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164A -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164A
KR20070113164A KR1020070050479A KR20070050479A KR20070113164A KR 20070113164 A KR20070113164 A KR 20070113164A KR 1020070050479 A KR1020070050479 A KR 1020070050479A KR 20070050479 A KR20070050479 A KR 20070050479A KR 20070113164 A KR20070113164 A KR 20070113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ower
diversity
outgoing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센트 프랑수와 엠.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filed Critical 소시에떼 프랑세즈 뒤 라디오텔레폰
Publication of KR2007011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MBMS)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WCDMA 타입 이동전화 네트워크(RT)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 네트워크(RT)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예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터(DD)에 대하여, 네트워크(RT)의 예측 커버리지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CT)을 생성(10)하는 단계
-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20)하는 단계와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30)하는 단계;
- 송출 다이버시티가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MBMS)에 요구되는 적어도 전송 채널의 수(N)의 함수로서 설정되어야 하는 셀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생성(40)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METHOD OF OPTIMISING THE CAPACITY OF A MOBILE TELEPHONY NETWORK FOR THE CREATION OF SERVICES WITH A PREDOMINANTLY DOWNLINK FLOW}
-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1 실시예의 주요 스텝을 나타낸다.
-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계획된 트래픽 맵을 생성하기 위한 스텝의 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시 가용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스텝의 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재시 가용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스텝의 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하는 셀의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스텝의 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 도6은 첫번째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사용되는 시뮬레이터의 1 실시예 및 두번째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계획된 트래픽 맵을 상세히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화, 특히 3세대 이동전화 네트워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동전화의 분야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3세대 이동전화 네트워크는, 초당 메가바이트 오더의 패스 밴드로, 다양한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세대의 이동전화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각 유저에 대한 원 타임 인터벌을 갖는 복수의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이들 모든 유저는 그들의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불리는, 데이터 프레임의 분할은 매우 높은 전송율(속도)을 제공할 수 없다.
3세대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는, 복수의 이동전화 단말이 상이한 코드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하는 상이한 코드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불린다. 3세대 전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최근의 개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두 가지 형태의 무선 주파수 분할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UMTS-HSDPA(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타입의 시스템은 시간 간격 및 상이한 코드로 상이한 가입자를 다중화하도록 한다.
예컨대, 유럽에 있어서의 3세대(3G) 이동전화 네트워크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규정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를 사용한다. UMTS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은 초당 1 메가바이트 오더의 패스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R99(Release 99)로 불리는 UMTS의 현행 버전은, 적어도 다운링크 방향에 있어서, 즉 송출기 또는 송수신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으로부터 그들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보통 "셀"이라 칭함)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까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높은 패스 밴드를 달성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로 점차적으로 교체되고 있다. 이들 새로운 전송 기술은 오퍼레이터가, 비디오폰, 인터넷 브라우징,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MBMS)와 같은 진보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 분야에서 일어나는 한 문제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및 가입자에 의한 사용의 함수로서의 무선 자원 처리(Radio Resource Management : RRM)이다. 실제로 이동전화 네트워크의 주파수의 양호한 이용(또는 오퍼레이션)은 업링크 방향 및 다운링크 방향 모두에 있어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최적화된 처리를 요한다. 이들 현대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셀 내의 전송 속도는 유저에 의한 다양한 서비스의 사용의 함수로서 신속히 또한 엄청나게 변한다. 따라서,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존재하는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송수신 기지국(BTS)을 통과하는 데이터 흐름의 효율적인 동적 처리를 가능케하고 또한 공급된 서비스의 질을 모니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3세대 시스템에 사용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에 의해, 전송이 비대칭으로 되고 있다. 즉, 다운링크 플로우(송수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까지)가 업링크 플로우(단말로부터 송수신 기지국까지)보다 높다. 이에 따라, 예컨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이 다운링크상에만 프리 패스밴드를 갖는 것이다. 그에 수반되는 문제는 이와 같은 비대칭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코스트 및 라디오일렉트릭 스펙트럼을 촤소화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은 송수신 기지국(BTS)의 파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WCDMA 이동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다운링크 방향만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없고, 그 증가는 용량의 증가를 제한하는 간섭을 증대시키는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은 또한, 부가 주파수(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솔루션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가용 주파수의 부족으로 인해 캐리어를 추가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지는 않으며, 이 솔루션은 또한 너무 고가이고 다운링크 방향만으로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 끝으로, 종래 기술은 수신 다이버시티 또는 송출 다이버시티로 인해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기술하고 있다. 수신 다이버시티는, 제1 안테나와 동일한 방식으로, 송수신 기지국에 의해 송출된 신호를 모으는 제2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다음, 그의 두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상호관련시킴으로써 신호들을 재구성하여 송수신 기지국의 송출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사용시 이동 단말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개의 모바일에의 브로드캐스팅 서비스에 대해 적합한 솔루션은 아니다. 상기 지역에 대한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필요한 파워는 최소 효율 단말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 솔루션은, 이동 전화기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없다. 송출 다이버시티는, 부가 전송 채널상에 그 들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수신 기지국으로 구성되고 이동 단말은 이들이 상기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두 가지의 예의 동일한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 기지국에 필요한 파워는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용량이 증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송수신 기지국 상의 전송 채널의 부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여전히 고가로 된다. 따라서, 코스트를 최소화하기 위해, 송출 다이버시티가 설치되는 송수신 기지국을 초기에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다운링크 서비스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출 다이버시티가 부가되어야 하는 송수신 기지국을 정밀하게 타겟팅함으로써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래픽 추정으로부터 시작하고 네트워크에 부가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에 의존하여, 다운링크 서비스를 생성하여, 트래픽 분포를 관리하고, 송출 다이버시티가 설치되는 송수신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네트워크 내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생성하는 적어도 WCDMA 타입 이동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네트워크는 송수신 기지국라 불리는, 다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셀이라고 불리는, 영향 지역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설정하고, 이들 셀의 전부는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지역을 정의하고,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수행 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라 불리우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방법은,
-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의 예측 커버리지와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보유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이들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에 대해 생성되고,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소위 예정 트래픽 맵인,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맵의 형태로 그룹화되는, 단계;
-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에서 이용가능한 전력을 계산하고,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에서 이용가능한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이 두 계산은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수행되고,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전송의 기초가 되는 주파수(캐리어 주파수라 불림)에 의존적이고, 이들 결과는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는, 단계;
