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354A -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354A
KR20070116354A KR1020060050291A KR20060050291A KR20070116354A KR 20070116354 A KR20070116354 A KR 20070116354A KR 1020060050291 A KR1020060050291 A KR 1020060050291A KR 20060050291 A KR20060050291 A KR 20060050291A KR 20070116354 A KR20070116354 A KR 2007011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keyword
unit
telephone numb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145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14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키워드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통합 다이얼링, 이동 통신망, 키워드, 호 통화, 이메일, 홈페이지, 전화번호부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통합 다이얼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입력부의 화면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에 대한 목록을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30 : 이동 교환국 140 : 통합 다이얼링 서버
150 : 통합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 160 : IP망
170 : 컴퓨터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에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에 단축키를 통해 간단하게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지국 서버 상에 문자와 전화번호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후,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 상에서 예컨대 "LG전자" 문자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기지국에서 입력 문자 "LG전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호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서버 상에 문자와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LG전자"라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LG전자"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SMS 메시지로 해당 단말기로 전송해 주고 있다.
그리고, 서버 상에 식별기호 및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DB와, 입력 문자열과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연관정보 DB가 구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식별기호와 문자열을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연관정보 DB의 식별기호를 검색하여 해당 식별기호에 대응된 접속 정보를 통해 호를 연결해 주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는 전술한 전화 통화를 위한 서비스 이외에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화 통화 이외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단말기를 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화 통화 이외에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홈페이지에 접속하려면,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위한 동작 이외에 별도로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메뉴를 실행한 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 접속 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운 키입력 조작을 수행해야 하고, 또한 서버 접속에 따른 데이터 접속료 및 정보 이용료를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이용이 잦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 서비스마다 키입력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한번의 키입력으로 전화 통화를 위한 다이얼링과 이메일 전송이나 홈페이지 접속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다이얼링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 내 또는 서버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상의 키워드 중 원하는 서비스를 위한 한 번의 키워드 입력으로 호 통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및 홈페이지 접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다이얼링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상기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즉,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에 대해 키워드 검색하여 매칭되는 경우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정보는 음성통신 또는 데이터통신에 필요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가 또는 이메일 주소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홈페이지 주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홈페이지의 주소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와 검색조건이 입력된 경우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콘, 홈페이지 주소 아이콘, 및 사진/아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작성란 또는 상기 이메일 작성란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키워드 또는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와 키워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만 입력된 경우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부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메타 키워드 및 키워드 설명을 포함하는 데 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즉, 통신단계에서,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외부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데이터)에 대해 키워드 검색하여 매칭되는 경우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정보는 음성통신 또는 데이터통신에 필요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수신한 전화번호가 또는 이메일 주소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상 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홈페이지 주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홈페이지의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단계에서,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키워드와 검색조건이 입력된 경우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콘, 홈페이지 주소 아이콘, 및 사진/아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작성란 또는 상기 이메일 작성란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 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 교환국(130),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 통합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IP망(160) 및 컴퓨터 단말기(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20)은 기지국 전송기(122)와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고, 이동 교환국(130)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134)와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2)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내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에서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읽어와 호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는 무선 호 시도(Call Attempt)로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시도란 이동 단말기(110)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통화 버튼이 눌려지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하여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을 키워드로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이동 단말기(110)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 전송기(122)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 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무선 기지국(120)을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 교환국(130)은 공중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공중 교환 데이터망(PSDN : Public Switched Data Network)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10)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동 교환국(130)은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VLR(134)에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HLR(132)로 이동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10)가 키워드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읽어와 해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게 된다.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 언어로 구축된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하는 경우에 별도로 MIN(Mobile Identication Number)을 입력하지 않아도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가 이동 단말기(110)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이동 단말기(110)의 MIN과 함께 저장한다. 이때, 통합 다이얼 링 서버(140)는 해당 이동 단말기(110)의 MIN, 접속 요구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통합 다이얼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등록받은 키워드를 이동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해 놓는다.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무선으로 접속된 이동 단말기(110)의 MIN 정보나 접속 요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접속이 해제되면 삭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마다 일정 DB 영역의 개인DB를 할당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키워드와 전화번호, 회사명,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진/아바타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70)을 이용하거나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 정보들을 개인DB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DB는 각 사용자마다 대략 100 개 정도의 대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분량을 의미한다. 물론, 각 사용자의 개인DB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더 늘릴 수 있다.
