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8847A - 액체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액체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8847A
KR20070118847A KR1020060053064A KR20060053064A KR20070118847A KR 20070118847 A KR20070118847 A KR 20070118847A KR 1020060053064 A KR1020060053064 A KR 1020060053064A KR 20060053064 A KR20060053064 A KR 20060053064A KR 20070118847 A KR20070118847 A KR 2007011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lens module
liquid lens
flui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676B1 (ko
Inventor
박영규
오병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7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Abstract

본원발명은 전기 습윤 현상을 이용한 액체 렌즈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체 렌즈 모듈의 제작 시, 렌즈 모듈의 상부 커버와 렌즈 몸체를 접착하는 경우 발생하는 접착불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 몸체에 차단홈을 형성하도록 한 액체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체 렌즈, 계면, 유체, 돌기, 차단홈

Description

액체 렌즈 모듈{LIQUID-LENS MODUL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렌즈의 구조와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에서의 계면 형태 및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액체 렌즈 모듈 110 : 유체 챔버
120 : 챔버 상단 130 : 투명 전방 요소
140 : 투명 후방 요소 150 : 돌기
160 : 차단홈 170 : 접착 수단
본원발명은 전기 습윤 현상을 이용한 액체 렌즈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체 렌즈 모듈의 제작 시, 렌즈 모듈의 상부 커버와 렌즈 몸체를 접착하는 경우 발생하는 접착불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체 렌즈 모듈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줌 렌즈가 포함된 카메라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형 디지털 카메라, 자동카메라 등 다양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기술이 점점 발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하나의 휴대용 장치에 일체로 집적하는 것과 동시에 보다 소형화하려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종래 줌 렌즈가 포함된 카메라의 경우, 상기 렌즈 요소에 줌 기능을 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운동 때문에, 종래의 줌 렌즈는 상기 렌즈의 광학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어느 정도 큰 치수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 렌즈의 구동에 요구되는 별도의 모터 등의 구성을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에 있어 소형화를 실현하는 데 장애가 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줌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가 휴대용 단말기 등에 부착되게 됨에 따라 그 크기에 있어 소형화를 실현하여야 한다는 문제는 더욱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부가하여 종래와 같이 기계적 방식으로 상기 줌 렌즈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 외에도, 상기 줌 렌즈를 구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기모터는 상당한 양의 베터리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줌 렌즈를 장착한다는 것은 상당한 기술적 곤란성을 가져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이에 더해, 종래의 기계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렌즈의 줌(zoom)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양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최근 전기습윤(electrowetting) 방식을 이용한 액체 렌즈를 종래의 기계적인 방식의 줌 렌즈에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현재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다.
우선, 액체 렌즈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는 PCT 국제공개번호 WO 03/069380를 참조하여, 이러한 액체 렌즈의 기본적 구성 및 기능에 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한다.
도 1은 WO 03/069380의 실시 예로서 제안된 액체 렌즈의 간략한 단면도인 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액체 렌즈는 굴절률이 서로 다르고 메니스커스(meniscus)(14)를 통해 접촉하는 비혼합성의 제1 유체(A) 및 제2 유체(B)를 구비하며 실린더 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의 유체 챔버(5), 상기 실린더 벽의 내측에 배치된 유체 접촉층(contact layer)(10), 상기 유체 접촉층(10)에 의해 상기 제1 유체(A) 및 제2 유체(B)와 분리되는 제1 전극(2) 및 상기 제2 유체(B)를 활성화시키는 제2 전극(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2)은 실린더 형상으로서 절연층(insulating layer)(8)에 의해 코팅되고 금속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2 전극(12)은 유체 챔버(5)의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투명한 전방 요소(4)와 투명한 후방 요소(6)는 상기의 두 유체들을 수용하는 상기 유체 챔버(5)의 커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체 렌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전극(2)과 제2 전극(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유체 접촉층은 제2 유체(B)보다 제1 유체(A)에 대해 높은 습윤성(wettability)을 가진다. 