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417A - 수중 회전기 - Google Patents

수중 회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417A
KR20070120417A KR1020070017365A KR20070017365A KR20070120417A KR 20070120417 A KR20070120417 A KR 20070120417A KR 1020070017365 A KR1020070017365 A KR 1020070017365A KR 20070017365 A KR20070017365 A KR 20070017365A KR 20070120417 A KR20070120417 A KR 2007012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erration
room
water
air
wat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남식
Original Assignee
현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남식 filed Critical 현남식
Priority to KR102007001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20417A/ko
Publication of KR2007012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지금 전세계은 에너지 확보에 전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구상에서 석유 에너지가 머지 않아 고갈이 예상된다. 차세대의 에너지은 태양에너지 바람에너지 물에너지가 될 것으로 본다. 다행이도 우리나라는 이 3가지의 조건을 다 갖추었다고 볼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주변에는 많은 조류가 흐르고 있다. 이 조류의 힘을 이용한다면 무한의 에너지를 얻을 수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이용 수중회전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수중회전기.

Description

수중 회전기{Under water machine}
도 1 수중회전기 설치에 대한 설명도
도 2 수중회전기의 우측단면도에 대한 설명도
도 3 수차에 대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01 해수
01-1 수위
02 수차룸
02-1 수차(impeller)
02-2 날개(수차)
02-2-1 판(날개의 판. plate)
02-3 수차축
02-4 수로
02-5 카바(수차룸)
02-6 중량물(토사)
02-7 중량물카바
03 수차의 직경
04 수위(수로, 02-4)
05 후로트벨브
06 공기압축기
06-1 공급라인(압축공기)
07 회전전환기
07-1 전환레버(회전)
07-2 전달축(회전)
07-3 입력축(회전전환기, 07)
07-4 출력축(회전전환기, 07)
08 육지
09 공기배출라인(공기)
09-1 배출벨브(공기)
10 수로문
해수의 유수력(조류)을 이용하여 무공해 에너지를 얻고자 수중회전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은 삼면이 바다로 무한의 조류가 있어 유수력(조류)을 이용하여 무공해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수중회전기은 수중에 회전기가 설치된 것으로 무엇 보다도 부력에 의한 수중회전기의 부양을 억제하고 조류의 와류 현상이나 파도를 피하고 조류의 유수력을 효율적으로 흡수 회전력을 높이는데 있다.
전기와 같은 것들을 해결코자 수중에 수중회전기를 설치하는 원인이다. 수중회전기를 수중에 설치하는 것은 태풍이나 파도를 피하고 밀물이나 썰물시 해수(01)의 수위(01-1)에 관계 없이 지속적인 유수력(조류)을 얻고자 하는 점이며 수중회전기를 수중에 설치로 부력에 의한 수중회전기의 부양을 억제하기 위해 중량물(02-6)이 설치가 되었다. 이 중량물(02-6)의 단면적(도 2, 수중회전기 우측단면도중 02-6의 면적)이 수차룸(02)의 단면적(도 2, 수중회전기의 우측단면도중 02의 면적)보다 크면(길이는 짧거나 길어도 관계은 동일하다) 수중회전기의 부양은 억제가 된다. 〔여기서 단면적은 도 2에 나타난 02(수차룸)의 면적과 02-6(중량물)의 면적을 말하고 있음〕
실례를 들어 설명을 한다면 부력은 유체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다. 해수의 밀도은 약 1,025kg/㎥이고 중량물(토사. 02-6)의 밀도은 약 2,500kg/㎥으로 밀도의 차이는 약 2.4배나 된다.
그렇다면 1개 수차(02-1)의 수차룸(02)이 1㎥라면 이 중량물(02-6)의 중량은 2,500kg/㎥ 이에 해당하는 해수(01)은 1,025kg/㎥이므로 수차룸(02)의 공기로 발생되는 부력으로 인한 수중회전기의 부양은 억제가 된다.
수중회전기은 수로(도 2. 02-4) 윗부분이 카바(02-5)로 밀폐가 되었고 좌우양면(도 1)도 밀폐가 되어 있어 수차룸(02)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은 수차룸(02) 외부로 유출이 될수 없으며 수로(02-4)로 공기가 유출이 되지 않토록 후로트벨브(05) 은 수위(04)와 동일한 레벨(level)에 부착이 되어 그 이상의 공기은 충전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액체(해수)은 액체(해수)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힘(에너지)이 가해지지 않으면 중력에 의해 항상 수평이며 수차룸(02) 내의 공기은 유통 없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수면(수로 02-4)위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면(수로 02-4)은 항상 수평이 유지되면서 조류에 의해 수차(02-1)가 회전하게 된다.
수차(02-1)의 날개(02-2)은 날개(02-2)의 끝에서 수차축(02-3)쪽으로 판(02-2-1. plate)이 부착되어 있으며 수차축(02-3)과 수차판(02-2-1)의 사이은 공간으로 수차(02-1)가 조류에 의해 회전시 수차룸(02)내의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토록 되어 있어 조류의 유수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회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조류의 밀물과 썰물시 수중회전기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도 회전전환기(07)의 전환레버(07-1)를 이용하여 출력축(07-4)에서는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수차(02-1)가 9개(도 1)이고 각기 날개(02-2)가 9개로 동시에 9개의 날개(02-2)가 조류의 유수력을 흡수하고 있어 1개의 수차(02-1)가 360°(각도)에서 유수력을 흡수하므로서 강한 회전력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수로(02-4) 내부에서 동일한 수면(수위 04)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후로트벨브(도 1. 05)은 수로(02-4)의 수면(수위 04)과 동일한 레벨에 부착이 되어 있어 수로(02-4)의 수위(04)은 항상 동일한 수위(04)로 유지 된다.
수중회전기은 해수(01)의 조류(유수) 정면에 설치하고 공기압축기(06)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공기 공급라인(06-1)을 통하여 수차룸(02)에 공기를 공급(충 전)하면 수차룸(02)에 공기가 충전이 되면서 후로트벨브(05)에 의하여 수로(02-4) 내부의 수위(수면 04)가 형성되면서 유수(조류)가 발생하여 수차(02-1)가 회전하게 된다. 이과정에 수차룸(02)의 내부의 공기로 인한 부력으로 인하여 수중회전기의 부양이 발생하나 해수의 밀도보다 중량물(02-6)의 밀도가 2.4배나 크기 때문에 수차룸(02)의 단면적(도 2. 02)보다 중량물(02-6)의 단면적이 넓으면 부력으로 인한 부양이 억제된다. 그 이유는 밀도의 차이다. 〔해수의 밀도은 약1,025kg/㎥ 중량물(02-6. 토사)의 밀도은 약 2,500kg/㎥이며 부력은 유체속에 있는 물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유체의 무게와 같다 〕
9개의 수차(02-1)은 하나의 수차축(02-3)으로 되어 수차(02-1)의 회전력은 전달축(07-2)을 통하여 회전전환기(07)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밀물과 썰물시 회전방향이 역방향이기 때문에 회전 전환레버(07-1)를 조작하여 회전전환기(07)의 출력축(07-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되도록 되었다.
수중회전기은 태풍이나 높은 파도등을 피하고 밀물이나 썰물시 수위(01-1)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중에 설치가 되었으며 수차(02-1)를 9개(도 1)로 수차(02-1)의 각기 날개(02-2)가 9개로 구성이 되었고 수차룸(02)에는 커버(02-5)가 되고 그 위에 중량물(02-6)을 놓고 중량물카바(02-7)을 씌었으며 공기압축기(06)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라인(06-1)을 통하여 수차룸(02)에 공기를 충전하면 후로트벨브(05)에 의해 수위(02-4)가 형성이 되면서 유수(조류)가 발생하여 수차(02-1)가 회전이 되도록 구성이 되었으며 밀물과 썰물시 수차(02-1)의 역회전을 동일한 방향 의 회전을 얻기 위해 회전전환기(07)의 전환레버(07-1)를 조작하여 출력축(07-1)의 회전을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성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삼면이 바다로 무한의 조류(유수력)를 이용하여 무공해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남해안의 많은 섬들사이의 빠른 조류를 이용하여 강력한 유수력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점 수중에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태풍이나 높은 파도 밀물이나 썰물로 인한 해수의 수위(수면) 변화에도 관계 없이 년중 계속 무공해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Claims (1)