그리고,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P(Internet Protocol) 망(160)은 컴퓨터 단말기(170)가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과 같이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이다.
컴퓨터 단말기(170)는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하여 통합 다이얼링 서비스를 설정 등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한 후, 자신의 개인DB 또는 전화번호부를 생성하고, 생성한 개인DB 또는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아바타 정보 등을 등록시키거나 갱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1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오디오부(230), 제어부(240), 메모리부(250),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입출력 제어부(242), 데이터 판단부(244) 및 데이터 처리부(246)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문자와 숫자 또는 특수 문자와 각종 기호가 입력되며, 방향 버튼과 메뉴 버튼 등의 기능키가 입력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10) 를 통하여 통화 대상의 전화번호와 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표시부(220)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나 키워드가 표시되며,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이 표시된다. 표시부(220)는 예컨대, LCD, 유기 EL, PDP, 형광표시관(VF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부(220)의 화면에는 기존 메뉴들과 별도로 통합 다이어링 메뉴를 구성하고, 키워드 입력란이 제공된다. 입력부(210)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표시부(220)의 키워드 입력란에 키워드가 표시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부(220)의 화면에는 기존의 전화번호부 메뉴 상에 키워드 입력란이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전화번호부 메뉴의 키워드 검색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워드 검색한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표시부(220)의 화면에는 키워드와 전화번호 입력란이 동시에 제공되거나, 키워드와 검색조건 입력란이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다양한 표시부(220)의 화면들은 서로 다른 메뉴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부(2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주는 마이크로폰과,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화와 키워드를 입력하면, 전화번호부에서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읽어와 제공하고, 그에 따른 통화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은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26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키워드를 통합 다이어링 서버(14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통신부(260)를 통해 키워드를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전송하여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의 개인DB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의 개인 DB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의 전체 데이터베이스(150)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메모리부(250)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26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합 다이어링 서버(140)의 전체 데이터베이스(150)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출력 제어부(242)와 데이터 판단부(244), 데이터 처리부(246)을 포함하고 있다.
입출력 제어부(242)는 데이터 처리부(24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부(246)로 전달한다.
데이터 판단부(244)는 입력부(210)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 예컨대, 통화키, 메시지 전송 옵션메뉴, 이메일 전송 옵션메뉴, 홈페이지 접속 옵션메뉴 등의 선택된 기능에 따라 자체의 전화 기능을 수행할 지 아니면 서버를 이용할지를 판단하게 된다.
데이터 처리부(24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전화번호부로부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게 된다.
메모리부(250)는 전화번호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부는 키워드(이름), 회사명,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진/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통신정보는 통합 다이어링 서버(140)의 통합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기 전에 음성통화나 데이터통신 등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통신부(260)는 전화 통화에 대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신부(262)는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으로 송출하고, 수신부(264)는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통신부(260)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부(260)는 표시부(220)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가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 단말기(110)의 다수의 메뉴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통합 다이얼링 메뉴"를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10)로부터 통합 다이얼링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240)는 표시부(220)로 키워드 및/또는 전화번호 입력란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표시부(220)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키워드 입력란에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 예를 들어 "02-567-1234" 및/또는 키워드, 예를 들어, "LG전자" 또는 "홍갑동" 등을 입력한다(S10).
다음으로,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었다면, 해당 전화번호로 호통화를 수행할지 판단한다(S14). 사용자는 일반적인 호 통화와 동일하게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입력하여 호 통화할 수 있다(S16).
반면, 해당 전화번호로 호통화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지 판단한다(S18). 표시부(220)에는 메 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시되고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해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므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지 결정된다.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메모리부(250)의 전화부로부터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에 필요한 통신정보,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유무선 접속가능한 홈페이지주소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 예를 들어 S10 단계에서, 유선 전화번호 "02-567-1234"가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폰 번호 "010-567-1234", 이메일주소 "egkim@lge.com", 홈페이지 주소 "lge.com"이 존재하면 이 통신정보들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을 수행한다(S22).
