the contrary, if it is checked that the calculated used bit amoun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the quantization unit 230 outputs the most recently quantized result to the lossless encoder 140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2.

이러한 사용비트량 계산부(240) 내지 스케일팩터 갱신부(260)의 동작은, 비트율 결정부(130)가,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해 결정된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하는 동작이다.The operation of the bit rate calculator 240 to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is such that the bit rate determiner 130 is capable of correcting distortion at a level tha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llow the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while allowing the amount of bits used for the audio data not to exceed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determined to permit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It is an operation to adjust the value to do so.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양자화하는 단계(제310~ 제324 단계들) 및 그 양자화된 결과에 대해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들(제326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udio data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udio data is allowed to be distorted at a level not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And performing quantization (steps 310 to 324) and performing lossless encoding on the quantized result thereof (step 326) so that the amount of used bits of data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2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 및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제310 단계).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210 determines an initi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zation error' and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 Step 310).

제310 단계 후에,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오디오 데이터의 어떤 주파 수 대역에 대해 제310 단계에서 결정된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제312 단계).After operation 310,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determines whi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for operation (operation 312).

만일, 제312 단계에서 그 어떤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310 단계에서 결정된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제310 단계에서 결정된 초기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한다(제314 단계).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2 that the initial value determined in step 310 for any frequency band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initial value determined in step 310. As a fin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in the frequency band (step 314).

그에 반해, 제312 단계에서 그 어떤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310 단계에서 결정된 초기값이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한다(제316 단계).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2 that the initial value determined in step 310 for any frequency band is not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determines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As a fin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in the frequency band (step 316).

제314 단계 또는 제316 단계 후에,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220)는 제312 단계가 모든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수행되었는가 판단한다(제318 단계). After operation 314 or 316,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220 determines whether operation 312 is performed for all frequency bands (operation 318).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중 제312 단계가 수행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제318 단계), 제312 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제312 단계가 수행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312 단계와 제314 단계 또는, 제312 단계와 제316 단계가 수행된다.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tep 312 is not performed among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step 318), the flow proceeds to step 312. Accordingly, for the frequency band in which step 312 is not performed, step 312 and step 314 or step 312 and step 316 are performed.

반면,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중 제312 단계가 수행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제318 단계), 양자화부(230)는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의 대역별 스케일팩터들의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한다(제320 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tep 312 is not performed among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step 318), the quantiz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audio data as a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values of the quantized (step 320).

제320 단계 후에, 사용비트량 계산부(240)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제320 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양자화된 결과를 고려하여 계산한다(제322 단계). After operation 320, the usage bit amount calculator 240 calculates the usage bit amount, which is the number of bits required for encoding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st recently quantized result in operation 320 of the audio data (the second operation). Step 322).

제322 단계 후에, 비트량 비교부(250)는 제322 단계에서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보다 큰가 판단한다(제324 단계). After step 322, the bit amount comparis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used bit amount calculated in step 32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step 324).

이 경우, 제322 단계에서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제324 단계), 스케일팩터 갱신부(260)는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갱신하고(제326 단계), 제312 단계로 진행한다.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d bit amount calculated in step 322 is greater than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step 324), the scale factor updater 260 updates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step 326). Proceed to step.

반면, 제322 단계에서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제324 단계), 무손실 부호화부(140)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제320 단계에서 가장 최근에 양자화된 결과에 대해 무손실 부호화를 수행한다(제328 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d bit amount calculated in step 322 is not greater than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step 324), the lossless encoder 140 loses the most recently quantized result in step 320 of the audio data. The encoding is performed (step 328).

이상에서 언급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in a computer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a DVD). : Digital Versatile Disc).

이제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단순히 비교하기만 하면,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신속히 결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효과,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양자화를 보다 신속히 완료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compares the initial value of the band-scale scale factor and the preset full-band scale factor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For each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band scale factor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while allowing a level of distortion tha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so that the band scale factor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an be determined.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determining the value. Accordingly,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completing the encoding of the audio data more quickly,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completing the quantization of the audio data more quickly.

한편,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이 서로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서 결정한다. 이 후,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그 결정된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은 이미 전술한 바이다. 이 후,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그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의 대역별 스케일팩터들의 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한다. 결국, 종래의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면,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된 결과의 비트율이 미리 설정된 어떤 비트율(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의 사용자가 당초 원했던 비트율)을 초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ssumes that the values of the scale factors for respective bands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re the same, and calculates the values of the scale factors for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The amount of bits used for the encoding of the audio data is determined as a value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while not exceeding the maximum amount of available bits. Thereafter, the conventional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pplies the determined valu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while allowing a level of distortion tha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djust to quantize the audio data. Here,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may be different. Thereafter, the conventional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quantizes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values of band-specific scale factors of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As a result, when audio data is encoded by a conventional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the bit rate of the encoded result of the audio data may exceed a predetermined bit rate (for example, a bit rate originally desired by the user of the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

그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의 왜곡을 허용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서 결정한다. 이 후,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그 결정된 값을, 그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이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오디오 데이터를 양자화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한다. 이 후,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그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의 대역별 스케일팩터들의 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된 결과의 비트율이 미리 설정된 어떤 비트율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의 사용자가 당초 원했던 비트율)을 항상 초과하지 않음을 보장하는 효과를 갖는다.In contrast,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level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so as not to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Determine as a value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while allowing distortion. Thereafter,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etermined valu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to not exceed the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which is the number of bits used for encoding the audio data. Adjust the audio data to a value for quantization. Thereafter,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antize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values of band-specific scale factors of frequency bands of the audio data. Consequently,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sure that the bit rate of the encoded result of the audio data does not always exceed a predetermined bit rate (e.g., the bit rate originally desired by the user of the audio data encoding device). Has the effect.

