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447A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8447A KR20070108447A KR1020070010288A KR20070010288A KR20070108447A KR 20070108447 A KR20070108447 A KR 20070108447A KR 1020070010288 A KR1020070010288 A KR 1020070010288A KR 20070010288 A KR20070010288 A KR 20070010288A KR 20070108447 A KR20070108447 A KR 200701084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luice
- gate
- plat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5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27455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XQFRJNBWHJMXHO-RRKCRQDMSA-N IDUR Chemical compound C1[C@H](O)[C@@H](CO)O[C@H]1N1C(=O)NC(=O)C(I)=C1 XQFRJNBWHJMXHO-RRKCRQDM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수문의 폐쇄시 바닥부와의 지수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저수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방을 위해 수문을 들어올리면 수문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문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수측의 길이가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배수측 외측에 패킹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수문을 2개의 작동실린더를 연동시켜 270°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것이므로 수문의 개방시에는 수문판과 하우징의 바닥판이 수평을 이루어 물이 원활히 방류됨은 물론 이물질이 수문과 하우징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되면 수문을 폐쇄하게 되면 수문과 하우징의 사이가 패킹부재에 의해 완전 밀착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늘어난 배수측의 길이와, 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배수측의 높이와, 수문과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에 끼이는 패킹부재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문을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조금 들어주면 수문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 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이 발생되어 수질이 자연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수문의 무게중심이 반대방향으로 넘어갈 때 이를 감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작동실린더의 신장속도를 줄여줌으로써 수문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낮추어줄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 수문, 작동실린더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최대 상승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동작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부 개방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동작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상태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정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작동실린더 최대 신장시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최대 부상시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26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수문 작동부위 사시도.
도 27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27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수문 작동부위 사시도.
도 28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배출시 측단면도.
도 28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배출시 수문 작동부 위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 상태에서 하층수를 배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수문 작동부위 상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수문 작동부위 정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 배출시 측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회전시 측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회전시 측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배출시 측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기동시작시 측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구조체 11 : 수로 12 : 밀폐공간
20 : 하우징 21 : 축공 22,22',125a : 가이드홈
23,23',36 : 패킹판 24,24' : 패킹판가이드홈 30 : 수문
31 : 수문판 32 : 측판 33,112 : 회전축
33a : 권취롤 34 : 작동링크 35 : 누름판
37 : 연결봉 38 : 지지대 39 : 가이드
40 : 패킹부재 51 : 제 1작동실린더 52 : 지지롤러
53 : 체인 56,66,94,104,104',114,124 : 피스톤로드
57,67 : 장공 61 : 제 2작동실린더 62 : 받침판
63 : 작동판 64 : 슬라이더 65 : 작동홈
71 : 제 3작동실린더 72 : 가변작동판 80 : 고정부재
90 : 승강블록 91 : 승강관 92 : 고정관
93 : 승강실린더 100 : 종합컨트롤시스템 101 : 중량물
102,102' : 작동봉 103,103' : 작동실린더 105 : 감속기
106 : 구동모터 107 : 와이어로프 111 : 지지틀
113 : 지지틀 작동실린더 115 : 패킹부재 116 : 작동링크
117 : 연결링크 123 : 전후진실린더 125 : 지지브라켓
126 : 고임목 127 : 문틀
본 발명은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수문의 폐쇄시 바닥부와의 지수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저수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방을 위해 수문을 들어올리면 수문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하천 또는 저수지와 같은 저수공간으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므로 유입되는 물중에 오염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저수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던 바, 종래 사용되어 오던 수질정화방법들은 자갈 접촉 산화법, 역간 접촉식 산화법, 하수처리장 수질정화법, 염소 투입 정화법 등이 있으나 한결같이 많은 비용이 들고 비용에 비해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중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부유시키고, 이를 걷어냄으로써 수질정화를 구현하도록 한 장치도 등장한 바 있 으나, 이는 수질 개선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그 수질정화영역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수질개선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창안되어 공지된 특허 공개번호 제 2001-0000343호의 "다단 저수장치를 이용한 자연적인 수질개선방법"의 경우 한개의 수문으로 구성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기에 의한 자연적인 자정효과가 매우 낮은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수문의 내부에 가두어져 있는 물과 오염물질들이 결합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면서 녹조 현상을 유발시킴으로 인하여 저장된 물을 더욱 더 악화시키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된 수질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거나 오염이 악화되는 “물질 가속도 현상“과“물질 새치기 작용”과“물질 보존 본능의 법칙”과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거부작용”과 “물질 해탈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은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물속으로 유입되는 순간 그 물질들의 비중에 따라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물질별로 틀린 상태를 이루면서 즉 물질별로 각각의 다른 층을 이루면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은 하천수의 하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이루면서 흐르고,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하천수의 상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이루면서 흐르게 되는데, 흐르는 속도는 오염이 가중되어 있는 상층부의 하천수가 하층수 보다도 더 빨리 흐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양 즉 오염부하량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리를 "물질 가속도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하천에 흐르는 물들이 더욱더 오염이 가중되는 이유는 “물질 가속도현상” 과 “물질 뭉침 작용” 때문인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현상 때문인 것이다. 지구와 태양계가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의 상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천의 하류 부분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수시로 유입되어 오는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결합하는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오염이 악화 되게 됨으로 인하여 하천수의 오염은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물질 가속도 현상을 역으로 이용하게 되면 발생하게 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가속도 현상은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질 새치기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오염된 하천수들이 수문의 하부를 통과하려고 할 때에 하천수를 이루고 있는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을 상층부로 밀어 올려놓은 다음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의 하층부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려고 하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물질 새치기 작용“ 이다. 라고 정의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을 이루고 있는 물질속의 원자량과 분자량에 의해 서 그 크기가 똑같다고 해도 그 부피 즉 비중이 틀리기 때문에 물속에 들어가면 그 물질들이 포진하고 있는 위치를 달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음은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의 본질(本質)적 성분을 본능적으로 보존하려고 하는 “물질 보존 본능의 법칙”과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발휘되는 “물질 뭉침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발생 하는 “물질 해탈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은 물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서 물 이외의 물질이 물속의 구조 속으로 침투하게 되면 본능적으로 그 침투물질을 받아들이면서 그 물질과 결합 하여 또 다른 물질을 만들어내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물질 뭉침 작용”이다, 라고 정의한다.
또한 물의 결정을 이루고 있는 순수 물 분자구조 속에 침투 해 있는 오염물질들을 털어 내어 순수 물분자를 만들기 위하여 물에 일정한 충격을 가해주게 되면 물의 순수 분자 구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물분자 속에서 즉시 이탈해 나오는 작용을 “물질 해탈 작용“이다. 라고 정의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의 힘에 의해 오염된 물이 깨끗해지는 작용을 ”물질 해탈 작용“이다. 라고 정의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질 뭉침 작용이 발생되는 이유는 하천수를 가두어 두는 저수 시스템을 콘크리트보, 전도식 수문, 또는 고무댐과 같이 유입되는 하천수를 상단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저수장치를 구성하여주게 되면 이러한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지만, 하천수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수문 시스템을 설치하여 주게 되면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과 물질 해탈 작용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 되게 되는 것이다. 대형의 댐들 또 한 이러한 방식에 따라 댐을 구성하여 주게 되면 절대적으로 오염이 가중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저수시스템의 하층 부분에 포진하고 있는 일부분의 하천수들 만을 배출 하도록 구성된 수문 시스템을 설치하면 오염이 가중되는 이유는 수문이 구성되어 있는 배출부 이외의 부분에 정체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에게 밀리는 물질 밀림 작용에 의해 배출구 이외 부분으로 밀려나가면서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결합하는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물질 밀림작용과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수문의 배출구 이외에 정체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는 절대적으로 하천의 하류로 이동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서 또 다른 물질들과 결합 하는 물질 결합 작용과 오염된 물질들 끼리 뭉치는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 되게 되는 것이다. 자세히는 고무댐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일부의 배출구 또는 전도식 수문의 하층부분에 포진하고 있는 일부분의 하층수 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싸이폰 방식의 수문을 설치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밀어내고 먼저 빠져 나가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에게 밀리면서 수문의 내부에서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밖에 없는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하류부분으로 절대적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다시 오염된 물질끼리 뭉치는 물질 뭉침 작용과 오염된 물질끼리 결합하여 또 다른 물질을 만들어내는 물질 결합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서 상단부로 유입수를 배출하는 방식의 수중보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어 두 게 되면 저수 시스템의 내부에 물을 가두어 두는 동안 오염 물질과 물분자의 물질들 끼리 뭉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오히려 가중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다음은 "물질보존 본능의 법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물질만의 구조를 유지하려고 하는 자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물질적인 구조 속에 다른 이물질이 침투하여 있으면 그 물질들을 거부하여 밀어내 버리거나 또는 그 물질 또는 오염물질들 속에서 이탈해 나오려고 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순수한 구조들을 영구히 보존하려고 하는 작용을 본 발명에서는 "물질보존본능의 법칙"이다라고 정의한다.
다음은 "물질보존본능의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 거부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은 물속에 들어가면 물속에 섞여 있는 물질들과 희석되게 되면서 물의 오염을 가중되게 하는 물질 뭉침 작용이 처음부터 발휘되는 게 아니라 순수 물분자의 구조들이 오염물질을 거부하는 물질 거부 작용에 의해 곧바로 결합되지 못하고 즉 물질과 물질이 뭉치는 뭉침 작용을 거부하고 있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분해 작용에 의해 즉 용존산소와 태양열과 미생물과 삼투압작용등과 같은 자연적인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들이 서서히 물분자들과 결합하면서 오염물질로 변형되게 되는 것이다. 이 물질들이 또다시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미립자들이 또다시 또다른 물질들과 결합되면서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 이다,이것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발생시키는 것이 바로 육지의 녹조 현상과 바다에서 발생되는 적조현상인 것이다. 태형동물이라고 칭하는 물질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들과 뭉치면서 발생시키는 부산물인 것이다.
다음은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과 물질 부상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의 순수 분자들은 순수 물 분자를 유지하고 있으려는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에 의해 물질 거부작용이 발생 되면서 또 다른 물질들과 결합하지 않으려고 반응하다가 오염물질들의 강한 점성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다른 물 분자들과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결합 됨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워지면서 하천의 바닥 층에 가라 앉아 있는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적 분해 작용에 의해 그 물질들이 분해되면서 미세한 미립자들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미립자로 구성되는 물 분자와 상류에서 밀려오는 오염물질의 일부 물질들과 물질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 분자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자연분해되는 자정작용에 의해 미립자로 변하여서 또 다시 저수 층의 상층부로 이동하는 반복적 물질 부상 작용을 발휘하면서 또다시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재차 결합하는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결합 된 물 분자들은 결합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워지면서 저수 층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는 반복적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하천수의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작용이 바로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과 "물질 부상 작용"인 것이다.
