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275A -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275A
KR20070110275A KR1020077017108A KR20077017108A KR20070110275A KR 20070110275 A KR20070110275 A KR 20070110275A KR 1020077017108 A KR1020077017108 A KR 1020077017108A KR 20077017108 A KR20077017108 A KR 20077017108A KR 20070110275 A KR20070110275 A KR 2007011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lens
area
axis direction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께시 우에사까
히로유끼 호리우찌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2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An imaging device (100) in which, in imaging an object, the drive of a drive motor (7) is controlled to move a lens sec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by autofucusing is performed where the focus of the lens section (4) is automatically adjusted. A cam member (6) has formed on it a cam surface with which a contact section (53a) of an outer tube section (5) comes into contact, and the cam surface has an AF range and a horizontal standard range, the AF range having a slope for causing the lens section (4) to be displac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autofucusing, the horizontal standard range being the range in which imaging can be performed with focus fixed.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모바일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이 촬상 장치를 내장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mobile computer, and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imaging device.

종래부터,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 가능한 소형이고 고성능의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 촬상 장치로서,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MOS형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ompact and high performance imag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known. As the imaging device, an imaging lens for forming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d an optical image formed by the imaging lens are used as an electrical signal. There exist some imaging elements, such as a CMOS type image sensor to convert.

또한, 촬상 장치로서,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고(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최근에는 상기 촬상 렌즈의 이동을 CPU의 제어하에서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초점 조정을 자동으로 행하는 오토포커스(AF) 처리 기능을 갖는 것도 개발되어 있다.Moreover, as an imaging device, it is also known that the focusing adjustment can be performed by mov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n recent years, by automatically moving the imaging lens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It has also been developed to have an autofocus (AF) processing function that automatically performs focus adjustment.

이러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촬상 렌즈를 그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수평면부와 이 수평면부에 연속된 경사면부(AF 영역)를 갖는 캠면이 형성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이 캠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의 경사면부의 더욱 상측에 촬상 렌즈의 소정의 접촉부를 접촉시키도록 캠 부재를 구동 시킴으로써 초점을 더욱 근접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고, 또한 경사면부의 더욱 하측에 촬상 렌즈의 접촉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초점을 더욱 무한원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such an imaging device, for example, a cam member is provided which supports an imaging lens from below and has a cam surface having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AF area) continuous to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and the cam member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some cases, the imaging lens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driving with a. More specifically, the cam member can be driven to bring the predetermined contact portion of the imaging len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of the cam member so that the focus can be further adjusted from the closer region side,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imaging lens further below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By contacting, the focus can be further adjusted from the infinite circle area side.

특허문헌 : 일본 특허 공개 평10-170809호 공보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70809

그런데, 예를 들어 전원 투입시 등이나 통상의 촬상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에 프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이 경우, AF 처리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캠 부재의 구동을 기초로 하여 근접 영역측과 무한원 영역측 사이의 과초점 위치 등의 소정의 포커싱 위치에 촬상 렌즈를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By the way, for example, it is generally performed to display a preview image on a display screen in a power-on state or a normal imaging state. In this case, in an imaging device having an AF processing function, driving of the cam member is based on driving. The imaging lens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focusing position such as a hyperfocal position between the proximity region side and the infinity region side.

이러한 경우, 촬상 장치의 개체 변동 등에 의해 변동되는 근접 영역측과 무한원 영역측 사이의 촬상 렌즈의 과초점 위치를 메모리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있다. 또한, 과초점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촬상 렌즈를 근접 영역이나 무한원 영역으로 적정하게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과초점 위치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거나, 과초점 위치로부터 근접 영역이나 무한원 영역까지의 스테핑 모터의 펄스 신호수를 메모리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있다.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store in the memory the hyperfocal position of the imaging lens between the proximity region side and the infinity region side, which are fluctuated by individual variation or the like of the imaging apparatus. In addition, when the imaging lens is properly moved to the proximal region or the infinity area based on the hyperfocal position, a predetermined calc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hyperfocal position, or the proximal or infinity area from the hyperfocal position. It is necessary to store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f the stepping motor up to the memory.

이와 같이, AF 처리에 관한 제어를 간편하게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과초점 위치 등의 기준이 되는 소정 위치나 펄스 신호수의 기억용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대형화 및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this way, since control relating to the AF processing cannot be easily performed,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number of pulse signals serving as a reference for the hyperfocal position and the like,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apparatus. And cost increase.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소비 전력 및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n,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hich can aim at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and cos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는,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n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어느 한쪽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촬상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촬상 렌즈의 포커싱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An imaging lens for forming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 imaging element for converting an optical image formed by the imaging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imaging lens, and a support for holding the holding member A member, a cam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nd displac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and a drive for rotating on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Means; and autofocus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at the time of imaging of the subject to perform autofocus processing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imaging lens by mov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apparatus,

상기 캠부는,The cam portion,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상기 캠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접촉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캠면은 상기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에 의한 상기 오토포커스 처리로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고정 초점으로 촬상 가능한 수평한 기준 영역을 갖는다.The holding member and the cam surface which the contact part formed in the other part of the said support member in which the cam part is not provided are in contact, The said cam surface image | photographs the said imaging lens by the said autofocus process by the said autofocus processing means. An AF area for displac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evice, and a horizontal reference area that can be imaged with a fixed focus.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따르면, 피사체의 촬상시에 촬상 렌즈의 포커싱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렌즈를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의 캠면은 오토포커스 처리에서 촬상 렌즈를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고정 초점으로 촬상 가능한 수평한 기준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autofocus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autofocus processing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focusing position of an imaging lens at the time of imaging an object, wherein the imaging lens is positio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The cam surface of the cam portion to be displaced is provided with an AF area for displac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in the autofocus process, and a horizontal reference area capable of imaging with fixed focus.

