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934A - 달 승강기 - Google Patents

달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934A
KR20070113934A KR1020060048506A KR20060048506A KR20070113934A KR 20070113934 A KR20070113934 A KR 20070113934A KR 1020060048506 A KR1020060048506 A KR 1020060048506A KR 20060048506 A KR20060048506 A KR 20060048506A KR 20070113934 A KR20070113934 A KR 20070113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elevator
space
earth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영
Original Assignee
최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영 filed Critical 최효영
Priority to KR102006004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934A/ko
Publication of KR2007011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우주공간으로 화물 및 인간 수송을 위한 승강기
(2)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기존의 로켓 또는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우주수송 방법이 가지는 위험성을 줄이고, 점증하는 인류의 우주여행 및 달 개발, 각종 위성 및 탐사선 발사로 인한 비용을 줄여 상업적인 우주여행 및 달 개발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며, 로켓연료의 연소로 인한 지구의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적이고 저렴한 우주수송 방법의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달에 달기지와 달승강기에 동력을 공급할 발전소를 건설하는 단계, 달기지로부터 지구까지 승강기가 이동할 줄을 늘어뜨리는 단계, 줄에 달승강기를 연결하는 단계, 달승강기에 우주공간 또는 달로 보낼 화물과 인간이 탑승하는 단계, 달승강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화물 및 인간이 달승강기에서 내리는 단계로 구성된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내용처럼 달승강기를 설치하여 운영하면, 기존의 로켓 또는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우주수송 방법이 가지는 위험성을 줄이고, 점증하는 인류의 우주여행 및 달 개발, 각종 위성 및 탐사선 발사로 인한 비용을 줄여 상업적인 우주여 행 및 달 개발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며, 로켓연료의 연소로 인한 지구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달, 승강기, elevator, moon, 우주정거장,

Description

달 승강기{Moon Eleva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달 승강기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을 달의 공전궤도면에 수직인 곳에서 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달 승강기 구성도
본 발명은, 로켓 및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우주공간으로의 화물 및 인간 수송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달에서 줄을 지구에 늘어뜨려 달이 줄이 매달려 있는 천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달이 지구를 공전함에 의해서 항상 그 위치가 변하지만, 이 줄이 지구 중력에 의해서 항상 지구중심방향(지구의 중력중심방향)을 향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이 줄을 타고 움직일 수 있는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구에서 우주로 나가는 유일한 방법은 로켓 또는 우주왕복선을 이용한 방법이며, 우주왕복선 또한 외부로켓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어 우주로 나가기 때문에 로켓을 이용한 방법이 현재까지 유일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로켓을 이용한 지구탈출 방법은 많은 문제점을 않고 있다. 첫 번째는 로켓이 사용하는 연료인 고체연료 및 액체수소 등은 매우 폭발성이 강한 물질이다. 이러한 연료는 조그마한 실수나 문제에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예로 미국의 챌린저호 폭발사건이나, 콜럼비아호 폭발사건 등에서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로켓이 자체 추진을 통하여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선 엄청난 양의 연료를 싣고서 발사대에서 출발한다. 로켓은 연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초기 출발시에 대부분의 연료를 연소하여 매우 빠른 속도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렇게 매우 빠른 속도로 대기권을 돌파하다 보니, 대기권의 공기 마찰을 비롯한 외부물체와의 충돌등에 의해서 기체에 커다란 손상을 입는 경우들이 많고, 이러한 것에 대비하기 위한 안전시스템이 기체의 중량과 연료량을 높이는 문제를 가져온다.