-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송출 다이버시티가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에 요구되는 전송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수(N)의 함수로서 설정되어야 하는 셀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이 리스트는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계들은 네트워크에 대한 다수의 예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에 대하여 네트워크의 디플로이먼트에 앞서 실행되고 이들 데이터 각각에 대해 반복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의 생성 단계는,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송수신 기지국과 관련한 고도 및 지리적 데이터로부터 추정되고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의 신호 감쇠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단계는 결과적으로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의 생성 단계는,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 각각과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기지국과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에 단말에 억세스하는 이 확률은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에 따라 결정되며, 이 예상되는 수신 레벨은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는 송수신 기지국의 최대 파워에 상응하며, 송수신 기지국의 최대 파워 레벨은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들 메모리 수단에서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각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결합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로 이동통신 단말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고려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송수신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 간의 통신을 설정하는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 으로, 네트워크의 각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의 규격값은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이동통신 단말이 송수신 기지국과 통신을 설정하는 이 확률은 송수신 기지국의 셀에 위치하는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과 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로 이동통신 단말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이 소프트 핸드오버라 불리는 몇몇의 송수신 기지국과의 동시 통신을 설정하는 가능성을 고려하고, 속하는 셀에 대한 상응하는 송수신 기지국으로 인한 네트워크에서의 적어도 두 셀에 속하는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과, 최소 오버랩 임계값(SHO 임계값)간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를 사용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내에서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수신 기지국에서 송출 파워, 다른 말로 하면 네트워크에서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보유자에 의한 서비스의 사용에 필요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단계는 네트워크에서 셀 각각에서, 각 포인트에서의 트래픽에 할당된 가중치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 서비스로의 억세스 확률이 0이 아닌 각 포인트에서 파워의 합을 계산하고,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유효 트래픽 맵으로부터 출발하고, 네트워크의 이전 디플로이먼트 동안 먼저 계산된 유효 트래픽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각 셀의 개별 포인트 에 할당된 가중치는 트래픽 변화 계수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고 또한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트래픽 변화 예측에 기초하여 추정되며, 서비스로의 억세스의 확률이 영이 아닌 각 포인트에서 파워의 합은 개별 서비스로 단말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동안 계산된 예상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는 서비스로의 억세스하는 확률이 영이 아닌 각 지역에서의 파워의 합에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가 기초하는 기술의 효율에 따라 결정되는 파워 감소 계수를 곱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며, 이 파워 감소 계수는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 동안 측정된 파워를 가중치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가 기초하는 기술의 효율에 따라 결정되는 파워 감소 계수는 예정 트래픽 맵에 관해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네트워크에 대한 개별 디플로이먼트 데이트에 상응하는, 개별 트래픽 맵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사용되는 전송 기술의 변화로 인한 서비스의 효율의 변화를 고려하는 개별 파워 감소 계수와 각각 연관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따라서 현재 시뮬레이터의 처리 수단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예정 트래픽 맵과 일치하는 디플로이먼트 데이트에 상응하는 파워 감소 계수를 찾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네트워크의 각 셀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는,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캐리어의 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예정 트래픽이 전달된 후에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캐리어는 명목상의 파워를 가지는데, 그 퍼센테이지는 이 캐리어에 대한 신호 채널에 전용되고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비율로 나눠서, 그 다음 높은 정수로 이 나눗셈의 결과를 라운딩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예정 트래픽이 전달된 후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퍼센테이지와 계산된 캐리어의 수를 곱하여, 이 곱셈의 결과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빼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출 다이버시티가 존재할 때 네트워크의 각 셀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는, 시뮬레이터의 처리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리소스의 기기 재구성 동안, 네트워크 내에서의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제공되는 게인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게인은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로 인한 파워 감소의 적어도 하나의 계수로 나타나고, 네트워크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를 지지하는 각 채널과 신호 채널에 대해,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며, 이 게인 추정 단계는 네트워크 내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인스톨하는데 사용되는(또는 사용될 것인)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에 상응하는 송출 다이버시티를 더함으로써 파워 감소 계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은 각 송수신 기지국에 공통인 제1캐리어에 이용가능한 파워를 집중하여,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대 파워를 방출하고 송출 다이버시티를 인스톨하도록 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우선,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되는 게인이 가장 큰 서비스 타입에 송출 다이버시티가 인스톨되는 캐리어로 우선권을 주며, 다음으로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의 각 셀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가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송출 다이버시티를 가지는 이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의 퍼센테이지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게인이 가장 큰 서비스에 의해 이 캐리어에서 소비되는 파워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서 모든 셀에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최소 이용가능한 파워를 탐색하는 단계,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전송 채널의 적어도 소정 수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 및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이용가능한 파워가 전송 채널의 소정 수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워보다 작아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구하는 셀의 수와 리스트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송 채널의 적어도 소정 수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하는 셀의 수와 리스트를 탐색하 는 단계가 반복되고, 반복의 수는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에 전용되는 전송 채널의 최대 수와 동일하고, 연속적인 반복이 채널의 최대 수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의 증가하는 수에 도움이 되고, 이 채널의 최대수는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의 모든 셀에서 최소 이용가능한 파워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계산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수행되며,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반복에 의해, 채널의 증가수의 함수로서,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에 전용인 각 전송 채널을 실행하는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RT) 내의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치로 인해, 그 흐름이 다운링크 방향으로 주로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MBMS)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전화 네트워크(RT)의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세대 이동 전화 네트워크, 특히,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의해 지지되는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특히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의해 규정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을 만족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타입의 기술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R99(Release 99)로 불리는 UMTS의 현행 버전은, 점차적으로, 적어도 다운링크 방향에 있어서, 즉 송출기 또는 송수신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으로부터 그들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셀)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까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높은 패스 밴드를 달성할 수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 "서비스"는 본 명세서에서 "이동 전화 오퍼레이터"로 불리는 이동 전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정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임의 형태의 서비스를 칭한다. 이에 따라 용어 "MBMS 서비스"는, MBMS 기술을 사용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또는 UMTS 표준의 R99 버전에 의해 지지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R99 서비스" 또는 UMTS 표준의 HSPDA 버전에 의해 지지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HSPDA 서비스"를 지칭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R99 및 HSPDA는 실제로, 이동 전화 오퍼레이터가, 이들 오퍼레이터에 속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에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다양한 서비스는 그들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의 함수로서 본 설명에 있어서 함께 그룹화될 것이다. 