즉, 고정 초점으로 피사체를 촬상할 때에는, 캠부의 캠면의 기준 영역에 접촉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촬상 렌즈의 촬상 소자에 대한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고정 초점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에 있어서, AF 영역의 근접 영역측과 원격 영역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촬상 렌즈를 위치 결정하여 촬상하는 구성의 것에 비해 촬상 렌즈의 위치 결정에 관한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imaging a subject with a fixed focus, by making a contact part contact the reference area of the cam surface of a cam part, the position of the optical-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of an imaging lens can be fixed. Thereby, for example, in imaging of a subject by fixed focus, the imaging lens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positioning of the imaging lens in a position where the imaging lens is positioned and ima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near area side and the remote area side of the AF area. The control can be simplifi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캠면에 마련된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원격 위치 및 근접 위치에 촬상 렌즈를 적정하게 포커싱시키도록 상기 촬상 렌즈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광학상이 촬상 소자 상에서 적정하게 포커싱되면서, 캠면의 AF 영역에 접촉부를 접촉시키면서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AF 영역의 소정 위치나 상기 경사면부의 소정 위치로부터 근접 영역 또는 원격 영역까지의 구동 모터의 펄스 신호수를 기억해 두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Further, the imaging lens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imaging lens is properly focused at the remote position and the proximate position at the time of the autofocus process, based on the reference region provided on the cam surface. Therefore, the optical image formed by the imaging lens at the time of autofocusing is properly focused on the imaging element, so that the imaging lens can be displac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AF area of the cam surface. Thereby, since the imaging lens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memory for stor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f the drive motor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F area or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to the proximal region or the remote region. .

이와 같이, 촬상 렌즈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시에 소비되는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촬상 렌즈의 과초점 위치 등의 기준이 되는 소정 위치나 소정의 구동 수단의 펄스 신호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상기 촬상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power consumed during imaging of the subject by the imaging lens can be reduced,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predetermined driving means serving as a reference such as the hyperfocal position of the imaging lens when the imaging lens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and the size of the imaging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로서 예시하는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mage pickup device to be exemplified as on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ing device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3은 도1의 촬상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imaging device of FIG.

도4는 도1의 촬상 장치에 구비되는 캠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 member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of FIG.

도5는 도4의 캠 부재의 캠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of FIG.

도6은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ing device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00 : 촬상 장치100: imaging device

3 : 촬상 소자3: imaging device

41 : 제1 렌즈(촬상 렌즈)41: First lens (imaging lens)

42 : 제2 렌즈(촬상 렌즈)42: second lens (imaging lens)

43 : 제3 렌즈(촬상 렌즈)43: third lens (imaging lens)

44 : 렌즈 고정 프레임부44: lens fixing frame portion

44a : 수형 나사부(포커싱 상태 조정 기구)44a: Male thread part (focusing state adjustment mechanism)

5 : 외통부(보유 지지 부재)5: outer cylinder portion (holding member)

51a : 암형 나사부(포커싱 상태 조정 기구)51a: female thread part (focusing state adjustment mechanism)

53a : 접촉부53a: contact portion

6 : 캠 부재6: cam member

61 : 상부 캠부(캠부)61: upper cam portion (cam portion)

611 : 캠면611: cam surface

61a : 기준 영역(기준 위치)61a: reference area (reference position)

61b : 과무한원 영역61b: Business area

61e : AF 영역(경사면부)61e: AF area (inclined surface part)

62 : 하부 원반부(받침대)62: lower disc part (base)

7 : 구동 모터(구동 수단)7: drive motor (drive means)

10a : CPU(오토포커스 처리 수단)10a: CPU (autofocus processing means)

T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T: Mobile Phone (Electronic Device)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태양을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specific aspect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 for this inven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로서 예시하는 촬상 장치(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00)의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촬상 장치(100)의 제어계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imaging device 100 exemplified as one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artially omitt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ing device 100 along line A-A i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imaging apparatus 100.

또, 도1에 있어서는, 장치 케이스(1)의 상부 덮개부(1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1, illustration of the upper lid part 1a of the apparatus case 1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4)의 포커싱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1)와, 장치 케이스(1)의 하측에 배치된 기판(2)과, 기판(2)의 광원측(상측) 면에 설치된 촬상 소자(3)와, 촬상 소자(3)에 집광시키기 위한 렌즈부(4)와, 이 렌즈부(4)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보유 지지 부재)(5)와, 외통부(5)를 지지하여 상기 외통부(5)를 촬상 소자(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 부재(6)와, 캠 부재(6)를 통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구동 수단)(7)와, 구동 모터(7)의 구동력을 캠 부재(6)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부재(8)와,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포토인터럽터(9)와,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The imag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so that execution of the autofocus process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lens part 4 is possibl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 substrate 2 disposed below the device case 1, an imaging element 3 provided on the light source side (upper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 and a lens for condensing the imaging element 3 Supporting the portion 4, the outer cylinder portion (holding member) 5 holding the lens portion 4, and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to support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3. The cam member 6 to be displaced, the drive motor (drive means) 7 for moving the lens por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rough the cam member 6,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7 to the cam member (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8 for transmitting to 6), a photointerrupter 9 for detecting the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unit 4, and a control unit 10. .

기판(2)은 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광원측 면에 하단부를 접촉시켜 장치 케이스(1)가 설치되어 있다.The board | substrate 2 consists of a ceramic board etc., for example, and the apparatus case 1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part to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또한, 기판(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에 가요성 기판(F)이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F)은 소정의 배선(도시 생략)을 통해 촬상 소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board F is connected to the board | substrate 2 in part as shown in FIG. The flexible board F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imaging element 3 via predetermined wiring (not shown).

촬상 소자(3)는 기판(2)의 소정 위치(예를 들어, 도2에 있어서의 좌측)에, 그 광원측에 렌즈부(4)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전 변환부(3a)가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3)는, 예를 들어 CMOS형 이미지 센서, CCD형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maging device 3 converts the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formed by the lens unit 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left side in FIG. 2) of the substrate 2 to the light source 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section 3a is provided to be arranged. In addition, the imaging element 3 consists of a CMOS image sensor, a CCD image sensor, etc., for example, and the external shape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thin-plate shape.