세 번째는 로켓이 지구를 벗어나기 위해서 소모하는 많은 화학연료는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데, 앞으로 우주여행이 본격화 되고, 달을 개발해야 되는 시대에는 이러한 로켓발사로 인한 환경오염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네 번째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현재 로켓발사는 상업적으로 너무 많은 비용을 수반한다. 많은 비용이 들어가다 보니, 로켓을 이용한 우주탐사나 달 탐사 등은 국가 단위의 프로젝트가 되어 버렸으며, 현재까지 달착륙에 성공한 나라도 미국에 한정될 정도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이러한 과도한 비용은 달개발 및 우주탐사, 인공위성의 발사 등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로켓을 이용한 방법보다 우주로 화물과 인간 을 안전하고, 저렴하게 수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달 개발시에 달의 개발에 필요한 화물의 수송뿐 아니라, 달에서 채취한 자원을 지구로 운송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함이 그 목적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최종 결과물을 나타내 도면으로서, 달(100)로부터 지구(101)까지 줄(103)을 늘어뜨리고, 줄(103)에 승강기(102)를 부착하여, 이 승강기(102)를 지표면상에서 우주공간 또는 달(100)까지 운행하여, 우주로 화물 및 인간을 수송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달승강기(102)의 구성요소는 달(100)에 건설되는 발전소(105)와 줄(103)을 잡아당기는 모터(106), 승강기(102)와 화물 및 승강기(102)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줄(103),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거나 자체 동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승강기(102)로 구성된다.
발전소(105)는 원자력 발전소(105)나 태양열 발전소(105), 기타 연료를 이용한 발전소(105)를 설치하여 모터(106)를 돌릴 수 있으며, 지구(101)와 연결된 줄(103)을 통하여 전력을 달(100)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해도 된다.
달(100)의 표면중 지구(101)에서 가까우며 지구(101)와의 거리 변동이 작은 지점에 달(100)기지를 건설하고, 동력을 공급할 발전소(105)와 줄(103)을 움직일 수 있는 모터(106)를 설치하는 단계,
달(100)의 지하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줄(103)의 한쪽 끝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줄(103)을 달(100)에서 지구(101)로 늘어뜨리는 단계,
줄(103)에 대한 지구중력방향(201)과 만나는 지표상의 지점중, 접근성이 용이하고, 항공기의 운항 및 기후의 영향이 적으며 달(100)에 가까운 지점에 지구기지를 건설하는 단계,
달(100)에서 지구로 늘어뜨린 줄(103)에 승강기(102)를 설치하는 단계,
승강기(102)에 달(100) 또는 우주로 운송할 화물과 인간을 탑승시키는 단계,
승강기(102)에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기(102)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원하는 위치로 화물 및 인간을 수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달(100)은 도1에서 보듯이 천장(211)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줄(103)의 한쪽끝이 지표상에 고정되지 않더라도, 줄(103)에 대한 중력(213)에 의해서 줄(103)이 수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 지기에 줄(103)에 매달려 있는 승강기(102)가 수직으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중에 떠있는 줄(103)이라 할지라도, 달(100)과 지구(101)의 중력에 의해서 천장(211)에 매달려 있는 줄(103)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달(100)이 지구(101) 주위를 돌기 때문에 줄(103)의 방향이 360도 회전하지만, 중력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표상을 기준으로 항상 위쪽에 있기 때문에 지표상에서 우주로 나가는데 필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을 달(100)의 공전궤도(205)면에 수직인 곳에서 본 평면도 이다. 지구(101)의 자전에 대한 효과와 달(100)의 지구(101)주위로의 공전 효과 등에 의해서 달(100)은 대략 27.32일에 한번씩 지구(101)주위를 공전한다. 이러한 달(100)의 공전주기는 달(100)의 공전면과 만나는 지구(101)상의 지표면에 대해서 하 루에 대략 13.36도의 각도만큼만 변화하며, 시간단위로는 0.56도/시간 로서 시간당 1도 이내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달(100)에서 늘어뜨린 줄(103)이 지구기지(300)의 위쪽에 상당시간 머물고 있기 때문에 승강기(102)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달(100)은 엄밀히는 원이 아니라 타원궤도를 돌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곳과 가장 먼 곳 사이에 상당한 거리차가 있다. 지구(101)상의 우주기지인 지구기지(300)를 짓기에 가장 적합한 곳은 달(100)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이나, 주변의 지형이나, 접근성, 기후, 항공기 운행상황 등을 고려하여 달(100)의 공전궤도면이 지표와 만나는 지점 중에서 주위에 장애요소들이 적으면서 접근하기 쉽고, 달(100)과 가까운 지점을 선택하면 된다. 이때, 달기지에서 늘어뜨린 줄(103)에 대한 지구중력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2 에서 알 수 있듯이, 달(100)이 3시 방향(303)에 있든, 6시 방향(302)에 있든, 10시 방향(301)에 있든 달(100)에서 늘어뜨린 줄(103)과 승강기(102)는 지구(101) 중력에 의한 영향 때문에 항상 지표면에 수직이며, 달(100)의 질량이나 지구(101)의 질량이 승강기(102)나 승강기(102)에 실린 화물의 질량에 비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줄(103)의 질량이나, 승강기(102) 및 화물의 이동에 따른 달(100)과 지구(101)의 영향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는 지구(101)상의 물체 중 로켓이나 위성이 우주로 나가도 지구(101)의 궤도가 거의 영향 받지 않는 것과 같다.