예컨대,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통상적으로 전화 호출) 또는 (특히 IP 기능상의 보이스로 인해 R99 기술 또는 HSPDA 기술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는, 본 설명에 있어서, 소정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 형태에 따라 상기 용어 R99 서비스 또는 HSPDA 서비스 하에 그룹화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 "이동 통신 단말"은 UMTS 표준을 만족하는 이동전화 네트워크 내에 통신을 설정할 있는 임의 형태의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 용어는 휴대 전화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동전화 통신 수단이 제공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휴대형 컴퓨터를 지칭할 수도 있다. UMTS 표준에 특징적인 용어에 있어서, 송수신 기지국(BTS)은 통상적으로 "노드 B"로 불리나, 이 용어 "송수신 기지국(BTS)"은, 그들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설정하는 송수신 장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이어서, 본 설명에서 용어 "송수신 기지국"은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소정 셀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이동전화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모든 기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본 설명에 있어서, "송수신 기지국"은 소정 셀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모든 전자 기기(앰플리파이어, 안테나, 등)을 의미한다. 오퍼레이터는, 비디오폰 서비스, 인터넷 브라우징와 같은 많은 진보된 서비스 또는 MBMS 서비스(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와 같은 MBM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3세대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와 같이 이들 서비스 중 어떤 것은 예컨대, 주로 다운링크 플로우를 갖는다. 이들 비대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보통 "다운링크 파워"로 불리는) 다운링크의 파워는, 업링크상의 가용 전체 용량이 사용될 수 없도록, 다른 비대칭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파워를 남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전화 네트워크 내에 이 형태의 비대칭 서비스 설치하기 위해서는, 업링크 용량을 낭비하지 않도록, 다운링크 파워만 방출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는 서로 비호환적은 아니나, 그 효과가 전적으로 누적되지는 않는 두 솔루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들 두개의 솔루션은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수신 다이버시티"를 가하고 대칭 및 비대칭 서비스에 대한 송수신 기지국(BTS)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수신 다이버시티는, 제1 안테나와 동일한 방식으로, 송수신 기지국에 의해 송출된 신호를 모으는 제2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다음, 그의 두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상호관련시킴으로써 신호들을 재구성하여 동일한 수신 품질에 대해 송수신 기지국의 송출 파워를 감소시키며 이는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킨다. 이 솔루션은 HSPDA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 관찰되었고 모든 서비스를 포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솔루션에 의해 허용되는 네트워크 용량의 증가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에 죄우되어 이동 전화 오퍼레이터는 미리, 이 솔루션에 의해 제공될 게인을 결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송출 다이버시티는 부가 전송 채널상에 그들의 신호를 보내는 송수신 기지국들로 구성되어 두가지 예의 동일한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이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재구성한다. 이에 따라 송수신 기지국에 필요한 파워가 감소되어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솔루션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에 의존하지 않으며, 미리, 송출 다이버시티가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부가되어야 하는 셀을 예측할 수 있는 이동 전화 오퍼레이터에 으ㅢ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송출 다이버시티는, 예컨대 MBMS 서비스와 같은 주로 다운링크 플로우를 갖는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어떤 파워를 오퍼레이터가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새로운 서비스에 너무 많 은 파워를 할당할 경우, 다른 것의 질이 저하되고 통상의 호 승인 제어 절차는 너무 많은 호(call)의 거절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 오퍼레이터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필요 속도(전송율)의 함수로서 그의 네트워크 내에 구가 하용되기를 원하는 거절된 호의 비율에 따라 그 새로운 서비스에 할당하도록 원하는 파워를 선택한다. 따라서, 송수신 기지국상의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치는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변화에 따른 결정 임계치에 좌우된다. 그러나, 이 솔루션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무시할 수 없는 비용이 드는데, 그 이유는 부가 송출 채널이 송수신 기지국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부가 채널은 자체적으로 공지되어, 듀플렉서(동일한 케이블에 수신 및 송출을 결합하기 위한 필터) 또는 피더(안테나에 노드 B를 접속하는 동축 케이블)를 부가함으로써 수반되는 제2 증폭 채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실행을 위한 코스트를 최소화하도록, 네트워크 내의 송수신 기지국이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를 필요로 하는 것을 정밀하게 예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출 다이버시티가 부가되는 셀을 정밀하게 예측함으로써, 흐름이 다운링크 방향으로 주로 흐르는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로 인하여,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된다.
원래 공지된 상태로, 본 명세서에서 이동 전화 네트워크(RT)는 1조의 셀(CR)로 구성되는 그의 카버리지 지역에 따라 규정된다. 이들 셀의 각각은, 송수신 기지국(BTS)의 영향이 미치는 필드에 대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송수신 기지국(BTS)은 그들의 영향이 미치는 필드에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MP)과 통신을 설정하는 송수신기에 대응한다. 시뮬레이터(S)는, 네트워크(RT)의 카버리지 지역을 시뮬레이션하고 상이한 셀(CR)에 필요한 파워를 예측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은 네트워크(RT)의 배치 전에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이 네트워크(RT)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획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관련되도록 한다. 이동 전화 오퍼레이터는 신규 송수신 기지국, 신규 서비스 등을 셋업할 데이트를 계획한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은 수개의 계획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방법은 결국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를 선택하기 위한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방법은, 단일 스텝에서 그러나 수개의 연속적 반복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 반복은 소정의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은, 네트워크의 복수의 계획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대한 네트워크(RT)의 디플로이먼트를 예측하기 위해 실행되고 이들 데이트(DD)의 각각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주요 스텝을 도시한 것으로, 도1에 나타낸 모든 스텝의 가능한 반복을 부호화하고 최후 스텝을 제1 스텝에 연결하는 점선 화살표에 의해 복수의 반복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1은 실선으로 나타낸 수개의 화살표 및 점과 대시 간의 간격이 변하는 수개의 화살표를 포함한다. 상이한 간격을 갖는 화살표는 본 방법에 있어서 스텝의 순서에 있어서의 다른 옵션을 나타내고, 일정한 간격으로 도트를 갖는 화살표는 스텝들의 순서에서 동일한 옵션으로 적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자연적으로, 시뮬레이터(S)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수단(S3)(또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 시뮬레이터(S)의 사용자는 네트워크(RT)의 용량을 최적화하기 원하는 전개 날짜(DD)에 대해 특히 그 선택을 입력 및 디스플레 이할 수 있다. 네트워크(RT)의 용량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은 네트워크(RT) 내에서 트래픽과 관련된 데이타를 자연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의 홀더에 의해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파워와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예측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형성 스텝(10)으로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처리 수단(S1)에 의해 공정이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은 네트워크(RT)에 대한 1 또는 수 개의 전개 날짜(DD)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스텝(10) 과정에서 형성된 데이타는 네트워크(RT)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예상된 전개 날짜(DD)에 대해 형성되고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예상된 트래픽 맵(CT)이라 불리우는 각 날짜(DD)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맵의 형태로 그룹화된다.
특히 도2에 분명히 나타낸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처리 수단(S1)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예상된 트래픽 맵(CT)을 형성하는 스텝(10)은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신호 감쇠 레벨을 계산(또는 연산)하는 스텝(11)을 포함한다. 이 신호 감쇠 레벨은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에 송수신 기지국(BTS)의 각각에 관련되고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엘리베이션 및 지오그래픽 데이타로부터 예측된다. 각 셀(CR)의 감쇠 레벨의 계산(11) 결과, 네트워크(RT)에서 각 셀의 각 지점에서 예상된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형성한다. 시뮬레이터(S)는 메모리 수단(S2)에 이들 데이타를 저장한다.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기지국(BTS)과 통신을 셋업 할 수 있는 확률에 대한 계산 스텝(12) 을 실행하도록 상기 데이타를 이용한다. 이 스텝은 네트워크(RT)에서 각 셀(CR)에 대해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서비스의 각각에 단말(MP)을 억세스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서비스에 대한 단말(MP)의 억세스 확률은 자연적으로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지점에서 예상된 리셉션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 이 예상된 리셉션 레벨은 전 스텝(11)에서 계산된 예상된 감쇠 레벨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 송수신 기지국(BTS)의 최대 파워에 해당한다. 송수신 기지국(BTS)의 최대 파워는 이미 공지되어 있고,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지점에서 예상된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타와 결합되고,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지점에서 예상된 리셉션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이들 메모리 수단(S2)에서 형성하도록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의해 저장된다.