다음으로, 입력부(210)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4).
이때, 사용자가 "홍갑동"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할 때, "홍"의 시작글자 "ㅎ"을 입력하면, 제어부(240)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메모리부(250)에 존재하는지 검색하여 통신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6, S28).
도 6a 및 도 6b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에서 제공하는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에 대한 목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통신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예를 들어, "ㅎ"으로 시작하는 대상자들을 메모리부(250)의 전화부로부터 읽어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해 주게 된다.
이때,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목록을 표시 부(220)로 표시할 때,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이메일과 홈페이지 주소 등의 등록 여부도 함께 표시해 주게 된다. 도 5a의 목록에서 ⓔ는 이메일 주소에 대한 아이콘을 나타내고, ⓘ는 홈페이지 주소에 대한 아이콘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20)로 표시된 다수의 대상자 중에 자신이 통화하기 원하는 대상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대상자를 선택하여 S14 내지 S22와 같이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 통화, 문자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등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키워드 입력만으로 메모리부(250)의 전화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통신정보가 메모리부(2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만 표시부(22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메모리부(2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40)는 통신부(260)을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2).
도 1 및 도 5b를 참조하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키워드를 검색어로 하여 해당 키워드가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에 존재하는지를 1차 검색한다(S40).
검색 결과, 해당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에(S42),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 는, 이동 단말기(110)이 검색된 키워드에 대응된 통신정보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한다(S48). 통신정보를 이동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해당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10)가 통신할 수도 있고,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서 직접 호 통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등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목록에서,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의 이메일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란을 이동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10)에서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듯 이메일 내용을 작성하여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b의 전화번호 목록에서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임의의 전화번호의 홈페이지 주소가 선택되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해당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되도록 연결시킨다.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접속하여 키워드를 전송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에 대한 목록을 제공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10)에서 전화번호에 대응된 목록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대상자의 사진/아바타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하단부에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10)는 자체의 메모리부(250)의 전화부와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의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문자 다이얼링할 수 있다.
한편, 검색 결과, 해당 키워드가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S42),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키워드를 검색어로 하여 해당 키워드가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전체에 존재하는지를 2차 검색한다(S44).
검색결과,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전체에 존재하는 경우,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검색된 키워드에 대응된 통신정보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S48). 이후,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 후,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에 검색된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해 놓게 된다(S50).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110)는 자체의 메모리부(250)의 전화부와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의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문자 다이얼링한 후, 최종적으로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전체를 이용하여 문자 다이얼링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키워드에 대응된 통신정보가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메타 키워드 정보를 검색하여 그 검색 결과가 한 개이면, 그 전화번호로 호 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그 검색 결과가 여러 개이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그 검색 결과를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 접속을 수행한다.
그러나,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키워 드에 대응된 통신정보가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와 전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예컨대, "정확하지 않은 키워드입니다"라는 안내 멘트를 제공한 후 종료하게 된다(S52).
실시예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전체에 존재하는 경우,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가 검색된 키워드에 대응된 통신정보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S48). 이후,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 전체로부터 검색된 정보를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의 개인DB에 저장하여 등록해 놓게 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새로운 키워드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등록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10)의 입력부(210)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한 후 등록키를 입력한다(S402).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되고 등록키가 입력되면, 키워드에 대응시킬 전화번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4).
이어, 입력부(210)를 통해 전화번호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40)는 통신부(260)를 통해 키워드와 전화번호를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로 전송한다(S406).
이에 따라,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키워 드와 전화번호를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여 등록해 놓는다(S408).