다음은 "물질마찰작용"과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들은 물보다도 가볍거나 물의 비중보다 무겁더라도 물속에 들어가는 순간 물에 가해지는 중력의 작용과 수압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깨끗한 물 분자를 이루는 미립자들의 뾰쪽한 부분과 또다른 깨끗한 물분자에 구성되어 있는 미립자의 뾰쪽한 부분들과 활발한 접촉이 이루어 질때에 물분자의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오염물질의 미립자에 연속적인 타격이 자연적으로 가해지면서 물분자의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오염물질의 미립자가 서서히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오염물질을 이루는 미립자의 존재 자체가 마도되어 사라지게 되면서 오염된 수질이 깨끗한 수질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 되는 것은 "물질마찰작용에 의한 자연적인 수질정화작용"이다라고 정의하고 "학술용어"는 Hans action.이다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 되는 작용이 이루어질때에는 산소의 작용이 없이도 오염된 물질들이 자연 분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중에서 불완전 분해된 물질들의 미립자들은 미립자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점성력 즉 자력과 또 다른 물질에서 분해된 미립자들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점성력과 자력에 의해 오염물질과 깨끗한 물들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결합작용"인 것이다. 물질들이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미립자들이 점성력과 자력을 자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라운 운동을 활발히 하면서 즉 숫자로 셀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이동하면서 물질과 물질을 마모 시키는 물질 마찰운동이 자연적으로 이 루어지면서 물질의 표면에서는 표면 장력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물질의 뾰쪽한 부분에는 물질과 결합하려는 점성력과 물질을 당겨오는 자력이 자연적으로 강해지는 것이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물질 결합작용"이다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생시키는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탄생 되는 새로운 물질들은 물의 비중 보다도 무거워 지기 때문에 물질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저수 되어있는 하층부분에 침전되면서 퇴적오니로 변하는 것이다.
이때에 발생되는 퇴적오니를 이루고 있는 오염물질들이 물질마찰작용과 또다른 분해작용에 의해 또다시 분해되는 연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대량의 미립자들을 또다시 발생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미립자들 끼리 또다시 물질결합작용과 물질 마찰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살아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적으로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면 육상에서는 녹조현상이 바다에서는 적조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물질들은 물에 유입되는 순간 물 분자를 이루는 미립자들이 발휘하는 물질 마찰작용과 또다른 물질 분해 작용들에 의해 분해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철이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시뻘건 녹물들이 바로 물분자보다도 비중이 더 가벼운 미립자들로서 물 분자들에 의해 분해된 또다른 미립자들과 물질 결합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하상에 침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때에 발생하는 물질이 바로 퇴적오니인 것이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유기물질들과 무기물질들과 인과 질소들이 물질 마찰작용과 산소와 미생물과 태양열의 작용과 물의 분자들에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과정을 통하여 오염된 수질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로 변하게 되면서 저수장치의 하층부분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저수장치의 즉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하여 주게 되면 깨끗한 물만을 연속적으로 생산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저수되어 있는 하층부를 통하여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배출하여 주게 되면 물질 새치기 작용과 비중의 법칙에 따라 물질이 지니고 있는 비중의 차이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류되는 층류 작용에 의해 물질이 지니고 있는 고유 질량 별로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틀리기 때문에 물질 결합 작용이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인하여 오염이 가중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물을 일정한 장소에 오랜시간 가두어두게 되면 물질분해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므로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는 물은 항상 만수위를 유지하면서 상류에서 내려오는 물을 수문의 하단부를 통해 수시로 방류하는 방법이 하천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또한 저수공간의 물을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방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주게 되면 물속에 함유된 물질끼리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뭉쳐진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배출하여주면서 동시에 물질 가속도 현상,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분해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을 발생 시켜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줌과 함께 수문의 상단부로도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약간의 물을 배출하여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들과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과 희석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 시켜줌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수문의 경우 수문의 지지축이 지지구조체의 하부 또는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어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는 물을 수문을 개방시켜야만 수문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하천수를 정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며,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이 정체될 수밖에 없어 물질 뭉침작용에 의한 퇴적오니의 발생과 같이 수질이 급격하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으며, 또한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고자 하여도 그 이동통로가 폐쇄되어 있어 생태계가 파괴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반달형으로 구성된 수문판과 그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양측판으로 구성된 회전식 수문도 있으나, 이러한 회전식 수문을 구동하는 동력수단은 통상 구동모터와 감속기어군 또는 작동실린더와 다단의 링크, 커넥팅로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동력전달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여 에너지 손실이 많음은 물론 에러발생 가능성도 큰 것이었고, 수문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과 그 전달수단이 수문의 양측판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위치적으로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는 물 또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직접 접촉할 수밖에 없어 쉽게 고장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아울러, 상기한 회전식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전술한 일반적인 수문과 마찬가지로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이 정체되어 수질의 오염을 가속화하게 됨은 물론 물고기의 이동통로를 폐쇄하게 되어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는 여전히 내재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에서 회전 수문의 회전축으로부터 작동링크를 각각 인출하고, 지지구조체와 하우징 사이의 밀폐공간 상부에는 작동실린더를 고정하며,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부와 작동링크의 선단부 사이에는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의 각 단부가 연결되게 하고, 체인은 작동링크 직상부의 지지롤러를 경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 계통이 작동실린더, 체인, 작동링크와 같이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고, 또 에러발생 가능성이 전혀 없으며,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물과 작동실린더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수문의 개폐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문판의 내부에 배출통로를 형성하여 수문의 폐쇄시에도 저수공간의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위를 항상 적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저수공간에 물이 정체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에 따른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에 따를 경우 수문의 회전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나, 수문의 폐쇄시 수문과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에 패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문의 라운드진 측벽부분이 하우징의 바닥부 아래쪽으로 라운드지면서 하강된 부위에 위치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만큼 수문을 통한 저수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수문을 최대한 당겨 하우징의 바닥부와 수문의 하단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약간 배출할 수는 있지만 그 배출공간이 매우 협소할 수밖에 없어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실용신안등록제0179171호와 0179180호의 경우 단순하게 조작되는 컨트롤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문을 개페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을 가지는 수문의 경우 단순한 조작이 이루어질수 밖에 없으며 수문의 크기가 하천의 내부에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수해를 유발 할수가 있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문의 수문판과 양측판을 배수측이 더 길도록 비대칭으로 구성하면서 그 외측에 패킹부재를 고정하고, 수문의 회전축으로부터 작동링크를 인출하여 여기에 2개의 작동실린더와 연결된 각 체인을 각각 연결하거나, 회전축으로부터 작동링크를 인출하여 여기에 제 1작동실린더와 연결된 체인을 연결하면서 회전축의 작동링크 위치 옆쪽위치로부터 누름판을 인출하고 누름판 위치 외부에는 외부에 "V"자 형상으로 받침판과 작동판이 고정되어 있는 링형의 슬라이더를 끼우며 작동판에는 제 2작동실린더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각 작동실린더의 연동에 따라 수문을 270°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수로를 개폐토록 함으로써 수문의 폐쇄시에는 패킹부재가 하우징의 바닥부와 밀착되어 지수특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수문의 수문판과 양 측판 경계부분이 하우징의 바닥부 위쪽에 위치되므로 하우징의 바닥부 아래쪽으로 라운드진 부위에 위치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수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수문의 개방시키기 위해 들어올리는 순간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수문과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로 배출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천에서 유입되는 물을 상단부로 배출하는 상단부 배출식 수문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어 두게 되면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데 오염이 가중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은 작용들 때문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물속에는 수만 가지의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물질은 무기물질성 미립자들과 유기물질성 미립자들로 구분 할수 있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끼리 접촉하면서 부딧치는 마찰 작용에 의해 미립자들이 분해되면서 또다른 미립자들을 생산 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된 미립자들은 또다른 무기 및 유기물질성 미립자들과 물질 결합작용이 발생 하면서 물의 무게 보다도 더 무거워진 미립자로 변형되면서 하천의 하단부에 가라 앉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작용에 의해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결합작용인 것이다,이때에 발생하는 것이 바로 퇴적오니인 것이다.
또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가 없어도 물속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 끼리 부딧치는 마찰작용이 발생하면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그 작용이 바로 물질마찰작용인 것이다.
이러한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이 더욱더 미세하게 분해되는 것이다.
물질분해작용에 의해 분해된 물질은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또다른 미립자들과 물질적 결합을 하는 물질 뭉침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물의 비중보다도 더욱더 무거운 물질로 변하면서 상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내부에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질새치기작용에 의해 가두워둔 물이 더욱더 오염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단부 배출식 수문 또는 고무댐과 같이 저수장치의 내부에 물을 가두어두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물질성 미립자들과 유기물성 미립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물의 비중보다도 가두워둔 물의 비중이 무거워진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기물질성 하천수들이 수문의 내부에 저수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물의 내부로 파고들어가지 못하고 물의 표면을 스쳐 지나가는 즉 빙판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형태를 띠면서 그대로 하천의 하류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저수장치의 내부에 가두워진 물들은 정체된 상태로 있지만 하천의 상류에서 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들은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정체된 상태로 있는 저수된 물의 상단부를 통하여 스쳐지나가듯이 저수장치의 상단부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기 때문에 저수되어 있는 물들과 혼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새치기작용 인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한 수중보와 상단부 배출식 수문과 상단부 배출식 고무댐들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두게 되면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이유는 상류에서 흘러내려오는 물들과 혼합되지 못하고 저수되어 있는 물을 제처두고 먼저 빠저 나가는 물질 새치기작용과 저수되어 있는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끼리 부딧치는 물질 마찰작용과 분해된 물질끼리 또다시 뭉치거나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퇴적오니들이 저수장치의 내부에 계속하여 적층됨 과 동시에 ①물속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한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②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작용과 ③미립자와 미립자들이 부딧치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분해작용과 ④태양열에 의해 분해되는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⑤공기와 맏닷는 대수층의 마찰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⑥삼투압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⑦중력의 압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⑧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질 분해작용들에 의해 그 퇴적오니들이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 또다른 미립자들을 발생 시킴과 동시에 또다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분해작용과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또다른 미립자들을 연속적으로 발생 시킴으로 인하여 물의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무댐의 일부에 하층수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일부분의 하천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주거나, 또는 전도식 수문의 일부분에 싸이폰 통로를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의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두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제쳐두고 먼저 빠져나가는 물질새치기 작용에 의해 저수장치에 가두워둔 오염된 물들은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이 더욱더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더욱더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즉 비중이 무거운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옆으로 제처 놓고 그 사이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는 작용에 의해 밀려난 물들은 물질 결합이 더욱더 활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으로서 그 원리를 물질 새치기 작용이다라고 칭한다.돌을 물에 던지면 물을 밀어 내고 물속으로 가라앉는 원리가 바로 물질 새치기작용인 것이다.