또한, 촬상 소자(3)의 광원측에는,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을 컷트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상기 촬상 소자(3)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31)의 광원측에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결상하기 위한 렌즈부(4)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over member 3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imaging element 3, for example, having a function as a filter which cuts infrared rays etc., and can prevent dust etc. from adhering to the said imaging element 3, have. On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cover member 31, a lens portion 4 for forming an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portion 3a of the imaging element 3 is disposed.

렌즈부(4)는 광원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된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촬상 렌즈)를 구비하고, 이들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는 외형이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렌즈 고정 프레임부(44)의 내주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lens unit 4 includes a first lens 41, a second lens 42, and a third lens 43 (imaging lens),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first lens 41 and the second lens. The lens 42 and the third lens 43 are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ens fixing frame portion 44 whose outer shape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또한, 제1 렌즈(41)와 제2 렌즈(42) 사이에는, 예를 들어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판(45)이 배치되고, 또한 제2 렌즈(42)와 제3 렌즈(43) 사이에는 이들 제2 렌즈(42)와 제3 렌즈(43)의 간격을 규제하기 위한 간격 규제 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lens 41 and the second lens 42, for example, an aperture plate 45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is disposed, and further, between the second lens 42 and the third lens 43. An interval regulating member 46 for regulating the gap between the second lens 42 and the third lens 43 is disposed.

또한, 렌즈부(4)는 렌즈 고정 프레임부(44)의 외주부에 형성된 수형 나사부(44a)를 외통부(5)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형 나사부(51a)에 나사 결합시키도록 하여 외통부(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ns portion 4 is such that the male screw portion 44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ens fixing frame portion 44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51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so that the lens portion 4 It is arranged inside.

여기서, 외통부(5)에 대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시킴으 로써 상기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를 조정하는 포커싱 상태 조정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6)의 기준 영역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되어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차트를 이용하여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를 평가해 가고, 그 평가 상황에 따라서 렌즈부(4)를 나사 삽입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포커싱 상태 조정 기구에 의해 기준 촬상 위치에 있어서의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을 간편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Here, the lens unit 4 can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rotating the lens unit 4 around the axis of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part 5, whereby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is changed. A focusing state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is configured. More specifically, in the state where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contacts the reference region of the cam member 6 and is positio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portion 4 is evaluated using a predetermined char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ituation,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is adjusted by screwing the lens unit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is manner, the focusing state adjustment mechanism can easily and appropriately adjust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at the reference imaging position.

외통부(5)는 예를 들어 외형이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 내주부에 암형 나사부(51a)가 형성된 상부 고리 형상부(51)와, 이 상부 고리 형상부(51)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11)에 의해 기판(2)측으로 압박되는 피압박부(52)와, 이 피압박부(52)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하단부에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접촉되는 접촉부(53a)가 형성된 하부 고리 형상부(53)를 구비하고 있다.The outer cylinder part 5 is a member formed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upper annular part 51 in which the female screw part 51a wa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art, and this upper annular part 51, It is formed continuously on the to-be-pressed part 52 pressed against the board | substrate 2 side by the press member 11, such as a spring, and it is formed in the lower end at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at the lower part. The lower annular part 53 in which the contact part 53a to contact is formed is provided.

접촉부(53a)는 대략 120°간격을 두고 하부 고리 형상부(53)의 하면으로부터 촬상 소자(3)측으로 3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53a)의 돌출 길이는 캠 부재(6)의 캠면(611) 상면의 고저차와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고저차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s 53a are formed to protrude thre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annular portion 53 toward the imaging device 3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20 °. Moreove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ntact part 53a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or is long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또한, 압박 부재(11)의 상단부는 예를 들어 장치 케이스(1)의 상부 덮개부(1a)의 하면에 접촉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압박 부재(11)에 의해 외통부(5)가 기판(2)측으로 항상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1 is in contact with,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id portion 1a of the apparatus case 1, whereby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s pushed by the pressing member 11 to the substrate 2. It is always pressed to the side.

또한, 외통부(5)의 소정 위치에는 포토인터럽터(9)에 의해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용 날개 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detection blade member 54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part 4 in the optical-axis direction by the photointerrupter 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er cylinder part 5.

다음에, 캠 부재(6)에 대해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4는 캠 부재(6)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5는 캠 부재(6)의 캠면(611)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Next, the cam member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m member 6, an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As shown in FIG.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부재(6)는 예를 들어 대략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 구체적으로는 상단부에 접촉부(53a)가 접촉되고 외통부(5)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캠면(611)을 갖는 상부 캠부(캠부)(61)와, 이 상부 캠부(61)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고 외주부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부 캠부(61)를 통해 외통부(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인 하부 원반부(받침대)(6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am member 6 is, for example, a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Specifically, a cam surface 611 that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53a to the upper end portion and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from the lower side. An upper cam portion (cam portion) 61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at is a support member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m portion 61 and has a gea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through the upper cam portion 61; The disk part (base) 62 is comprised.