이들 예상된 리셉션 레벨의 결과로서,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처리 수단(S1)은, 이를테면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에 단말기를 억세스할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서비스에 이동통신 단말(MP)을 억세스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하는 이 스텝(12)의 구체예에서, 그 확률은 고려된 서비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MP)의 감도 임계값의 함수로서 계산된다. 전화 네트워크에서, 송수신 기지국(BTS)과 이동통신 단말(MP) 사이의 신호 감쇠는 통상 경로손실이라 불리운다.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감쇠나 경로손실에 따라, 주어진 셀(CR)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은 송수신 기지국(BTS)에 의해 송출된 파워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수신된 파워 레벨은 송수신 기지국의 최대 파워의 한계 내에 서 고려된 서비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MP)의 감도 임계값을 능가한다. 이 설명에서, 이 임계값은 "경로손실 임계값"이라고 하는 데, 그 이유는 송출된 파워와 경로손실 사이의 차가 고려된 서비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MP)의 감도와 동일하거나 더 큰 조건 하에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임계값은 최소 파워 레벨로 간주되는 데, 그 이하의 값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수신 기지국(BTS)과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손실에 의해 송출된 최대 파워의 값으로 인해 송수신 기지국과 충분히 신뢰성 있는 통신을 셋업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이 구체예에서, 이 방법은 고려된 서비스에 대해 송수신 기지국(BTS)과 이동통신 단말(MP) 사이의 통신을 셋업 하도록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과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지점에서 예상된 레벨을 비교하는 스텝(1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을 위해 이용된 표준 값은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 수단(S3)을 이용하는 시뮬레이터(S)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 계산 스텝에서는, 이동통신 단말(MP)이 송수신 기지국(BTS)과의 통신을 셋업하는 확률이 이 송수신 기지국(BTS)의 셀(CR)에 위치하는 지점에서 예상된 리셉션 레벨과 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 사이의 차에 따라 달라지는 사실을 고려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이 확률은 "온/오프" 법칙에 따라 계산되며, 다시 말해서 예상된 리셉션 레벨 값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큰 경우, 그 확률은 100%와 동일하게 예측되는 데, 이에 따라 예상된 리셉션 레벨의 값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적으면, 그 확률은 0%로 예측된다. 억세스 확률을 계산하는 이 스텝(12)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억세스 확률은 리셉션 레벨과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 사이의 차에 비례하는 함수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UMTS 표준에서 R99 형 서비스에 대해,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MP)은 2개의 송수신 기지국(BTS)에 동시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시 부착은 적어도 2개의 셀이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지오그래픽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이 송수신 기지국(BTS)의 어느 하나와의 통신을 셋업할 수 있고, 단말기가 리셉션 레벨의 함수로서 서로 핸드-오버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유래된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로 알려져 있다.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 가능한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MP)의 억세스 확률을 계산하는 스텝(12)의 일 구체예에서, 소프트 핸드-오버(SHO)라 불리우는 수개의 송수신 기지국(BTS)과의 동시 통신 확률이 고려되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 억세스 확률을 계산하는 스텝(12)은 그들이 속해 있는 이들 셀(CR)에 대한 대응 송수신 기지국(BTS)으로 인해 네트워크(RT)에서 적어도 2개의 셀(CR)에 속하는 지점에서 예상된 리셉션 레벨과 최소 오버랩 임계값(SHO 임계값) 사이의 차를 비교하는 스텝(12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R99 형 서비스에 대해서, 제1송수신 기지국에 대한 예상된 리셉션 레벨과 제2송수신 기지국에 대해 예상된 리셉션 레벨 사이의 차가 최소 오버랩 임계값(SHO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MP)은 리셉션 레벨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큰 송수신 기지국(BTS)에 부착(통신과 셋업)되는 확률 100%를 가질 뿐만 아니라 리셉션 레벨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큰 제2송수신 기지국(BTS)에 부착될 확률 100%를 가져야 할 것을 고려한다. 마찬가지로, 단말(MP)은 3개의 송수신 기지국과의 통신을 동시에 셋업할 수 있다. 제1송수신 기지국에 대해 예상된 리셉션 레벨과 제3송수신 기지국에 대해 예상된 리셉션 레벨 사이의 차가 최소 오버랩 임계값(SHO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이 단말기는 리셉션 레벨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큰 제3송수신 기지국에 부착될 확률 100%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자연적으로, 이 스텝에서, 가능한 한 많은 송수신 기지국(BTS)에 대해 서비스 억세스의 확률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HSDPA 서비스에 대한 소프트 핸드-오버가 없기 때문에, 단말기는 리셉션 레벨이 이 송수신 기지국에 대해 HSDPA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의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큰 경우 송수신 기지국(BTS)과의 통신을 셋업할 확률 100%를 갖고, 리셉션 레벨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0% 확률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예상된 트래픽 맵 데이타를 보상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예상된 트래픽 맵(CT)을 형성하는 스텝(10)은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 내에서 예상된 트래픽을 전달하는 송수신 기지국(BTS)에서 필요한 송출 파워를 계산하는 스텝(13)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을 전달하는 데 필요한 송출 파워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의 보유자에게 필요한 파워에 해당한다. 이 스텝(13)은 전체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억세스 확률이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영(0)이 아닌 각 지점에서 파워의 합계를 계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에 대한 억세스의 확률이 영(0)이 아닌 각 지점에서 파워의 상기 합계는 자연적으로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단말기 억세스 확률을 계산하기 위한 스텝(12) 과정에서 계산된 예상된 리셉션 레벨 에 따라 다르게 계산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MP)의 홀더에 의해 서비스의 이용은 네트워크(RT)의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파워의 합은 각 지점에서 트래픽에 할당된 중량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 트래픽 중량은 네트워크(RT)를 미리 전개하는 동안 미리 측정된 효과적인 트래픽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포함하고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효과적인 트래픽 맵(CTe)으로부터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트래픽은 이동통신 단말(MP) 형태의 함수로서 시간에 따라 그리고 이용자의 소망에 따라 변한다. 각각의 셀(CR)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 할당된 중량은 트래픽 변화 계수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고, 또한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예상된 트래픽 변화를 기본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서로 다른 서비스는 그들이 기본으로 하는 기술의 함수로서 동일한 효율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서비스는 더욱 효과적이므로 다른 것에 비하여 동작하는데 파워가 덜 소요된다. 따라서, 일개 구체예로서, 예정된 트래픽(traffic)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emission power)를 산출하기 위한 스텝(13)은,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확률이 제로가 아닌 각 지점에서 파워의 합이 네트워트(RT) 내에서 이용가능한 상이한 서비스가 기초로 하고 있는 기술의 효율 함수로서 파워 감소 계수에 의해 배가되는 부가적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감소 계수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자연적으로 저장될 것이며 또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가 산출되는 스텝(13) 동안 계산된 파워를 측량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eployment Date: DD)(date로 칭 함) 상의 소정 셀(CR)(i로 표시)에서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Ptot (i, date)로 표시된 송출 파워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것이다:
Figure 112007037993114-PAT00001
상기 식 중에서,
"p_acces(i,serv,x,y)"는 소정 셀(i)에서 소정 좌표(x, y)를 갖는 지점에서 소정 서비스(serv)에 액세스하는 확률을 의미하고;
"weight(x,y)"는 각 셀(i)에서 좌표(x,y)를 갖는 각 지점에 할당된 트래픽의 양을 의미하며;
"Coeff_traffic(date)"는 트래픽 레퍼런스 맵(traffic reference map)(Cte)에 관한 트래픽 변동 계수를 의미하고;
"efficiency(serv)"는 본 실시예에서의 서비스(serv), R99 또는 HSDPA의 효율 함수로서 파워 감소 계수를 의미함.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산출하기 위한 스텝(13)의 일례로서, 상이한 파워 감소 계수는 고려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따라서 또 기술의 효율 함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상이한 서비스를 기본으로 하는 기술의 효율 함수로서 상기 파워 감소 계수는 예정된 트래픽 맵(CT)에 관련하여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다. 따라서, 네트워크(RT)의 상이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상응하는 상이한 트래픽 맵(CT)은 네트워크(RT) 내의 이동통신 단말 및 트랜스미션 기술의 변동에 따른 서비스 효율의 변동을 고려한 상이한 파워 감소 계수와 관련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시뮬레이터(S)의 프로세싱 수단(S1)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예정된 트래픽 맵(CT)에 상응하는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상응하는 파워 감소 계수를 찾기 위한 스텝을 포함할 것이다.