다음은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살아나게 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에는 약 6만여종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그속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물질은 물질고유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질량에 따라 저수된 물에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다르다.
즉 물질 별로 차지하고 있는 층이 다른데 이러한 현상을 층류작용이다라고 칭한다.
똑같은 질소성 성분과 인의 성분이어도 그 미립자들이 분해되어 있는 크기에 따라서 포진하고 있는 층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즉 오염물질의 비중이 0.99999998 인 물질이 비중 1 인 물질 또는 비중0.99999999의 물질속으로 절대로 파고 들어 가지 못하게 되는 것은 바로 중력의 힘 때문인 것이다. 이는 기름이 물에 뜨는 원리와 같다.
이와 같은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코올리의 힘 즉 중력의 작용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은 중력의 작용에의해 층류작용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게 되는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저수하여 놓게 되면 비중이 다른 오염물질과 물분자의 미립자 물질이 뭉치거나 결합하는 점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 뭉침작용 과 물질 결합작용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를 저수장치의 상단부로 배출하는 상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가두어두게 되면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분자와 오염물질의 미립자들이 뭉쳐지는 물질 뭉침작용과 물질 결합작용들에 의해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지만, 저수장치의 하단부 즉 하단부 배출식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 많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 두게 되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 만큼만을 상시 배출하여 줄수가 있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와 미립자들이 ①물속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한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②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작용과 ③미립자와 미립자들이 부딧치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분해작용과 ④태양열에 의해 분해되는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⑤공기와 맏닷는 대수층의 마찰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⑥삼투압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⑦중력의 압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⑧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질 분해작용들에 의해 기존의 미립자들보다도 더 작게 분해됨과 함께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 분해된 미립자들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저수되어 있는 물의 상층부로 이동되면서 또다시 이상과 같은 8대 자연 정화 작용에 의해 더욱더 미세하게 분해하는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아주 깨끗한 물들이 지니고 있는 "물질 보존의 법칙"의 작 용이 동시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면서 물분자와 결합되거나 물분자의 내부에 끼어 있는 오염된 물들은 물분자로 부터 이탈되어 나오면서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상층부로 이동되는 과정을 통하여 또다시 자연분해됨과 동시에 오염된 미립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염된 미립자들을 이탈 시킨 상태에 있는 아주 깨끗한 순수한 물들은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로 이동하게 되는 자연적인 순환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오염된 물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오염된 하천수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선 하천의 횡단 전단면 전폭과 하천의 종단면 전체에 다단계 저수 시스템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인과 작용들로 인하여 물의 오염이 가중되기도 하고 오염된 물들이 살아나기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을 저수하여 놓는 방식을 하단부 배출식으로 하느냐 아니면 상단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물의 오염이 가중되기도 하고 오염된 물이 살아나기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인지하고 보다더 확실한 수문의 구조로 구성되는 배출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최대 상승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동작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이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충격흡수용 패킹부재(40)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작동링크(34)가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되며, 밀폐공간(12)의 상부 저수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가 설치되고, 작동링 크(34)의 직상부 제 1작동실린더와 수평되는 위치에는 지지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지지롤러(52),가 회전축(33)을 경유하여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체인(53)과 연결되고, 회전축(33)의 작동링크 위치 옆쪽위치로부터 작동링크 인출방향 반대방향으로 누름판(35)이 인출되며, 누름판(35) 위치 외부에는 완만한 경사를 가진 "V"자 형상으로 받침판(62)과 작동판(63)이 고정되어 있는 링형의 슬라이더(64)가 삽입되고, 작동판(63)에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체인(53)이 적용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체인(53) 이외에도 로프, 와이어 등 다양한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슬라이더(64)의 받침판 반대위치로부터 작동판(63)을 거쳐 받침판(62)까지 수문(30)의 회전시 누름판(35)이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작동홈(65)이 형성되며, 회전축(33)에는 하우징(2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하우징(20)의 축공(21)과 회전축(33) 사이에서 충경 흡수용 패킹판(36)이 각각 고정되고,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작동링크(34)는 회전축(33)으로부터 동일방향으로 2개가 인출되어 그 선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봉(37)이 고정되고, 이러한 연결봉(37)에 체인(53)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8은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33)을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38)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9는 체인(53)이 회전축을 돌아나갈 때 체인(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최초 제 2작동실린더(61)는 최대한 수축시켜 받침판(62)과 작동판(63)이 완만한 경사를 가진 "V"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제 1작동실린더(51)를 최대한 신장시키면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53)이 최대한 풀리게 되므로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수문(30)의 수문판(31)이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어 수문(30)이 완전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개방시에는 수문판(31)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수문판(31)의 라운드진 측면이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므로 저수공간의 물이 수문(30)의 수문판(31) 상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물의 배출시 이물질들이 하우징(20)과 수문(30)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된다.
수문(30)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에서 제 1작동실린더(51)를 수축시키게 되면 체인(53)이 당겨지면서 작동링크(34)와 회전축(33), 그리고 양 측판(32)과 수문판(31)은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수문(30)이 시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180°회전되는 시점부터는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며(엄밀히 말하면 본 발 명에 따른 수문은 비대칭이므로 180°미만 지점부터 추락하기 시작함), 이와 같이 수문(30)이 급격한 속도로 추락하게 되면 수문(30), 하우징(20), 지지구조체(10)가 파손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축(33)의 작동링크 위치 옆쪽위치로부터 작동링크 인출방향 반대방향으로 누름판(35)을 인출하고, 누름판(35) 위치 외부에는 완만한 경사 형태로 "V"자 형상으로 받침판(62)과 작동판(63)이 고정되어 있는 링형의 슬라이더(64)를 삽입하며, 작동판(63)에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구성한 것으로, 수문(30)의 수문판(31)이 최초 개방되어있던 상태에서 180°정도 회전되면 즉, 수문(3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누름판(35)이 회전축(33)과 같이 회전되다가 받침판(62)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수문(30)이 180°회전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2작동실린더(61)를 서서히 신장시키게 된다.
제 2작동실린더(61)가 서서히 신장되면 작동판(63)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더(64)와 받침판(62)이 같이 회전되고, 누름판(35)에 의해 하중이 받침판(62)에 얹혀져 있는 수문(30)은 서서히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수문(30)의 배수측 수문판과 양 측판 경계부위가 하우징(20)의 바닥부와 접촉하는 시점에서 수문(30)의 회전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문(30)은 그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 어 있으므로 수문(30)이 270° 정도의 각도로 완전 회전되면 수문(30) 개방시를 기준으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하우징(20)의 바닥부와 접촉하면서 수문판(31)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어 수로(11)가 폐쇄될 수 있고,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패킹부재(40)에 의해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하면서 완벽한 패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접촉되는 하우징(20)의 바닥부는 수문(30) 개방시 수문판(3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가 되므로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와 비교할 때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늘어난 배수측의 길이와, 하우징(20)의 바닥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배수측의 높이 만큼 더 저수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40)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는 구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상태와 반대로 제 1작동실린더(51)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제 2작동실린더(61)를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이 폐쇄시와는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고,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제 1작동 실린더(51)를 계속해서 신장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2작동실린더(61)를 계속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각이 폐쇄시로부터 90°가 되더라도 수문(30)의 무게중심은 폐쇄되는 방향측에 있으므로 수문(30)의 무게중심이 개방되는 방향측으로 넘어올 때까지 제 2작동실린더(61)를 최대한 수축시키게 된다.
그런데, 수문(30)의 무게중심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넘어오게 되면 수문(30)의 폐쇄시와 마찬가지로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문(30)이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이를 종합컨트롤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위침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1작동실린더(51)의 신장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수문(30)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줄여주게 되며, 이에 따라 안전하게 수문(30)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최대한 수축되어 있던 제 2작동실린더(61)는 약간 신장시켜주어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대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과 결합되는 종합 컨트롤(100)이 필요하며, 이때에 구성되는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단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문을 조절하여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량만큼만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줌으로서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받침판과 작동판의 상단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제를 설치하여 줄 수가 있는데 이러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부 개방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이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 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작동링크(34)가 저수측으로 인출되며, 밀폐공간(12)의 상부 양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1)가 각각 설치되고, 작동링크(34)의 직상부 각 작동실린더(51)(61)와 수평되는 위치에는 제 1지지롤러(52')와 제 2지지롤러(5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문(30) 위치를 기준으로 저수측에 위치되는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제 1지지롤러(52')와, 회전축(33)을 경유하여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는 제 1체인(53')이 연결되고, 수문(30) 위치를 기준으로 배수측에 위치되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제 2지지롤러(52")를 경유하여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는 제 2체인(53")이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체인(53')과 제 2체인(53")이 적용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각 체인(53')(53") 이외에도 로프, 와이어 등 다양한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회전축(33)에는 하우징(2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하우징(20)의 축공(21)과 회전축(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판(36)이 각각 고정되며,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상기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 1체인(53')과 제 2체인(53")이 수문(30)의 회전동작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작동링크(34)는 회전축(33)으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다수개 인출되고, 각 작동링크(34)의 선단부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봉(37)이 고정되어 제 1체 인(53')은 연결봉(37)의 수문판 인접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제 2체인(53")은 연결봉(37)의 지지구조체 인접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러한 각 체인(53')(53")의 위치에 맞게 각 작동실린더(51)(61)와 각 지지롤러(52')(52")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위치된다.
