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005A -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005A
KR20070113005A KR1020060046664A KR20060046664A KR20070113005A KR 20070113005 A KR20070113005 A KR 20070113005A KR 1020060046664 A KR1020060046664 A KR 1020060046664A KR 20060046664 A KR20060046664 A KR 20060046664A KR 20070113005 A KR20070113005 A KR 2007011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ext data
list
name
initial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5312B1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12B1/en
Publication of KR2007011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setting up a user interface by using a touch screen is provided to set a touch screen idle screen with a customized interface of a user in association with a touch screen input type of a portable terminal. A method for set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comprises: associatively setting a phone number search menu and initial sound character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nd storing the associatively set data(S10); inputting the initial sound character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S20); searching a name, starting with the inputted initial sound character data, from a phone number database(S40); and performing call connection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ame searched in the phone number database(S90).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시스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interface setting system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무선부 102 : 설정부101: wireless unit 102: setting unit

103 : 키입력부 104 : 터치스크린103: key input unit 104: touch screen

105 : 판단부 106 : DB부105: judgment unit 106: DB unit

107 : 표시부 108 : 메모리107: display unit 108: memory

109 : 제어부109: control uni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를 개인의 목적에 맞게 설정하 여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특화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sets a menu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urpose to set a standby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specialized interface. It relates to a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최근 들어, 휴대폰,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은 그 중의 한 예이다.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기존의 키패드 입력 방식에 비하여 입력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is becoming more common, technologies for conveniently using various function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is one example.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puts compared to the existing keypad input method.

그러나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제공되는 메뉴선택에 대한 입력 또는 문자데이터 입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측면에 있어서는 비교적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provides only an input for menu selection or text data input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relatively limited disadvantage in terms of controlling the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38177호에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38177 proposes a system control method using a touch screen.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검출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확인하여 확인된 움직임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인지 시스템 데이터인지 판별한 후, 판별결과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이 종래기술은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 키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스템 전원오프, 화면 좌우 이동, 화면 상하 스크롤, 화면 회전 동작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명령들을 입력 수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fter checking the motion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o determine whether the checked motion data is character data or system data, the controller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addition, the prior art can input and execute various control commands such as system power off, screen left and right, screen up and down scroll, screen rotation operation and the like without separately provided control command keys for system control.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메뉴로 접근할 때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접근하는데, 사용자가 사용하기 원하는 메뉴가 상위메뉴 에서부터 접근해야하는 하위메뉴일 경우 상기 하위메뉴에 접근하는데 시간적인 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ccessed by using a keypad or a touch screen when accessing a menu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menu that the user wants to use is a submenu that needs to be accessed from an upper menu, it is time to access the submenu.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is large.

또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전화통화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여러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의 뒷자리로 검색하는 기능,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기능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검색에 따른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며, 후자의 경우는 단축키 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is applying a number of func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uring the telephone call. For example, a function of searching for the back digit of a telephone number, a function of easily making a call using a shortcut key, and the like. However, in the former case, the inconvenience of searching still exists, an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when the shortcut number is forgott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과 관련하여 터치스크린 대기화면을 사용자 각각의 특화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touch screen standby screen as a user-specific interface in relation to a touch screen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통화시 전화번호 검색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with respect to the phone number search when a mobile phone c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메뉴에 대하여 단축문자를 연계 설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메뉴에 접근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time spent accessing a menu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by associating a shortcut letter with a menu frequently used by a use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을 통하여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초성 문자데이터가 연계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초성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toring the phone number search menu and the initial text data is connected and set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tep of inputting the initial text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searching for a name starting with the input initial text data in the phone book database, and performing a call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name in the phone book database.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stored initial text data and the input first text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name list starting with initial text data searched in the telephone book database exis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할 경우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한 가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name list starting with the initial character dat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one name list starting with the initial character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가 아닐 경우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ame list of the phone book database is not o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earched name li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사전배열 순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names searched in the phonebook database is sequentially displayed, but is displayed in a dictionary arrangement ord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통화빈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names searched in the phonebook database is sequentially displayed, but the order of call frequency is hig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된 이름 목록 중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특정 이름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name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among the sequentially displayed name li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특정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is perform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n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무선부(101)와, 설정부(102)와, 키입력부(103)와, 터치스크린(104)과, 판단부(105)와, DB부(106)와, 표시부(107)와, 메모리(108)와, 제어부(109)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set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 wireless unit 101, a setting unit 102, a key input unit 103, and a touch screen 104. ), The determination unit 105, the DB unit 106, the display unit 107, the memory 108, and the control unit 109 are provided to provide a user with an efficient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무선부(101)는 이동통신망과 통상적인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unit 101 performs a norm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설정부(102)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대기화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휴대폰 단말기에 내장된 메뉴와 임의의 문자데이터로 연계되어 설정된 다.The setting unit 102 is set in association with a menu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rbitrary text data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of the touch screen standby screen inte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아울러, 상기 연계 설정된 메뉴와 문자데이터를 제어부(109)로 제공하고 메모리(108)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associated menu and text data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9 and stored in the memory 108.

