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785A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with track pointer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with track pointer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3785A KR20070113785A KR1020060047523A KR20060047523A KR20070113785A KR 20070113785 A KR20070113785 A KR 20070113785A KR 1020060047523 A KR1020060047523 A KR 1020060047523A KR 20060047523 A KR20060047523 A KR 20060047523A KR 20070113785 A KR20070113785 A KR 200701137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coordinate data
- track pointer
- digital
- pres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장치로서,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포함한다. 트랙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확인 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apturing images in a photographing mode and storing the images in a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the image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a reproduction mode, including a track pointer and a confirmation key. The track pointer generates coordinate data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direction pressed by the user. The confirmation key informs that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is activated as pressed by the us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3은 도 1의 트랙 포인터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ck pointer of FIG. 1.
도 4는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activation area is set by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key of FIG. 3 in the single playback mode.
도 5는 도 4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새로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new activation area is set while the activation area of FIG. 4 is enlarged and displayed.
도 6은 도 5의 새로운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new activation area of FIG. 5 is enlarged and displayed.
도 7은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of FIG. 2 in a single playback mode.
도 8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이 선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llustrates that thumbnail images are selected by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key of FIG. 3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도 9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에 의하여 복수 의 썸네일 영상들이 활성화 영역에 포함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are included in an active area by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key of FIG. 3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도 10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of FIG. 2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디지털 카메라, 13...셔터 릴리즈 버튼, 1 ... digital camera, 13 ... shutter release button,
14...모드 다이얼, 15...트랙 포인터,14 ... mode dial, 15 ... track pointer,
16...확인 키, 17...뷰 파인더,16 ... OK key, 17 ... Viewfinder,
35...칼라 LCD 패널, 42...재생 모드 버튼, 35 color LCD panel, 42 play mode button,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39 W ... wide-zoom button, 39 T ... tele-zoom button,
OPS...광학계, OEC...광전 변환부, OPS ... optical system, OEC ...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MZ...줌 모터, MF...포커스 모터, M Z ... zoom motor, M F ... focus motor,
MA...조리개(aperture) 모터, 501...CDS-ADC 소자, M A ... aperture motor, 501 ... CDS-ADC element,
502...타이밍 회로, 503...실시간 클럭, 502 timing circuit, 503 real time clock,
504...DRAM, 505...EEPROM, 504 ... DRAM, 505 ... EEPROM,
506...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507...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6 memory card interface, 507 digital camera processor,
508...RS232C 인터페이스, 509...비데오 필터, 508 ... RS232C interface, 509 ... video filter,
21a...USB 접속부, 21b...RS232C 접속부, 21a ... USB connection, 21b ... RS232C connection,
21c...비데오 출력부, 510...구동부,21c ... video output, 510 ... drive,
511...플래시 제어기, 512...마이크로제어기, 511 ... flash controller, 512 ... microcontroller,
INP...사용자 입력부, LAMP...발광부, INP ... user input, LAMP ... light emitter,
513...오디오 처리기, 514...LCD 구동부,513 audio processor, 514 LCD driver,
CA...캡, ST...스틱,CA ... cap, ST ... stick,
PA...신축성 평판, SLD, SRD...뒤틀림 센서들,PA ... Elastic Plate, S LD , S RD ... Torsion Sensors,
15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52...좌표 데이터 발생기,151 analog-to-digital converter, 152 coordinate data generator,
35S...화면, CU...커서, 35S ... screen, CU ... cursor,
IN...다음 페이지 아이콘.I N ... next page ico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방향 신호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되었던 2004년도 미국 공개 번호 제119,876호(발명의 명칭 : Method of notification of inadequate picture quality)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 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방향 신호들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A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of 2004 United States Publication No. 119,876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of notification of inadequate picture quality), filed by the applicant, captures images in a shooting mode. They are sequentially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images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signals from the user in the reproduction mode.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방향 버튼들, 영상-배율 확대 버튼, 및 영상-배율 축소 버튼을 누르면서 시행착오적이고 반복적인 조작을 하여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In the single playback mode in which each of the single images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user performs trial and error operation repeatedly while pressing the direction buttons, the image-magnification zoom button, and the image-magnification zoom button to enlarge a specific area. There is a difficulty that must be done.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방향 버튼들 및 확인 버튼을 사용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삭제하거나 이동시켜야만 한다.Further,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individually select each of the thumbnail images using the direction buttons and the confirm button. Accordingly, when the user wants to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among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one screen, the user must individually delete or move each of the files of the specific thumbnail images.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게 하고,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thereof, which enables a user to easily enlarge a certain area in a single playback mode, and to simultaneously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in a thumbnail playback mode. To provide a way.