물론,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1지지롤러(52') 및 제 1체인(53')과 제 2작동실린더(61), 제 2지지롤러(52"), 제 2체인(53")의 설치위치는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8은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33)을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대(3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 1에서는 자세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9는 제 1체인(53')이 회전축(33)을 돌아나갈 때 제 1체인(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에 의해 작동하며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된 수문은 최초 제 1작동실린더(51)는 최대한 신장시키고, 제 2작동실린더(61)는 최대한 수축시키면 각 작동실린더(51)(6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 1체인(53')과 제 2체인(53")이 풀어지거나 당겨지면서 작동링크(34)를 거의 수평상태로 만들어주고, 이에 따라 수문(30)의 수문판(31)은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어 수문(30)이 완전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개방시에는 수문판(31)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 고, 수문판(31)의 라운드진 측면이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므로 저수공간의 물이 수문(30)의 수문판(31) 상부로 배출될 수 있고, 물의 배출시 이물질들이 하우징(20)과 수문(30)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된다.
수문(30)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에서 제 1작동실린더(51)를 수축시킴과 동시에 제 2작동실린더(61)를 신장시키게 되면 제 1체인(53')은 당겨지고 제 2체인(53")은 풀어지면서 작동링크(34)와 회전축(33), 그리고 양 측판(32)과 수문판(31)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수문(3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180°정도 회전되는 시점부터는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며(엄밀히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은 비대칭이므로 180°미만 지점부터 추락하기 시작함), 이와 같이 수문(30)이 급격한 속도로 추락하게 되면 수문(30)과,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가 파손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문(30)의 수문판(31)이 최초 개방되어있던 상태에서 180°정도 회전되면 즉, 수문(3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이를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어 있는 위치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2작동실린더(61)의 신장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수문(30)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줄여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은 그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 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완전 회전되면 수문(30) 개방시를 기준으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하우징(20)의 바닥부와 접촉하면서 수문판(31)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어 수로(11)가 폐쇄될 수 있고,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패킹부재(40)에 의해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완벽한 패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접촉되는 하우징(20)의 바닥부는 수문(30) 개방시 수문판(3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가 되므로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와 비교할 때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늘어난 배수측의 길이와, 하우징(20)의 바닥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배수측의 높이와,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끼이는 패킹부재(40)의 두께와 수문의 커지는 높이 만큼 저수공간이 더욱더 크게 확보될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상태와 반대로 제 1작동실린더(51)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제 2작동실린더(61)를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이 폐쇄시와는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고,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게 되는 구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제 1작동실린더(51)를 계속해서 신장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2작동실린더(61)를 계속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각이 폐쇄시로부터 90°를 초과하게 되면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문(30)이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이를 종합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어 있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1작동실린더(51)의 신장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수문(30)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줄여주어 안전하게 수문(30)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작동실린더(51) 및 제 1지지롤러(52')와 제 2작동실린더(61) 및 제 2지지롤러(52")의 상하높이에 차이가 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각 작동실린더(51)(61) 및 각 지지롤러(52')(52")의 높이는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의 사이의 밀폐공간(12)내에서 1/2이상의 높이 또는 어느 곳에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므로 그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설치높이에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갖는 하천수 정화용 수문을 하천의 경사진 부위에 다단계로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문(30)의 하단부를 빠져나오면서 작용하는 자연적인 수질개선 작용들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제 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정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동작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상태 측단면도로서, 도 14에서는 제 2작동실린더(61)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이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서는 선단부에 작동봉(34a)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링크(34)가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되고, 밀폐공간(12)의 상부 양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가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 선단부에는 장공(57)이 각각 형성되어 여기에 각 작동봉(34a)이 끼워지고, 제 1작동실린더(51)의 전위 또는 후위에는 제 2작동실린더(61)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는 장공(67)이 형성되어 여기에 제 1작동실린더(51)의 몸체 또는 그 피스톤로드(56)가 끼워져 각 작동실린더(51)(61)의 연동에 의해 수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수로(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 선단부에 형성되는 장공(57)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작동봉(34a)이 끼워지고,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 형성되는 장공(67)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 1작동실린더(61)의 몸체 또는 그 피스톤로드(56)가 끼워지므로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 선단부에 형성되는 장공(57)의 크기 및 길이보다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 형성되는 장공(67)의 크기 및 길이가 더 크고 길게 형성됨은 자명하며, 이러한 각 장공(57)(67)의 폭 및 길이는 수문(30)의 회전동작시 각 피스톤로드(56)(66)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약간의 유격을 제공하면서 수문(30)의 회전동작시 각 장공(57)(67)에 끼워진 부재가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를 제공해야 함은 자명하다.
또한, 회전축(33)에는 하우징(2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하우징(20)의 축공(21)과 회전축(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패킹판(36)이 각각 고정 되며,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상기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8은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33)을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된 수문(30)의 동작시 제 1작동실린더(51)는 3/4정도 신장시키게 되면 작동링크(34)를 거의 수평상태로 만들어주고, 이에 따라 수문(30)의 수문판(31)은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어 수문(30)이 완전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개방시에는 수문판(31)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수문판(31)의 라운드진 측면이 하우징(20) 바닥부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밀착되므로 저수공간의 물이 수문(30)의 수문판(31) 상부로 배출될 수 있고, 물의 배출시 이물질들이 하우징(20)과 수문(30)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된다.
수문(30)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에서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를 최대한 신장시키게 되면 수문(30)이 개방시점에서부터 90°정도가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제 1작동실린더(51)는 더 이상 작동링크(34)를 밀어줄 수 없으므로 수문(30)을 더이상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제 2작동실린더(61)가 수축하기 시작하며, 제 2작동실린더(61)가 수축하게 되면 그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 형성된 장공(67)에 제 1작동실린더(51)의 몸체 또는 그 피스톤로드(56)가 끼워져 있으므로 제 1작동실린더(51) 가 회전되면서 수문(30)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제 2작동실린더(61)가 수축되어 제 1작동실린더(51)가 최대 신장위치에서 더 회전되면 작동링크(34)에 형성된 작동봉(34b)의 위치에 맞게 서서히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수문(30)을 계속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문(3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개방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180°정도 회전되는 시점부터는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며(엄밀히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은 비대칭이므로 180°미만 지점부터 추락하기 시작함), 이와 같이 수문(30)이 급격한 속도로 추락하게 되면 수문(30)과,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가 파손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문(30)의 수문판(31)이 최초 개방되어있던 상태에서 180°정도 회전되면 즉, 수문(3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이를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어 있는 위치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1)의 신장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수문(30)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줄여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은 그 개방위치에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완전 회전되면 수문(30) 개방시를 기준으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하우징(20)의 바닥부와 접촉하면서 수문판(31)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어 수로(11)가 폐쇄될 수 있고,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패킹부재(40)에 의해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완벽한 패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가 접촉되는 하우징(20)의 바닥부는 수문(30) 개방시 수문판(3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가 되므로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와 비교할 때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늘어난 배수측의 길이와, 하우징(20)의 바닥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배수측의 높이와,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끼이는 패킹부재(40)의 두께와 수문의 커지는 높이 만큼 저수공간이 더욱더 크게 확보될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상태에서는 제 1작동실린더(51)가 최대 수축상태에 있게 되므로 수문(30)을 회전시켜주기 위해서는 제 2작동실린더(61)를 먼저 수축시키기 시작하여 제 1작동실린더(51)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제 1작동실린더(51)를 신장시키기 시작하여 수문(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수문(30)을 폐쇄상태에서 약간만 들어주게 되면 수문(30)과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게 되는 구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제 1작동실린더(51)를 계속해서 신장시키게 되면 수문(30)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각이 폐쇄시로부터 90°를 초과하게 되면 수문(30)이 수문판(31)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되어 추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문(30)이 회전되다가 수문판(31)이 수평상태가 되면 이를 종합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어 있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제 1작동실린더(51)의 신장속도를 늦춰줌으로써 수문(30)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줄여줄 수 있으며, 제 1작동실린더(51)의 최대 신장시점에서 제 2작동실린더(61)를 신장시켜주면서 제 1작동실린더(51)를 서서히 수축시켜주면 수문(30)이 완전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작동실린더(51), 제 2작동실린더(61), 작동링크(34)의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각 부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설치높이에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수문판(31)의 하단부가 상면과 같이 수평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하였으나, 수문판(31)의 양측 라운드진 부분과 동일한 곡률로 연속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갖는 하천수 정화용 수문을 하천의 경사진 부위에 다단계로 설치하여 유입되는 물이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문(30)의 하단부를 빠져나오면서 작용하는 자연적인 수질개선 작용들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속함은 자명하다.
