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678A -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678A
KR20070108678A KR20060041020A KR20060041020A KR20070108678A KR 20070108678 A KR20070108678 A KR 20070108678A KR 20060041020 A KR20060041020 A KR 20060041020A KR 20060041020 A KR20060041020 A KR 20060041020A KR 20070108678 A KR20070108678 A KR 20070108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hop count
mux
transmission path
uni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2255B1 (en
Inventor
김선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4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55B1/en
Publication of KR2007010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55B1/en

Links

Images

Abstract

A system for detecting a fault section of a transmission line in an E1 unit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trace a correct fault position of a section when a fault occurs in a specific section, thereby quickly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minimizing a service interruption time. A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section of a transmission line in an E1 uni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llowing a home exchanger to transmit hop count 1 to a device in a section(S100); allowing each device by section to add one to the received hop count and transmit the hop count to a next device(S110); and allowing a foreign exchanger to detect a fault section by using the number of the received hop count(S120).

Description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algorithm method for E1 unit transmission path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E1단위 전송로 고장 발생시 전송 구간의 고장을 파악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dentifying a failure in a transmission sec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n E1 unit transmission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E1단위 전송로 고장 발생시 전송 구간의 고장을 파악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for identifying the failure of the transmission section when the E1 unit transmission failur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원발명에서 전송로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se where a transmission line failure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main code of the drawing>

100 : 자국교환기 200 : 먹스100: mark exchanger 200: mux

300 : 광단국 400 : 광단국300: light station station 400: light station station

500 : 먹스 600 : 대국 교환기500: MUX 600: Power Exchange

700 : 전송선 1000 : 자국700: transmission line 1000: mark

2000 : 대국 2000: Power

본원발명은 E 1단위 전송로를 이용한 유무선통신에서 전송로인 E 1회선 고장 발생시 알람 내역(즉, 장애 발생)만 알 수 있을 뿐 고장위치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을 HOP 카운트 추가를 통해 고장구간을 파악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E 1 unit transmission line, when the E 1 line failure occurs as a transmission line, only the alarm details (that is, a failure) can be known, and the fault location is not known. It relates to the invention to grasp.

종례기술로는 공개번호 특2003-0097258 (장거리 광선로 감시 시스템), 공개번호 10-2005-0119015 (실시간 광케이블 감시시스템)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광단국간의 장거리 광선로의 고장을 감시하는 것이었다.Examples of technologies include Publication No. 2003-0097258 (Long Range Optical Surveillance System) and Publication No. 10-2005-0119015 (Real Time Optical Cable Surveillance System). The prior art has been to monitor the failure of long-distance optical paths between optical stations.

그러나, 이러한 발명은 오직 광단국사이의 장애만을 감시할 뿐 송신교환기,송신 먹스, 송신 광단국으로 구성된 송신부와 수신교환기,수신 먹스, 수신 광단국으로 구성된 수신부 사이를 연결하는 모든 E1선의 장애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invention only monitors the failures between the optical end stations, but only detects the failure of all E1 lines connecting between the transmitting part consisting of the transmitting exchange, transmitting mux, transmitting optical end station and the receiving part consisting of the receiving exchange, receiving mux, and receiving optical end st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또한, 현재 이동통신이나 유선통신에서는 회선 고장 발생시 알람 내역(즉, 장애 발생)만 알 수 있을 뿐 고장위치를 알 수 없어서 여러 포인트에서 루프 시험을 통해 일일이 시험을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신속한 고장 처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can only know the alarm details (that is, the occurrence of a failure) when a line failure occurs,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location of the failure, so the quick trouble shooting is performed due to the hassle of performing the test one by one at several points. There was a dela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E1 단위 전송로 고장 발생시 홉카운트(hop count)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회선 고장 구간을 한번에 예측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정확한 고장 구간 파악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concept of a hop count when an E1 unit transmission failure occurs so that the circuit failure section can be predicted at a time, there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failure section. .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자국 교환기와 대국교환기 사이에 복수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E1단위 전송로의 고 장구간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국 교환기에서 구간의 장치에 홉카운트 1을 전송하는 단계와, 구간별 각 장치에서 수신된 홉카운트에 1을 더하여 다음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대국 교환기에서 수신한 홉카운트의 수로서 고장구간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시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ilure section detection method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having a plurality of devices between the local exchange and the exchange exchange, the apparatus of the section in the local exchange Transmitting a hop count 1 to the apparatus, transmitting a hop count 1 to the next apparatus by adding 1 to the hop count received at each apparatus for each section, and detecting a fault interval as the number of hop counts received at the exchange. The invention is presen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1단위 전송로 고장시 HOP 카운트 추가를 통해 고장구간을 파악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identifying a fault section by adding a HOP count when an E1 unit transmission path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00, 600), 먹스(Mux, multiflexer)(200, 500), 광단국(300, 400)), 전송로(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원발명은 자국교환기와 각 구간 장치인 먹스, 광단국을 포함하는 자국(1000)와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대국교환기와 각 구간 장치인, 먹스, 광단국을 포함하는 대국(2000) 및 전송로(7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00, 600), mux (Mux, multiflexer) (200, 500), optical end station (300, 400), transmission path 7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 1000 including a local exchange and each segment device MUX, a light-end station, and a large station 2000 including a country exchange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r a signal, and a mux and light-end station each section device, and It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path (700).

