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323A -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323A
KR20070108323A KR1020060092506A KR20060092506A KR20070108323A KR 20070108323 A KR20070108323 A KR 20070108323A KR 1020060092506 A KR1020060092506 A KR 1020060092506A KR 20060092506 A KR20060092506 A KR 20060092506A KR 20070108323 A KR20070108323 A KR 2007010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essage
notification
servic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연
이국희
이종효
정보선
황승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0773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108309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7/0005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89108A1/en
Priority to EP07002210A priority patent/EP1816766A3/en
Priority to KR1020070010640A priority patent/KR100819259B1/ko
Priority to US11/701,245 priority patent/US20070207727A1/en
Publication of KR2007010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6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s [DVB-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시스템 및 통지 메시지 포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방송 시스템은 통지 메시지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근거로 방송 서비스 혹은 시스템에 대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지 분배/적응부와,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BD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채널 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독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휴대 방송 시스템, DVB-H, DVB-CBMS,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

Description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THEREF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의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ESG의 전송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통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 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SG 획득 프래그먼트를 통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ESG 획득 프래그먼트 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SI/SI 신호의 생성 및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PSI/SI 신호 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일반 통지 메시지 송신 시의 동작을 기술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동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PSI/SI 신호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수면 상태에 있는 경우 PSI/SI 신호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송신 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수면 상태에 있는 경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광고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의 다른 구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 서비스 전송에 문제 혹은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및 서비스의 변동 사항 등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를 하나의 단말 혹은 한 그룹의 단말들에게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은 휴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 상기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가입,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의 제공, 상기 서비스의 송신 및 단말에 의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휴대 방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단말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시 기본적으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여러 정보가 포함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이 수신하는 중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방송 시스템 내에 변화 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화 사항 중 몇 가지는 단말에서 반드시 알려져야 하는 정보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에 대한 일 예로 휴대 방송 서비스 시간의 변경, 휴대 방송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정보의 변경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방송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라 칭함)이다. 단말들은 휴대 방송 서비스 수신의 시작을 위하여 상기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반드시 수신한다.
서비스 가이드의 정보들 중 몇 개는 언제든지 변화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는 계속 반복적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휴대 방송의 특성상 새로운 단말의 등장을 고려하면 휴대 방송 서비 스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는 변동 사항이 없더라도 반복적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즉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켜서 휴대 방송을 새로이 수신하고자 하거나,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해 인접 셀로부터 단말이 새로이 등장하게 된 경우, 상기 단말은 이미 휴대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단말들과는 별도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를 이미 수신한 단말이라 할지라도 상기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가이드를 계속 수신하여, 서비스 가이드 정보의 갱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사한다. 종래의 방송 시스템의 경우 위와 같은 서비스 가이드의 갱신 여부 혹은 서비스 및 시스템의 변동 사항을 알기 위하여, 단말은 해당 정보가 전송되는 세션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 및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였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을 수신 중인 단말에 통지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수면 중이거나 연동 시스템에 연결중인 이동 단말에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의 채널 정보를 포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근거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지 분배/적응부와,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연동 네트워크와, 상기 연동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채널 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채널 정보가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휴대 방송 서비스에서 서비스 혹은 시스템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거나 긴급 공지 등을 알려야 하는 경우 휴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에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통지 메시지는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거나 혹은 서비스 수신 중이 아니더라도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 휴대 방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 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포맷과 이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DVB-H에서 정의하고 있는 엔터티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물리적으로 구별되거나 혹은 구별되지 않을 수 있는 논리 엔터티들로서, 상기 논리 엔터티들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물리 엔터티들로 합쳐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에 관련된 인터페이스들로서, 통지 메시지의 전송에 관련된 인터페이스들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은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를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DVB-CBMS의 통지 방송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후술되는 설명은 통지 메시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타의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도 유사하게 동작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CC)(101)는 방송 서비스의 공급자이며, 상기 방송 서비스는 종래의 음성/영상 방송 서비스, 파일(음악 파일 혹은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 공급자(101)는 방송 서비스의 공급에 문제 혹은 변동 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 SA)(102) 내부의 통지 이벤트 생성부(Notification Event Function: NEF)(102a)로 상기 변동 사항을 통지한다. 통지 이벤트 생성부(102a)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를 근거로 통지 메시지 이벤트를 통지 메시지 생성부(Notification Generation Function: NGF)(103a)로 전송한다.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은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데이터를 공급받아 방송 네트워크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어 스트리밍 오디오/비디오 혹은 영화 다운로드)로 가공하여,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하며, 서비스 가이드에 필요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 사용자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 등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변동 사항을 통보받아 방송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103) 내부에 위치하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Notification Generation Function)(103a)로 통지 이벤트를 전달하고, 통지 메시지의 생성에 사용되는 서비스 가이드 속성 정보를 상기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로 제공한다.