3시 방향(303)의 모습은 승강기(102)가 달(100)에 있을 때의 모습이다. 승강기(102)가 지구(101)로부터 화물이나 인간을 수송해 올수도 있고, 달(100)에서 채 취한 자원을 승강기(102)에 실어서 지구(101)로 보낼 수도 있다.
6시 방향(302)의 모습은 승강기(102)가 정지위성 궤도(206)에 도달한 모습으로, 지구(101)상에서 위성들을 쏘아 올릴 때, 이를 승강기(102)가 대신하여 정지위성 궤도(206)까지 수송하고, 정지위성 궤도(206)에서 위성들이 자체 추진연료로 추진하여 본연의 위성궤도에 올리는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달(100) 승강기(102)를 활용하여 위성을 수송하게 되면, 위성을 정확히 원하는 높이로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성이 자신의 연료를 충분히 갖는 상태로 운반할 수 있기에 위성의 수명이 현재의 방법에 비해 몇배 이상 연장될 수 있다.
10시 방향(301)의 모습은 달 승강기(102)가 지구(101)상의 수송센터인 지구기지(300)에 도달한 모습이다. 이때, 승강기(102)에 화물 및 인간을 싣거나 내리고, 승강기(102) 및 달(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줄(103)의 끝엔 통신기기(208)를 설치하여 지구기지(300)와 교신하여 정확한 위치 및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추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달 승강기(102)를 이용하면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추락의 가능성은 있으나, 대류권 내에서는 낙하산등을 이용하여 탈출 할 수 있고, 또한 상황발생시 폭발에 비해서 대처할 시간을 가질 수 있기에 로켓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안전한 편이다.
또한, 달(100)의 개발 및 자원 채취시에 달(100)에 인간이 거주할 공간을 만들고 생활하기 위해선 엄청난 양의 물량을 수송해야 하나 지금의 로켓을 이용한 방법으론 상당한 제약과 비용이 따른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달(100)에 저렴 한 비용으로 많은 물량을 수송가능하고, 또한 달(100)에서 채취한 자원을 지구(101)상으로 손쉽게 수송할 수 있다. 달(100)의 자원 개발시엔 상시적인 수송수단이 필요하며, 달 승강기(102)는 이러한 개발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현재에도 고가의 우주여행 상품이 출시되어 있지만, 달 승강기(102)가 설치된다면 저렴한 우주여행이 가능해져 상업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으며, 인공위성 및 각종 탐사선의 발사와 같은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 달 승강기(102)가 지구(101)상에서 위성 등의 화물을 싣고서 정지위성 궤도(206)까지 운송하기 위해선,
승강기(102)가 지구기지(300)에 착륙하는 단계,
승강기(102)가 지구기지(300)에서 위성 등의 화물을 싣는 단계,
달(100)기지에서 모터(106)를 가동하여 줄(103)을 정지위성궤도(206)까지 끌어올리거나, 달(100)기지에서 줄(103)을 통하여 승강기(102)에 전력을 공급하고 승강기(102)가 줄(103)을 타고 정지위성궤도(206)까지 올라오는 단계,
승강기(102)에서 위성 및 화물을 내리는 단계,
위성의 자체 추진에 의해서 위성이 본궤도에 오르는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달 승강기(102)가 지구(101)상에서 화물이나 인력을 싣고서 달(100)에 운송하기 위해선
지구기지(300)에서 승강기(102)에 화물이나 인력을 싣는 단계,
달(100)기지에서 모터(106)를 가동하여 줄(103)을 달(100)까지 끌어올리거나, 달(100)기지에서 줄(103)을 통하여 승강기(102)에 전력을 공급하고 승강기 (102)가 줄(103)을 타고 달(100)까지 이동하는 단계,
달(100)에서 승강기(102)에 화물이나 인력을 싣고서, 승강기(102)를 지구(101)로 내려 보내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승강기(102)에 동력을 전달하여 승강기(102)가 달(100)까지 온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승강기(102)가 줄(103)을 타고 지구(101)로 이동하면 되나, 줄(103) 자체를 끌어올린 경우에는 승강기(102)와 줄(103)을 지구(101)를 향하여 발사시켜 줘야 한다. 달(100)의 인력이 지구(101)보다 작고 대기가 거의 없으므로, 지구(101)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지구(101)로 보낼 수 있다.