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영상들을 포착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들을 재생 모드에서 재생하는 장치로서,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확인 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for capturing and storing images in a recording mode and reproducing the image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in a reproduction mode. Include. The track pointer generates coordinate data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direction pressed by the user. The confirmation key informs that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is activated as pressed by the user.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트랙 포인터, 및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리는 확인 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이 제어 방법은, 재생 모드에서, 상기 확인 키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트랙 포인터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활성화 영역을 설정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ck pointer for generating coordinate data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direction pressed by the user, and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in accordance with the user pressed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confirmation key indicating that the is activated. In the control mode, in the playback mode, when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is changed while the confirmation key is pressed, the coordinate at the tim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pressed and the coordinate at the time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pressed are finished. Sets the active areas of the rectangles facing each other in the diagonal direction.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In the single playback mode in which each of the single images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user can easily set the activation area using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key to enlarge a certain area. Thus, in the single playback mode, the user can easily enlarge any specific area.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 안으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when the user wants to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among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one screen, the user may check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It is easy to introduce specific thumbnail pictures into the activation area using the key. Therefore,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the user may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at the same ti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전자 뷰-파인더(Electronic View-Finder, 17), 칼라 LCD 패널(35), 트랙 포인터(15), 확인 키(16), 및 재생 모드 버튼(4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모드 다이얼(14)은 카메라의 촬영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트랙 포인터(15)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압력 및 방향에 따라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확인 키(16)는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짐에 따라 트랙 포인터(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활성화됨을 알린다.The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프리뷰(Preview) 모드로의 전환에 사용된다. The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트랙 포인터(15)와 확인 키(16) 등을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 신호들을 발생시킨다.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ing the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Zoom button (39w) or telephoto (telephoto) - - the user and the wide angle (wide angle) in the user input (INP) by pressing the zoom button (39 T), a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by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Reference symbo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주 제어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기능 버튼들(15), 및 재생 모드 버튼(42) 등을 포함한다. Indicator lamps ar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 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A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한편,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트랙 포인터(15)는 사용자 조작부, 뒤틀림 센서들(SLD, SRD),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 및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사용자 조작부에서는, 신축성 평판(PA) 위에 스틱(ST)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틱(ST) 위에 손잡이용 캡(CA)이 부착된다. In the user operation unit, the stick S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tretchable flat plate PA, and the handle cap CA is attached to the stick ST.
뒤틀림 센서들(SLD, SRD)은, 신축성 평판(PA)의 각 부분 밑에 부착되어, 신축 성 평판(PA)의 각 부분의 압축 또는 늘어남에 상응하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torsion sensors S LD and S RD are attached under each part of the stretchable plate PA to generate respective analog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or stretching of each part of the stretchable plate PA.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는 뒤틀림 센서들(SLD, SRD)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The analog-to-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1)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에 상응하는 좌표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좌표 데이터 발생기(152)로부터의 좌표 데이터는 마이크로 제어기(도 2의 512)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도 2의 507)에 입력된다. Coordinate
도 4는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다. 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4 shows that the activation area is set by the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또 설정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telephoto-zoom button 39 T while the activation area is se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the activation area of FIG. 4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Here, when the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또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활성화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telephoto-zoom button 39 T while the activation area is set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the activation area of FIG. 5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이에 따라,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도 4 내지 6 참조)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를 사용하여 원하는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ingle playback mode (refer to FIGS. 4 to 6) in which each of the single images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user can use the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단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제어 알고리듬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to 7,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최근에 저장되었던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1).First, the
