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266A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266A
KR20070109266A KR1020060042017A KR20060042017A KR20070109266A KR 20070109266 A KR20070109266 A KR 20070109266A KR 1020060042017 A KR1020060042017 A KR 1020060042017A KR 20060042017 A KR20060042017 A KR 20060042017A KR 20070109266 A KR20070109266 A KR 2007010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ndensation
air
condensation duct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9266A/ko
Publication of KR2007010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가 분사되어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유로에 응축작용을 촉진시키는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된 건조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덕트내에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공기와 냉각수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어 냉각수의 소모가 저감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면에 마련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상에 설치되며 내벽에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된 응축덕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응축덕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응축덕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응축덕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우징, 2 : 터브,
3 : 드럼, 5 : 도어,
20 : 건조장치, 21 : 순환유로,
23 : 송풍팬, 24 : 응축덕트,
26 : 분사노즐, 30 : 엠보싱,
31 : 그루브, 32 : 리브,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가 분사되어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응축되는 응축유로에 응축작용을 촉진시키는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된 건조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능을 갖춘 드럼세탁기는 건조과정에서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장치와, 응축과정을 거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장치를 구비한다.
응축장치는 응축과정이 일어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며, 이 응축덕트에는 공기를 냉각시켜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도록 공기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노즐이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내에 고온 다습상태가 된 공기로부터 수증기를 회수하는 응축과정을 거친 후 다시 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과정에 사용하게 되는 폐회로 순환과정에 의해 건조기능이 구현된다.
이때 응축과정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를 수증기 응축을 위한 냉각수로 사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회수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은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응축과정에서 분무되는 냉각수는 응축덕트내를 하강하며 응축덕트내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응축덕트는 일반적으로 드럼의 후방에 설치되므로 그 길이는 드럼의 직경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분사된 물과 공기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충분한 접촉시간 및 경로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응축을 위하여 많은 양의 냉각수가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덕트내에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공기와 냉각수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어 냉각수의 소모가 저감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면에 마련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상에 설치되며 내벽에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된 응축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에 함몰형성된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응축덕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대략 박스형태로 이루어져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와, 터브(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표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드럼(3)과, 이 드럼(3)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시켜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터브(2)와 드럼(3)의 전면부는 드럼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2)에 담겨진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의 전면에는 터브(2)와 드럼(3)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5)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드럼(3)의 내주면에는 리프터(6)가 일정간격으로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드럼(3)이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을 상부로 끌어올린 후에 일정높이에서 낙하시켜 이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력을 얻게 된다.
또한, 터브(2)의 외측면으로는 건조운전시 드럼(3)에 담겨진 세탁물에 고온건조한 상태의 공기를 불어넣어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20)가 설치된다.
이 건조장치(20)는 드럼(3)과 함께 폐회로인 순환유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드럼(3)내외를 순환하도록 하는 에어덕트(21)와, 이 에어덕트(21)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송풍시키는 송풍팬(23)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덕트(21)의 토출 구와 흡입구는 각각 터브(2)의 전방과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어덕트(21)는 다시 터브(2)의 후면에 배치되어 터브(2)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덕트(24)와, 터브(2)의 상면에 배치되어 응축덕트(24)를 통과한 건조한 공기를 터브(2)로 보내기 위한 송풍덕트(22)를 포함한다.
송풍덕트(22)는 공기를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23)과 연결되고, 송풍팬(23)의 토출구 유로에는 응축된 공기를 가열하여 상대습도를 낮추기 위한 전열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응축덕트(24)에는 수분 응축을 위한 냉각수가 분무되도록 응축덕트(30)내의 상부에 분사노즐(26)이 마련되어 있고, 분사노즐(26)은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밸브(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응축덕트(24)의 내벽에는 송풍팬(23)에 의해 응축덕트(24)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와류를 유도하기 위한 와류발생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와류발생구조는 송풍팬(23)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덕트(24)내에서 상승하는 공기흐름에 응축덕트(24)의 내벽을 중심으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로써, 이에 따른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분무된 냉각수와 공기간의 접촉이 활발히 일어나고 냉각수와 공기간의 접촉시간도 증가시켜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응축덕트(24)의 내벽에 볼록하게 엠보싱(30)이 돌출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엠보 싱(30)은 각각이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일정하게 이격된다.