만약,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전압(V1, V2, V3)이 인가되면,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때문에, 상기 제2 유체(B)에 의한 습윤성이 변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니스커스(14)의 접촉각(Q1, Q2, Q3)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인가된 전압에 따라 메니스커스의 형상이 변화하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 렌 즈의 초점조절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1 유체(B)에서 측정한 상기 메니스커스(14)와 유체 접촉층(10) 사이의 각도는 각각 둔각에서 예각으로, 예컨대 대략 140°, 100°, 60°등으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은 높은 음의 파워(power), 도 2는 낮은 음의 파워, 도 3은 양의 파워를 갖는 배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유체를 이용한 액체 렌즈는 종래의 렌즈의 기계적 구동을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에 비해 소형화 및 전력소모에 있어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렌즈는 그 모듈 내에 액체를 포함하여 밀봉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렌즈 모듈의 조립 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챔버(5)에 유체를 주입하고 투명 전방 요소(4)를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16)를 사용하여 상기 유체 챔버(5)에 결합하도록 하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포(18)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액체 렌즈의 유체(A)와 상기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16)가 서로 접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유체 챔버(5)와 투명 전방 요소(4)의 결합이 완전하게 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챔버벽(19) 사이의 공간에 유체(A, B)를 챔버벽 상단(20)으로 흐르지 않을 정도로 주입하여 볼록하게 채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투명 전방 요소(4)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키면, 유체(A)는 투명 전방 요소(4)의 밑면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상기 투명 전방 요소(4)의 밑면을 따라 퍼지게 됨을 알 수 있고, 접착제(16)를 통하여 상기 투명 전방 요소(4)와 챔버벽 상단(20)을 결합하도록 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A) 내에 기포(18)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기포는 액체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기포가 형성되어 있는 액체 렌즈는 그 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A)는 접착제(16)와 서로 접촉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유체와 접착제의 접촉은 상기 접착제의 접착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상기 투명 전방 요소(4)와 유체 챔버(5)의 밀봉 결합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렌즈 모듈의 조립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은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액체 렌즈 모듈의 챔버의 소정 부분 에 돌기부와 차단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챔버와 투명 전방 요소의 결합 시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은 전기 습윤 방식을 사용하여 초점을 제어하는 액체 렌즈 모듈에 있어, 개방된 일 단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돌기의 외곽 방향으로 소정 형상의 차단홈이 마련된 유체 챔버; 상기 유체 챔버 내에 주입되며, 계면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구비하는 2개의 유체; 상기 유체 챔버의 개방된 일 단에 접착수단을 통하여 밀봉 결합되는 투명판; 및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동작을 도시하며,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은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의 상호 이격된 곳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50)와 상기 돌기(150)의 외곽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형상의 차단홈(16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액체 렌즈 모듈(100)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체 챔버(110)를 포함하는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체 챔버(110)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구비하는 두 개의 유체(A, B)가 주입되어, 계면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에는 소정 간격(G)을 구비하여 투명판이 결합하고 있는 바, 구체적으로는 투명 전방 요소(130)가 상기 유체 챔버(110)에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은 상기 유체 챔버(110)의 챔버 상단(120)에 마련되는 접착수단(170)을 사용하여 상기 투명 전방 요소(130)를 결합하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결합에 사용되는 접착수단(170)으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원발명의 접착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체 챔버(110)에 주입되는 두 개의 유체(A, 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중을 구비하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도록 구성되며, 본원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체(A)가 전도성이고, 유체(B)가 비전도성 물 질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의 유체 챔버(110)의 다른 면에는 투명판으로 투명 후방 요소(140)가 프릿 본딩(frit bond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원발명의 투명 후방 요소(140)는 상기 투명 전방 요소(130)의 결합 때와는 달리 상기 유체 챔버(110)의 소정 부분에 돌기 또는 차단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유체 챔버(110)와 투명 후방 요소(140)와의 결합의 경우에도 상술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유체 챔버(110) 내에 주입되는 유체(A, B)의 계면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 