물론,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키워드와 전화번호 이외에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와 홈페이지 주소, 또는 키워드 설명 등을 입력받아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예컨대, 키워드가 "아름꽃집"이면, 전화번호 "02-1234-1004"와 이메일 주소 "aaa@bbb.com", 홈페이지 주소 "www.hflower.com", 메타 키워드 "서울 서초역 꽃집", 및 키워드 설명 "서울 서초역 5번 출구 꽃집입니다"라는 데이터를 등록시킬 수 있다. 이 때,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는 입력된 키워드 설명으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메타 키워드로 통합 다이얼링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IP망(160)을 통해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에 접속하여, 키워드와 그에 따른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10)는 통합 다이얼링 서버(140)로부터 키워드와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다운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화번호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호 통화,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을 별도의 서버 접속 과정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또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등의 서버 접속에 따른 데이터 접속료 및 정보 이용료가 부과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호 통화,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홈페이지 접속 등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을 모른다고 하여도 인명, 상호명, 브랜드명 등의 키워드 정보의 입력만으로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전화 호를 형성하게 되어, 키워드를 통한 일대 일 맵핑 검색과, 메타 키워드를 통한 일대 다 맵핑 검색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검색의 정확성이 향상되 고, 불필요한 접속 시간에 따른 데이터 접속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이용이 잦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 서비스마다 키입력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한번의 키입력으로 전화 통화를 위한 다이얼링과 이메일 전송이나 홈페이지 접속 등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32)

  1.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 수행하며 상기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정보는 음성통신 또는 데이터통신에 필요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상기 음성통화 또는 상기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 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가 또는 이메일 주소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홈페이지 주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홈페이지의 주소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와 검색조건이 입력된 경우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콘, 홈페이지 주소 아이콘, 및 사진/아바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작성란 또는 상기 이메일 작성란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키워드 또는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키워드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전화번호와 키워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키워드만 입력된 경우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부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메타 키워드 및 키워드 설명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18. 통신에 필요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 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이메일 또는 홈페이지 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정보는 음성통신 또는 데이터통신에 필요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웹페이지 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4. 제22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수신한 전화번호가 또는 이메일 주소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이메일을 발신주소로 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홈페이지 주소로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홈페이지 주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홈페이지의 주소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에서, 검색조건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키워드와 검색조건이 입력된 경우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방법.
  2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통신정보는 상기 키워드와 상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콘, 홈페이지 주소 아이콘, 및 사진/아바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작성란 또는 상기 이메일 작성란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방법.
  30.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통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있는 경우 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검색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개인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통신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우선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로 음성통신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화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KR1020060050291A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KR10127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1A KR10127114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291A KR10127114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354A true KR20070116354A (ko) 2007-12-10
KR101271145B1 KR101271145B1 (ko) 2013-06-05

Family

ID=3914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91A KR101271145B1 (ko) 2006-06-05 2006-06-05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08A (ko) * 2013-01-09 2014-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WO2016195419A1 (ko) * 2015-06-04 2016-12-08 이세용 스마트 통신접속을 위한 자판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72B1 (ko) * 2003-05-29 2006-03-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21194B1 (ko) * 2004-02-19 2006-09-13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JP4932167B2 (ja) * 2004-07-21 2012-05-16 株式会社ジェイデータ 携帯電話
KR20060027471A (ko) * 2004-09-23 2006-03-28 (주) 콘텔라 특정 영역 내에서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08A (ko) * 2013-01-09 2014-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WO2016195419A1 (ko) * 2015-06-04 2016-12-08 이세용 스마트 통신접속을 위한 자판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145B1 (ko)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333B1 (ko) 문자열 다이얼링에 적합한 호처리 방법
CN100571050C (zh) 通过显示对应于输入按键的数字和字符串提供所选服务的方法及系统
US61757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business card services within a cellular network
US8417225B2 (en) Method for coordinating the sharing of contact information between a directory terminal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s well as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context features
US788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posi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KR20060090010A (ko)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20050119019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SMS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US10069970B1 (en) Keyword based phone dialing
US7158626B2 (en) Method for call establishment
US20040110495A1 (en) Web access providing system
US20070140439A1 (en) Method for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KR2004009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1271145B1 (ko) 이동 단말기 및 통신방법, 통신시스템
KR1012447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화부 갱신방법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466858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번호 원격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5684B1 (ko)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 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050005051A (ko) 유무선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0590509B1 (ko) 다양한 sms 메시지 샘플을 이용하여 회신 sms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04705B1 (ko) 발신자정보 자동완성 방법, 그를 위한 발신자정보 표시시스템 및 발신자정보 관리 서버
KR10068766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