본원발명은 자국 교환기와 대국교환기 사이에 복수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구간의 장치에 홉카운트 1을 전송하며 수신한 홉카운트의 수로서 고장구간을 감지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의 전송선 다수를 하나로 묶어서 광단국에 연결하며 구간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홉카운트에 1을 더해 구간의 다음 장치로 보내는 먹스와; 상기 먹스와 연결되며 구간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홉카운트에 1을 더해 대국의 다음 장치로 보내는 광단국을 포함 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having a plurality of devices between the local exchange and the exchange, the fault section is detected as the number of hop counts received by transmitting hop count 1 to the devices in the section. An exchanger; A mux, which bind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of the exchanger to one of the optical end stations and adds 1 to a hop count received from a device in a section and sends the result to the next device in the sec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of an E1 unit transmission path, which is connected to the MUX and comprises an optical end station which is added to a hop count received from a device in a section and sent to the next device of a large station.

상기 교환국(MSC)(100, 600)은 방문자 위치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를 구비하며, 홈위치등록기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교환국(400)은 기지국 제어기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The switching center (MSC) (100, 600) is provided with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home location register to handl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calls. In addition, the exchange 400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o perform a call setup and releas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all processing and additional service.

방문자 위치등록기(VLR)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방문자 위치등록기(VLR)에 의해 제어되는 지역내에 있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위치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교환국에 실장된다.Visitor Locator (VLR) is a database that temporarily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rela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area controlled by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ubscriber is take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temporarily stored, and mounted in the switching center.

일반적으로 교환기는, 이동 통신 개인 가입자의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개인 통신 응용 프로토콜 처리, 기지국 제어기간의 핸드오버 제어, 개인 통신 교환기간의 핸드 오버 제어, 다른 이동 망간의 연동, 망 동기, 자체 운용 유지 보수, 방문 가입자 등록, 위치 갱신, 과금처리, 유선 채널의 관리 및 할당을 담당한다.In general, the exchange includes call processing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of mobile subscribers, personal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tocol processing, handover control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s, handover control of personal communication switching periods,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mobile networks, network synchronization, self Responsible for operational maintenance, visiting subscriber registration, location update, billing, management and allocation of wired channels.

상기 멀티플렉서(multiplexer)(200,500)는 디지털 통신에서 다중화 장치로서 먹스라고도 한다. 먹스는 복수회로에서 입력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회로에 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회로이며, 또한 이를 채용한 통신장비를 의미하기도 한다. 먹스(Mux, Multiplexer)를 이용하 면 여러 장치가 하나의 전용선을 공유할 수 있다. The multiplexers 200 and 500 are also referred to as muxes as multiplexing devices in digital communication. The mux is a data selection logic circui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one input signal among signals input from a plurality of circuits and loading the same into an output circuit, and also means a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Mux (Multixer) allows multiple devices to share a single dedicated line.

예를 들어 주컴퓨터에 여러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을 때 이들을 제각기 통신회선으로 연결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하기도 어려우므로 각각의 단말기 연결단자를 하나로 묶어서 통신회선에 연결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several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connecting them to each communication line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manage. Therefore, each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is bundled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주컴퓨터에서는 연결된 단말기 수만큼의 연결단자에서 전송선로가 나와 먹스에 연결되고 여기서부터는 하나의 선로만 나와 변복조장치(모뎀)를 거쳐 전송선로와 연결된다. 또 반대로 하나의 전송선로가 모뎀을 통하여 단말기측 먹스에 연결된 후 여기서 단말기 수만큼의 선로를 분기시켜 각 단말기와 연결된다.In the main computer, the transmis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MUX by the number of connected terminals and from there, only one lin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through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device (modem). On the other hand, one transmis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de mux through a modem, and then branched as many lines as the number of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each terminal.