키입력부(103)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 접근하고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선택신호를 제어부(109)로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103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accessing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from a user through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es the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9.

터치스크린(104)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 접근하고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와 연계 설정된 임의의 문자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문자데이터를 제어부(109)로 전송한다.The touch screen 104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rom a user to access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or inputs any text data set in association with the menu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text data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09.

판단부(105)는 제어부(109)에서 전송된 임의의 입력 문자데이터와 메모리(108)에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문자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 판단하고 상기 문자데이터와 연계 설정된 메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05 compares and determines the sameness between any input tex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9 and any text data set by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108,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atabase for the menu set in association with the text data is determined. Determine if it is necessary.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정보에 대한 비교 판단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comparison determ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a series of information made in the portable terminal.

DB부(106)는 전화번호와, 메모, 스케쥴 등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DB unit 106 stores information about contents input by the user, such as a phone number, a memo, and a schedule.

표시부(107)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가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107 displays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operation results,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made in the internal block of the portable terminal.

메모리(108)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 대한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메뉴설정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108 stores a menu setting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for operating a function of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109)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The controller 109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a series of operations performed in the internal block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setting a user interface using the touch screen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초성 문자데이터가 연계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S10)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초성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S20)와,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S30)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S40)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할 경우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한 가지인지 판단하는 단계(S60)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가 아닐 경우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70)와, 순차적으로 표시된 이름 목록 중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특정 이름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 및 특정 이름이 선택되었을 경우와 데이터베이스 목록이 한 가지일 경우에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90)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이다.Step (S10) and the phone number search menu and the initial text data is connected and stored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text data is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S20), the stored initial text data and the input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initial character data (S30), searching for a name starting with the input initial character data in the phone book database (S40), and a list of names starting with the initial character data retrieved from th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50), and if there is a list of names beginning with consonant character data,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one list of names beginning with consonant character data (S60), and a list of names in the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If not one of the steps (S70) to display the list of retrieved names in sequence, and the table sequential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name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among the list of the names (S80) and when the specific name is selected and when the database list is one (S90) User interface setting method.

보다 상세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초성 문자데이터가 연계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S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부(103) 혹은 터치스크린(104)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검색메뉴를 선택한다. In more detail, in the step S10 of storing a phone number search menu and initial text data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uses the key input unit 103 or the touch screen 104 of the portable terminal. Select the search menu.

아울러,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연계시킬 임의의 초성 문자데이터가 터치스크린(104)에 입력되면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가 설정부(102)에 연계 설정된다.In addition, when any initial text data to be associated with the telephone number search menu selected by the user is input to the touch screen 104, the telephone number search menu and the input initial text data ar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setting unit 102.

또한, 설정부(102)에서 연계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입력된 임의의 초성 문자데이터는 제어부(109)로 제공되고 상기 설정 과정이 표시부(107)에 표시되며 연계 설정된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임의의 초성 문자데이터를 메모리(108)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hone number search menu of the mobile terminal set in association with the setting unit 102 and any initial text data inputted ar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09, and the sett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And arbitrary initial character data are stored in the memory 108.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초성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S20)는 S10단계에서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연계 설정되어 저장된 임의의 초성 문자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하여 대기화면상태인 터치스크린(104)에 입력된다.In the step S20 of inputting initial text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any initial text data stored and linked with the phone number search menu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input to the touch screen 104 by the user. do.

아울러, 터치스크린(104)에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가 제어부(109)로 제공되고 표시부(107)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initial character data input to the touch screen 104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09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S30)는 S20단계에서 터치스크린(104)에 입력되어 제어부(109)로 제공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S10단계에서 설정되어 메모리(108)에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부(105)에서 비교 판단한다.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stored initial text data and the input first text data (S30) is input to the touch screen 104 in step S20 and the first text data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09 and set in step S10 memory 108 The determination unit 105 compare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identical to the initial character data stored in FIG.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S40)는 S30단계에서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 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을 데이터베이스부(107)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earching for a name starting with the input consonant character data in the phonebook database (S40) is determined that the stored consonant character data and the input consonant character data in step S30 is the same name starting with the input consonant character data The phone book database of the database unit 107 is searched.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는 S40단계에서 검색된 데이터베이스부(107)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입력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부(105)에서 판단한다.In step S50, whether the name list starts with the initial text data searched from the phone book database is present, the name list starting with the input initial text data exists in the phone book database of the database unit 107 searched at step S40. The determination unit 105 determines whether it is.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할 경우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한 가지인지 판단하는 단계(S60)는 S50단계에서 검색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인지 두 가지 이상인지 판단부(105)에서 판단한다.If there is a list of names starting with the first letter data,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one list of names starting with the letter data (S60) indicates that a list of names starting with the letter data exists in the phonebook database searched at step S50. If it is determined, the determination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one or more name lists in the searched telephone book database.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가 아닐 경우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70)는 S60단계에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두 가지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검색된 두 가지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부(107)에 표시한다.If the name list of the phone book database is not one, the step of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earched name list (S70) may include two or more database lists searche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name list of the phone book database is two or mo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sequentially.