상기 액체 렌즈 모듈(100)에 마련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을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100)은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챔버(110)의 소정 부분에 복수의 돌기(150)와 차단홈(160)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돌기(150)는 종래의 액체 렌즈 모듈에서 유체 챔버에 상기 투명 전방 요소를 결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기포의 발생을 제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원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150)를 삼각형 형상으로 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돌기(150)의 형태가 상기 삼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사다리꼴, 타원형 등 다른 형태의 모양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형성되는 상기 돌기의 수에 있어서도,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한정하고 도시하고 있지만, 그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체 렌즈 모듈(100)의 상기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50)로 인해, 종래 상기 유체 챔버(110)의 일 단에 투명 전방 요소(130)를 결합하는 경우 발생하는 기포 등은 본원발명에 따른 경우 상기 돌기(150)의 바깥부분에 형성되게 되어, 종래 챔버 내에 발생하였던 기포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라 상기 챔버(110) 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돌기(150)를 적당한 폭을 구비하도록 하여 형성하고, 또한 상기 투명 전방 요소와 적절한 간격(G)을 유지하면서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돌기(150)와 투명 전방 요소(130) 사이의 간격(G)은 액체 주입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체적으로 20u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격(G)은 스토퍼에 의해 조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토퍼로는 밀봉 또는 다른 물리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렌즈 모듈(100)의 돌기(150)의 높이 및 간격(폭) 등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유체(A, B)의 최대 1%에 이르는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액체 렌즈 모듈(100)의 유체 챔버(110)의 소정 부위에 복수의 돌기(15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체 챔버(110)와 투명 전방 요소(130)의 결합 시 발생하는 기포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은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50)의 바깥 부분으로 소정 형상의 차단홈(160)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홈(160)을 사각형 형상으로 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차단홈(160)은 상기 유체 챔버(110) 내에 주입되는 유체(A, B)와 상기 유체 챔버(110)의 챔버 상단(120)에 마련되는 접착수단(170)과의 접촉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차단홈(160)의 역할을 도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차단홈(160)은 상기 돌기(150)의 외곽방향으로 형성되어 마련되어 있는 바,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챔버(110) 내에 마련되는 유체(A)는 돌기(150)에 접촉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유체(A)의 소정 부분이 물방울(W)이 되어 상기 차단홈(160)에 수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유체(A)가 상기 복수의 돌기(150)에 의해 접촉하게되고 남은 물방울(W)은 상기 차단홈(160)에 머무르게 된다는 점에서, 상기 물방울(W)이 상기 유체 챔버(110)의 챔버 상단(120)에 마련되는 접착수단(170)과 접촉하는 것을 막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체 렌즈 모듈(100)의 유체 챔버(110)에 주입되는 유체(A, B)는 10℃ 정도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약 1% 정도의 부피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과 같이 접착수단(170)으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약 80℃ 정도까지 온도를 올리도록 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체 렌즈 모듈(100)의 경우,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약 80℃ 정도까지 온도를 올리도록 하는 경우, 상기 유체(A, B)는 약 8% 정도에 이르는 부피 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본원발명의 상기 액체 렌즈 모듈(100)에 있어 상기 차단홈(160)을 형성하지 않고 단지 돌기(150)만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기(150)와 돌기 사이의 공간에 물방울(W)이 고이게 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수단의 경화를 위해 온도를 올리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방울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부피가 변화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물방 울이 상기 접착수단(17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물방울(W)이 상기 접착수단(17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수단(170)의 접착 기능을 약화시켜, 상기 유체 챔버(110)와 상기 투명 전방 수단(130)과의 접착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원발명의 액체 렌즈 모듈(100)의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50)의 외곽 방향으로 소정 형상의 차단홈(16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도록 한다. 즉, 본원발명의 상기 차단홈(160)은 상기 유체(A, B)의 물방울(W)이 상술한 바와 같은 온도변화에 의해 부피변화를 일으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유체 챔버(110)의 챔버 상단(120)에 마련되는 접착수단(17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하도록 한다.
