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144A -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144A
KR20070121144A KR1020060055820A KR20060055820A KR20070121144A KR 20070121144 A KR20070121144 A KR 20070121144A KR 1020060055820 A KR1020060055820 A KR 1020060055820A KR 20060055820 A KR20060055820 A KR 20060055820A KR 20070121144 A KR20070121144 A KR 20070121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message
media file
authentication key
communication termin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448B1 (ko
Inventor
강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448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은 발신측 단말로부터 전송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특정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여,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가 아닌 경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 미디어, 인증키, 슬레이브, 마스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The mobile comm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blocking a harmful medi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MMSC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확인을 위한 팝업창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키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40: MMSC
200a: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 200b: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미성년자에게 유해한 미디어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함)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그림, 동영상, 문자, 음악 등 다양한 미디어들이 복합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MMS는 텍스트 중심의 SMS(Short Messaging Service) 서비스와 간단한 그래픽 송수신이 지원되는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서비스에서 진화하여 다양한 미디어를 수용하는 메시징 서비스로서, 사용자는 MMS를 통해 무선 엽서, 그림, 동영상, 동영상 카드, 지도, 명함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MMS는 앞으로 비약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른 무분별한 미디어의 활용이 예상된다. 따라서 청소년, 미성년자 등에게 MMS 통한 유해미디어와의 접촉이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과 같이 MMS에서도 미성년자에게 유해 미디어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 츠 중에서 유해한 컨텐츠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은 발신측 단말로부터 전송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특정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가 아닌 경우,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은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기 위해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증작업에 실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을 제외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키는,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된다.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키의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인증키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발신측 단말로부터 전송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특정 인증키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가 아니라는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인증키가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가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기 위해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증작업에 실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을 제외한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제어부에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의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인증키 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며, MMS 메시지의 작성, 수신 및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하고 MMS 메시지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는 MMS 지원을 위한 MMS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자체 기능(카메라, 내장 사운드 등)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거나, 이동통신망(3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버(6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이동통신단말기(10)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20)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여 MMS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버(60)에 접속하여 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성된 MMS 메시지는 이메일 서버(110) 및 음성 메일 서버(120)를 이용하여 MMSC(40)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즉, 이메일 서버(110) 및 음성 메일 서버(120)는 MMS 메시지 송신자가 개인 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메일 또는 음성메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MMSC(40)로 전송하며 MMSC(40)는 메시지 포맷을 변환한 후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와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분류된다. 이 때, 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와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DB(80)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는 미성년자가 될 것이며,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는 미성년자에 대한 관리책임이 있는 부모, 학교 선생님, 후견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MSC(4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메시지 포맷 변환 및 주소 포맷 변환을 수행하며,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SMS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MSC(4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 또는 개인용 컴퓨터(20)에서 작성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특정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코딩한다. MMSC(40)는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하고,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인증키는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 전송한다.
이러한 MMSC(40)는 MMS 릴레이(42)와 MMS 서버(44)로 이루어지는데, MMS 릴레이(42)는 MMS 메시지 교환장치로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교환기능 제공, MMS 메시 지 송수신 단말간의 연결설정, 자원관리, 자원해제 기능, MMS 메시지 통보 기능 등을 수행한다. MMS 서버(44)는 MMS 메시지의 실시간 스트리밍 기능,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 MMS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푸쉬(push)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MMSC(4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70), 가입자 DB(80), 홈위치 등록기(HLR, 90), 과금 시스템(100)과 접속된다. 또한, MMSC(40)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다양한 이메일 서버(110), 음성 메일 서버(120), 및 컨텐츠 제공 서버(60)와 접속된다.
SMSC(70)는 MMS 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에게 MMS 수신 사실을 문자 메시지로 통보하는 역할을 하고, 가입자 DB(80) 및 HLR(90)은 MMS 가입자의 프로파일 정보 관리 및 제공, MMS 메시지의 송수신에 관련된 정보 등을 관리한다.
과금 시스템(100)은 MMS 메시지를 작성 및/또는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사용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역 및 전송 내역에 따라 과금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와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무선 송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메모리부(240), 입력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인증처리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송수신부(210)는 MMSC(40)로부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인증키를 수신하거나,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경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인증키를 수신하며,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경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4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4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저장한다.
입력부(2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버튼 및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버튼들을 포함한다. 입력부(250)는 방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 다양한 메뉴화면 등을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6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인증 처리부(270)는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에 필요한 구성 부분으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인증 처리부(270)는 인증작업의 수행결과를 제어부(280)에 통지한다.