다음에,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단계 S70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705). Next, when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15 in FIGS. 1 and 3) is changed (step S703), the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가 아니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커서(CU)를 이동시킨다(단계 S707). 현재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단일 영상이 확대 상태이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킨다(단계 S709). If the single image currently displayed is not in the enlarged state, the
커서(CU)의 이동(단계 S707) 과정에서 현재 좌표가 화면상의 경계 좌표이면(단계 S71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다음 파일 또는 이전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단계 S713) 상기 단계 S703 및 그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If the current coordinate is the boundary coordinate on the scree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CU (step S707) (step S711), the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를 급격히 조작하여 커서(CU)가 우변에 빠르게 도착하게 함으로써 다음 파일을 신속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15)를 급격히 조작하여 커서(CU)가 좌변에 빠르게 도착하게 함으로써 이전 파일을 신속히 재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can quickly play the next file by rapidly manipulating the track pointer (15 in FIGS. 1 and 3) so that the cursor CU arrives at the right side quickly. In addition, the user can rapidly play back the previous file by manipulating the
한편, 사용자가 확인 키(16)를 누름에 의하여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1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커서(CU)의 현재 위치(도 4 또는 5의 A 점)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717).On the other hand, when a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confirmation key 16 (step S715), the
다음에, 트랙 포인터(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고(단계 S719), 확인 키(16)가 설정 시간보다 길게 눌려짐에 의한 연속적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2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좌표로부터 커서(CU)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방향에 따른 활성화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23).Next, when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다음에, 상기 연속적 확인 신호가 종료되면(단계 S725),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활성화 영역의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727).Next, when the continuous confirmation signal ends (step S725),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 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도 4 내지 6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activation area is a rectangular area in which coordinates a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다음에,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39T)을 누름에 의하여 망원-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29),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영상-배율을 확대하여 활성화 영역을 화면(35S) 전체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35, 도 4 내지 6 참조). Next, when the tele-zoom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tele-zoom button 39 T (step S729), the
또한,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39W)을 누름에 의하여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영상-배율을 축소하여 이전 화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37).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 상태에서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도 5의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737). 물론, 활성화 영역은 다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의 화면 상태에서 광각-줌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731), 도 4의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737). In addition, when the wide-zoom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wide-zoom button 39 W (step S731), the
상기 단계들 S703 내지 S737은 외부적인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733).Steps S703 to S737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an external end signal is generated (step S733).
도 8은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썸네일 영상들 각각이 선택됨을 보여준다.FIG. 8 shows that each of thumbnail images is selected by the
도 8을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도 3의 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썸네일 영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 가 발생되면, 좌상단의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우하단의 썸네일 영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 우하단의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상기와 같이 어느 한 썸네일 영상이 선택된 경우, 동작 모드는 상기 도 7의 단일 재생 모드로 전환된다.When any one thumbnail image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single playback mode of FIG. 7.
한편,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다음 페이지 아이콘(IN)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 다음 페이지의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도 9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3의 트랙 포인터(15) 및 확인 키(16)에 의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활성화 영역에 포함됨을 보여준다.FIG. 9 shows that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are included in an active area by the
도 9를 참조하면, 트랙 포인터(15)가 조작되어 화면(35S)상의 A 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인 키(도 1의 16)를 누르면서 트랙 포인터(15)를 조작하여 B 점을 지정하면, 커서(CU)의 이동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활성화 영역이 설정된다. 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이와 같이 활성화 영역이 설정됨에 의하여, 사용자는 선택된 4 개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By setting the activation area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imultaneously delete or move files of the selected four thumbnail images.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제어 알고리듬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to 10,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먼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최근에 저장되었던 파일의 썸네일 영상이 포함된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01).First, the
다음에, 트랙 포인터(도 1 및 3의 15)로부터의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면(단계 S10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변경된 좌표 데이터에 따라 커서(CU)를 이동시킨다(단계 S105). Next, when the coordinate data from the track pointer (15 in FIGS. 1 and 3) is changed (step S103), the
다음에, 사용자가 확인 키(16)를 누름에 의하여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0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커서(CU)의 현재 위치(도 9의 A 점)의 제1 좌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109).Next, when a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confirmation key 16 (step S107), the
