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412A -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412A
KR20070119412A KR1020060054023A KR20060054023A KR20070119412A KR 20070119412 A KR20070119412 A KR 20070119412A KR 1020060054023 A KR1020060054023 A KR 1020060054023A KR 20060054023 A KR20060054023 A KR 20060054023A KR 20070119412 A KR20070119412 A KR 2007011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dandruff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섭
조인식
한일민
김영효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5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9412A/ko
Publication of KR2007011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알코올류를 항비듬균제와 함께 사용하여 비듬균을 억제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져 두피를 개선할 수 있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알코올, 건성비듬

Description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and care of scalp}
본 발명은 비듬 및 두피 건조를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항비듬균제를 함유하여 비듬균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당알코올류를 함유하여 두피건조를 예방하고 건성비듬이 있는 두피를 개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피는 모발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새로운 두피로 치환되는데, 약 1개월에 한 번 정도로 새로운 세포로 치환된다. 건강한 두피인 경우 각질층 세포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떨어져 나가면서 새로운 각질세포로 빠르게 치환된다. 그러나, 각질 세포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각질세포 덩어리가 눈에 보일 정도로 뭉쳐 두피에서 벗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비듬이라고 한다. 따라서 비듬은 모발 표면상의 문제가 아닌 두피상의 문제이고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사람의 두피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다.
비듬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건조하여 보슬보슬한 건성비듬, 끈적거리며 무게감이 있는 지성비듬으로 나누어진다. 건성비듬은 피지의 분비량이 적고 수분이 부족하여 표피에 생성된 세포가 붙어 있지 못하고 각화 현상을 일으켜 떨어지는 것이다. 지성비듬은 비듬에 유분이 많아 빗이나 브러시에 뭉쳐져서 묻어나게 되는데 모발의 상태가 지성인 경우에 나타나기 쉽다. 모발이 지성인 경우에는 피지의 분비량이 많은데, 이 피지와 죽은 세포가 축적되어 비듬이 생기는 것이다.
세포가 생겨서 벗겨 떨어지는 것을 턴-오버(Turn-over)라고 하는데 두피세포의 턴오버 주기가 비정상적으로 빠른 경우를 비듬이라 정의할 수 있다. 비듬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피지분비의 기능이상, 생활습관 및 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과도하게 피지가 분비될 경우 지질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피부상재진균에 의해 유리지방산 등의 자극물질로 분해되어 턴오버 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인체의 두피에 기생하는 말라세지아(Malassezia) 균류의 변종 두 가지가 방출하는 분비물이 두피를 자극해서 비듬을 야기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th Intercontinental Meeting of Hair Research Societies, June 17-19, 2004, Berlin, Germany).
또한, 비듬은 상기 설명한 원인 외에도 샴푸 등에 의한 과도한 피지 제거 및 두피 보습력 저하에 의해 두피가 건성화되어 가려움증과 함께 건성비듬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건성비듬 등의 경우에서는 단순히 항비듬균제의 작용만으로 두피를 개선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두피의 보습이 동시에 요구된다.
비듬이 있는 건성 두피의 경우 항비듬균제가 포함된 조성물만으로는 건조한 두피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피 보습 효과가 우수한 제제를 함께 처방하여야 한다. 보습제로 널리 사용되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등과 같은 글라이콜류는 두피보습효과가 우수하지 않으며 특히 샴푸, 린스류와 같이 헹구어내는 제형(wash-off type)에는 두피에 잔류성이 미미하여 두피 보습효과가 크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잔류성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보습제를 항비듬균제와 혼합처방하여 건성비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하던 중 당알코올류가 두피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항비듬균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건성비듬을 예방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성비듬을 예방하고, 두피 보습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두피 개선에 효과적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알코올류와 항비듬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당알코올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해 0.1~2.0 중량%, 항비듬균제 는 총 중량에 대하여 0.2~2.0 중량%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 오일성분, 고급 지방알코올 및 세라마이드, 컨디셔닝 양이온성 폴리머, 코팅제 및 기타 첨가제가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올코올로는 자일리톨, 락티톨,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로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자일리톨은 자일로스로부터 유도된 폴리올로서 포도상구균 아우레우스에 의한 피부 군체 형성을 제한하는 능력을 가지며, 설탕 대체품으로 매일 사용할 경우 충치를 예방하는 유용성을 보인다. 자일리톨은 인체 내에서 포도당 대사의 중간 물질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식물에 분포한다. 6개의 탄소로 만들어지는 6 탄당인 포도당과 달리 5개의 탄소만으로 이루어진 특유한 5 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다.
락티톨은 락토오스에서 유도된 폴리올이다(D-글루시톨 유도체). 구강 섭취 후, 당은 장내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되어 유기산들을 생성하고, pH를 낮추며, 장내 박테리아의 성장을 자극하고 변화를 촉진한다.
상기 항비듬균제로는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클림바졸(Climbazol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셀레니움설파이드(Selenium Sulfide),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살리실산(Salicylic acid), 코올타르(Coal Tar),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콜로이드설퍼(Colloid sulfur), 셀레니움 디설파이드(Selenium disulf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배합되어 제조된다. 예를 들어, 소듐아실글루타메이트, 암모늄아실사르코시네이트, 소듐메틸아실타우레이트, 소듐아실이세티오네이트, 디알킬소듐설포석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나트륨, α-올레핀술폰산염 등의 음이온계면활성제; C10~C18 알킬베타인, C10~C18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C10~C18 알킬술포베타인 등의 양쪽성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EO라 함)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PEO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EO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등의 PEO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타우레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EO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EO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EO 모노올레이트, PEO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PEO 지방산 에스테르류;C10~C18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에톡실화모노글리세라이드, 에톡시화알코올, 에톡실화아민, 아민옥사이드, 에톡실화아미드 등의 비이온계면활성제; 향료, 티트리오일, 파인오일, 밀크오일, 벤질알코올, 리퀴드파라핀 등의 오일성분;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고급 지방알코올;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중합된 4급 암모늄의 반응생성물(CTFA명: 폴리쿼터니움 10), 디알릴디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CTFA명: 폴리쿼터니움 7) 등의 양이온성 폴리머; 디메치콘, 디메치콘 코폴리올, 계면활성제로 미리 유화시킨 실리콘 등의 코팅제; 보습제, 기포촉진제, 점도조절제, 유백제, 진주광택제, 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증점제, 단백질, 폴리머, 완충제, 용제 등의 기타 첨가제 등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1-3
먼저 실시예1 내지 4 및 비교예 1내지 3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기재된 %는 중량%를 의미한 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발세정제의 형태로 이를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용액제제, 헤어토닉제 등의 다양한 비듬방지 모발화장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아연피리치온 0.5 0.5 0.5 0.5 0.5 0.5 0.5
클림바졸 0.5 0.5 0.5 0.5 0.5 0.5 0.5
자일리톨 0.1 0.2 0.5 1.0 - - -
락티톨 0.1 0.3 0.5 0.5 - - -
프로필렌글라이콜 - - - - - 1.0 -
글리세린 - - - - 1.0 - -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 3 3 3 3 3 3
PEO(20)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1.2 1.2 1.2 1.2 1.2 1.2 1.2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0.3 0.3 0.3 0.3 0.3 0.3 0.3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0.3 0.3 0.3 0.3 0.3 0.3
메틸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비듬 및 가려움증에 대한 효능효과 실험을 다음의 시험예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예1 : 비듬방지 효과시험
비듬증상, 특히 건성비듬이 있는 남녀 50명을 선별하여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를 10명씩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하기의 식에 따라 비듬감소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개시 전에 항비듬 성분이 없는 통상의 샴푸로 세발한 후 3일 동안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표1에 나타낸 샴푸 조성물로 2일에 한 번씩 세발하여 시험한 후 3일 동안 누적된 비듬의 중량과 비교평가를 하였다. 이 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흡입장치로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였다.
비듬감소율(%)= [{시험개시전 비듬중량(mg)-시험개시 1개월 후 비듬중량(mg)}/시험개시전 비듬중량(mg)]×100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듬감소율(%) 60 62 64 66 52 47 41
상기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알코올과 항비듬균제가 혼용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비듬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가려움증 억제효과 시험
평소 가려움을 많이 느끼는 남녀를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제품을 각 제품당 10명씩 2일에 1회씩 8주간 사용 후, 면접을 통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평점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구분(가려움증 감소효과) 평점
매우 있다 5
있다 4
보통이다 3
없다 2
전혀 없다 1
평가구분(가려움증 감소효과) 평점
매우 있다 5
있다 4
보통이다 3
없다 2
전혀 없다 1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당알코올과 함께 통상적인 항비듬균제를 함유하는 헤어케어 조성물로 두피 보습 및 항비듬효과로 비듬, 특히 건성 비듬 및 두피 건조 억제 및 완화 효과가 우수한 두피개선용 모발화장료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항비듬균제와 당코올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듬균제가 아연피리치온, 셀레니움 설파이드, 피록톤올아민, 살리실산, 클림바졸 및 케토코나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류가 자일리톨, 락티톨, 솔비톨,만니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비듬균제가 총 조성물에 대하여 0.2~2.0 중량%, 당알코올류가 총 조성물에 대하여 0.1~2.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 자일리톨과 락티톨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과 락티톨이 1:0.1~1:10 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54023A 2006-06-15 2006-06-15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9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23A KR20070119412A (ko) 2006-06-15 2006-06-15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023A KR20070119412A (ko) 2006-06-15 2006-06-15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12A true KR20070119412A (ko) 2007-12-20