Claims (13)

(a)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단계;(a) determining an initial value of a band-specific scale factor of each frequency band of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quantization error and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b)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결정하는 단계;(b)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with a value of a preset full-band scale factor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c)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상기 결정된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는 단계; 및(c)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view of the determined final values of the frequency bands; And (d) 양자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d)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상기 양자화 에러가 상기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들 중 최대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And determining a maximum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s such that the quantization error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as an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따른 상기 양자화 에러와 상기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조정하고, 조정된 결과를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The default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zation error an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according to the default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and the adjusted result is initially determined. Audio data enco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 valu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상기 전대역 스케일팩터 중 크지 않은 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And a non-large value of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and the full band scale factor is determined as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is (e)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을 계산하는 단계;(e) calculating an amount of use bits which is a number of bits required for encoding the audio data; (f) 상기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는가 판단하는 단계; 및(f)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amount of used bits exceeds a preset maximum amount of available bits; And (g) 상기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상기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갱신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ed amount of used bits exceeds the maximum amount of available bits, updating the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and proceeding to step (b).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상기 (e) 단계의 수행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상기 (b) 단계의 수행이 최초로 완료된 이후에 최초로 개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6. The audio data encod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erforming of step (e) on the audio data is started first after the performing of the step (b) on the audio data is first completed.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을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양자화 에러와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A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initial value of a scale factor for each band of frequency bands of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quantization error and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상기 주파수 대역들 각각마다,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미리 설정된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을 결정하는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 A second scale factor determination unit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comparing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with a value of a predetermined full band scale factor and determining a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들의 상기 결정된 최종값들을 고려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A quantizer for quantizing the audio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final values of the frequency bands; And 양자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무손실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And a lossless encoding unit for encoding the quantized audio dat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상기 양자화 에러가 상기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값들 중 최대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And determining a maximum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s such that the quantization error does not excee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as an initial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케일팩터 결정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cale factor determiner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디폴트로 설정된 값에 따른 상기 양자화 에러와 상기 최대허용가능 왜곡도를 고려하여 조정하고, 조정된 결과를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초기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The default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zation error and the maximum allowable distortion degree according to the default value of the band-specific scale factor, and the adjusted result is initially determined.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 valu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상기 결정된 초기값과 상기 전대역 스케일팩터 중 크지 않은 값을 상기 대역별 스케일팩터의 최종값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And a non-large value of the determined initial value and the full band scale factor is determined as the final value of the scale factor for each ban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The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of claim 7,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시 필요한 비트의 개수인 사용 비트량을 계산하는 사용비트량 계산부; A use bit amount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use bit amount, which is a number of bits required for encoding the audio data; 상기 계산된 사용 비트량이 미리 설정된 최대가용 비트량을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비트량 비교부; 및A bit amount comparison unit checking whether the calculated used bit amount exceeds a preset maximum available bit amount; And 상기 검사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전대역 스케일팩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갱신하며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스케일팩터 갱신부를 더 포함하고,A scale factor updater for selectively updating a value of the full-band scale factor and selective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checked result; 상기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And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er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비트량 계산부의 동 작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스케일팩터 결정부의 동작이 최초로 완료된 이후에 최초로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12. The audio data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n operation of the second scale factor determination unit for the audio data, which is the same as the use bit amount calculation unit for the audio data, is started for the first time after completion of the operation for the first time.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070060997A 2006-06-21 2007-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 KR101393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66,499 US7974848B2 (en) 2006-06-21 2007-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udi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6072 2006-06-21
KR1020060056072 200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68A true KR20070121568A (en) 2007-12-27
KR101393299B1 KR101393299B1 (en) 2014-05-09

Family

ID=3913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997A KR101393299B1 (en) 2006-06-21 2007-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2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07A (en) * 2013-09-26 2015-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 encoding audi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272B2 (en) 1998-10-06 2007-05-16 株式会社ニコン Quantiz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quantization program
CN1288622C (en) * 2001-11-02 2006-12-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07A (en) * 2013-09-26 2015-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 encoding audi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299B1 (en)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605C2 (en) Noise filling concept
TWI380602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 information signal
JP5434592B2 (en) Audio encoding method, audio decoding method, audio encoding device, audio decoding device, program, and audio encoding / decoding system
RU2719008C1 (en) Audio encoder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a method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and a computer program which take into account a detectable spectral region of peaks in the upper frequency range
TWI585749B (en) Lossless-encoding method
US20100106511A1 (en)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US7974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udio data
BRPI0709450B1 (en) information signal encoding
JP2011527451A (en) Audio encoder, audio decoder,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audio stream and computer program
RU2368018C2 (en) Coding of audio signal with low speed of bits transmission
US9552821B2 (en) Encoding method, encod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0085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of digital signals
JP2001102930A (en)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quantization error,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audio information
KR101100280B1 (en) Audio quantization
US9425820B2 (en) Vector quantization with non-uniform distributions
US2005025458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digital signal using linear quantization by sections
US9838700B2 (en) Encoding apparatus,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KR101393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 audio data
TWI691954B (en) Controlling bandwidth in encoders and/or decoders
CN105103226A (en) Low-complexity tonality-adaptive audio signal quantization
US66786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audio data at high speed using precision information
JP5361565B2 (en)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encoder, decoder and program
JP5336942B2 (en)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encoder, decoder, program
JP4409733B2 (en) Encoding apparatus, en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4822816B2 (en) Audio signal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