먹스는 모뎀과 함께 전화회선을 통신 매체로 이용할 때 쓰이는 통신장비로서 통신망 구성과 관리를 간단하게 하고 통신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STDM(통계 시분할방식)이나 TDM(시분할방식)을 채용하여 통신 채널을 공유하며, 모뎀과 단말기 사이에 설치된다.MUX is a communication equipment used when using a telephone line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 a modem, which simplifies network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and greatly reduces communication costs. Generally, STDM (statistical time division method) or TDM (time division method) is used to share a communication channel and is installed between a modem and a terminal.

그 동안 19.2kbps에서부터 56kbps급까지 지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STDM 먹스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음성과 데이터를 함께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고속전송 구간의 확보는 물론 전화·팩스·화상회의 시스템 등 각종 통신망을 데이터 통신망과 결합시켜 혼합 운용해주는 T1급 먹스가 일반화된 추세이다.In the past, STDM mux, which supports data transmission from 19.2kbps to 56kbps, can be used.However, due to the drawback of not being able to implement voice and data together, it has recently secured high-speed transmission sections as well as telephone, fax and video conferencing systems. T1 class mux, which combines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with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s a generalized trend.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맞닿아 있는 지점에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상호연결 가능한 신호로 전환하는 장치가 있어야하는데 이 지점을 광단국(Optical Network Unit:ONU)(300,400)라고 한다. At the point where the optical cable and the coaxial cab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should be a device that converts the optical cable and the coaxial cable into interconnectable signals. This point is called an optical network unit (ONU) (300,400).

상기 교환기, 먹스, 광단국을 연결하는 선을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물리적의미 또는 관념적 의미에 따라 전용선, E 1회선, 전송로 또는 전송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전송선(700)은 물리적으로는 동축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전송선은 정보 전송표준으로 크게 E 1 또는 T 1중에 하나가 쓰이고 있다.The line connecting the exchanger, the mux, and the optical end station is called a dedicated line, an E line, a transmission line, or a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a physical meaning or an ideological meaning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transmission line 700 may be a physical coaxial cable or an optical cable. The transmission line is one of E 1 or T 1 as a standar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상기 E-1은 ITU-T에 의해 고안되고, 유럽우편 및 통신운영회의(CEPT)에서 이름이 붙여진 유럽 디지털 전송규격으로서, 북미의 T-1 형식에 대응되는 것이다. E-2부터 E-5까지는 E-1 형식의 배수로 증가하는 전송매체들이다. The E-1 is a European digital transmission standard devised by ITU-T and named by the European Postal and Communication Operations Conference (CEPT), which corresponds to the T-1 format of North America. E-2 through E-5 are transmission media that increase in multiples of the E-1 format.

E-1 신호형식은 64 Kbps 속도의 채널 32개를 수용함으로써, 2.048 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E-1은 T-1에 비해 다소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이는데, 그 이유는 T-1과는 달리 각 채널의 모든 8 비트가 신호를 부호화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E-1과 T-1은 국제적인 용도를 위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E-1 signal format accepts 32 channels at 64 Kbps, enabling data transmission at 2.048 Mbps. E-1 has a slightly higher data rate than T-1 because, unlike T-1, all 8 bits of each channel are used to encode the signal. E-1 and T-1 can be interconnected for international use.

T급 회선시스템은 1960년대에 미국 벨시스템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디지털 음성전송을 지원하는 최초의 성공적인 시스템이었다. 원래 전송속도가 1.544 Mbps인 T-1 회선은 오늘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인터넷 접속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등급은 다르지만 44.736 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T-3 회선 역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된다. 다른 서비스 중에 단편 T-1 회선이 있는데, 이는 T-1 회선의 24 채널 중에 일부만을 빌려 사용하고 나머지 채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Class-T line systems were introduced by Bell Systems in the 1960s and were the first successful systems to support digital voice transmission. T-1 lines, originally at 1.544 Mbps, are commonly used today for Internet access by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T-3 lines that support 44.736 Mbps in different grades are also widely used by Internet service providers. Used. Among other services is a fragmentary T-1 line, which borrows some of the 24 channels of the T-1 line and does not use the remaining channels.