승강기(102)에 줄(103)을 통해서 동력을 전달하여 승강기(102) 자체가 이동하게 하는게 효율적이며, 또한 현재에도 전력선이나 철로선(지하철등)을 통한 동력(전기)공급이 구현된 상태이므로, 전력공급에 문제가 없다.
달(100)에 모터(106)를 설치하고, 줄(103)을 잡아당길 수 있게 하는 이유는, 줄(103)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지구기지(300)를 운영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며, 지구(101)의 자전으로 인하여 줄(103)이 지표상 또는 항공기의 운행에 방해가 될 수 있기에, 줄(103)을 평상시에 끌어올려 대류권계면(207)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을 응용한 것으로, 달과 연결된 우주기지(107)를 이용한 다중 승강기(102) 시스템이다. 기존의 우주기지(107)인 우주정거장은 공중에 떠있기 위하여 우주정거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주위를 회전함에 의해서, 중력이 구심력의 역할을 하고, 우주정거장의 속도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이 중력과 평형을 이뤄 우주공간상에 떠있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우주정거장의 문제점은 우주정거장이 궤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추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연료공급이 이루어 져야 하기에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하고, 무중력상태에 있게 됨에 따라 연구원들이 장시간 거주하기가 어려워 지속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점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우주정거장과 달리 한번 설치하면 회전에 따른 연료소모가 없으며, 우주기지(107)와 그안의 사람이 지구 중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힘을 받고 있으나, 우주기지(107)가 달(100)에 묶여 있음에 의해서 지구에서와 같은 중력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달(100)에 묶여있는 우주기지(107)안의 사람은 지구(101)상에서 그네위에 올라가 있는 사람을 생각해 보면 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지구(101)의 중력은 그네와 그네 위의 사람모두에게 같이 작용한다. 이때 그네의 받침판은 지구(101)에서 잡아당기는 크기만큼, 줄이 그네의 받침판을 잡아당겨서 그네 자체에 작용하는 순힘은 0이 되고, 그네는 지구방향으로 가속되지 않는다. 반면에 그네위에 있는 사람에게 작용하는 힘은 중력이고, 그네위의 사람은 중력에 의해서 땅으로 가속된다. 즉 사람은 그네에 대해서 상대적인 가속도 g를 갖게 되는 것이다. 사람은 이 힘을 자신이 밟고 있는 그네에 전달하고, 그네는 작용반작용 원리에 의해서 사람에게 그힘 만큼 돌려주어 사람이 그네위에 있게 된다. 사람이 그네위에 있는 상태에서 그네줄이 없어지면, 사람은 바로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반면에 현재 우주정거장에서의 무중력 상태는 우주정거장의 거리로 인하여 중력이 작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원적으로는 우주정거장과 사람이 모두 지구 (101)에 대해서 동일한 가속도를 가지므로, 다시말해 우주정거장안에 있는 사람과 우주정거장의 바닥이 모두 같은 가속도로 지구(101)로 낙하하기 때문에 지구(101)에서처럼 사람을 받쳐줄 힘이 없게 되어 무중력상태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표현으로는 우주정거장이 가지는 속도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이 중력과 상쇄되어 우주정거장과 우주정거장 안에 있는 사람은 순힘이 0이기 때문에 무중력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무중력 상태는 지구(101)상에서 우주비행사들이 훈련할 때 쓰는 높은 고도의 비행기에서 비행기를 자유낙하시키는 방법을 생각하면 그 원리를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비행기를 