제어부(280)는 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220) 또는 인증 처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의 구체적인 제어과정은 도 3 내지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MMSC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유해 미디어 차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와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에 관한 정보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80)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인이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인이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인 경우 에는 본 발명이 적용될 여지가 없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MSC(4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 또는 개인용 컴퓨터(20)에서 작성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면(S310),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을 특정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S320).
MMSC(40)는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인증키를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 전송하고(S330),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한다(S340).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는 인증키를 얻기 전까지는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 부분을 열람할 수 없고,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 본문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는 MMSC(40)로부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인증키를 수신하게 된다(S410).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면,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이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다(S420).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는 수신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하여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유해 미디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하고 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 미디어인가요?"라는 내용이 기재된 유해 미디어 확인을 위한 팝업창(600)이 디스플레이된다.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2. 아니오"를 선택하면,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유해 미디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므로(S430:N),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제어부(280)는 MMSC(4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가 무선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440).
물론,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의 사용자가 "1. 예"를 선택한 경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유해 미디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이므로(S430:Y), MMSC(40)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는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전송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MMSC(40)로부터 특정 인증키로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다(S510).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가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면(S520:Y),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인증처리부(270)는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전송된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 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메모리부(2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확인결과를 제어부(280)에 통지한다(S530).
메모리부(240)에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S530:Y), 제어부(28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S540), 미디어 파일 부분을 포함한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550).
메모리부(240)에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530:N),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60)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키를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기재된 인증키 입력창(7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532).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에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가 인증키를 알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인증키 입력창(7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증키가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수신되고,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가 수신한 인증키를 노트 등에 메모해 놓은 후, 수신한 인증키를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메모리부(240) 내에서 삭제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가 인증키를 입력한 경우, 인증 처리부(270)는 입력된 인증키가 정확한 값인지 확인하여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534).
인증에 성공한 경우(S534:Y), 인증 처리부(270)는 인증에 성공했음을 제어부(280)에 통지하고, 제어부(28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S540), 미디어 파일 부분을 포함한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550).
인증에 실패한 경우(S534:N), 사용자가 다시 인증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준다. 이와 같이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의 사용자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 부분을 확인할 수 없고,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 본문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유해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판단하고, 유해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에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인증키가 전송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MMSC(40)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만 전송하고, 마스터 이동통신단말기(200a)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유해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응답을 받은 후, 유해 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MMSC(40)에서 슬레이브 이동통신단말기(200b)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유해 미디어가 미성년자 등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발신측 단말로부터 전송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특정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가 아닌 경우,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2.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기 위해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증작업에 실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을 제외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키의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인증키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6. 발신측 단말로부터 전송된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특정 인증키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원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 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미디어 파일이 유해 미디어가 아니라는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인증키가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가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기 위해 인증작업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미디어 파일 부분을 디코딩하여 전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증작업에 실패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을 제외한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인증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증작업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상기 미디어 파일 부분이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인증키가 저장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제어부에 통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키의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인증키 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55820A 2006-06-21 2006-06-21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KR10080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20A KR100800448B1 (ko) 2006-06-21 2006-06-21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20A KR100800448B1 (ko) 2006-06-21 2006-06-21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144A true KR20070121144A (ko) 2007-12-27
KR100800448B1 KR100800448B1 (ko) 2008-02-04

Family

ID=3913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820A KR100800448B1 (ko) 2006-06-21 2006-06-21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853A1 (zh) * 2010-08-23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消息中心及消息的下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39A (ko) 2003-05-06 2004-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인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853A1 (zh) * 2010-08-23 201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媒体消息中心及消息的下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448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US8769418B2 (en) Enhanced message handling
CN101796802B (zh) 用于移动设备的定位机制
CN1937796B (zh) 消息传输和接收消息的激活方法以及具有消息传输和接收消息激活功能的移动通信终端
CN1921485B (zh) 在客户端-服务器环境中管理电子邮件的方法和系统
EP1919174A1 (en) Presence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204265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ded messages and providing for calendaring responses
CN101115260B (zh) 移动通信终端及其实时播放消息的方法
KR1007655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 메시지 전송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0448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유해 미디어 차단방법
KR101126765B1 (ko) 단말기,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245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1987113B1 (ko) 무음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878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 메시지 변경 사항 확인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20052888A1 (en) 2-way texting through hosted applications
KR101471171B1 (ko) 게시판과 연계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768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90136499A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1152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선별적 컨텐츠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29253B1 (ko) 분류항목이 설정된 메시지의 송신방법과 수신방법,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2230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 메시지 작성방법, 응답 메시지확인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40181224A1 (en) Capability-based communications
KR10083388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회신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TW202310592A (zh) 靜音傳送即時訊息之系統與方法
KR1012585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