[제 4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정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로서, 도 20에서는 제 2작동실린더(61)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제 3실시예의 변형으로서, 모든 구성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수문(30)의 수문판(31), 양 측판(32), 회전축(33)이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양 측판(32)은 측면상 "ㅗ"자 형상으로 구성하며, 수문판(31)의 양측부에는 하우징(20)의 라운드진 면과 미끄럼 접촉할 수 있도록 이와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양 측판(32)의 하부면과 볼트-너트와 같은 고정부재(80)에 의해 고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수문판(31)을 양 측판(32)에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수문(30)의 제작이 매우 간편해지며, 양 측판(32)을 굳이 삼각형상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부재감소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1)이 연동을 통해 수문(30)을 360°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수로(11)를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는 2개의 작동실린더(51)(61)만 위치되면 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물과 각 작동실린더(51)(61)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제 1작동실린더(51)는 수직의 형태로 배치되고, 제 2작동실린더(61)는 수평의 형태로 배치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1)의 설치 위치는 수평의 형태, 수직의 형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그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 5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작동실린더 최대 신장시 측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최대 부상시 측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수문(30)은 그 수문 판(31)과 양 측판(32)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수문(30)의 완전 개방상태를 기준으로 수문판(31)의 배수측 단부에는 중량물(101)이 내장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평면상 ""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작동봉(102)이 회전축(33)에 고정되며, 작동봉(102)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단부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작동실린더(103)는 수문(30)의 수로 개폐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어 그 후단부는 적어도 회전축(33)의 높이보다는 높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작동봉(102)은 수평상 수문판(31)의 폭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작동실린더(103)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작동실린더(103)의 후단부가 수문(30)의 회전축(33)보다는 높은 곳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작동봉(102)은 수문판(31)과 평행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문(30)이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작동실린더(103)가 신장되면 수문(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작동실린더(103)의 후단부가 회전축(33)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작동실린더(103)의 최대 신장위치에서 수문판(31)은 수평상태에 이르지 못하지만 수문판(31)에 내장된 중량물(101)에 의해 무게중심이 개방시와 반대방향측으로 넘어오게 되므로 수문(30)은 자중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수문(30)의 무게중심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넘어오게 되면 수문(30)은 그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작동실린더(103)는 수축하기 시작하는데, 수문(30)이 급격하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수문판(31)이 180°회전된 시점에서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수문(30)이 180°회전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에 따라 작동실린더(103)에 인가되는 유압을 컨트롤하여 작동실린더(103)를 서서히 수축되게 함으로써 수문(30)의 폐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문(30)이 폐쇄되는 시점에서 작동실린더(103)의 수축을 멈추어 주게 되면 수문판(31)이 직립상태로 세워지면서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하우징(20)이 밀착되어 물이 배출되지 않고 차오르게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03)를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이 자중과 작동실린더(103)의 수축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수문(30)의 회전에 따라 저수공간에 차오르던 물은 수문(30)의 위쪽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완전히 회전되면 수문(30)의 하면이 하우징(20)의 배수측 라운드진 면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하우징(20)의 바닥면과 수문판(31)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게 되고, 수문판(31)의 일측 하부면과 하우징(20)의 배수측으로 라운드진 면이 밀착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나뭇가지와 같은 큰 이물질이 하우징과 수문의 사이로 유입되는 일 없이 물이 빠른 속도로 방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실린더(103) 하나만으로도 수문(30)을 360°회전시키면서 수로(11)를 개폐할 수 있어 수문(30)으로서 요구되는 수 로(11)의 개폐동작은 원활히 수행하면서도 설비비를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봉(102)의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각 부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6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배출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쌍으로 이루어진 작동링크(34)가 회전축(33)에 고정되며, 작동링크(34)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사이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작동실린더(103')는 수문(30)의 수로 개폐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작동링크(34)는 작동실린더(103') 설치방향으로 회전축(33)에 고정되는데,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링크(34)는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이들 사이의 하부측 각도가 180°미만이 되도록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링크(34) 사이의 하부측 각도가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180°미만이므로 수문(30)이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작동실린더(103')가 신장되면 수문(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수문판(31)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하우징(20)이 밀착되고 수문판(31)은 최고의 높이를 이루어 완전 폐쇄 상태를 이룰 수 있고, 이때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고 저수공간에 차오르게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03')를 더 신장시키게 되면 수문판(31)과 하우징(20)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 용, 물질 부상 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문(30)의 폐쇄 상태 또는 하층수 배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03')를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은 그 자중과 작동실린더(103')의 수축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수문(30)의 회전에 따라 저수공간에 차오르던 물은 수문(30)의 위쪽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완전히 회전되면 수문(30)의 하면이 하우징(20)의 배수측 라운드진 면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하우징(20)의 바닥면과 수문판(31)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게 되고, 수문판(31)의 일측 하부면과 하우징(20)의 배수측으로 라운드진 면이 밀착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나뭇가지와 같은 큰 이물질이 하우징과 수문의 사이로 유입되는 일 없이 물이 빠른 속도로 방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실린더(103') 하나만으로 수로(11)를 개폐할 수 있고, 또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 공간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이며, 설비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링크(34)의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각 부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7실시예]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회전축(33)은 밀폐공간 위치에서 감속기(105)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감속기(105)에는 구동모터(106)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감속기(105)는 구동측의 기어비가 종동측의 기어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져 구동측의 동력이 종동측으로 감속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면 베벨기어, 웜기어, 스퍼기어, 헬리컬기어, 링기어 등 어떠한 방식의 감속기어라도 모두 적용가능하므로 그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구동모터(106) 역시 일반적인 전동모터를 적용할 수도 있고, 유압모터를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모터의 종류에 대해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8은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33)을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나타내고, 36은 하우징(20)의 축공(21)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수문(30)이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구동모터(106)가 구동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감속기(105)를 통해 회전축(33)으로 감속전달되고, 회전축(33)은 이러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문(30)을 360°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수로(11)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합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의해 수문(30)을 원하는 위치에 멈추게 하여 수문(3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하단배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수문(30)을 회전시킬 때에는 그 속도는 빠르지 않으면서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106)의 회전력을 감속기(105)를 통해 회전축에 전달하게 되면 속도는 감속되지만 그에 해당하는 만큼 큰 힘이 발휘되므로 수문(30)을 구동하기에 적정한 속도와 힘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제 8실시예]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 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권취롤(33a)이 고정되고, 밀폐공간(12)에는 구동모터(106)가 고정되며, 구동모터(106)의 축에는 회전축(33)에 고정된 권취롤(33a)과 대응되는 권취롤(106a)이 고정되며, 각 권취롤(33a)(106a)의 사이에는 와이어로프(10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모터(106)의 위치는 밀폐공간(12) 내의 어떠한 장소이든 수문(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위치이면 상관없이 고정될 수 있으며, 각 권취롤(33a)(106a)의 위치는 수직상 동일한 위치가 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8은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33)을 지지해주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수문(30)이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구동모터(106)가 구동하게 되면 그 권취롤(106a)을 통해 와이어로프(107)를 감아주게 되고, 상대적으로 회전축(33)에 고정된 권취롤(33a)은 와이어로프(107)가 풀리면서 자연스럽게 회전력이 발생되어 회전축(33)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30)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구동모터(106)를 계속 구동하여 수문(30)을 회전시키다가 수문(30)의 수문판(31)이 수직이 되는 위치에서 구동모터(106)의 구동을 멈추게 되면 수문(30)은 완전 폐쇄되어 물이 배출되지 않고 저수공간에 차오르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구 동모터(106)를 구동하여 조금더 수문(30)을 회전시켜주게 되면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문(30)을 과도하게 회전되어 수문(30)의 무게중심이 회전축(33)을 기준으로 개폐위치의 반대방향으로 넘어가게 되면 작동불능상태가 되므로 수문(30)의 무게중심이 회전축(33)을 기준으로 개폐위치의 반대방향으로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와이어로프(107)의 길이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문(30)의 폐쇄 위치 또는 하단 배출위치에서 구동모터(10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구동모터(106)의 축에 고정된 권취롤(106a)로부터 와이어로프(107)가 풀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문(30)이 자유상태가 되면서 그 자중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된 권취롤(33a)이 회전되면서 와이어로프(107)를 되감아주게 되고, 수문(30)은 완전 개방상태가 될 때까지 하강하다가 멈추게 되며, 이러한 시점에서 구동모터(106)의 구동도 멈추도록 제어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문(30)이 개방되면 수문판(31)의 상부로 저수공간의 물이 빠른 속도로 방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106)의 회전력을 와이어로프(107)를 통해 수문(30)에 전달하여 수문(30)을 회전시키거나, 수문(30)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문(30)을 개폐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 9실시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 상태에서 하층수를 배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는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수문(30)을 조작하지 않고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함으로써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하우징(20)의 내부 저수측에는 제 3작동실린더(71)를 배수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하고, 하우징(20)의 바닥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의 중간에는 제 3작동실린더(71)의 신축에 따라 출몰하는 가변작동판(72)을 구비하여 제 3작동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와 동일하다.
도면상에는 편의상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에 제 9실시예를 적용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수문(30)을 폐쇄할 경우에는 제 3작동실린더(71)를 신장시켜 가변작동판(72)을 하우징(20)으로부터 빼내주어 그 상면에 수문(30)에 부착되어 있는 패킹부재(40)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저수공간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에서는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해주기 위해 불가분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 동실린더(61)를 구동하거나, 작동실린더를 구동하거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수문(30)을 들어주어야 하였으므로 그에 해당하는 만큼 많은 연료 또는 소비전력이 필요하였던 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 3작동실린더(71)를 수축시켜주면 그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가변작동판(72)이 후퇴하여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수문(30)은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1)와 체인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이러한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다시 개방위치로 회전되면 제 3작동실린더(71)를 신장시켜 가변작동판(72)을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빼내주면 가변작동판(72)의 선단부가 수문판(31)의 호형 측벽과 밀착될 수 있어 이물질이 수문(30)과 가변작동판(72)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방식을 통해 가변작동판(72)을 출몰시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린더 방식 이외에도 로프 견인식, 스크류 방식, 랙-피니언방식, 크랭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가변작동판(72)을 직선 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 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과 가변작동판(72) 사이의 패킹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가변작동판(72)의 출몰에 상관없이 하우징(20)의 가변작동판 출입구와 가변작동판(72) 사이에서 항상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패킹부재를 하우징(20)의 가변작동판 출입구 주위에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하우징(20)과 가변작동판(72)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패킹해줄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받침판과 작동판의 구조는 형상을 달리하거나 위치를 달리하거나 작동 순서의 변경 구성은 당해 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변경들은 즉시 처벌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받침판과 작동판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또다른 형태의 모양을 이용하여 그 기능을 대신하도록 구성 할수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의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실린더로 구성되는 당김 또는 수축장치를 감속기와 같은 가변 수축부재를 이용하여 구성 할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의 구조는 기존에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컨트롤 시스템의 구조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문과 결합되는 구동장치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주면 본 발명의 수문이 적상적으로 작동 하도록 구성 할수가 있 는 것임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문을 원할히 작동 시켜주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문의 구조와 결합되는 컨트롤 시스템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 구성되는 장공(67)의 방향을 달리하거나 장공(67)의 이동을 일정한 거리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1 작동실린더(51)에 장공(67)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줄 수가 있는 것임으로 이러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판(31)과 양 측판(32) 사이의 볼트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부재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변경구성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0실시예]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수문 작동부위 상세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수문 작동부위 정단면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 배출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에서 수문(30), 회전축(33), 수문(30)을 회전시키는 작동부재들을 한꺼번에 승강시켜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수 문(30)의 하단부와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이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수문의 전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 중 선택하여 구성하며, 지지구조체(10)와 하우징(20) 사이의 밀폐공간(12) 내에서 회전축(33)이 승강블록(90)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승강블록(90)의 양측 하부에는 승강관(91)을 각각 고정하며, 각 승강관(91)은 밀폐공간(12)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92)의 안쪽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삽입하고, 고정관(92)과 승강관(91)의 내부 공간에서는 승강실린더(93)를 밀폐공간(12)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면서 그 피스톤로드(94) 선단부를 승강블록(9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며, 승강블록(90)에는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수문(30)을 개폐하기 위한 각 부재들을 각각 고정하여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93)의 신축에 따라 수문(30)과 하우징(2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에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또는 제 4실시예와 복합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하우징(20)의 회전축 삽입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회전축(33)의 하우징 인접부위에는 하우징(20)의 가이드홈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지면서 그 길이보다는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패킹판(2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시 하우징(20)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우징(20)의 패킹판 접촉부위에는 패킹판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 패킹판(23)이 가 이드홈(22) 방향으로 전후진은 가능하면서 