상부 캠부(61)의 캠면(611)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면을 갖는 기준 영역(61a)과, 이 기준 영역(61a)보다도 높이가 약간 낮은 수평면을 갖는 과무한원(過無限遠) 영역(61b)과, 기준 영역(61a)과 과무한원 영역(61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작은 단차 영역(61c)과, 기준 영역(61a)보다도 높이가 높은 수평면을 갖는 근접 영역(61d)과, 과무한원 영역(61b)과 근접 영역(61d)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넓은 경사면을 갖는 AF 영역(61e)과, 근접 영역(61d)과 기준 영역(61a)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큰 단차 영역(61f)이 대략 120°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외통부(5)의 3개의 접촉부(53a)가 접촉하게 되고, 캠 부재(6)는 외통 부(5)를 3점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면이라 함은, 렌즈의 광축에 대해 연직된 평면인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5, the cam surface 611 of the upper cam portion 61 has a reference area 61a having a horizontal plane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slightly lower in height than the reference area 61a. The stepless area 61b which has a horizontal plane, the small step area 61c which connects the reference area 61a and the limitless area 61b continuously, and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area 61a. Is an adjacent area 61d having a high horizontal plane, an AF area 61e having a wide inclined plane that continuously connects the non-circular area 61b and the adjacent area 61d, and an adjacent area 61d and a reference area ( A large stepped area 61f that continuously connects 61a) is formed at an interval of about 120 °. Thereby, the three contact parts 53a of the outer cylinder part 5 contact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and the cam member 6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art 5 at three points. Here, the horizontal plane mean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그리고, 캠 부재(6)가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상부 캠부(61)의 캠면(611)을 따라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상기 캠면(611)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외통부(5)와 함께 렌즈부(4)가 광축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Then, the cam member 6 rotates around the ax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cam surface 611 to move while sliding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along the cam surface 611 of the upper cam portion 61. As a result, the lens portion 4 is displaced along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큰 단차 영역(61f)의 고저차는, 예를 들어 적어도 포토인터럽터(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레벨을 검지용 날개 부재(54)에 의해 절환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캠면(611)이 도5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캠 부재(6)가 회전함으로써, 접촉부(53a)가 큰 단차 영역(61f)을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검지용 날개 부재(54)와 포토인터럽터(9)와의 상대적인 고저차를 기초로 하여 상기 포토인터럽터(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로우 레벨(L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H 레벨)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The height difference of the large step area 61f is such that, for example, at least the level of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interrupter 9 can be switched by the detecting blade member 54.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cam member 6 rotates so that the cam surface 611 moves to the left direction in FIG. 5, the step portion 61f having the large contact portion 53a moves from top to bottom. At this time,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interrupter 9 is switched from the low level (L level) to the high level (H level) based on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vane member 54 and the photointerrupter 9. It is supposed to be.

기준 영역(61a)은 전원 투입시 등이나 통상의 촬상 상태인 고정 초점으로 촬상할 때에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체적으로는 렌즈부(4)를 과초점 등을 포함하는 상초점(常焦点)으로 포커싱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을 간편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고정 초점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촬상을 보다 적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The reference area 61a is an area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ens unit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or when the image is captured at a fixed focus in a normal image pickup state. Positioning is perform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as to focus at an upper focus including light and the like.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nd appropriately adjust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without requiring a collimator or the like, for example, so that the imaging of the subject in the fixed focus can be performed more appropriately. do.

또한, 상초점이라 함은, 적어도 촬상 빈도가 높은 30 ㎝ 내지 3 m의 범위 내에서 베스트 핀트로서 설정된 소정 위치의 것이다.In addition, an upper focal point is a thing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t as the best focus within the range of 30 cm-3 m with a high imaging frequency at least.

또한, 기준 영역(61a)은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과무한원 위치 및 근접 위치에서 렌즈부(4)를 포커싱시키도록 상기 렌즈부(4)를 촬상 소자(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준 위치로 되어 있고, AF 영역(61e)의 전후에 수평한 과무한원 영역(61b)과 근접 영역(61d)이 배치되어 있다. 즉, 기준 영역(61a)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가 접촉된 상태에서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광학상이 결상되도록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렌즈부(4)를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과무한원 위치 및 근접 위치로 이동시켜도 렌즈부(4)의 광학상은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서 결상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region 61a positions the lens por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pickup element 3 so as to focus the lens portion 4 at an indefinite and close position in the autofocus process. It is set as the reference position, and horizontal and infinite circle area 61b and the proximity area 61d are arrange | positioned before and after AF area 61e. That is, the adjustment of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is performed such that the optical image is imaged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3a of the imaging device 3 while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area 61a. By doing so, even if the lens portion 4 is moved to an infinitely far and near position during the autofocusing process, the optical image of the lens portion 4 is formed i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portion 3a of the imaging device 3.

AF 영역(61e)은 CPU(10a)(후술)의 제어하에 있어서의 오토포커스 처리(후술)에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영역으로, 과초점 위치를 사이에 두고 그 하측이 원격 영역측이 되고, 상측이 근접 영역(61d)측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AF 영역(61e)을 따라 접촉부(53a)가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렌즈부(4)의 촬상 소자(3)의 광전 변환부(3a)에 대한 광축 방향의 거리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AF 영역(61e)의 더욱 상측에 접촉부(53a)를 접촉시키도록 캠 부재(6)를 구동시킴으로써 초점을 더욱 근접 영역(61d)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고, 또한 AF 영역(61e)의 더욱 하측에 렌즈부(4)의 접촉부(53a)를 접촉시킴으로써 초점을 더욱 원격 영역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F area 61e is an area for displacing the lens por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under the autofocus process (described la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a (described later). It is the remote area side, and the upper side is the proximity area 61d side. That is, the contact part 53a slides along the said AF area 61e, and the distance of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part 3a of the imaging element 3 of the lens part 4 can be changed. Thereby, by driving the cam member 6 to bring the contact portion 53a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AF area 61e, the focus can be further adjusted from the closer area 61d side, and further the AF area 61e can be made. By bringing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lens portion 4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the focus can be further adjusted from the remote region side.

또한, AF 영역(61e)의 하측 영역은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에서 포커싱 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되어 있다.The lower area of the AF area 61e is an area for position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lens unit 4 is focused at the remote imaging position.

여기서, 원격 영역이라 함은, 과초점보다도 먼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위치로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과무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In this case, the remote area is an area including a position focusing on a subject farther than the hyperfocal point and includes an excessive area.

과무한원 영역(61b)은 렌즈부(4)를 과무한원 위치에서 포커싱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AF 영역에 전후하는 두 개의 수평부 중 한쪽을 구성하고, 구체적으로는 촬영 배율이 플러스가 되는 영역이다.The fruitless circle area 61b is an area for positioning the lens part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cus at the fruitless circle position, and constitutes one of two horizontal parts before and after the AF area. This is an area where the shooting magnification becomes positive.