자유낙하시키면 비행기도 중력가속도 g로 낙하하고, 그 비행기안에 있는 사람 또한 중력가속도 g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비행기나 그안에 있는 사람 모두 같은 가속도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서로간에 상대가속도가 0이 되게 되고, 따라서, 서로 힘을 미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사람이 비행기를 밟고 서 있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면에 지상에서 사람이 그네위에 서있을 수 있는 이유는 사람은 중력에 의해서 힘을 받아 낙하하고 있는데 반하여, 그네는 중력과 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서로 상쇄되어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간에 상대가속도가 g만큼 차이가 나게 되어 사람이 그네의 받침판을 밟고 서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달(100)에 줄1(131)로 묶여있는 우주기지(107)는 지구(101) 중력에 의해서 힘을 받고 있다. 이때 우주기지(107) 전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우주기지(107)를 묶고 있는 줄1(131)의 장력에 의해서 상쇄되는 반면, 그 우주기지(107) 안에 있는 사 람은 지구(101)의 중력에 의한 힘을 받는다. 달(100)에 묶여있는 우주기지(107)는 자체 추진에 의해서 회전하는 우주정거장과 달리 처음부터 중력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달(100)이 지구(101)주위를 공전함에 의해서 속도변화가 있게 되고 이러한 속도변화는 곧 가속도이며, 이러한 가속도는 중력과 유사하게 바닥을 밟고 서있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주기지(107)를 건설하고, 그 우주기지(107)안에 모터(133)를 설치하여 지구상의 화물과 인간을 우주로 수송하면, 달(100)에 모터(106)를 설치하고 승강기(102)를 움직였던 것에 비해서 좀더 효율적인 운행을 할 수 있다. 가령 달(100)에서 모터(106)를 가동해서 줄1(131)을 잡아당기게 되면 줄전체(131,132)를 끌어 움직여야 되나, 우주기지(107)안에 모터(133)를 설치하여 운행하면, 우주기지(107)로부터 지상까지의 줄2(132)만을 움직이면 되기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우주기지(107)는 우주실험실 및 관공용도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 달 승강기(102)가 지구(101)상에서 위성 등의 화물을 싣고서 인공위성 궤도(206)까지 운송하기 위해선,
승강기(102)가 지표상에 착륙하는 단계,
승강기(102)가 지표상에서 위성 등의 화물을 싣는 단계,
우주기지(107)에서 모터(133)를 가동하여 줄2(132)를 위성궤도까지 끌어올리거나, 우주기지(107)에서 줄2(132)를 통하여 승강기(102)에 전력을 공급하고 승강기(102)가 줄2(132)를 타고 위성궤도까지 올라오는 단계,
승강기(102)에서 위성 및 화물을 내리는 단계,
위성의 자체 추진에 의해서 위성이 본궤도에 오르는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표상의 어떤 지지대 없이도 공중에 줄을 설치 할 수 있으며, 이 줄이 중력의 특성으로 인해서 지구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우리의 머리위쪽에 있을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로켓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당히 안전한 편이다. 또한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화학연료에 비해서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은 현재에도 수요가 많이 있는 위성의 발사 및 우주탐사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달탐사 및 달에 있는 자원의 수송시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방법에 비해 저렴한 방법으로 상업적인 우주여행 및 달 여행도 제공 가능하다.

