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593A - 유체 이송 펌프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593A
KR20070110593A KR1020060043266A KR20060043266A KR20070110593A KR 20070110593 A KR20070110593 A KR 20070110593A KR 1020060043266 A KR1020060043266 A KR 1020060043266A KR 20060043266 A KR20060043266 A KR 20060043266A KR 20070110593 A KR20070110593 A KR 2007011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haft
fluid
eccentric
eccent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현
정균
Original Assignee
(주) 맥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맥센 filed Critical (주) 맥센
Priority to KR102006004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0593A/ko
Publication of KR2007011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65G53/64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in discrete a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의 압축이나 진공을 비롯하여 고점성 유체를 비롯하여 돌이나 금속과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 즉, 흙, 콘크리트, 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물 등 어떠한 형태의 이송물도 이송이 가능한 유체 이송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S1)과, 상기 구동축(S1)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에 방사형태로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된 실린더(22)를 구비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에서 편심설치되고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S1)과 동일 회전수로 회전되는 편심축(S2)과, 상기 드럼(20)의 각 실린더(22) 내에 장치되고 상기 편심축(S2)에 로드(32)로 연결되어 상기 편심축(S2)의 편심 거리만큼 상기 실린더(22)내에서 출몰작동하 피스톤(30)과, 상기 구동축(S1)과 편심축(S2)이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드럼실(12)을 가지며, 상기 드럼실(12)은 피스톤(30)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경계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독립적 공간(16a)(16b) 및 그 공간으로 유체를 흡입 및 배출을 허용하는 흡입 및 배출구(18a)(18b)를 가지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되는 유체가 다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에 의해 연속적으로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드럼실내의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에 담아져 이송되기 때문에 맥동이 전혀 없고, 또 흡입양과 배출량이 동일하므로 저속에서도 고압을 낼 수 있어, 양정거리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량펌핑이 가능하고, 소음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밸브구조가 없고, 실링을 위한 구조가 축부에서만 이루어지면 되므로 실링효율이 양호하고 그로인한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에 의해 에어에서부터 고점도를 가진 유체나 고형물에 이르기 까지 그 특성에 관계없이 이송이 가능하므로 콤프레셔, 진공펌프, 슬러지 펌프 등 다양한 펌프로의 확대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펌프, 슬러지, 콤프레셔, 피스톤, 실린더, 이송컨베이어, 진공펌프, 편심