여기서, 과무한원 위치라 함은, 무한원 영역보다도 더욱 근접 영역(61d)과 반대측이며, 렌즈부(4)의 초점을 본래의 무한원보다도 더욱 무한원측으로부터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렌즈부(4)의 제1 렌즈(41), 제2 렌즈(42) 및 제3 렌즈(43)를 구성하는 소정의 수지는,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조건에 의해 굴절률이 변동될 우려가 있어, 이 경우, 무한원으로 포커싱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수지의 굴절률이 변동하여 통상 상태에 있어서의 무한원으로부터 초점을 맞출 수 없게 되어도, 상기 과무한원 영역(61b)에 의해 포커싱 위치를 근접 영역(61d)과 반대측으로 옮길 수 있게 되어, 초점을 무한원으로 적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캠부의 AF 영역의 일단부의 과무한 위치에 연속된 과무한원 영역을 수평면으로 함으로써, 캠 종동부의 선단부 형상에 관계없이, 렌즈를 확실하게 과무한원 위치에 둘 수 있다. 또한, AF 영역의 과무한측의 종단부의 캠 변화가 완만해지므로, 캠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Here, the endless circular position is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loser area 61d than the infinity area, and the focus of the lens unit 4 can be adjusted from the infinity side more than the original infinity. That is, the predetermined resin constituting the first lens 41, the second lens 42, and the third lens 43 of the lens unit 4 has a refractive index, for example,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There is a possibility of fluctuation, and in this case, it becomes impossible to focus at infinity. Therefore, even i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resin fluctuates and the focus cannot be focused from the infinity in the normal state, the focusing position 61b allows the focusing position to be shift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proximity region 61d. Can be properly adjusted to infinity. In this case, by setting the horizontal area that is continuous at the critical position of one end of the AF area of the cam portion as the horizontal plane, the lens can be reliably placed at the infinite circular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tip portion of the cam follower. In addition, since the cam change of the end portion on the excessive side of the AF area becomes smooth, wear of the cam is prevent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근접 영역(61d)은 렌즈부(4)를 근접 촬상 위치에서 포커싱시키도록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 근접 영역(61d)에 외통부(5)의 접촉 부(53a)가 접촉된 상태가 됨으로써, 렌즈부(4)가 가장 피사체측으로 풀어내어진 상태가 된다(도6 참조). 이 때, 피사체와 렌즈부(4)의 거리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30(㎝)이며, 서류의 화상을 촬상 소자(3)의 촬상 영역[광전 변환부(3a)] 전면에서 촬상하거나,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후술함)에 촬상 장치(100)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장치(100)를 바코드 리더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캠부의 AF 영역의 타단부의 근접 위치에 연속된 근접 영역을 수평면으로 함으로써, 캠 종동부의 선단부 형상에 관계없이 렌즈를 확실하게 근접 위치에 둘 수 있다. 또한, AF 영역의 근접측 종단부의 캠 변화가 완만해지므로, 캠의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The proximity area 61d is an area for positioning the lens unit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as to focus at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ximal region 61d, the lens portion 4 is in a state where the lens portion 4 is unfolded to the most object side (see Fig. 6).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unit 4 is, for example, about 5 to 30 cm, and an image of a document is picked up from the front of the imaging are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3a) of the imaging element 3, or viewed. When the imaging device 100 is mounted in the cellular phone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imaging device 100 can be used as a barcode reader. Here, by making the proximity area continuous to the proximal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AF area of the cam part the horizontal plane, the lens can be reliably placed in the proximal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distal end of the cam follower part. In addition, since the cam change of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AF area becomes smooth, wear of the cam is prevent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하부 원반부(62)의 기어는 구동력 전달 부재(8)의 하측 외주부에 형성된 평기어부(도시 생략)에 맞물려져 있다.The gear of the lower disc portion 62 is meshed with a spur gear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8.

또한, 구동력 전달 부재(8)에는 평기어부와 동심으로 이 평기어부보다도 상측에 헬리컬 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이 헬리컬 치가 구동 모터(7)의 출력축에 설치 고정된 웜(worm)(71)에 맞물려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8 is provided with a helical tooth (not shown) concentrically with the spur gear portion, and above the spur gear portion, and the helical tooth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7. ) Is engaged.

여기서, 구동력 전달 부재(8)의 회전 방향은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로부터 근접 촬상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웜(71)과 헬리컬 치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압박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렌즈부(4)는 압박 부재(11)에 의해 광원측으로부터 기판(2)측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AF 영역(61e)에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압박되는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킨 쪽이 렌즈부(4)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 정밀도 향상의 면에서 바람직하다.Her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8 is such that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8 is engaged with the worm 71 and the helical teeth when the lens portion 4 is moved from the remote imaging position to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It is a direction pressed against the board | substrate 2 side. That is, since the lens portion 4 is press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to the substrate 2 side by the pressing member 11, when the lens portion 4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AF area 61e,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rotate so that 8 may become the direction which is pressed toward the board | substrate 2 side from the point of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lens part 4 in the optical-axis direction.

환언하면, 오토포커스 처리(후술함)를 렌즈부(4)의 풀어냄시에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4)를 풀어냄으로써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압박되도록 헬리컬 치를 마련하고, 한편 렌즈부(4)의 감음시에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4)를 감음으로써 구동력 전달 부재(8)가 기판(2)측으로 압박되도록 헬리컬 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autofocus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lens portion 4, the helical is pushed toward the substrate 2 side by releasing the lens portion 4 so that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8 is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2 side. In the case where the teeth are provided and the lens unit 4 is closed, the helical teeth are preferably provided such that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8 is pressed toward the substrate 2 by winding the lens unit 4.

구동 모터(7)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 등의 펄스 모터이며, CPU(10a)로부터 출력되고 입력된 펄스를 기초로 하여 로터를 소정 각도씩 스텝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웜(71) 및 구동력 전달 부재(8)를 통해 캠 부재(6)를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drive motor 7 is a pulse motor, such as a stepping motor, for example, and is made to step-drive a rotor by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pulse output and input from CPU10a. As a result, the cam member 6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round the ax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rough the worm 71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8.

제어부(10)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0a)와, RAM(10b)과, 기억부(10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 촬상 소자(3), 구동 모터(7), 포토인터럽터(9)는 버스(B)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10 is for controlling the autofocus proces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CPU 10a, a RAM 10b, and a storage unit 10c. Moreover, the control part 10, the imaging element 3, the drive motor 7, and the photointerrupter 9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bus B. As shown in FIG.