T급 회선시스템은 디지털부호 코드변조 및 시분할 다중화(TDM)를 사용하는 완전한 디지털 회선이다. 이 시스템은 네 가닥을 사용하는데, 두 가닥은 수신에 그리고 두 가닥은 송신에 할당함으로써 전이중통신 능력을 제공한다. T-1 디지털 스트림은 24개의 64 Kbps 채널들이 다중화된다 (표준화된 64 Kbps 채널은 음성전화에 요구되는 대역폭에 기반하고 있다). 네 가닥의 전선은 원래 한 쌍의 구리선을 꼬아만든 것이었으나, 이제는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그 외에 다른 매체 등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채널의 숫자나 사용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ss T circuit systems are fully digital circuits using digital code code modulation and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The system uses four strands, which provide full duplex capability by assigning two strands to receive and two strands to transmit. The T-1 digital stream is multiplexed with 24 64 Kbps channels (the standardized 64 Kbps channel is based on the bandwidth required for voice telephony). The four wires were originally twisted with a pair of copper wires, but now coax, optical, digital microwave and other media can all be use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number or use of channels.

본원발명은 E 1회선을 이용한 유무선통신에서 전송로인 E 1단위 전송로 고장시 HOP 카운트 추가를 통해 고장구간을 파악하는 발명이다. 본원발명은 T급 회선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identify the fault interval by adding the HOP count when the E 1 unit transmission line failure in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E 1 li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equally in class T lines.

도 2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E1단위 전송로 고장 발생시 전송 구간의 고장을 파악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for identifying the failure of the transmission section when the E1 unit transmission failur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자국 교환기에서 구간의 장치에 홉카운트 1을 전송한다(S100). 자국의 구간별 각 장치에서 수신된 홉카운트에 1을 더하여 다음 장치로 전송한다(S110). 대국 교환기에서 수신한 홉카운트의 수로서 고장구간을 감지한다(S120).First, the home exchange transmits hop count 1 to the device in the section (S100). 1 is added to the hop count received at each device of each section of the own country and transmitted to the next device (S110). The failure section is detected as the number of hop counts received from the power exchange (S120).

본원발명에서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즉, 정상적으로 E 1회선이 연결이 된다면 자국 교환기는 HOP COUNT 1을 구간의 다음 장치인 먹스에 보내고 먹스는 1을 더해 구간의 다음 장치인 광단국으로 보낸다. 상기 자국(1000)의 광단국은 대국(2000)의 광단국으로 1를 더해 보낸다. 이런식으로 1씩 더하게 되면 대국교환기는 최종적으로 HOP COUNT 5를 받게 된다.If no failure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f the E1 line is normally connected, the local exchange sends HOP COUNT 1 to the next device of the section mux and adds 1 to the optical station, the next device of the section. The optical end station of the station 1000 adds 1 to the optical end station of the large station 2000. If you add one by one like this, the exchange will eventually receive HOP COUNT 5.

도 3는 본원발명에서 전송로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이다. 만약 (나) 구간 송신에서 고장이 발생한다면 광단국(300)는 정상적인 HOP COUNT 2를 받지 못하고 LOCAL 경보만을 받으므로 대국(2000)의 광단국(400)으로 0+1를 하여 HOP COUNT 1를 AIS 과 함께 대국의 광단국으로 송신한다. 이렇게 되면 최종단인 대국교환기에서는 HOP COUNT 3을 받게 되므로 (나)의 위치에서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of a failure in the transmission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B) failure occurs in the section transmission, the optical station 300 does not receive normal HOP COUNT 2 and receives only the LOCAL alarm. Therefore, 0 + 1 is set to the optical station 400 of the large station 2000 and HIS COUNT 1 is AIS. Together with the other end of the group. In this case, HOP COUNT 3 is received at the final exchange, so it can be seen that a failure has occurred at (B).

이때 대국교환기는 자국교환기로 REMOTE 경보를 띄우게 되는데 이때 받은 HOP COUNT 3을 같이 REMOTE 경보와 같이 송신하게 되고 자국교환기는 REMOTE 경보와 같이 수신된 HOP COUNT 3 을 보고 (나) 구간의 고장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고장 구간을 즉시 알 수 있으므로 특별히 구간별 LOOP 을 하지 않고서도 전송로 고장 구간 파악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change will display a remote alarm to the local exchange. At this time, the received HOP COUNT 3 will be sent together with the REMOTE alarm. have. As the fault section can be immediately know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ault s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without performing the LOOP for each sectio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국교환기 ~ 먹스 ~ 광단국 ~ 광단국 ~ 먹스 ~ 대국교환기로 된 긴 전송 구간 중 특정 구간 고장 발생시 그 구간의 정확한 고장 위치를 파악하여 전송로 운용 보전 업무를 신속화할 수있고 ,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ed up the preservation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path by grasping the exact location of the failure when a specific section failure occurs in the long transmission section of the local exchange ~ mux ~ optical end station ~ optical end station ~ mux ~ power exchange It provides the effect of minimizing downtime.