예정된 트래픽 맵(CT)이 시뮬레이터(S)의 프로세싱 수단(S1)에 의해 일단 생성되면,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 대한 트래픽 플로우에 필요한 파워가 알려진다. 이어 상기 방법은 송출 다이버시티(emission diversity) 부재하에서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의 산출 스텝(20)에 의해 계속된 다음 송출 다이버시티 존재하에서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의 산출 스텝(30)에 의해 계속된다.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프로세싱 수단(S1)에 의해 실시된 이들 2개 산출 스텝은 네트워크(RT) 내의 데이터 트랜스미션이 의존하는 소위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따라 달라지며, 또 이들 결과는 후속 스텝이 실시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에 저장된다. 도 4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송출 다이버시티 부재하에서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20)은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캐리어의 수를 산출하는 스텝(21)에 이어, 예정된 트래픽이 전달된 후 이용가능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22)을 포함한다. 이동전화 네트워크에서, 각 캐리어는 명목상의 파워를 가지며, 그의 퍼센트는 상기 캐리어의 시그널링 채널(signaling channel) 전용이며, 또 퍼센트는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셀(CR) 내의 캐리어의 시그널링 채널은 상기 셀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이므로 이들은 캐리어 상에서 동기화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시그널링 채널 전용의 명목상 캐리어 파워의 퍼센트 및 따라서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퍼센트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들 퍼센트 값의 하나 또는 모두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의 산출(20)은 송출 다이버시티 부재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캐리어의 수를 산출하는 스텝(21)은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로 나눈 다음, 상기 나눈 결과를 다음의 더 높은 정수로 라운딩(rounding)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소정 셀(CR)(i로 표시) 내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date로 표시) 상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Np(i,date)로 표시한 캐리어의 수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것이다:
Figure 112007037993114-PAT00002
상기 식 중에서,
Pnom은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이고;
N은 캐리어의 시그널링 전용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를 의미하고;
(1-N)은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퍼센트를 의미하며;
Ptot(i,date)는 소정 셀(CR)(i로 표시) 내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date로 표시) 상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의미하며,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13) 동안 산출된다.
따라서,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캐리어의 수를 산출하는 상기 스텝(21)은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는 캐리어의 수를 결정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알고, 트래픽이 상기 개수의 캐리어에 의해 전달된 후에 이용할 수 있는 잔존하는 파워를 추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예정된 트래픽이 전달된 후에 이용가능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22)은,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를 상기와 같이 산출된 캐리어의 수와 곱한 다음, 상기 곱하기의 결과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차감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소정 셀(CR)(i로 표시) 내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date로 표시) 상에서 예정된 트래픽이 전달된 후 Pfree(i,date)로 표시된 이용가능한 파워는 다음 방정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것이다:
Figure 112007037993114-PAT00003
상기 식 중에서,
Pnom은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이고;
N은 캐리어의 시그널링 전용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를 의미하고;
(1-N)은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퍼센트를 의미하며;
Ptot(i,date)는 소정 셀(CR)(i로 표시) 내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date로 표시) 상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의미하며, 예정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13) 동안 산출된다.
따라서, 이들 2개 산출 스텝(21, 22)은 예정된 트래픽이 캐리어에 의해 전달된 후,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잔존 파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송출 다이버시티를 부가함 없이 부가적인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RT)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에 송출 다이버시티가 부가되면 사용될 수 있는 파워의 산출에 의해 계속된다. 도 3에서 분명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출 다이버시티 존재하에서 네트워크(RT) 내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산출하는 스텝(30)은 네트워크(RT) 내의 각 트랜스미션 채널에 송출 다이버시티를 부가함으로써 얻은 게인(gain)을 시뮬레이터(S)의 프로세싱 수단(S1)에 의해 평가하는 스텝(3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 처리 알고리즘(Resource management algorithm)(RRM)을 이용한 네트워크(RT) 자원의 재구성(reconfiguration)을 수반한다. 이러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는 시그널링 채널에 대한 특정 게인, R99 서비스의 트랜스미션 채널에 대한 특정 게인 및 HSDPA 서비스의 트랜스미션 채널에 대한 특정 게인을 자연적으로 도입할 것이다. 따라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도입된 게인은,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한 파워 감소의 적어도 1개 계수로 표시될 수 있으며, 네크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상이한 서비스(본 실시예에서 R99 및 HSDPA)를 지지하는 각 채널에 대하여 또 시그널링 채널에 대하여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다. 자원 처리 알고리즘(RRM)을 이용하여 자원이 재구성되면, 게인을 평가하는 상기 스텝(31)은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로 인한 파워 감소 계수를 이용하 는 것으로 구성되며, 네트워크(RT) 내에 송출 다이버시티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원 처리 알고리즘(RRM)에 상응한다. 일개 구체예로서, 자원 처리 알고리즘(RRM)은 최대 파워를 송출하여 플로우가 주로 다운링크 방향으로 향하는 부가 서비스(MBMS)를 제공하고 또 송출 다이버시티를 설치하도록 각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s)에 공통되는 제1 캐리어 상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집약한다. 상기 설명에서, 제1 캐리어는 네트워크의 메인 층에 있는 모든 송수신 기지국에 공통되는 캐리어이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MBMS)가 제1 캐리어에 설치될 수 있고 또 마크로 다이버시티로부터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즉 부가적 캐리어의 경우에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나 제1 캐리어는 모든 송수신 기지국(BTS)에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MP)이 몇 개의 송수신 기지국(BTS)으로부터 동시에 MBMS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각 MBMS 채널을 브로드캐스트하는데 필요한 파워는 마크로 다이버시티가 없는 경우에서의 파워에 비하여 더 낮을 수 있고, 또 상기 구조는 네트워크 상에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서 동일 개수의 MBMS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일개 구체예로서, 자원의 상기 재구성을 위해 사용된 자원 처리 알고리즘(RRM)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게인이 최대인 서비스 유형에 비하여 송출 다이버시티가 설치된 캐리어가 우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게인은 서비스 유형에 좌우되며, 자원 처리 알고리즘(RRM)이 가능한 최대 게인을 달성할 수 있으면 유리하다.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하에서 네트워크(RT)내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산출하는 상기 스텝(30)은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 해 사용될 수 있는 송출 다이버시티를 갖는 상기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게인이 최대인 상기 서비스에 의한 상기 캐리어에서 소모된 파워 사이의 차이를 산출하기 위한 스텝(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정 셀(CR)(i 표시)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데이트 표시) 상에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하에 입수가능한 Ptxdiv(i,date)로 표시되는 파워는 하기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것이다:
Figure 112007037993114-PAT00004
여기서, Csig는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시그널링 채널에 제공된 게인 또는 파워 리덕션 계수를 나타내고;
CR99는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R99 서비스 채널에 제공된 게인 또는 파워 리덕션 계수를 나타내며;
CHSDPA는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HSDPA 서비스 채널에 제공된 게인 또는 파워 리덕션 계수를 나타내고;
Max는 부가된 게인이 최대가 되는 서비스에 우선권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원 처리 알고리즘(RRM)이 프로그래밍 될 것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며;
Pnom은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를 나타내고;
N은 캐리어의 시그널링에 제공되는 명목상 파워의 퍼센트를 나타내고, (1-N)은 자연적으로 트래픽을 전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퍼센트를 나타내며;
Pfree(i,date)는 소정 셀(CR)(i 표시) 및 소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데 이트 표시) 상에서 예정된 트래픽이 전달된 후 입수가능한 파워를 나타내며, 이것은 예정된 트래픽이 전달된 후에 입수가능한 파워를 계산하기 위하여 스텝(22)을 거치는 동안 계산된다.