회전축(33)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수문(30)을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와 같은 부재들이 모두 승강블록(9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블록(90)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저수위, 유속, 오염도 등에 따라 수문 회전을 위한 부재들을 구동하게 되면 수문(30)이 정해져있는 각도로 회전되면서 수로(11)를 개폐하여 물을 방류하거나, 저수하게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개폐과정 중 수문(3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실린더(93)를 신장시키게 되면 승강실린더(93)의 피스톤로드(94)가 신장되면서 승강블록(90)을 상승시키게 되고, 승강블록(90)에는 회전축(33)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또 회전축(33)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실린더와 같은 부재들이 고정되어 있어 승강블록(90)이 상승하게 되면 회전축(33)과 그 작동부재가 같이 상승하면서 수문(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수문(30)이 상승하게 되면 수문(30)의 하단부와 하우징(20)의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하층수 배출동작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를 통해 수위, 유량, 저수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종합컨트롤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제 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당 10~15분 정도씩 하층수를 배출해주는 동작을 수행한 후 수문을 폐쇄하게 하면 저수공간에 적정한 수위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수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승강블록(9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수문(30)을 개방위치로 회전시켜 수로(11)를 완전 개방함으로써 부피가 큰 이물질로부터 수문(30)을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20)의 회전축 삽입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33)과 수문(30)이 승하강할 때 전혀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동작하게 되고, 수문(30)이 승하강 동작하더라도 패킹판(23)은 하우징(20)의 패킹판가이드홈(24)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을 상시 커버하게 되므로 물이 이러한 가이드홈(22)을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될 염려가 없는 것이며, 회전축(33)이 회전하더라도 패킹판(23)은 패킹판가이드홈(24)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회전축(33)과 같이 회전되지 않고 항상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블록(90)이 승강실린더(93)의 신축에 따라 승하강할 때 승강관(91)이 승강블록(90)과 같이 승하강하지만 승강관(91)은 고정관(92)의 내측에 미끄럼 접촉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므로 승강블록(90)과 승강관(91)이 승하강하더라도 승강관(91)과 고정관(92)이 상시 승강실린더(93)를 커버하게 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승강실린더(9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서는 승강블록(90)을 6면체 형상으로 구성 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승강블록(90)은 그 형상을 회전축(33)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의 위치에 따라 어떠한 형상으로든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한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을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다단으로 정화시켜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1실시예]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회전시 측단면도로서, 수문(30)을 회전동작시키는 부재들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르면 되므로 도 38 내지 도 40에서는 수문(30)을 회전동작시키는 부재들을 도시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수문(30)의 회전동작에는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문(30)의 폐쇄시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테두리 중 3부분과 하우징(2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라 회전수문을 구성하고,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테두리와 하우징(20)의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모서리와 하우징(20)의 사이 위치를 막아주는 위치에 정면상 ""형상의 지지틀(111)을 위치시키고, 지지틀(111)의 양측 상부에는 회전축(112)을 각각 구비하여 각 회전축(112)이 하우징(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하며,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112)에는 작동링크(116)를 고정하여 여기에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후단부는 밀폐공간(12)에서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지지틀(111)의 배수측면에는 ""형상의 패킹부재(115)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30)의 수문판(31)은 그 회전축(33)을 중심으로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지지틀(111)과 패킹부재(115)의 양측부는 측면상 수문판(31)과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들 지지틀(111)의 양측부의 하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부위는 일자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틀(111)과 패킹부재(115)는 저수공간측에 위치되므로 패킹부재(115)는 다수의 고정핀에 의해 지지틀(111)에 고정해줌이 바람직하며, 패킹부재(115)의 수문판(31)과 하우징(20) 사이 위치는 지지틀(111)의 압박에 따라 신축되면서 수문판(31)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를 원활히 패킹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기층이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위는 일자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합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른 작동실린더를 구동하여 수문(30)을 폐쇄위 치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신장시키게 되면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가 작동링크(116)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12)이 회전하면서 지지틀(111)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지지틀(111)의 배수측에는 패킹부재(11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지틀(111)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에 의해 정지될 때 패킹부재(115)가 하우징(20)과 수문판(31) 사이의 틈새에 밀착되어 완전 패킹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저수공간에 채워진 물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로 누출되지 않아 수문(30)의 완벽한 폐쇄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상태에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수축시키게 되면 작동링크(116)가 당겨지면서 지지틀(111)이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저수측으로 회전되고, 패킹부재(115)가 수문(30)의 수문판(31) 하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문(30)의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30)은 아무런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르면 수문(30)의 폐쇄시에는 패킹부재(115)가 하강하여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를 완전 패킹시켜주어 물의 누수를 방지해줌으로써 수문(30)을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고, 수문(30)의 개방시에는 패킹부재(115)가 수문(30)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문(30)의 회전동작을 전혀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지지틀(111)을 작동시키는 지지틀 작동실린더(113)가 하우징(20)과 지 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 위치하고 있어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특허출원 제 2003-57386 호, 특허출원 제 2004-38599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5190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36293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36934 호는 물론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 2006-102541 호,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와 같은 회전수문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한 모든 회전수문에서 문제시되는 수문(30) 폐쇄시의 누수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틀(111)은 물속에 침지된 상태에서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면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철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 역시 봉, 파이프 등 어떠한 형상으로든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지지틀(111)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적용되는 패킹부재(115)는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고무, 합성고무, 유연한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15)의 형상이 패킹부위에 공기층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패킹부위에 날개를 덧대어도 이와 동등한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므로 패킹부재(115)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서는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저수측에 설치하고, 그 동작을 상기한 것과 반대로 하더라도 지지틀(111)을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설치위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따라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2실시예]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회전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를 변형하여 수문(30)의 회전동작에는 간섭되지 않고, 또 수문(30)의 폐쇄시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테두리 중 3부분과 하우징(2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면서 패킹부재(115)와 수문(30)이 밀착될 때 그 압력이 패킹부재(115)에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여 확실한 패킹성능 구현은 물론 패킹부재(115)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라 회전수문을 구성하고,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테두리와 하우징(20)의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모서리와 하우징(20)의 사이 위치를 막아주는 위치에 정면상 ""형상의 지지틀(111)을 위치시키 고, 지지틀(111)의 저수측에는 ""형상의 패킹부재(115)를 부착하여 구성하며, 지지틀(111) 양측부의 저수측 중앙에는 "L"자 형상의 연결링크(117)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고, 각 연결링크(117)의 상부에는 회전축(112)을 각각 구비하여 이러한 각 회전축(112)이 하우징(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하며,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서 회전축(112)에는 작동링크(116)를 고정하여 여기에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후단부는 밀폐공간(12)에서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30)의 수문판(31)은 그 회전축(33)을 중심으로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 1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틀(111)과 패킹부재(115)의 양측부는 측면상 수문판(31)과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들 지지틀(111)의 양측부의 하부 사이를 연결해주는 부위는 일자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틀(111)과 패킹부재(115)는 저수공간측에 위치되므로 패킹부재(115)는 다수의 고정핀에 의해 지지틀(111)에 고정해줌이 바람직하며, 패킹부재(115)의 수문판(31)과 하우징(20) 사이 위치는 지지틀(111)의 압박에 따라 신축되면서 수문판(31)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를 원활히 패킹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기층이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위는 일자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합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본 발명 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에 따른 작동실린더를 구동하여 수문(30)을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신장시키게 되면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가 작동링크(116)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12)이 회전하면서 연결링크(117)를 배수측으로 회전시켜주게 되고, 연결링크(11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지지틀(111)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밀착되어 정지될 때까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지지틀(111)의 배수측에는 패킹부재(11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지틀(111)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에 의해 정지될 때 패킹부재(115)가 하우징(20)과 수문판(31) 사이의 틈새에 밀착되어 완전 패킹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저수공간에 채워진 물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로 누출되지 않아 수문(30)의 완벽한 폐쇄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틀(111)의 저수측 중앙에는 연결링크(117)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연결링크(117)의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지지틀(111)이 저수측으로 회전할 때 하우징(20)의 바닥부와 지지틀(111)이 약간 간섭되더라도 지지틀(111)의 유동성에 의해 회전동작에 방해되지 않으며, 지지틀(111)이 배수측으로 회전되어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접촉할 때 지지틀(111)의 일측이 먼저 닿은 후 지지틀(111)이 유동되면서 패킹부재(115) 전체가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밀착되고, 지지틀(111)의 저수측 중앙부에 연결링크(117)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링크(117)를 통해 지지틀(111) 전체에 균일하게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모든 틈새에서 완벽한 패킹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패킹부 재(115)에 가해지는 압력 역시 균일하게 되므로 패킹부재(115)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수문(30)의 폐쇄상태에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수축시키게 되면 작동링크(116)가 당겨지면서 회전축(112), 연결링크(117), 지지틀(111)이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저수측으로 회전되고, 패킹부재(115)가 수문(30)의 수문판(31) 하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문(30)의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30)은 아무런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르면 수문(30)의 폐쇄시에는 패킹부재(115)가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완전 패킹시켜줌으로써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해줄 수 있고, 수문(30)의 개방시에는 패킹부재(115)가 수문(30)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문(30)의 회전동작을 전혀 간섭하지 않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에 패킹부재(115)가 밀착될 때 그 압력이 균일하여 완벽한 패킹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패킹부재에 가해지는 균일한 압력에 의해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는 제 1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허출원 제 2003-57386 호, 특허출원 제 2004-38599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5190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36293 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36934 호는 물론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 2006-102541 호, 특허출원 제 2006-118946 호와 같은 회전수문의 누수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틀(111)은 물속에 침지된 상 태에서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면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철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 역시 봉, 파이프 등 어떠한 형상으로든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지지틀(111)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적용되는 패킹부재(115)는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고무, 합성고무, 유연한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15)의 형상이 패킹부위에 공기층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패킹부위에 날개를 덧대어도 이와 동등한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므로 패킹부재(115)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서는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지지틀 작동실린더(11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저수측에 설치하고, 그 동작을 상기한 것과 반대로 하더라도 지지틀(111)을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설치위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따라서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3실시예]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며,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하단배출시 측단면도이며,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개방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 또는 제 12실시예를 변형하여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줌은 물론 하단배출동작을 수행하여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에 따른 모든 회전수문이 적용가능하며, 도면상에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가 복합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가 적용되는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우징(20)의 수문판 테두리 근접위치에는 수문(30)의 수문판(31) 곡률과 동일한 곡률 로 지지돌출부(111')를 형성하고, 지지돌출부(111')의 배수측면에는 패킹부재(115)를 부착하며, 하우징(20)의 수문 회전축 삽입위치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의 가이드홈(22')을 형성하여 여기에 수문(30)의 회전축(33)을 삽입한다. 이때, 회전축(33)의 하우징 인접부위에는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지면서 그 길이보다는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패킹판(2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시 하우징(20)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우징(20)의 패킹판 접촉부위에는 패킹판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 패킹판(23')이 가이드홈(22') 방향으로 전후진은 가능하면서 회전축(33)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밀폐공간(12) 내에서 회전축(33)은 쌍으로 된 지지브라켓(1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밀폐공간에 위치된 회전축(33)의 지지브라켓 사이 위치에는 작동링크(34)를 고정하며, 작동링크(34)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단부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작동실린더(103')의 후단부는 하우징(2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지지브라켓(125)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이드홈(125a)을 각각 형성하고, 회전축(22)의 지지브라켓 사이 위치에는 전후진실린더(123)의 피스톤로드(12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전후진실린더(123)의 후단부는 하우징(2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합컨트롤 시스템(100)의 명령에 따라 작동실린더(103')를 구동하여 수문(30)을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후진 실린더(123)를 신장시키게 되면 전후진실린더(123)의 피스톤로드(124)가 회전축(33)을 밀어주어 수문판(31)을 저수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수문판(31)이 저수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하우징(2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출부(111')에 부착된의 패킹부재(115)와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이 강하게 밀착되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패킹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문(30)의 회전축(30)은 하우징(20)과 지지브라켓(125)에 형성되어 있는 각 가이드홈(22')(125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은 패킹판(23')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을 통해 물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다.