Claims (2)

  1. 우주로 화물 및 인간을 수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달(100)의 지표면중 지구(101)에서 가까우며 지구(101)와의 거리 변동이 작은 지점에 달(100)기지를 건설하고, 동력을 공급할 발전소(105)와 줄(103)을 움직일 수 있는 모터(106)를 설치하는 단계,
    달(100)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줄(103)의 한쪽 끝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줄(103)을 달(100)에서 지구(101)로 늘어뜨리는 단계,
    달(100)에서 늘어뜨린 줄(103)이 만나는 지표상의 지점중, 접근성이 용이하고, 항공기의 운항 및 기후의 영향이 적으며 달(100)에 가까운 지점에 지구기지(300)를 건설하는 단계,
    달(100)에서 늘어뜨린 줄(103)에 승강기(102)를 설치하는 단계,
    승강기(102)에 달(100) 및 우주로 운송할 화물과 인간을 탑승시키는 단계,
    줄(103)을 통하여 승강기(102) 및 달(100)기지에 동력을 공급하는 단계,
    승강기(102)에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기(102)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거나, 줄(103)을 잡아당겨 승강기(10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화물 및 인간을 우주로 수송하는 단계를 갖는 달 승강기(102) 시스템
  2. 우주로 화물 및 인간을 수송하는 방법 및 우주기지 형태에 있어서
    달(100)에 연결된 줄(131)로 인하여 지구상공에 떠있을 수 있는 우주기지(107)를 우주공간상에 설치하는 단계,
    우주기지(107)에 모터(133)를 설치하고 지표상으로 줄(132)을 내리는 단계,
    우주기지(107)에서 내려온 줄(132)에 승강기(102)를 설치하는 단계,
    승강기(102)에 우주로 운송할 화물과 인간을 탑승시키는 단계,
    승강기(102)에 동력을 공급하여 승강기(102)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거나, 줄(132)을 잡아당겨 승강기(10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화물 및 인간을 우주로 수송하는 단계를 갖는 승강기(102) 시스템 및 우주기지(107)
KR1020060048506A 2006-05-25 2006-05-25 달 승강기 KR20070113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506A KR20070113934A (ko) 2006-05-25 2006-05-25 달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506A KR20070113934A (ko) 2006-05-25 2006-05-25 달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34A true KR20070113934A (ko) 2007-11-29

Family

ID=3909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506A KR20070113934A (ko) 2006-05-25 2006-05-25 달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9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5107C2 (ru) * 2016-05-11 2018-08-28 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Головко Космическая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Луна - Земля
WO2021058356A2 (en) 2019-09-15 2021-04-01 Margescu George Alain Device transport by air
SE2200043A1 (en) * 2022-04-20 2023-10-21 Margescu George Alain DEVICE TRANSPORT by 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5107C2 (ru) * 2016-05-11 2018-08-28 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Головко Космическая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Луна - Земля
WO2021058356A2 (en) 2019-09-15 2021-04-01 Margescu George Alain Device transport by air
SE2200043A1 (en) * 2022-04-20 2023-10-21 Margescu George Alain DEVICE TRANSPORT by 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8956B2 (ja) ロケット発射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ロケット輸送デバイス
Cherubini et al. Airborne Wind Energy Systems: A review of the technologies
EP2874875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launching
CN106005477B (zh) 一种地球天梯系统
US8240598B2 (en) Airborne elevator apparatus
RU2231474C2 (ru) Запуск высотных дирижаблей
US11014692B2 (en) Elevated load-bearing platform
WO2023149132A1 (ja) 打上方法、打上装置、加速方法、マスドライバ、輸送システム
KR20070113934A (ko) 달 승강기
US2015022505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ving objects based on a buoyancy force
Knapman et al. Design concepts for the first 40 km a key step for the space elevator
CN113195362A (zh) 全球运输系统和用于将有效载荷置于圆形轨道中的方法
CN109398758A (zh) 一种用于服务空间站的太空浮岛
JP7130226B2 (ja) 月面基地供給方法及び着陸補助装置
RU2665107C2 (ru) Космическая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Луна - Земля
RU121233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земля-луна"
RU133098U1 (ru) Система вывода грузов на орбиту
US20110218378A1 (en) Off-planet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WO2011159345A1 (en) Airborne elevator apparatus
Wijnans et al. Bare electrodynamic tape tether experiment onboard the Delfi-1 University Satellite
CN107804481A (zh) 飞艇助推系统
US20230227179A1 (en) System and method of energy and mass transfer in low-gravity environments
Ishikawa Space Elevator for Space-Resource Mining
CN101885335A (zh) 地空隧道及其登天列车的构建方法
Kanpman Dynamically supported launch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