Family

ID=3913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023A KR20070119412A (ko) 2006-06-15 2006-06-15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9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34783B (zh) 一种含中草药的去屑止痒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无硅油氨基酸洗发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420599B1 (ko)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CN110831565B (zh) 局部用组合物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CN113230184A (zh) 一种用于头皮头发1+1清洁的头皮组合物及其制备方法
PL193750B1 (pl) Kompozycja do oczyszczania ciała lub włosów i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w postaci szamponu
US10420962B2 (en) Organic hair formulation and treatment
TW201417822A (zh) 用於治療痤瘡的局部用組成物
JP2002193755A (ja) フケ・カユミ防止頭髪用および洗髪用化粧料
US20240173223A1 (en) New topical composition free of sulfate derived surfactants
KR20070002214A (ko) 한방 샴푸 조성물
WO2016033899A1 (zh) 一种调节头皮油脂平衡的去屑组合物
KR20080109440A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20090085845A (ko) 샴푸조성물
DE102011000927A1 (de) Mittel und Verfahren zur Schuppenbekämpfung
KR20070119412A (ko) 두피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0174807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291A (ko) 비듬 완화 두피 세정용 조성물
KR101656427B1 (ko)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쾌함을 개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0469652B1 (ko) 항진균제를 함유하는 모발용 알칼리금속 비누 조성물
KR101194261B1 (ko)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KR102101951B1 (ko)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