이러한 수문(30)의 폐쇄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03')와 전후진실린더(123)를 동시에 수축시키게 되면 수문(30)을 이루는 수문판(31), 양측판(32), 회전축(33)이 폐쇄위치로 회전된 상태 그대로 배수측으로 후진되어 수문(30)과 하우징(20) 사이의 패킹위치가 해제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분과 수문(30)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저수공간의 하층수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하천수와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물질 가속도 작용,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해탈 작용, 물질 부상 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는 것이다.
한편, 홍수와 같이 급격하게 유입수량이 증가하고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수문(30)을 완전 개방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전후진실린더(123)를 신장시켜 수문(3)의 회전축(33)을 원래의 폐쇄 위치로 복귀시킨 후 작동실린더(103')를 수축시켜 수 문(30)의 수문판(31)이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분과 밀착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수문(30)이 완전 개방되어 수문판(31)의 상부로 저수공간의 물이 빠른 시간내에 방류될 수 있어 수위를 안정화할 수 있고, 수문판(31)과 하우징(20)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입자가 큰 나뭇가지와 같은 이물질이 수문판(31)과 하우징(20)의 바닥면 사이에 끼이지 않고 그대로 배출될 수 있어 수문(3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돌출부(111')는 하우징(20)의 제작시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지지돌출부(111')만 별도로 제작하여 하우징(20)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돌출부(111')의 재질 또는 제작방법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적용되는 패킹부재(115)는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고무, 합성고무, 유연한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15)의 형상이 패킹부위에 공기층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패킹부위에 날개를 덧대어도 이와 동등한 패킹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므로 패킹부재(115)의 재질 또는 형상을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서는 작동실린더(103')와 전후진실린더(12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작동실린더(103')와 전후진실린더(123)를 하우징(20)의 내측벽 저수측에 설치하고, 그 동작 을 상기한 것과 반대로 하더라도 수문(30)의 회전동작과 전후진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작동실린더(103')와 전후진실린더(123)의 설치위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따라서 작동실린더(103')와 전후진실린더(123)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14실시예]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기동시작시 측단면도이며,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의 폐쇄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회전수문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변형하여 하우징(20)에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과 밀착되는 문틀(127)을 형성하고, 여기에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을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가 적용되는 회전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이러한 하우징(20)과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이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이 회전 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쌍으로 이루어진 작동링크(34)가 회전축(33)에 고정되며, 작동링크(34)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사이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작동실린더(103')는 수문(30)의 수로 개폐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작동링크(34)는 작동실린더(103') 설치방향으로 회전축(33)에 고정되는데,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링크(34)는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이들 사이의 하부측 각도가 180°미만이 되도록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문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양측벽에는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문틀(127)이 형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25)의 배수측 바닥부에는 고임목(126)이 받쳐져 지지브라켓(125)이 저수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구성되며, 수문(30)의 회전축(33)은 지지브라켓(125)의 위치에 따라 문틀(127)의 회전중심보다는 저수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합컨트롤 시스템의 명령에 의해 작동실린더(103')가 신장되어 작동링크(34), 회전축(33), 양측판(32), 수문판(31)이 회전되면 수문(30)의 회전중심이 문틀(127)의 회전중심보다 저수측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수문(30)의 회전초기에는 수문(30)의 수문판(31)과 문틀(127)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있어 회전이 자유로우나 수문(3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면 수문(30)의 수문판(31)과 문틀(127)이 서로 접촉되면서 수문(30)이 폐쇄되는 시점에서는 수문(30)의 수문판(31)과 문틀(127)이 매우 타이트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수문(30)과 문틀(127) 사이로 저수공간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완벽한 폐쇄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회전수문에 있어서, 수문(30)과 문틀(127)의 사이에는 수문(30)의 회전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갖도록 설계하게 되나,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수문(30)과 문틀(127) 사이의 유격을 통해 저수공간의 물이 누수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서는 수문(30)의 회전중심과 문틀(127)의 중심을 이심시켜 수문(30)이 회전되면서 문틀(127)과 타이트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문(30)의 폐쇄시 수문(30)과 문틀(127)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실린더(103')와 작동링크(34)의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각 부재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였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문틀(127)은 하우징(20)의 제작시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조물로 제작한 후 하우징(20)에 부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내수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철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어떠한 재질로든 구성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문틀(127)의 제조방법, 재질 등을 변경하였다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은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되며,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된 수문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수측의 길이가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구성 비율이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배수측 외측에 패킹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수문에 1개 또는 2개의 작동실린더를 연동시켜 90~360°정도의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것이므로 수문의 개방시에는 수문판과 하우징의 바닥판이 수평을 이루어 물이 원활히 방류됨은 물론 이물질이 수문과 하우징의 사이에 끼이지 않게 되면 수문을 폐쇄하게 되면 수문과 하우징의 사이가 패킹부재에 의해 완전 밀착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이루어져 늘어난 배수측의 길이와, 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배수측의 높이와, 수문과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에 끼이는 패킹부재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문을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을 위해 조금 들어주면 수문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하천수에 포함된 오염된 물질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도록 작용하는“물질 가속도 현상“과“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 본능의 법칙”과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거부작용”과 “물질 해탈작용“과 ”물질 분해작용”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오염된 하 천수가 원천적으로 깨끗하게 정화되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오염된 물이 저수공간에 머무르는 동안 자연적으로 정화됨은 물론이려니와 오염물질끼리 뭉쳐지면서 발생하는 물질뭉침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새로운 오염물질을 생성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여주는 작용효과와, 물이 배출되면서 낙차에 의해 폭기가 일어나게 되어 물 자체의 자연 정화작용과 함께 폭기에 의한 이물질 부유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수질정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구조로 구성되는 수문들이 경사진 부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물이 각 단계를 거치면서 보다 확실하게 자연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대형 하천의 경우에도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대형 댐에 적용되는 경우 댐 내부에서의 퇴적오니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용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녹조현상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육지의 하천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들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서 발생시키는 적조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가두어 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산에서 자라나는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사막을 옥토로 바꾸어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할 수 있어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물고기가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수문의 무게중심이 반대방향으로 넘어갈 때 이를 감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작동실린더의 신장속도를 줄여줌으로써 수문의 회전속도를 인위적으로 낮추어줄 수 있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 많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문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 두게 되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 만큼만을 상시 배출하여 줄수가 있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와 미립자들이 ①물속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한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②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작용과 ③미립자와 미립자들이 부딧치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분해작용과 ④태양열에 의해 분해되는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⑤공기와 맏닷는 대수층의 마찰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⑥삼투압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⑦중력의 압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⑧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질 분해작용들에 의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기존 의 미립자들보다도 더 작게 분해됨과 함께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 분해된 미립자들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저수되어 있는 물의 상층부로 이동되면서 또다시 이상과 같은 8대 자연 정화 작용에 의해 더욱더 미세하게 분해하는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아주 깨끗한 물들이 지니고 있는 성질을 계속 하여 보존하려고 하는 "물질 보존의 법칙"의 작용과 오염된 물은 저수층의 상층부로 밀어오려 놓고 먼져 빠져 나가는 "물질 새치기작용"이 동시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면서 물분자와 결합되거나 물분자의 내부에 끼어 있는 오염된 물질들은 물분자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면서 수문의 상층부로 이동되는 순환과정을 통하여 또다시 자연분해됨과 동시에 오염된 미립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염된 미립자들을 이탈 시킨 상태에 있는 아주 깨끗한 상태로 환원된 순수한 물들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로 이동하게 되는 자연적인 순환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오염된 물들이 깨끗한 물로 자연 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어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어 그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된 상기 수문은 상기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상기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을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문판(31)과 상기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상기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충격 흡수용 패킹부재(40)를 고정하고;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서 작동링크(34)를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하며, 상기 밀폐공간(12)의 상부 저수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링크(34)의 직상부 제 1작동실린더와 수평되는 위치에는 지지롤러(5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상기 지 지롤러(52), 상기 회전축(33)을 경유하여 상기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는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33)의 작동링크 위치 옆쪽위치로부터 상기 작동링크 인출방향 반대방향으로 누름판(35)을 인출하며, 상기 누름판(35) 위치 외부에는 완만한 경사를 가진 "V"자 형상으로 받침판(62)과 작동판(63)이 고정되고 상기 수문(30)의 회전시 상기 누름판(35)이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62) 반대위치로부터 상기 작동판(63)을 거쳐 상기 받침판(62)까지 작동홈(65)이 형성된 링형의 슬라이더(64)를 끼우고, 상기 작동판(63)에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각 작동실린더(51)(62)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어 그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 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된 상기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상기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을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문판(31)과 상기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상기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패킹부재(40)를 고정하고;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서 작동링크(34)를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하며, 상기 밀폐공간(12)의 상부 양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와 제 2작동실린더(6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각각 설치하고, 상기 작동링크(34)의 직상부 각 작동실린더와 수평되는 위치에는 제 1지지롤러(52')와 제 2지지롤러(52")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수문(3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저수측에 위치되는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 1지지롤러(52'), 상기 회전축(33)을 경유하여 상기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는 제 1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수문(30)의 위치를 기준으로 배수측에 위치되는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로부터 상기 제 2지지롤러(52")를 경유하여 상기 작동링크(34)의 선단부에는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각 작동실린더(51)(61)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어 그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된 상기 수문(30)의 개방위치에서 상기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은 상기 회전축(33)을 중심으로 그 배수측을 저수측보다 더 길게 비대칭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수문판(31)과 상기 양 측판(32)의 배수측 경계부위 외측에는 상기 수문(3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충격흡수용 패킹부재(40)를 고정하고;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서는 선단부에 작동봉(34a)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링크(34)를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하며, 상기 밀폐공간(12)의 상부 양측에는 제 1작동실린더(51)를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 선단부에는 장공(57)을 각각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각 작동봉(34a)을 끼워 구성하며,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전위 