도 3에는 앞서 살펴본 엠보싱(30)구조와는 반대로 응축덕트(24)의 내벽에 와류발생구조로써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31)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와류발생구조는 내벽과 상승하는 공기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분무된 물이 응축덕트(24) 하부로 직하강하지 않고 혼합과정을 거치게 하기 위함으로, 공기와의 마찰을 통해 난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형상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발생구조는 응축덕트(24)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리브(3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리브는 응축덕트(24)의 내벽에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서로 상하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전체적인 공기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게 되므로 와류발생에 유리한 구조가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에 의해 건조운전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건조를 위하여 드럼(3)내부에 건조될 세탁물이 넣어진 상태에서 도어(5)를 닫고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건조운전이 시작된다.
드럼(3)은 저속회전하면서 내부의 세탁물을 혼합하게 되고, 송풍팬(23)이 작동됨과 동시에 송풍팬(23)의 토출구측 유로에 마련된 히터(미도시)가 작동되면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은 드럼(3)내로 유입되어 세탁물의 건조를 유도한다.
다음으로, 건조과정에서 포화상태에 가깝게 되어 많은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의 공기는 송풍팬(23)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덕트(24)를 따라 흡입되는데, 이때 응축덕트(24)의 내벽에 마련된 와류발생구조에 의해 응축덕트(24)내에서는 공기의 와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분사노즐(26)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와 공기간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포화상태가 되어 응축덕트(24)내에서는 수증기의 응축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와류발생구조에 의한 와류는 공기와 냉각수간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열교환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응축효율이 향상된다.
응축과정에서 생성된 물은 냉각수와 함께 응축덕트(24) 하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며, 응축과정에서는 수증기와 함께 현열도 회수되므로 다시 히터를 통해 고온 건조상태의 공기로 재생되어 다시 드럼(3)내로 공급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은 일정시간동안 반복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회수하기 위하여 냉각수가 분사되는 응축덕트 내부에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덕트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와류가 발생되어 분사된 냉각수와 공기간의 접촉시간이 증가되므로 응축효율이 향상되므로, 응축과정에서 소요되는 냉각수를 절약할 수 있고,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건조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면에 마련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상에 설치되며 내벽에 와류발생구조가 형성된 응축덕트;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벽에 함몰형성된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구조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고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1020060042017A 2006-05-10 2006-05-10 드럼세탁기 KR2007010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017A KR20070109266A (ko) 2006-05-10 2006-05-10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017A KR20070109266A (ko) 2006-05-10 2006-05-10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66A true KR20070109266A (ko) 2007-11-15

Family

ID=3906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017A KR20070109266A (ko) 2006-05-10 2006-05-10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92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9774A (zh) * 2009-05-26 2010-12-01 株式会社东芝 衣类干燥机
CN105463804A (zh) * 2014-07-15 2016-04-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
CN112481974A (zh) * 2020-11-08 2021-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用冷凝器、烘干系统及洗衣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9774A (zh) * 2009-05-26 2010-12-01 株式会社东芝 衣类干燥机
CN105463804A (zh) * 2014-07-15 2016-04-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
CN105463804B (zh) * 2014-07-15 2019-02-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
CN112481974A (zh) * 2020-11-08 2021-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用冷凝器、烘干系统及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70B1 (ko) 드럼세탁기
KR20050099283A (ko) 세탁기의 건조장치
KR20030028949A (ko) 건조세탁기의 제어방법
US8209881B2 (en) Condensation type dryer
KR20060055576A (ko) 세탁기
KR101071817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033584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KR20070109266A (ko) 드럼세탁기
KR101234069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KR200309318Y1 (ko) 회전 드럼식 의류 건조기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KR10041344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1225501B1 (ko) 드럼세탁기
KR100400749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55642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40080138A (ko) 드럼세탁기
KR100661644B1 (ko) 세탁기
KR101192000B1 (ko) 드럼 세탁기
KR100418884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20050101738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033597B1 (ko) 세탁장치
KR101053584B1 (ko) 드럼세탁기
KR101252174B1 (ko) 건조겸용 드럼 세탁기
KR10041888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00418892B1 (ko) 건조세탁기용 거품역류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