CPU(Central Processing Unit)(10a)는 상기 촬상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기억부(10c)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10b)의 작업 영역에 전개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The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0a collectively controls each unit constituting the imaging device 100, and reads a predetermined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c to a working area of the RAM 10b. It expands and performs various processes according to the said program.

RAM(Random Access Memory)(10b)은 CPU(10a)의 제어하에서 기억부(10c)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저장 영역이나 작업 영역 등을 구성하고 있 다.The RAM (Random Access Memory) 10b constitutes a storage area, a work area, and the like of a program or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10c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a.

기억부(10c)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나 EEPROM(Electronic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10a)의 제어하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의 처리에 관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c)는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 처리 프로그램(c1)을 기억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10c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ROM (Read Only Memory), an EEPROM (Electronic Erasable Programmable ROM), or the like, and stores various program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a, data relating to processing of each program, and the like. To remember.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0c stores, for example, the autofocus processing program c1.

오토포커스 처리 프로그램(c1)은, CPU(10a)에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으로서 피사체의 촬상시에 구동 모터(7)의 구동을 제어시켜 렌즈부(4)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5)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렌즈부(4)의 포커싱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다.The autofocus processing program c1 controls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7 at the time of imaging of a subject as the autofocus processing means to the CPU 10a to move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holding the lens por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a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of performing an autofocus process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lens unit 4 by moving to.

여기서, 오토포커스 처리는, 예를 들어 CPU(10a)의 제어하에서, 캠 부재(6)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캠면(611)으로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와 근접 촬상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면서 피사체를 촬상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 간다. 그리고, CPU(10a)는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초점 조정 위치에 있어서의 특정 주파수 해석을 행함으로써 취득한 주파수 해석 데이터를 RAM(10b) 내에 차례로 저장해 간다. 또한, CPU(10a)는 RAM(10b)에 저장된 주파수 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초점 조정 위치에 있어서의 그 피사체의 광학상의 포커싱 상태를 평가하고, 평가치가 가장 좋은 촬상 위치를 포커싱 위치로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autofocus processing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cam member 6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a, for example, by sliding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to the cam surface 611. Image data is acquired by imaging the subject while moving 4) between the remote imaging position and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Then, the CPU 10a sequentially stores the acquired frequency analysis data in the RAM 10b by performing specific frequency analysis at the plurality of focus adjustment positions of the acquired image data. Further, the CPU 10a evaluates the focusing state of the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at the focus adjustment position of the image data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data stored in the RAM 10b, and focuses the imaging position having the best evaluation value. It is supposed to define by location.

또한, 오토포커스 처리에 있어서는,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로부터 근접 촬상 위치까지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경우, 캠 부재(6)의 캠면(611)에 마련된 하나의 AF 영역(61e)보다도 다음의 AF 영역(61e)에서의 소정 시간당 구동 모터(7)의 회전 속도를 지연시키도록 변경해도 좋다. 즉, 하나의 AF 영역(61e)에서 평가치가 좋은 촬상 위치의 목표를 탐색하여, 이 목표가 되는 촬상 위치까지의 기준 영역(61a)으로부터의 펄스수를 기억해 두고, 상기 펄스수를 기초로 하여 다음의 AF 영역(61e)에서 목표가 되는 촬상 위치의 부근에서 구동 모터(7)의 회전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광학상의 포커싱 상태의 평가를 더욱 적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autofocusing process, the lens unit 4 is mo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remote imaging position to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In this case, one AF area provided on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is provided. You may change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7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delayed in AF area 61e following next to 61e. That is, the target of an image pickup position having a good evaluation value is searched for in one AF region 61e, and the number of pulses from the reference region 61a up to the target image pickup position is stored, and the following number is based on the number of pulses. By delay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7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imaging position in the AF area 61e, the focusing state of the optical image can be more appropriately evaluated.

또한, 예를 들어「매크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10a)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근접 영역(61d)에 렌즈부(4)를 이동시키도록 구동 모터(7)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cro mode" is set, the CPU 10a drives the drive motor 7 to move the lens portion 4 to the proximity area 61d without executing the autofocus process. To control.

다음에, 상기 촬상 장치(100)를 일례로서 본 발명의 촬상 장치(100)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imaging device 100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the said imaging device 100 as an example.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 전화기(T)이며, 표시 화면(D)을 구비한 케이스로서의 상부 하우징(12a)과, 조작 버튼(P)을 구비한 하부 하우징(12b)이 힌지(12c)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촬상 장치(100)는 상부 하우징(12a)의 내표면측[표시 화면(D)을 갖는 측]의 표시 화면(D)의 하방에 내장되어 있어, 촬상 장치(100)가 상부 하우징(12a)의 외표면으로부터 광을 취입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electronic device is, for example, a folding cellular phone T, an upper housing 12a as a case having a display screen D, and a lower housing provided with operation buttons P. As shown in FIG. 12b is connected via the hinge 12c. The imaging device 100 is embedded below the display screen D on the inner surface side (side having the display screen D) of the upper housing 12a, so that the imaging device 100 is placed on the upper housing 12a. Light can be taken in from the outer surface.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T)에 촬상 장치(100)를 내장해도 휴대 전화기(T)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사체의 촬상을 피사체와의 거리나 촬상 환경 등에 대응시켜 더욱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부가 가치가 높은 휴대 전화기(T)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maging device 100 is incorporated in the mobile phone T, the enlargement of the mobile phone T can be suppressed, and the imaging of the subject can be performed more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to the subject, the imaging environment, or the like. Therefore, the mobile telephone T with high added value can be obtained.