또는 후위에는 제 2작동실린더(61)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는 장공(67)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몸체 또는 피스톤로드(56)를 끼워 구성하여 상기 각 작동실린더(51)(61)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문(30)이 270°정도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100)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어 그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양 측판(32), 회전축(33)이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양 측판(32)은 측면상 "ㅗ"자 형상으로 구성하며, 상기 수문판(31)의 하부 양측은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와 미끄럼 접 촉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라운드 지게 형성하여 상기 양 측판의 하부면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고;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서는 선단부에 작동봉(34a)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링크(34)를 저수측으로 각각 인출하며, 상기 밀폐공간(12)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링크(34)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제 1작동실린더(51)를 상기 밀폐공간(12)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피스톤로드(56) 선단부에는 장공(57)을 각각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각 작동봉(34a)을 끼워 구성하며,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제 2작동실린더(61)를 상기 제 1실린더(51) 주위에 배치하고, 상기 제 2작동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6) 선단부에는 장공(67)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제 1작동실린더(51)의 몸체 또는 피스톤로드(56)를 끼워 구성하여 상기 각 작동실린더(51)(61)의 연동에 의해 상기 수문(30)이 360°의 각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상기 수 문(30)의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상기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상기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을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하며, 상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상기 수문(30)의 완전 개방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판(31)의 배수측 단부에는 중량물(101)을 내장하며;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평면상 ""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작동봉(102)을 상기 회전축(33)에 고정하고, 상기 작동봉(102)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단부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상기 작동실린더(103)는 상기 수문(30)의 수로 개폐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켜 그 후단부를 적어도 상기 회전축(33)의 높이보다는 높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상기 작동봉(102)은 수평상 상기 수문판(31)의 폭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작동실린더(103) 방향을 향해 구성하여 상기 작동실린더(103)의 신축과 상기 중량물(101)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작동실린더(103)를 사용하여 상기 수문(30)을 360°의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상기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상기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을 상기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하며, 상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하고;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작동링크(34)를 상기 회전축(33)에 고정하며, 상기 작동링크(34)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단부에는 작동실린더(103') 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상기 작동실린더(103')는 상기 수문(30)의 수로 개폐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작동링크(34)는 상기 작동실린더(103') 설치방향으로 상기 회전축(33)에 고정하되, 상기 작동실린더(103')와 상기 작동링크(34)은 상기 수문(30)의 완전 개방시를 기준으로 이들 사이의 하부측 각도가 180°정도가 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작동실린더(103)의 신축에 따라 하나의 작동실린더(103)를 사용하여 상기 수문(3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회전축(33)은 밀폐공간 위치에서 감속기(105)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 고, 상기 감속기(105)에는 구동모터(106)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106)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33)에 감속 전달하여 상기 수문(3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상기 수문판(31)의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상기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권취롤(33a)을 고정하고, 상기 밀폐공간(12)에는 구동모터(106)를 고정하며, 상기 구동모터(106)의 축에는 상기 회전축(33)에 고정된 권취롤(33a)과 대응되는 권취롤(106a)을 고정하고, 상기 각 권취롤(33a)(106a)의 사이에는 와이어로프(107)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106)의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로프(107)를 통해 상기 회전축(33)에 전달하여 상기 수문(3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로(11)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의 내부 저수측에는 제 3작동실린더(71)를 배수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부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부위의 중간에는 상기 제 3작동실린더(71)의 신축에 따라 출몰하는 가변작동판(72)을 상기 제 3작동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고정하여 상기 제 3작동실린더(71)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밀폐공간(12) 내에서 상기 회전축(33)이 승강블록(90)의 중앙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승강블록(90)의 양측 하부에는 승강관(91)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각 승강관(91)은 상기 밀폐공간(12)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92)의 안쪽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삽입하고, 상기 고정관(92)과 상기 승강관(91)의 내부 공간에서는 승강실린더(93)를 상기 밀폐공간(12)의 바닥부에 회전가 능하게 각각 고정하면서 그 피스톤로드(94) 선단부를 상기 승강블록(9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며, 상기 승강블록(90)에는 상기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상기 수문(30)을 개폐하기 위한 각 부재들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수문(3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93)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문(30)과 상기 하우징(2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의 회전축 삽입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33)의 하우징 인접부위에는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지면서 그 길이보다는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패킹판(2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시 상기 하우징(20)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패킹판 접촉부위에는 패킹판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판(23)이 상기 가이드홈(22) 방향으로 승하강은 가능하면서 상기 회전축(33)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모서리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 위치를 막아주는 위치에 정면상 ""형상의 지지틀(111)을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틀(111)의 양측 상부에는 회전축(112)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각 회전축(112)이 상기 하우징(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서 상기 회전축(112)에는 작동링크(116)를 고정하여 여기에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상기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후단부는 상기 밀폐공간(12)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지지틀(111)의 배수측면에는 ""형상의 패킹부재(115)를 부착하여 상기 수문(3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문(30)과 상기 하우징(20)의 사이를 패킹하거나, 상기 수문(30)의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 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 3군데 모서리와 상기 하우징(20)의 사이 위치를 막아주는 위치에 정면상 ""형상의 지지틀(111)을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틀(111)의 배수측에는 "형상의 패킹부재(115)를 부착하여 구성하며, 상기 지지틀(111) 양측부의 저수측 중앙에는 "L"자 형상의 연결링크(117)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연결링크(117)의 상부에는 회전축(112)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각 회전축(112)이 상기 하우징(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의 밀폐공간(12)에서 상기 회전축(112)에는 작동링크(116)를 고정하여 여기에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피스톤로드(11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고, 상기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후단부는 상기 밀폐공간(12)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벽 배수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지지틀 작동실린더(113)의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문(30)과 상기 하우징(20)의 사이를 패킹하거나, 상기 수문(30)의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수문(30)이 완전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우징(20)의 수문판 테두리 근접위치에는 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지지돌출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출부(111')의 배수측면에는 패킹부재(115)를 부착하며, 상기 하우징(20)의 수문 회전축 삽입위치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형상의 가이드홈(22')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을 삽입하고, 상기 밀폐공간(12) 내에서 상기 회전축(33)은 쌍으로 된 지지브라켓(1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브라켓(125)에는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이드홈(125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2)의 지지브라켓 사이 위치에는 전후진실린더(123)의 피스톤로드(124) 선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전후진실린더(123)의 후단부는 하우징(2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전후진실린더(123)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문(30) 전체가 전후진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축(33)의 하우징 인접부위에는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홈(22')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지면서 그 길이보다는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패킹판(23')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시 상기 하우징(20)의 벽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패킹판 접촉부위에는 패킹판가이드홈(24')을 형성하여 상기 패킹판(23')이 상기 가이드홈(22') 방향으로 전후진은 가능하면서 상기 회전축(33)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 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종합 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결합되는 양측 지지구조체(10)의 사이에 수로(11)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의 대향면에는 하우징(20)이 각각 씌워져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지지구조체(10) 사이에 밀폐공간(12)이 형성되고, 호형의 수문판(31)과 그 양단부에 직각방향으로 구성된 양 측판(32)과 이 양 측판(32)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회전축(33)으로 수문(30)이 구성되며,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이 상기 각 하우징(20)에 형성된 축공(21)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부 중 배수측은 상기 호형의 수문판(31)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문(30)은 그 수문판(31)과 양 측판(32)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문판(31)의 양측 하부면은 상기 하우징(20)의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와 동일 곡률로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의 밀폐공간 위치에는 쌍으로 이루어진 작동링크(34)가 상기 회전축(33)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링크(34)의 회전축 고정부위 반대측 사이에는 작동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하우징(20)의 양측벽에는 상기 수문(30)의 수문판(31) 하부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문틀(127)을 형성하고,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25)의 배수측 바닥부에는 고임목(126)을 받쳐 상기 지지브라켓(125)이 저수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구성하며, 상기 수문(30)의 회전축(33)은 상기 지지브라켓(125)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문틀(127)의 회전중심보다는 저수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문(30)의 회전시 상기 수문판(31)이 상기 문틀(127)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804A KR20070108448A (ko) | 2007-01-31 | 2007-02-01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KR1020070012380A KR20070108450A (ko) | 2006-12-20 | 2007-02-06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KR1020070056774A KR100763800B1 (ko) | 2006-12-20 | 2007-06-11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9684A KR20070108445A (ko) | 2007-01-24 | 2007-01-30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KR1020070009684 | 2007-01-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8447A true KR20070108447A (ko) | 2007-11-12 |
Family
ID=3906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288A KR20070108447A (ko) | 2006-12-20 | 2007-01-31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108447A (ko) |
-
2007
- 2007-01-31 KR KR1020070010288A patent/KR2007010844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3800B1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 |
KR20090079272A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 |
KR20070032750A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51A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 |
KR20070012746A (ko) |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수문 | |
KR100812569B1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37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49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083441A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 |
KR100748018B1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100748015B1 (ko) |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키는 방법 | |
KR101028991B1 (ko) |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사이펀 통로를 갖는 수문을 이용하여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 |
KR20070108448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45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47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100812595B1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100803745B1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44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50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90081529A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 |
KR20070108472A (ko) |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 |
KR20090038776A (ko) | 고무댐과 사이펀 구조체를 복합 구성하여 오염된 하천수의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 |
KR20070015623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53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KR20070108441A (ko) |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