도9에는 본원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에는 본원발명의 상기 차단홈(160')의 형상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홈(160')의 형상은 상기 유체 챔버(110) 내에 주입되는 유체(A, B)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상기 차단홈(160, 160')의 형상은 어떤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원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체 렌즈 모듈(100)의 유체 챔버(110)의 소정 부위에 복수의 돌기(150) 및 차단홈(160, 160')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항상 같이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고, 발명에 따라 각각 따로 실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100)은 유체 챔버(110)의 개방된 일 단의 상호 이격된 거리에 소정 형상의 복수의 돌기(15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종래 액체 렌즈 모듈의 문제점이었던 유체 챔버 내의 기포 발생을 제거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돌기(150)의 외곽방향으로 소정 형상의 차단홈(160, 16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유체가 직접 접착수단과의 접촉을 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라 형성된 액체 렌즈 모듈은 유체 챔버 내의 소정 부분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종래 유체 챔버와 상부 커버의 결합 시 문제점이었던 기포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액체 렌즈 모듈은 유체 챔버 내에 별도의 차단홈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유체 챔버와 상부 커버를 접착수단을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접착수단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상 기 액체 렌즈 모듈의 제작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전기 습윤 방식을 사용하여 초점을 제어하는 액체 렌즈 모듈에 있어,
    개방된 일 단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돌기의 외곽 방향으로 소정 형상의 차단홈이 마련된 유체 챔버;
    상기 유체 챔버 내에 주입되며, 계면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구비하는 2개의 유체;
    상기 유체 챔버의 개방된 일 단에 접착수단을 통하여 밀봉 결합되는 투명판; 및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간격은 20u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6. 전기 습윤 방식을 사용하여 초점을 제어하는 액체 렌즈 모듈에 있어,
    개방된 일 단에 상호 이격된 소정 형상의 차단홈이 마련된 유체 챔버;
    상기 유체 챔버 내에 주입되며, 계면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구비하는 2개의 유체;
    상기 유체 챔버의 개방된 일 단에 접착수단을 통하여 밀봉 결합되는 투명판; 및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에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유체 중 하나는 전도성 유체이고, 다른 하나는 비전도성 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렌즈 모듈.
KR1020060053064A 2006-06-13 2006-06-13 액체 렌즈 모듈 KR10079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64A KR100797676B1 (ko) 2006-06-13 2006-06-13 액체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64A KR100797676B1 (ko) 2006-06-13 2006-06-13 액체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47A true KR20070118847A (ko) 2007-12-18
KR100797676B1 KR100797676B1 (ko) 2008-01-23

Family

ID=3913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64A KR100797676B1 (ko) 2006-06-13 2006-06-13 액체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6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4237B2 (en) 2008-11-25 2012-09-25 Panasonic Corporation LED driver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during a short circuit condition
WO2018052228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
WO2018151527A1 (ko) * 2017-02-16 2018-08-23 엘지이노텍(주)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155945A1 (ko) * 2017-02-24 2018-08-30 엘지이노텍(주) 액체 렌즈,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715B1 (ko) 2013-10-14 202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인터랙션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3차원 인터랙션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506A (ja) * 2000-11-27 2002-06-07 Canon Inc 光学素子、光学装置および撮影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4237B2 (en) 2008-11-25 2012-09-25 Panasonic Corporation LED driver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during a short circuit condition
WO2018052228A1 (ko) * 2016-09-13 2018-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
US10768345B2 (en) 2016-09-13 2020-09-08 Lg Innotek Co., Ltd.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module
US11467322B2 (en) 2016-09-13 2022-10-11 Lg Innotek Co., Ltd.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module
WO2018151527A1 (ko) * 2017-02-16 2018-08-23 엘지이노텍(주)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526064B2 (en) 2017-02-16 2022-12-13 Lg Innotek Co., Ltd.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18155945A1 (ko) * 2017-02-24 2018-08-30 엘지이노텍(주) 액체 렌즈,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1579342B2 (en) 2017-02-24 2023-02-14 Lg Innotek Co., Ltd. Liquid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676B1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241B1 (ko) 유체 챔버의 일단에 다중 돌기가 형성된 가변 초점 렌즈
KR100815328B1 (ko) 액체 렌즈 어셈블리
KR100797723B1 (ko) 액체 렌즈 모듈
US7580195B2 (en) Optical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7804B1 (ko) 액체 렌즈 및 액체 렌즈 제조 방법
KR100674866B1 (ko) 가변 초점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7586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97676B1 (ko) 액체 렌즈 모듈
US9019589B2 (en) Electrowetting device
CN115997164A (zh)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KR100815327B1 (ko) 액체 렌즈 모듈
KR20070008169A (ko) 액체 렌즈
CN111399213B (zh) 基于介电弹性体和液体双驱动的光束偏转器
KR100843371B1 (ko) 액체 렌즈 모듈
US7605968B2 (en) Display medium
KR100771346B1 (ko) 액체 렌즈 모듈용 자외선 경화 지그
US20230229035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09100584A1 (en) Liquid optical deflec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70008188A (ko) 액체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8168A (ko) 액체 렌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