상기 스텝은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프로세싱 수단(S1)이,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새로운 서비스(MBMS)를 형성하기 위해, 네트워크(RT) 내의 각각의 송수신 기지국(BTS) 및 각각의 예정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대하여 입수가능한 파워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이러한 스텝은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프로세싱 수단(S1)에 의해 새로운 서비스(MBMS)를 형성하기 위하여 송출 다이버시티의 인스톨레이션을 요구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CR)의 크리에이션(4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는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MBMS)에 요구되는 트랜스미션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수(N)의 함수로서 생성될 것이며, 이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될 것이다. 송출 다이버시티의 인스톨레이션을 요구하는 셀(CR)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스텝(40)은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하에 입수가능한 최소 파워를 서치하기 위한 스텝(41)을 포함한다. 스텝(41)은 송출 다이버시티를 부가할 때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 송출될 수 있는 최소 파워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MBMS)의 각각의 트랜스미션 채널에 의해 요구되는 파워를 인지하는 것에 의해, 스텝(41)은 네트워크(RT)에서 실행될 수 있는 채널의 최대 수(Nmax)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구하는 셀의 리 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스텝(40)은 새로운 서비스(MBMS)가 요구되는 채널의 수(N)를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저는 시뮬레이터(S)의 인풋 및 디스플레이 수단(S3) 상에 새로운 서비스를 형성하기 원하는 채널의 수(N)를 인풋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시뮬레이터(S)는 스텝(41)에서 결정된 채널의 최대 수(Nmax)가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서 송출 다이버시티 존재하에 입수가능한 최소 파워를 서치하는데 도달할 때까지 트랜스미션 채널의 증가 수(N)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텝(40)을 복수회 반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선별 스텝(왼쪽에서 점선 화살표)을 거치는 동안 선택된 채널의 수(N)를 포함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의 크리에이션(40)을 위한 싱글 반복으로 제 1 서열 스텝을 사용하거나 또는 채널의 최대 수(Nmax)(오른쪽의 점선 화살표, 최대 파워에 도달될 때까지 스스로 루핑백함)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의 증가 수(N)를 포함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채널의 최대 수(Nmax)에 대응하는 반복 횟수로 제 2 스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출 다이버시티의 인스톨레이션을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스텝(40)은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존재 하에 입수 가능한 최소 파워를 서치하는 스텝(41) 및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트랜스미션 채널의 결정된 수(N)을 적어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워의 계산 스텝(42), 및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재 하에 입수가능한 파워가 트랜스미션 채널의 결정된 수(N)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워 미만인 것으로 인해 송출 다 이버시티의 인스톨레이션을 요구하는 셀(CR)의 리스트 및 수를 서치하기 위한 스텝(43)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의 결정된 수(N)를 적어도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파워를 계산하기 위한 스텝(42) 및 송출 다이버시티의 인스톨레이션을 요구하는 셀(CR)의 리스트 및 수를 서치하기 위한 스텝(43)은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하게 되기 위하여 서비스(MBMS)에 제공되는 트랜스미션 채널의 최대 수(Nmax)에 대응하는 수로 반복될 수 있고, 상기 반복 과정은 채널의 최대 수(Nmax)에 도달될 때까지 채널의 증가 수(N)에 대하여 실행되며, 채널의 최대 수(Nmax)는 송출 다이버시티 존재 하에서 네트워크(RT) 내의 모든 셀(CR)에서 입수가능한 최소 파워를 서치하기 위한 스텝(41)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이러한 반복 과정의 마지막 부분에 상기 방법은 이 스텝의 반복 과정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리스트를 유도할 수 있으며, 다른 구체예에서, 이 스텝의 반복 과정에 대응하는 각각의 연속적 컬럼 또는 라인에 싱글 리스트를 유도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두 개의 구체예는 채널의 다른 요구된 수(N)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송수신 기지국(BTS) 내의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를 요구하는 셀(CR)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MBMS)에 제공되는 각각의 트랜스미션 채널을 실행하는 비용을 계산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스텝(40)이 시뮬레이터(S)의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고정된 수(N)에 대하여 단지 한번 반복되는 경우, 이 스텝은 단지 채널의 고정된 수(N)의 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스텝이 채널의 수(N)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몇 번 반복되면, 이 스텝(도시되지 않음)은 채널의 수(N)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텝(40) 내에서 복수 회 반복으로 인해 시뮬레이터(S)의 데이타 프로세싱 수단(S1)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어서, 각각의 채널의 비용은 생성된 리스트 또는 싱글 리스트 내의 다른 라인들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다른 변경예도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체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분야 내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6)

  1. 네트워크(RT) 내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서비스(MBMS)를 생성하는 적어도 WCDMA 타입 이동전화 네트워크(RT)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RT)는 송수신 기지국(BTS)이라 불리는, 다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셀(CR)이라고 불리는, 영향 지역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과 통신을 설정하고, 이들 셀(CR)의 전부는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지역을 정의하고,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S2)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S)라고 불리우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상기 방법은,
    - 시뮬레이터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의 예측 커버리지와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의 보유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10)하는 단계로서, 이들 데이터는 네트워크(RT)의 적어도 하나의 예정된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대해 생성되고,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소위 예정 트래픽 맵(CT)인, 각각의 데이터(DD)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맵의 형태로 그룹화되는, 단계;
    -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CR)에서 이용가능한 전력을 계산(20)하고,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CR)에서 이용가능한 전력을 계산(30)하는 단계로서, 이 두 계산은 시뮬레이터(S)의 데이 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수행되고, 네트워크(RT) 내에서 데이터 전송의 기초가 되는 주파수(캐리어 주파수라 불림)에 의존적이고, 이들 결과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는, 단계;
    -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송출 다이버시티가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MBMS)에 요구되는 전송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수(N)의 함수로서 설정되어야 하는 셀의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생성(40)하는 단계로서, 이 리스트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네트워크(RT)에 대한 다수의 예정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대하여 네트워크(RT)의 디플로이먼트에 앞서 실행되고 이러한 데이터(DD)의 각각에 대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과 제2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CT)의 생성(10) 단계는,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에서 각각의 송수신 기지국(BTS)과 관련한 고도 및 지리 데이터로부터 추정되고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는,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CR)의 신호 감쇠 레벨을 계산(11)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단계는 결과적으로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는,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CT)의 생성(10) 단계는,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의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이,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 각각과 네트워크(RT)에서 각각의 셀(CR)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기지국(BTS)과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12)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에 단말(MP)에 억세스하는 이 확률은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에 따라 결정되며, 이 예상되는 수신 레벨은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는 송수신 기지국(BTS)의 최대 파워에 상응하며, 송수신 기지국(BTS)의 최대 파워 레벨은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들 메모리 수단(S2)에서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감쇠 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로 이동통신 단말(MP)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12)하는 단계는, 고려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송수신 기지국(BTS)과 이동통신 단말(MP) 간의 통신을 설정하는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으로, 네트워크(RT)의 각 셀의 각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을 비교(12)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의 규격값은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이동통신 단말(MP)이 송수신 기지국(BTS)과 통신을 설정하는 이 확률은 송수신 기지국(BTS)의 셀(CR)에 위치하는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과 이 최소 감도 임계값(경로손실 임계값)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6. 