다음에, 트랙 포인터(15)의 조작에 의하여 커서(CU)가 화면(35S) 좌상단의 다음 페이지 아이콘(IN)에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다음 페이지의 9 개의 썸네일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3).Next,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한편, 상기 단계 S109에서 좌표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좌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단계 S115) 확인 키(16)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제1 좌표 데이터의 썸네일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 후(단계 S121), 상기 도 7의 단계 S703 및 그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단계 S123). 즉, 단일 재생 모드가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상기 단계 S109에서 좌표 데이터가 저장된 후에 좌표 데이터가 또다시 변경되는 상태에서(단계 S115) 확인 키(16)가 설정 시간보다 길게 눌려짐에 의한 연속적 확인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19),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제1 좌표로부터 커서(CU)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방향에 따른 활성화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25).In the state where the coordinate data is changed again after the coordinate data is stored in the step S109 (step S115), if a continuous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key 16 longer than the set time (step S119), the
다음에, 상기 연속적 확인 신호가 종료되면(단계 S127),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고유 번호들을 저장한다(단계 S129).Next, when the continuous confirmation signal ends (step S127),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은, 확인 키(16)의 눌림이 시작된 시점의 좌표와, 상기 확인 키(16)의 눌림이 종료된 시점의 좌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의 영역이다(도 9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activation area is a rectangular area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다음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삭제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31),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기록 매체에서 삭제한다(단계 S131). Next, when a dele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step S131), the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133),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 영역의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설정된 기록 매체 또는 폴더로 이동시킨다(단계 S139). Further, when a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step S133), the
상기 단계들 S103 내지 S139는 외부적인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S135).The steps S103 to S139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an external end signal is generated (step S135).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단일 영상들 각각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어느 특정 영역을 쉽게 확대할 수 있다.In the single playback mode in which each of the single images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user can easily set the activation area using the track pointer and the confirmation key to enlarge a certain area. Thus, in the single playback mode, the user can easily enlarge any specific area.
또한, 복수의 썸네일 영상들이 서로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재생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썸네일 영상들 중에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트랙 포인터 및 확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 안으로 특정 썸네일 영상들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는 특정 썸네일 영상들의 파일들을 동시에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when the user wants to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among the thumbnail images displayed on one screen, the user may use a track pointer and a confirmation key. It is possible to easily introduce specific thumbnail images into the active area using. Therefore, in the thumbnail playback mode, the user may delete or move files of specific thumbnail image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en) | 2006-05-26 | 2006-05-26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en) | 2006-05-26 | 2006-05-26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3785A true KR20070113785A (en) | 2007-11-29 |
KR101235804B1 KR101235804B1 (en) | 2013-02-21 |
Family
ID=3909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7523A KR101235804B1 (en) | 2006-05-26 | 2006-05-26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580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789B1 (en) * | 2002-12-27 | 2008-09-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rack pointer and pointer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1109582B1 (en) * | 2004-11-02 | 2012-0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Zoom Posi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
-
2006
- 2006-05-26 KR KR1020060047523A patent/KR10123580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5804B1 (en) | 2013-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8025B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dual thumbnail mode | |
JP4795297B2 (en) |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0379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to secure storage space using resolution change | |
US9154758B2 (en) |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with concurrent live view frame and picture image processing | |
JPH10313444A (en) |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recording medium | |
JP2008242812A (en) | Image playback device and program | |
KR100548006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KR100515961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camera performing re-compression | |
KR101235804B1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 |
KR101080404B1 (en) |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 |
KR101086407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fficient playback opera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JP4671989B2 (en) | camera | |
KR10130446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is performed | |
KR101351579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nient setting of white balance | |
JP2005347885A (en) | Imaging unit, photographing range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 |
JP5115523B2 (en) | Imaging apparatus, imaging range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 |
KR101058023B1 (en) | Image Rotating Device and Method | |
KR101333726B1 (en)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still images are efficiently captured from moving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KR100673959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quick file management,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is method | |
KR100548005B1 (en) |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 |
JP457111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JP431071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KR20090077490A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capturing and playing back moving and still images simultaneously and its control method | |
JPH10290433A (en) | Information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 |
JP2007096682A (en) | Digital came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