아울러,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름 목록을 사전배열 순서로 표시하거나, 통화빈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한다.In addition, the searched name list of the phone book database displays the name list in a pre-arranged order or a high frequency of call by the user's selection.

순차적으로 표시된 이름 목록 중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특정 이름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는 S70단계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된 이름 목록 중 상기 터치스크린(103)을 통하여 특정 이름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부(105)에서 판단한다.Determin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name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among the sequentially displayed name list (S80)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name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103 among the sequentially displayed name list (S70). 105).

특정 이름이 선택되었을 경우와 데이터베이스 목록이 한 가지일 경우에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90)는 S80단계에서 이름 목록 중 특정 이름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특정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수행하고, S60단계에서 검색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라고 판단되면 전화번호 선택단계를 제외하고 상기 한 가지인 이름의 전화번호로 바로 통화를 수행한다.When a specific name is selected and when there is only one database list (S9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 that a specific name is selected from the name list, the call is made to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am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name list of the searched telephone book database is one, except for the telephone number selection step, the call is directly made to the phone number of the one nam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process are on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components that can be coped evenly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할 때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ximizing user convenience when searching for a phone number in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메뉴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단축문자와 연계 설정함으로써 특화된 인터페이스로 설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set to a specialized interface by the user set the menu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touch screen in conjunction with the shortcut letter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Claims (9)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전화번호 검색메뉴와 초성 문자데이터가 연계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와;Connecting and storing a telephone number search menu and initial text data through a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초성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는 단계와;Inputting initial text data through the touch screen; 상기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Retrieving a name starting from the input initial text data in a telephone directory database; And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And performing a call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a name retrieved from the phone book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초성 문자데이터와 입력된 초성 문자데이터의 동일성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stored initial text data and the input initial text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name list starts with initial text data retrieved from the phone book databas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존재할 경우 상기 초성 문자데이터로 시작하는 이름 목록이 한 가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one list of names starting with the initial text data when there is a list of names beginning with the initial text data.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의 이름 목록이 한 가지가 아닐 경우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sequentially displaying the searched name list when the name list of the phone book database is not on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사전배열 순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ist of names searched in the phonebook database is sequentially displayed, and the list of names is displayed in a pre-arranged ord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이름 목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되, 통화빈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ist of names searched in the phonebook database is sequentially displayed, and the call frequency is displayed in order of high frequenc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표시된 이름 목록 중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특정 이름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name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among the sequentially displayed name lis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특정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all is performed us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name.
KR1020060046664A 2006-05-24 2006-05-24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KR101215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64A KR101215312B1 (en) 2006-05-24 2006-05-24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64A KR101215312B1 (en) 2006-05-24 2006-05-24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05A true KR20070113005A (en) 2007-11-28
KR101215312B1 KR101215312B1 (en) 2012-12-26

Family

ID=3909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664A KR101215312B1 (en) 2006-05-24 2006-05-24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00B1 (en) * 2007-02-03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candidate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34394B1 (en) * 2007-08-31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of contact list and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00B1 (en) * 2007-02-03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candidate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471283B2 (en) 2007-02-03 2008-12-30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andidate phone number lis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434394B1 (en) * 2007-08-31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of contact list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312B1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899B1 (en) Intelligent dialing scheme for telephony application
US6198939B1 (en) Man machine interface help search tool
US90924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word to be defin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lectronic dictionary
EP2856298A1 (en) Causing display of search results
WO2008153605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dictive text entry in mobile terminals using multiple databases
CN101207862A (en) Shortcut ranking method
JPH08237338A (en) Roller bar menu access equipment for cellular telephone set and its method
KR20060129735A (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2008293403A (en) Character input device, portab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program
KR20020069964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usage frequency in portable telephone
KR100506309B1 (en) Telephone number bookmark method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215312B1 (en) Method for sett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CN1326419C (en) Method of fast operating cell phone functons
KR20000059621A (en) User data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anel
KR20010110034A (en) A shorten key control method of the PDA by a comsumer definition
KR100607927B1 (en) Portable terminal for driving specific menu and method for driving menu
KR100417194B1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list in a mobile telephone
KR100689587B1 (en) Method of Applying Short Key to Mobile Phone
KR100532595B1 (en) phone having moving-memu and method moving memu
KR20000045965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of telecommunication handset
KR20000060798A (en) Method for managing user data in digital portablr terminal equipment
JP3487816B2 (en) Wireless portable terminal and telephone number display method thereof
KR10083327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KR20000056153A (en)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ing status of phonebook in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pannel
KR100782506B1 (en) Method for function direct chang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