  1. 수차(02-1) 9개의 수차축(02-3)을 1개로 하고 수차룸(02)에 카바(02-5)를 씌우고 그 위에 중량물(02-6)을 놓고 카바(02-7)를 씌우며 이때 수차룸(02)의 단면적(도 2. 02)보다 중량물(도 2. 02-6)의 단면적(도 2. 02-6)을 넓게 하여 수차룸(02)의 공기로 인한 부양을 억제하고 공기압축기(06)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공기공급라인(06-1)을 통하여 수차룸(02)에 충전하면 수차룸(02)내의 수로(02-4)에 유수(조류)가 발생하여 수차(02-1)가 회전이 되고 이회전력은 전달축(07-2)을 통하여 회전전환기(07)에 전달되고 밀물이나 썰물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므로 전환레버(07-1)을 조작하여 출력축(07-4)에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 있는 수중회전기.
KR1020070017365A 2007-02-16 2007-02-16 수중 회전기 KR20070120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65A KR20070120417A (ko) 2007-02-16 2007-02-16 수중 회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365A KR20070120417A (ko) 2007-02-16 2007-02-16 수중 회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60U Division KR200435764Y1 (ko) 2006-06-19 2006-06-19 수중 회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417A true KR20070120417A (ko) 2007-12-24

Family

ID=3913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365A KR20070120417A (ko) 2007-02-16 2007-02-16 수중 회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204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88244B6 (sk) Plávajúce vodné koleso, najmä ako multifunkčný generátor energie
CN114033606B (zh) 一种内孤立波发电系统
KR101623709B1 (ko) 조류를 이용한 발전용 수차구조물
JP2010121609A (ja) 2重円筒型の波浪発電装置
KR20080070179A (ko) 소수력과 풍력의 동시 발전장치
CN104153933A (zh) 可利用海水、河水和风力发电的多功能发电设备
KR101190780B1 (ko)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유수력 발전장치
KR200435764Y1 (ko) 수중 회전기
CN101265865A (zh) 海洋水力驱动装置
CN216447041U (zh) 漂浮式单体可串联海浪发电机
KR20070120417A (ko) 수중 회전기
CN103147901B (zh) 无动力漂浮式洋流发电系统
CN201818424U (zh) 潮汐发电装置
CN113653592A (zh) 一种通过流体动力发电的驱动结构装置
CN202295231U (zh) 一种利用海洋潮汐能和江河水能的发电船
CN104500320A (zh) 水流式海浪发电机
CA2952600C (en) Device for generating hydroelectric energy
KR101661267B1 (ko) 무축 스크류 발전 장치
KR20150101884A (ko) 해상용 부이의 발전장치
CN214221396U (zh) 可充分利用水流动能的水轮发电机
CN217233693U (zh) 套环式风浪能源发电集成系统
CN212716987U (zh) 一种风能和波浪能集成发电装置
KR101194893B1 (ko) 풍력과 수력겸용 발전장치
KR20100100564A (ko) 부유식 수력 발전 장치
KR20040033161A (ko) 수직 원통형 수차를 이용한 조류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