제4항과 제5항 중 하나에 있어서,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적인 서비스로 이동통신 단말(MP)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12)하는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MP)이 소프트 핸드오버(SHO)라 불리는 몇몇의 송수신 기지국(BTS)과의 동시 통신을 설정하는 가능성을 고려하고, 속하는 셀(CR)에 대한 상응하는 송수신 기지국(BTS)으로 인한 네트워크(RT)에서의 적어도 두 셀(CR)에 속하는 포인트에서 예상되는 수신 레벨과, 최소 오버랩 임계값(SHO 임계값)간 차이를 비교(122)하는 단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예정 트래픽 맵(CT)을 생성(10)하는 단계는,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네트워크(RT) 내에서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수신 기지국(BTS)에서 송출 파워, 다른 말로 하면 네트워크(RT)에서 커버리지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MP)의 보유자에 의한 서비스의 사용에 필요한 파워를 계산(13)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단계는 네트워크(RT)에서 셀(CR) 각각에서, 각 포인트에서의 트래픽에 할당된 가중치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 서비스로의 억세스 확률이 0이 아닌 각 포인 트에서 파워의 합을 계산하고,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된, 유효 트래픽 맵(CTe)으로부터 출발하고, 네트워크의 이전 디플로이먼트 동안 먼저 계산된 유효 트래픽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각 셀(CR)의 개별 포인트에 할당된 가중치는 트래픽 변화 계수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고 또한 시뮬레이터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트래픽 변화 예측에 기초하여 추정되며, 서비스로의 억세스의 확률이 영이 아닌 각 포인트에서 파워의 합은 개별 서비스로 단말이 억세스하는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동안 계산된 예상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계산(13)하는 단계는 서비스로의 억세스하는 확률이 영이 아닌 각 지역에서의 파워의 합에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가 기초하는 기술의 효율에 따라 결정되는 파워 감소 계수를 곱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며, 이 파워 감소 계수는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송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13) 동안 측정된 파워를 가중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가 기초하는 기술의 효율에 따라 결정되는 파워 감소 계수는 예정 트래픽 맵(CT)에 관해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고, 네트워크(RT)에 대한 개별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상응하는, 개별 트래픽 맵(CT)은 네트워크(RT)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사용되는 전송 기술의 변화로 인한 서비스의 효율의 변화를 고려하는 개별 파워 감소 계수와 각각 연관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따라서 현재 시뮬레이터(S)의 처리 수단(S1)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예정 트래픽 맵(CT)과 일치하는 디플로이먼트 데이트(DD)에 상응하는 파워 감소 계수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하나에 있어서,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20)하는 단계는, 예정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캐리어의 수를 계산(21)하는 단계와, 예정 트래픽이 전달된 후에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22)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캐리어는 명목상의 파워를 가지는데, 그 퍼센테이지는 이 캐리어에 대한 신호 채널에 전용되고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수를 계산(21)하는 단계는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CR)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비율로 나눠서, 그 다음 높은 정수로 이 나눗셈의 결과를 라운딩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예정 트래픽이 전달된 후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하는 단계(22)는, 네트워크(RT)의 각각의 셀(CR)에 대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목상 파워의 퍼센테이지와 계산된 캐리어의 수를 곱하여, 이 곱셈의 결과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전체 파워를 빼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하나에 있어서, 송출 다이버시티가 존재할 때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30)하는 단계는, 시뮬레이터(S)의 처리 수단(S1)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RRM)을 사용하여 네트워크(RT)에서 리소스의 기기 재구성(reconfigutaion) 동안, 네트워크(RT) 내에서의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에 의해 제공되는 게인을 추정(31)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게인은 송출 다이버시티의 부가로 인한 파워 감소의 적어도 하나의 계수로 나타나고, 네트워크(RT) 내에서 이용가능한 개별 서비스를 지지하는 각 채널과 신호 채널에 대해, 시뮬레이터(S)의 메모리 수단(S2)에 저장되며, 이 게인 추정(31) 단계는 네트워크(RT) 내에서 송출 다이버시티를 인스톨하는데 사용되는(또는 사용될 것인)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RRM)에 상응하는 송출 다이버시티를 더함으로써 파워 감소 계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RRM)은 각 송수신 기지국(BTS)에 공통인 제1캐리어에 이용가능한 파워를 집중하여,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부가적인 서비스(MBMS)를 제공하기 위한 최대 파워를 방출하고 송출 다이버시티를 인스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과 제12항의 하나에 있어서, 우선, 리소스 관리 알고리즘(RRM)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되는 게인이 가장 큰 서비스 타입에 송출 다이버시티가 인스톨되는 캐리어로 우선권을 주며, 다음으로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RT)의 각 셀(CR)에서 이용가능한 파워를 계산(30)하는 단계가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송출 다이버시티를 가지는 이 캐리어의 명목상 파워의 퍼센테이지와 송출 다이버시티에 의해 제공된 게인이 가장 큰 서비스에 의해 이 캐리어에서 소비되는 파워간의 차이를 계산(32)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하나에 있어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생성(40)하는 단계는 네트워크(RT)에서 모든 셀(CR)에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최소 이용가능한 파워를 탐색(41)하는 단계,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전송 채널의 적어도 소정 수(N)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워를 계산(42)하는 단계, 및 송출 다이버시티가 없을 때 이용가능한 파워가 전송 채널의 소정 수(N)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워보다 작아서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구하는 셀(CR)의 수와 리스트를 탐색(43)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송 채널의 적어도 소정 수(N)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계산(42)하는 단계와 송출 다이버시티의 설정을 요구하는 셀(CR)의 수와 리스트를 탐색(43)하는 단계가 반복되고, 반복의 수는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 한 서비스(MBMS)에 전용되는 전송 채널의 최대 수(Nmax)와 동일하고, 연속적인 반복이 채널의 최대 수(Nmax)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의 증가하는 수(N)에 도움이 되고, 이 채널의 최대수(Nmax)는 송출 다이버시티가 있을 때 네트워크(RT)의 모든 셀(CR)에서 최소 이용가능한 파워를 탐색(41)하는 단계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의 하나에 있어서, 시뮬레이터(S)의 데이터 처리 수단(S1)에 의해 수행되며, 송출 다이버시티를 요구하는 셀의 리스트를 생성(40)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반복에 의해, 채널의 증가수(N)의 함수로서, 플로우가 다운링크 방향으로 우세한 서비스(MBMS)에 전용인 각 전송 채널을 실행하는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50479A 2006-05-23 2007-05-23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 KR20070113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4596A FR2901650B1 (fr) 2006-05-23 2006-05-23 Procede d'optimisation de la capacite d'un reseau de telephonie mobile pour la creation de services dont le flux est majoritairement descendant(downlink)
FR0604596 2006-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164A true KR20070113164A (ko) 2007-11-28

Family

ID=3783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479A KR20070113164A (ko) 2006-05-23 2007-05-23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0407B2 (ko)
EP (1) EP1860902B1 (ko)
JP (1) JP2007318756A (ko)
KR (1) KR20070113164A (ko)
CN (1) CN101080043A (ko)
FR (1) FR2901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8948A1 (en) * 2005-09-27 2007-04-12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traffic distribution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JP4769657B2 (ja) * 2006-07-28 2011-09-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JP4829049B2 (ja) * 2006-08-30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20080057150A (ko) * 2006-12-19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구성하는 방법
JP4874275B2 (ja) * 2008-02-29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通信方法
EP2120493A1 (en) * 2008-03-19 2009-11-1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chanism for automated re-configuration of an access network element
CN101552629B (zh) * 2008-04-01 2012-08-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调整多载波功放工作电压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1083238A1 (fr) * 2009-12-22 2011-07-14 France Telecom Procede de selection d'un mode de transmission