Description

유체 이송컨베이어{Conve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이송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드럼실
14 - 커버 16a,16b - 흡입 및 배출공간
18a,18b - 흡입 및 배출구 M - 구동모터
S1 - 구동축 20 - 드럼
22 - 실린더 S2 - 편심축
30 - 피스톤 32 - 로드
S3 - 고정축 B2 - 베어링
40 - 유니버셜 N1 - 회전커팅날
N2,N3 - 고정커팅날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의 압축이나 진공을 비롯하여 고점성 유체를 비롯하여 돌이나 금속과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 즉, 흙, 콘크리트, 슬러지 등과 같은 고형물 등 어떠한 형태의 이송물도 이송이 가능한 유체 이송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관을 통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이송컨베이어는 그 쓰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양정이 크고 고압을 낼 수 있는 것은 피스톤을 이용한 컨베이어(펌프)가 있는데, 이는 소음 및 맥동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송을 위한 실린더 헤드에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밸브가 장치되어야 하는 복잡성이 있으며, 그로인하여 돌이나 금속과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유체나 고형물의 이송은 전혀 이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는 실링처리에 문제가 있어 압력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압력을 얻는 종래의 유체 이송컨베이어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반면, 맥동이 있고, 실링처리가 난해하며, 실린더내로의 유체의 입출을 위한 밸브 구조로 인하여 특정 이송물만 이송이 가능한 종래의 유체 이송컨베이어 단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단순한 실링처리로도 높은 실링효과를 득하면서 정량이송, 무소음 운전이 가능하고, 고압에 의한 높은 양정을 가짐과 아울러 어떠한 특성의 이송물도 이송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유체 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에 방사형태로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된 실린더를 구비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편심설치되고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과 동일 회전수로 회전되는 편심축과,
상기 드럼의 각 실린더 내에 장치되고 상기 편심축에 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편심축의 편심 거리만큼 상기 실린더내에서 출몰작동하 피스톤과,
상기 구동축과 편심축이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드럼실을 가지며, 상기 드럼실은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경계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독립적 공간 및 그 공간부로 유체를 유입 및 배출을 허용하는 흡입 및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송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송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하우징(10)의 내부에 드럼실(12)이 있고, 상기 드럼실(12)의 내부에는 드럼(20)이 내장되며, 상기 드럼(20)은 중심부에 구동축(S1)을 통해 외부의 구동원 즉, 구동모터(M)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드 럼(20)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실린더(22)가 일정간격의 방사형태로 배열 형성되고 각 실린더(22)의 내부에는 피스톤(30)이 내장된다.
상기 드럼(20)의 중앙부에는 구동축(S1)과 평행하면서 그 중심을 달리하도록 편심축(S2)이 축설되며, 상기 편심축(S2)과 상기 각 실린더(22)내의 피스톤(30)은 로드(32)로 링크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편심축(S2)의 편심 거리만큼 상기 실린더(22)내에서 출몰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편심축(S2)은 구동축(S1)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 작동하도록 동력전달장치로 연결되는데, 그 동력전달장치는 편심각을 수용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40)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유니버셜(40)은 스플라인축을 병설하여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실(12)은 커버(14)에 의해 내부가 완전히 개방 가능하도록 장치되며, 상기 커버(14)는 둘레에 체결된 볼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14)의 내측면에는 고정축(S3)이 견고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S3)의 둘레에 베어링을 통해 상기 편심축(S2)이 축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드럼실(12)은 피스톤(30)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경계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독립적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각 공간부에는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허용하는 흡입 및 배출구(18a)(18b)가 형성되어 이에 유체의 이송을 위한 관이 연결된다. 특히 상기 흡입 및 배출공간(16b)은 작동시 압력차가 발생되게 되는데, 드럼(20)과 드럼실(12)의 내벽이 정밀가공에 의해 긴밀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 그 틈새에 채워지는 오일이나 유체의 실링작용에 의하여 상호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20)의 양측면 둘레에 드럼(2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커팅날(N1)이 장치되고, 상기 피스톤(30)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 위치하는 드럼실(12)의 내벽에 고정커팅날(N2)(N3)이 장치되어 이송되는 유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체 이송컨베이어의 작동을 살펴본다.
먼저, 구동모터(M)가 작동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구동축(S1)이 드럼(20)을 회전시키게 됨과 동시에 유니버셜(40)로 연결된 편심축(S2)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축(S1)을 중심으로 하는 드럼(20)과 상기 편심축(S2)을 중심으로 하는 피스톤(30)의 사이에는 편심거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편심거리 만큼 상기 피스톤(30)이 실린더(22)의 내부에서 출몰작동하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실린더(22)의 내부에는 압력변화가 발생되어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가는 구간에서는 진공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가능 구간에서는 고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유체가 흡입구(18a)를 통해 흡입공간(16a)으로 유입되고,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실린더(22)에 담아져 배출공간(16b)으로 이송된다. 배출공간(16b)에서는 피스톤(30)에 의해 실린더(22) 내의 유체가 배출되어 배출구(18b)를 통해 배출 이송된다.
이러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은 드럼(20)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되는 유체가 다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에 의해 연속적으로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드럼실내의 흡입공간 및 배출공간에 담아져 이송되기 때문에 맥동이 전혀 없고, 또 흡입양과 배출량이 동일하므로 저속에서도 고압을 낼 수 있어, 양정거리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량펌핑이 가능하고, 소음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밸브구조가 없고, 실링을 위한 구조가 축부에서만 이루어지면 되므로 실링효율이 양호하고 그로인한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에 의해 에어에서부터 고점도를 가진 유체나 고형물에 이르기 까지 그 특성에 관계없이 이송이 가능하므로 콤프레셔, 진공펌프, 슬러지 펌프 등 다양한 펌프로의 확대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S1)과;
    상기 구동축(S1)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둘레에 방사형태로 일정 간격 다수개 형성된 실린더(22)를 구비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내부에서 편심설치되고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S1)과 동일 회전수로 회전되는 편심축(S2)과;
    상기 드럼(20)의 각 실린더(22) 내에 장치되고 상기 편심축(S2)에 로드(32)로 연결되어 상기 편심축(S2)의 편심 거리만큼 상기 실린더(22)내에서 출몰작동하 피스톤(30)과;
    상기 구동축(S1)과 편심축(S2)이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드럼실(12)을 가지며, 상기 드럼실(12)은 피스톤(30)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경계로 유체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한 독립적 공간(16a)(16b) 및 그 공간으로 유체를 흡입 및 배출을 허용하는 흡입 및 배출구(18a)(18b)를 가지는 하우징(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구동축(S1)과 편심축(S2) 사이에 편 심거리를 수용하면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유니버셜(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컨베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0)의 양측면 둘레에 회전커팅날(N1)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30)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 위치하는 드럼실(12)의 내벽에 고정커팅날(N2)(N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컨베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S2)은 하우징(10)에 고정설치된 고정축(S3)의 둘레에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40)에 스플라인축을 병설하여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컨베이어.
KR1020060043266A 2006-05-15 2006-05-15 유체 이송 펌프 KR20070110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66A KR20070110593A (ko) 2006-05-15 2006-05-15 유체 이송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66A KR20070110593A (ko) 2006-05-15 2006-05-15 유체 이송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593A true KR20070110593A (ko) 2007-11-20

Family

ID=390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66A KR20070110593A (ko) 2006-05-15 2006-05-15 유체 이송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5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60B1 (ko) 다중 펌프 장치
KR20070110593A (ko) 유체 이송 펌프
CN101985930B (zh) 转子式深水潜水泵
KR102219944B1 (ko)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없는 단일 채널 수중펌프
CN1877125A (zh) 椭圆旋转压缩流体输送机械
CN112814914A (zh) 一种离心水泵
CN102748279A (zh) 椭圆旋转滑片泵
CN105179242A (zh) 一种双级双作用液环泵
CN1061131C (zh) 一种抽吸高真空度的装置
RU220514U1 (ru) Секторный нагнетатель
WO2016120655A1 (en) Wobble plate pump, designed for easy maintenance
KR100541353B1 (ko)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한 액체 공급 펌프
US9964109B2 (en) Apparatus for driving fluid having a rotating cam and rocker arm
CN216306148U (zh) 一种手持式清洗机动力装置
US3148626A (en) Rotary pump
KR10158657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JPS63302189A (ja) 偏心ねじポンプ
KR101205967B1 (ko) 구동모터와 진공펌프의 연결구조
KR20190018359A (ko) 맥동저감수단이 구비된 삼각 로터리 펌프
KR200260080Y1 (ko) 공기압축펌프
CN215633582U (zh) 一种五缸活塞真空泵
KR200477444Y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슬러리 이송 펌프
KR200276901Y1 (ko) 로터형 진공펌프
KR100882466B1 (ko) 로터리 피스톤 펌프의 구동장치
KR101101206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캠트랙 유체 순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6

Effective date: 200902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9352;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6

Effective date: 2009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