Claims (10)

자국 교환기와 대국교환기 사이에 복수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에 있어서, In the failure section detection method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having a plurality of devices between the local exchange and the local exchange, 상기 자국 교환기에서 구간의 장치에 홉카운트 1을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hop count 1 from the local exchange to a device in a section; 구간별 각 장치에서 수신된 홉카운트에 1을 더하여 다음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1 to the next device by adding 1 to the hop count received from each device for each section; and 상기 대국 교환기에서 수신한 홉카운트의 수로서 고장구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And detecting a fault section as the number of hop counts received by the exchang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E1단위 전송로는 광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failure section detection method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optical cable or coaxial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교환기는 유선통신의 교환기 또는 이동통신의 교환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And the switch is at least one of a wired switch or a mobile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E1단위 전송로는 서킷망 케이블 또는 패킷 망 케이블중 적어도 어는 하 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And wherein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is at least one of a circuit network cable and a packet network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먹스는 STDM(통계 시분할방식)이나 TDM(시분할방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방법.The mux is any one of the STDM (statistical time division method) or TDM (time divi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ailure interval detection method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자국 교환기와 대국교환기 사이에 복수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having a plurality of devices between the local exchange and the local exchange, 구간의 장치에 홉카운트 1을 전송하며 수신한 홉카운트의 수로서 고장구간을 감지하는 교환기와;A switch for transmitting a hop count 1 to a device in the section and detecting a fault section as the number of received hop counts; 상기 교환기의 전송선 다수를 하나로 묶어서 광단국에 연결하며 구간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홉카운트에 1을 더해 구간의 다음 장치로 보내는 먹스와;A mux, which bind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of the exchanger to one of the optical end stations and adds 1 to a hop count received from a device in a section and sends the result to the next device in the section; 상기 먹스와 연결되며 구간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홉카운트에 1을 더해 대국의 다음 장치로 보내는 광단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And an optical end station connected to the mux and configured to add 1 to a hop count received from a device in a section, and to send it to the next device of a large power st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E1회선은 광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The E1 line is at least one of the optical cable or coaxial cabl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E1 transmission lin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교환기는 유선통신의 교환기 또는 이동통신의 교환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The switch is a failure interval detection system of the E1 unit transmis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witch of the wired communication or the swit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E1회선은 서킷망 케이블 또는 패킷 망 케이블중 적어도 어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The E1 line is at least one of a circuit network cable or a packet network cabl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E1 transmission lin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먹스는 STDM(통계 시분할방식)이나 TDM(시분할방식)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1단위 전송로의 고장구간 감지 시스템.The mux is any one of the STDM (statistical time division method) or TDM (time division method)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of the E1 unit transmission path.
KR20060041020A 2006-05-08 2006-05-08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KR101232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1020A KR101232255B1 (en) 2006-05-08 2006-05-08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1020A KR101232255B1 (en) 2006-05-08 2006-05-08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678A true KR20070108678A (en) 2007-11-13
KR101232255B1 KR101232255B1 (en) 2013-02-12

Family

ID=3906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1020A KR101232255B1 (en) 2006-05-08 2006-05-08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55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521A (en) * 2001-08-10 2002-02-01 엔엠소프트(주) a trouble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identifying the trouble-making element from various elements in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55B1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5677B2 (en) Remote testing and monitoring to a cell sit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200501289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frame relay traffic over SONET rings
US5636260A (en) Telecommunication customer interface
JPH05260046A (en) Device for adapting interface to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CA2401061A1 (en) Non-invasive remot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KR100428762B1 (en) Protection switching method of ATM system having a ring configuration
US7630387B2 (en) Gatew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on switching thereof
KR101232255B1 (en) Alarm recognition System troubling E1 circuit and thereof method
US6707829B1 (en) Enhanced automatic timing adjustment for alternate routing of HFC systems
EP3442173B1 (en) P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6519320B2 (en) Sta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in subscriber line test
CN103125099A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system, and fault notification method
JPH021463B2 (en)
KR100247024B1 (en) The atm loopback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pdh call service
JP2010199794A (en) System and device for packet communication
KR100219945B1 (en) Tdx-100 exchange system structure
KR100318905B1 (en) Control the several transmission system with a test unit
JPH0865281A (en) Line switching controller/multiplexer
JPH11298603A (en)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extension device and the extension device
JPH0828696B2 (en) Performance monitoring method
JPH05316215A (en) Connecting route tracing method for communication network
JPH06209496A (en) Call connection communications system
JPH03242071A (en) Subscriber line test system
JPH11177693A (en) Line monitoring system and its monitoring device
JPH09102823A (en) Method for testing individual setting of remote subscriber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