CN102035958A (zh) * 2010-12-17 2011-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统电话业务pots呼叫处理设备、系统以及方法
GB2496908B (en) * 2011-11-28 2017-04-26 Ubiquisys Ltd Power management in a cellular system
US9311650B2 (en) * 2012-02-22 2016-04-12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Determining search result rankings based on trust level values associated with sellers
US9332458B2 (en) 2012-03-25 2016-05-0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10515359B2 (en) * 2012-04-02 2019-12-2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bile payments by provisioning credentials to mobile devices without secure elements
US9191831B2 (en) * 2012-05-21 2015-11-1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Non-parametric power spectral density (PSD) map construction
US8938535B2 (en) * 2012-06-01 2015-01-20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System for real traffic replay over wireless networks
US9363679B2 (en) 2012-06-18 2016-06-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Robust parametric power spectral density (PSD) construction
IL222709A (en) 2012-10-25 2016-02-29 Intucell Ltd A method and mechanism for coordinating interference between communications cells in solar systems
IL224926A0 (en) 2013-02-26 2013-07-31 Valdimir Yanover A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the @telecommunications@cellphone network
GB2518584B (en) 2013-07-09 2019-12-25 Cisco Tech Inc Power setting
CN103634828B (zh) * 2013-12-06 2017-02-1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wcdma网络容量评估方法和装置
US9655102B2 (en) 2014-06-20 2017-05-16 Cisco Technology, Inc. Interference control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US9918314B2 (en) 2015-04-14 2018-03-1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9860852B2 (en) 2015-07-25 2018-01-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mall cell uplink power control in a network environment
US9648569B2 (en) 2015-07-25 2017-05-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mall cell uplink power control in a network environment
US9854535B2 (en) 2015-07-28 2017-12-26 Cisco Technology, Inc. Determin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power levels for downlink transmissions
US9854536B2 (en) 2015-08-03 2017-12-26 Cisco Technology, Inc. User equipment power level selection for downlink transmissions
US9848389B2 (en) 2015-08-03 2017-12-19 Cisco Technology, Inc. Selecting cells for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10154415B2 (en) 2015-08-04 2018-12-11 Cisco Technology, Inc. Resource adaptation for frequency domain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967067B2 (en) 2015-09-08 2018-05-08 Cisco Technology, Inc. Serving noise/macro interference limited user equipment for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820296B2 (en) 2015-10-20 2017-11-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and time domain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9826408B2 (en) 2015-12-07 2017-11-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uplink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143002B2 (en) 2016-01-12 2018-11-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centraliz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split radio access network environment
US9813970B2 (en) 2016-01-20 2017-11-0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mall cell power control and load balancing for high mobility user equip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JP6041074B1 (ja) * 2016-02-03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
US9867199B1 (en) * 2016-02-05 2018-01-09 Sprint Spectrum L.P. Dynamic control of air interface capacity
US10091697B1 (en) 2016-02-08 2018-10-02 Cisco Technology, Inc. Mitigation of uplink interference with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CN105828347A (zh) * 2016-03-15 2016-08-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部署u900的可行性分析方法及装置
US11277765B2 (en) 2016-09-29 2022-03-15 Nokia Technologies Oy Adaptive media service
WO2018077420A1 (en) * 2016-10-28 2018-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tenna tilt
DE102021133779B3 (de) * 2021-12-20 2023-05-11 Joynext Gmbh Verfahren zur Verarbeitung einer Nachricht sowie das Verfahren anwendendes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8072B1 (en) * 1996-04-26 2001-10-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91897B1 (en) * 1999-07-23 2005-05-10 Nortel Networks Limited Space-time coding and channel estimation scheme, arrangement and method
EP1474942B1 (en) * 2002-02-15 2007-05-09 Dyaptive System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imulator
GB0229544D0 (en) * 2002-12-18 2003-01-22 Dehghan Fatemeh 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simulation method
EP1521488A1 (fr) * 2003-10-02 2005-04-06 France Telecom Estimation de puissance de station de base dans un réseau de radiocommunication CDMA
SE0402353D0 (sv) * 2004-09-24 2004-09-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5027814B2 (ja) * 2005-09-30 2012-09-19 テレコム・イタリア・エッセ・ピー・アー セル式移動通信網を計画する方法
WO2007057046A1 (en) * 2005-11-21 2007-05-24 Telecom Italia S.P.A. Method for planning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07135669A2 (en) * 2006-05-18 2007-11-29 D.P. Electronic Systems Ltd Analyzing wireless network located at a terrestrial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0902A1 (fr) 2007-11-28
CN101080043A (zh) 2007-11-28
FR2901650B1 (fr) 2008-08-08
EP1860902B1 (fr) 2014-10-22
JP2007318756A (ja) 2007-12-06
US7970407B2 (en) 2011-06-28
FR2901650A1 (fr) 2007-11-30
US20080004028A1 (en)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164A (ko) 다운링크 플로우가 우세한 서비스의 생성을 위한 이동전화네트워크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방법
KR101179558B1 (ko) 광대역 네트워크 사용과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 사이에서 다운링크 대역폭을 공유할 때의 간섭 관리와 관련된 방법 및 장치
KR101026590B1 (ko) 간섭 제어를 위한 로딩 인자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결정,통신,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378762C2 (ru) Динамическое распределение ресурсов радиосвязи
KR101025460B1 (ko) 직교 무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 자원 관리
US8976690B2 (en) Femto-relay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same
CN102223191B (zh) 一种空闲频谱的获取方法和设备
US77251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the power of carrier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80063832A (ko) 간섭 제어를 위한 로딩 인자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결정,통신, 및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13872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8517539A (ja) 干渉制御のために使用され得る情報を決定し、伝達し、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84268A (ko) 통신 시스템의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4008794A2 (e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MXPA06011855A (es) Metodos y aparatos para comunicaciones de multiples portadoras.
KR20140027413A (ko) 디지털 셀룰러 무선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측정들의 수행
Huang et al. Energy-efficient SWIPT-empowered D2D mode selection
US6775256B1 (en) Packet scheduler and method therefor
JP200751032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無線アクセス管理の装置および方法
TW201427459A (zh) 通信控制方法,通信系統,以及管理伺服器
US10951263B2 (en) Wireless system and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Nlend et al. Planning and simulation of LTE radio network: case of the city of Yaoundé
EP128365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WI243549B (en) Assigning uplink slots to optimize uplink power control gai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50096059A1 (en) Method of indicating delay
CA2396585A1 (en) A packet scheduler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