또한, 휴대 전화기(T)의 그 밖의 구성 요소는 공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cellular phone T are well-know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고정 초점으로 피사체를 촬상할 때에는, 캠 부재(6)를 회전시키고 그 캠면(611)의 기준 영역(61a)에 렌즈부(4)를 보유 지지하는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접촉시킴으로써, 렌즈부(4)의 촬상 소자(3)에 대한 광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고정 초점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에 있어서, AF 영역(61e)의 근접 영역(61d)측과 원격 영역측 사이의 소정 위치에 렌즈부(4)를 위치 결정하여 촬상하는 구성인 것에 비해 렌즈부(4)의 위치 결정에 관한 제어를 간략화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maging a subject with a fixed focus, the cam member 6 is rotated and the lens portion 4 is placed in the reference region 61a of the cam surface 611. By making the contact part 53a of the outer cylinder part 5 which hold | maintains hold |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optical-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3 of the lens part 4 can be fixed. Thereby, for example, in imaging of the subject by fixed focus, it is the structure which positions and image | photographs the lens part 4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proximity area 61d side of a AF area 61e, and a remote area side. On the contrary, the control regarding the positioning of the lens unit 4 can be simplifi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캠면(611)에 마련된 기준 영역(61a)을 기준으로 하여,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원격 위치 및 근접 위치에 렌즈부(4)를 적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준 영역(61a)에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외통부(5)에 대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을 간편하고, 또한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 부재(6)는 약 120°간격을 두고 3점에서 외통부(5)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렌즈부(4)가 피사체측으로부터 압박된 경우에, 캠 부재(6)에 의해 외통부(5)를 2점 이내로 지지하는 구성과 같이 압박되는 부위에 따라 렌즈부(4)가 광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되는 것 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렌즈부(4)의 경사를 억제하는 예를 들어 가이드와 같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렌즈부(4)의 지지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4)의 무게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3점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촬상 장치(100)의 구조를 충격에 강한 것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unit 4 can be appropriately positioned at the remote position and the proximate position at the time of the autofocusing process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region 61a provided on the cam surface 611.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area 61a,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portion 4 is adjusted by moving the lens portion 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Can be performed easily and appropriately.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am member 6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at three points at intervals of about 120 °, the cam member 6 is driven by the cam member 6 when the lens portion 4 is pressed from the subject si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lination of the lens portion 4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sed portion, such as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within two points. That is, support of the said lens part 4 can be performed suitably, without requiring a member like a guide which suppresses the inclination of the lens part 4, for example. In addition, the lens unit 4 can be held at three points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ns 4 as a center, and the structure of the imaging device 100 can be made resistant to impact.

따라서, 오토포커스 처리시에 렌즈부(4)에 의해 결상되는 광학상을 촬상 소자(3) 상에서 적정하게 포커싱시키면서 외통부(5)의 접촉부(53a)를 캠면(611)의 AF 영역(61e)에 접촉시키면서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부(4)를 광축 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렌즈부의 과초점 위치 등의 기준이 되는 소정 위치나 AF 영역(61e)의 소정 위치로부터 근접 영역(61d)이나 원격 영역까지의 구동 모터(7)의 펄스 신호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촬상 장치(100)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act portion 53a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5 is brought into the AF area 61e of the cam surface 611 while appropriately focusing the optical image formed by the lens portion 4 on the imaging element 3 during the autofocus processing. The lens portion 4 can be displac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As a result, when the lens unit 4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proximity region 61d is mov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such as the hyperfocal position of the lens unit or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F region 61e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memory for stor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f the drive motor 7 to the remote area. As a result, the size of the imaging device 100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좋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You may change various improvement and a desig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CPU(10a)의 제어하에서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로부터 근접 촬상 위치까지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부(4)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CPU(10a)는 렌즈부(4)를 원격 촬상 위치로부터 근접 촬상 위치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구동 모터(7)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캠 부재(6)를 역회전시켜 렌즈부(4)를 근접 촬상 위치로부터 원격 촬상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동 모터(7)의 역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쉬를 고려하여 이 백래쉬만큼 넉넉하게 복귀시키도록 한 쪽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ens unit 4 is mo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remote imaging position to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a, but the lens unit 4 is not limited thereto. You may make it move to a direction. That is, the CPU 10a moves the lens unit 4 from the remote imaging position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and then reversely rotates the cam member 6 by rever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7. (4) may be moved from the proximity imaging position to the remote imaging posi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turn as much as this backlash in consideration of the backlash generate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7, for exampl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AF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촬상 장치(100)라도, AF 처리에 관한 구성 부분 이외의 구조, 즉 렌즈부(4)의 조립 부착 구조나 상기 렌즈부(4)의 기준 촬상 위치에 있어서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 기구 등을 상기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와 공통화함으로써, 렌즈부(4)의 조립 부착이나 상기 렌즈부(4)의 포커싱 상태의 조정 등의 작업을 상기 촬상 장치(100)에 관한 것과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Moreover, even in the imaging device 100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control mechanism for performing the AF processing illu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ructure other than the component parts related to the AF processing, that is,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lens unit 4 and the lens By adjusting the focusing state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like at the reference imaging position of the unit 4 with the imaging device 100 of the above embodiment, the assembly of the lens unit 4 and the focusing state of the lens unit 4 are performed. Operations such as adjustment can be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that of the imaging device 100, simply.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부(5)의 하부 고리 형상부(53)에 3개의 접촉부(53a,…)를 설치하고, 이들 접촉부(53a)를 캠 부재(6)의 캠면(611)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캠 부재(6)에 의해 외통부(5)를 3점에서 지지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통부(5)의 지지는 적어도 3점에서 행해지고 있으면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three contact parts 53a, ... are provided in the lower annular part 53 of the outer cylinder part 5, and these contact parts 53a contact the cam surface 611 of the cam member 6 Although the outer cylinder part 5 is supported by three points by the said cam member 6,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outer cylinder part 5 should just be supported by at least three points.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부(5)의 하면에 접촉부(53)를 설치하고, 받침대로서의 하부 원반부(62)와 캠부로서의 상부 캠부(61)를 구비하는 캠 부재(6)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받침대의 상면에 접촉부를 설치하고, 캠부를 외통부(보유 지지 부재)의 하면에 설치하여 상기 외통부를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부(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ntact part 53 wa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art 5, and the cam member 6 provided with the lower disc part 62 as a base and the upper cam part 61 as a cam part was illustrated, It is not limited, but the contact part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a base, the cam part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an outer cylinder part (holding support member), and the said lens part 4 is moved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rotating the said outer cylinder part around the axis of an optical axis direction. You may make it.

추가하여, 상기의 경우에, 외통부 및 받침대 중 접촉부가 설치된 쪽을 캠부에 대해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캠부 및 접촉부는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the outer cylinder portion and the pedestal may be rotated around the ax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m portion. That is, the cam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ly around the ax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T)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 장치(100)를 내장 가능한 전자 기기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를 기기 본체 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상 렌즈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시에 소비되는 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촬상 렌즈의 과초점 위치 등의 기준이 되는 소정 위치나 소정의 구동 수단의 펄스 신호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상기 촬상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mobile telephone T was illustrated as an electronic device, it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any electronic device which can incorporate the imaging device 100 may be sufficient. By providing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aratus main body,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wer consumed at the time of imaging the subject by the image capturing lens and at the same time to move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position serving as a reference such as a hyperfocal position and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f a predetermined driving means, so that the size of the imaging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수단으로서 구동 모터(7)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압전 소자나 형상 기억 합금 등의 소형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ive motor 7 was illustrated as a drive means in the sai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you may use small actuators, such as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shape memory alloy.

Claims (9)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와, 상기 촬상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캠부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어느 한쪽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피사체의 촬상시에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촬상 렌즈의 포커싱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오토포커스 처리를 행하는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An imaging lens for forming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 imaging element for converting an optical image formed by the imaging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imaging lens, and a support for holding the holding member A member, a cam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nd displac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and a drive for rotating on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Means; and autofocus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at the time of imaging of the subject to perform autofocus processing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ing position of the imaging lens by mov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Device, 상기 캠부는,The cam portion,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상기 캠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일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접촉되는 캠면을 갖고, 상기 캠면은 상기 오토포커스 처리 수단에 의한 상기 오토포커스 처리로 상기 촬상 렌즈를 상기 촬상 소자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AF 영역과, 고정 초점으로 촬상 가능한 수평한 기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hold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have a cam surfac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which the cam portion is not provided. And an AF area for displac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g element, and a horizontal reference area capable of imaging with fixed foc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 영역의 일단부는 과무한원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image pickup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AF area is an infinite circle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촬상 렌즈의 포커싱 상태를 조정하는 포커싱 상태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focusing st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cusing state of the imaging lens is adjusted by moving the imaging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position and positioned. And an adjustment mechanis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 및 상기 접촉부는 광축 방향의 축 주위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등간격을 두도록 하여 3점 이상의 복수점에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지지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said cam part and the said contact part rotate relatively about the axis of an optical-axis direction, and hold | maintain the said holding member or the said holding member in multiple points of three or more points so that they may be substantially equally spaced apart. An imaging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초점(常焦点)으로 포커싱하는 상기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ference position is a position for positioning the imaging lens focused in an image focusing directio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기기 본체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imaging device in any one of Claims 1-5 in an apparatus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AF 영역의 상기 일단부의 상기 과무한원 위치에 연속된 수평한 과무한원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m portion has a horizontal hyper-infinity region continuous to the hyper-infinity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AF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AF 영역의 상기 일단부의 타단부가 근접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one end of the AF area is in a proximal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AF 영역의 상기 타단부의 상기 근접 위치에 연속된 수평한 근접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9. 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cam portion has a horizontal proximity region continuous at said proximal position of said other end of said AF region.
KR1020077017108A 2005-01-31 2006-01-24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1102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3915 2005-01-31
JP2005023915 2005-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275A true KR20070110275A (en) 2007-11-16

Family

ID=3674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108A KR20070110275A (en) 2005-01-31 2006-01-24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6080305A1 (en)
KR (1) KR20070110275A (en)
CN (1) CN101111792A (en)
WO (1) WO200608030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6643B3 (en) * 2007-11-24 2009-06-04 Leuze Electronic Gmbh & Co Kg Optical sensor
CN102833475B (en) * 2012-08-17 2015-05-20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Camera for terminal equipment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amera for terminal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4236A (en) * 1993-11-12 1995-05-23 Olympus Optical Co Ltd Lens driving device
JPH08292351A (en) * 1995-04-25 1996-11-05 Minolta Co Ltd Camera with lens barrier
JP3746574B2 (en) * 1996-08-12 2006-0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Photography lens device
JP2005077826A (en) * 2003-09-01 2005-03-24 Minolta Co Ltd Camera unit
JP2005128116A (en) * 2003-10-22 2005-05-19 Seiko Precision Inc Optical module
JP2006039480A (en) * 2004-07-30 2006-02-09 Nidec Copal Corp Lens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1792A (en) 2008-01-23
WO2006080305A1 (en) 2006-08-03
JPWO2006080305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802B2 (en) Lens apparatus and camera
KR100770866B1 (en) Camera lens module with auto focusing apparatus
JPWO2005019897A1 (en) Imaging device
KR20070043643A (en) Lens barrel
KR20070043636A (en) Lens barrel
JP6207364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2009169013A (en) Drive device and imaging device
WO2006080443A1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110275A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047731A (en)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6597204B2 (en) Lens unit and imaging device
KR101469981B1 (en) Zooming apparatus for camera device
KR20080075641A (en) Zoom lens barrel and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5084605A (en) Imaging apparatu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the apparatus
JP2003227989A (en) Zoom lens barrel, lens barrel and camera
JP4396813B2 (en) Imaging unit
JP2005077826A (en) Camera unit
JP2006267617A (en)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20188348A (en) Imaging device, imag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JP4974833B2 (en) LENS DEVICE AND IMAGING DEVICE
JP5020026B2 (en) Lens barrel and camera
JP2014149364A (en) Imaging unit and imaging device
KR100620591B1 (en) Optical structure having function of zooming and focusing
JP2012083713A (en) Lens barrel
KR20070046317A (en) Auto focusing actuator of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