방송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SM)(103)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으로부터 공급받은 방송 서비스의 전송 스케줄을 결정하는 역할 및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DVB-H 네트워 크(106) 및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연동 네트워크(Interaction Network)(107)와 연결된다. 또한,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는 내부에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Notification Distribution/Adaptation Function: NDAF)(103b)를 갖고 있어,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전송받아, 방송 네트워크(106) 혹은 연동 네트워크(107)를 통해 하나의 단말 혹은 한 그룹의 단말들에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104a)가 단말용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세션 정보를 갖고 있으며,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가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로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한다.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가 관련된 컨텐츠를 구입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같은 서비스 공급(service provisioning) 정보 및 방송 서비스를 수신 받는 단말들에 대한 장치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으로 사용자 과금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입 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장치 정보 등을 방송 네트워크(106) 및 연동 네트워크(107)로 제공한다. 특히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Notification Generation Function: NGF)(103a)를 구비하고 있어, 컨텐츠 공급자(101),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 서비스 관리부(103) 및 방송 네트워크(106)로부터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거나 변경되었다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통지 이벤트에 대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혹은 방송 서비스에서 컨텐츠가 제공된다는 즉, 해당 방송이 소정 시간 후에 제공된다는 등과 같은 정보를 나타 내는 자체 이벤트에 대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방송 네트워크(106)는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이며,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DVB-H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방송 네트워크(106)는 방송 서비스를 전송함에 있어서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CBMS-6 인터페이스(124a) 혹은 X-3 인터페이스(124b)를 통해서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로 상기 변동사항을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동 네트워크(107)는 일대일로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거나 혹은 방송 서비스 수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 및 부가 정보들을 양방향으로 교환하며, 예를 들어 3GPP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단말(108)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이며, 단말의 장치 성능에 따라 양방향 채널을 사용하여 연동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연동 네트워크의 일 예로서,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단말을 가정한다. 상기 단말(108)은 통지 메시지 클라이언트(Notification Client Function: NTC)(108a)에 의해. CBMS-5 인터페이스(125)를 통해서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CBMS-4 인터페이스(126)를 통해서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방송 시스템의 각 블록 구성들 간의 인터페이스들을 설명한다.
CBMS-7 인터페이스(122)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02)에 위치하는 통지 이벤트부(102a)에서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의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로의 인터페이스이며,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에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벤트에 대한 통지 혹은 통지 메시지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들(예를 들어 서비스 가이드의 속성 정보)을 운반한다.
CBMS-3 인터페이스(125)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의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에서 전송된 통지 메시지가 방송 네트워크(106)를 거쳐 방송 채널을 통하여 단말(108)로 직접 전송될 경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하나의 단말 혹은 다수의 단말들에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CBMS-4 인터페이스(126)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의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에서 전송된 통지 메시지가 연동 네트워크(107)를 거쳐 단말(108)과의 전용 채널 혹은 연동 네트워크(107)에서 제공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단말(108)에게 직접 전송될 경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하나의 단말 또는 다수의 단말들에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CBMS-6 인터페이스(124a)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가 방송 네트워크(106)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 혹은 방송 네트워크(106)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의 수신 경로로 사용되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와 방송 네트워크(106)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X-3 인터페이스(124b)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와 연동 네트워크(107) 사이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CBMS-1 인터페이스(133)는 방송 네트워크의 제어 신호를 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DVB-H 네트워크의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와 같은 제어신호가 이에 해당한다.
상기 통지 이벤트 생성부(102a)는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에 전달하는 역할 및 통지가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게 될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에 전달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통지 이벤트 생성부(102a)로부터 통지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정보 및 이벤트를 수신받아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를 통하여 방송 네트워크(106)의 통지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게 되는 경우는, 서비스의 시작을 다시 알릴 필요가 있을 경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서비스의 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음을 통지받아 새로운 서비스 가이드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및 방송 네트워크(106)에서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는 CBMS-3(125) 혹은 CBMS-4(126)를 통하여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방송 네트워크(106)로부터 특정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의 변경 사항, 일 예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 전송 속도의 조절 혹은 서비스의 불가능함 등을 수신할 경우, 그에 따른 통지 이벤트를 상기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CBMS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의 데이터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각 블록은 ESG 데이터의 프래그먼트(fragment)를 나타낸다. 즉 ESG 데이터 모델은 서비스 프래그먼트(2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 콘텐츠 프래그먼트(206), 획득(Acquisition) 프래그먼트(208),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 구매(Purchase) 프래그먼트(212),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202)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는 시간에 따른 서비스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획득 프래그먼트(208)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서비스 접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는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번들로 묶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매 프래그먼트(212)는 상기 서비스 번들을 구매하기 위한 가격 정보를 알려주며, 상기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는 상기 구매를 위한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데이터 모델의 각 프래그먼트들은 다른 프래그먼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래그먼트들 간의 화살표는 상기 참조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라 함은 현재 프래그먼트가 자신의 프래그먼트와 연관이 있는 정보를 다른 프래그먼트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프래그먼트(202)에서는 서비스 전체에 대한 설명,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름, 서비스의 언어 등을 포함하고 있을 뿐,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자체에 대한 설명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해당하는 콘텐츠 의 콘텐츠 프래그먼트(206)에서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를 단말이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세션 정보 등을 알기 위해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202)가 참조하고 있는 획득 프래그먼트(208)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서 상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ESG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의 시간에 별도의 IP(Internet Protocol) 스트림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된다. 따라서 서비스 공급자는 상기 ESG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이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을 서비스 전송 이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ESG 스트림을 수신함으로서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한 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들은 상기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획득 프래그먼트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ESG 데이터 모델은 각 프래그먼트별로 몇 개씩 묶여서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겨지고 각 컨테이너는 FLUTE 세션에서의 하나의 오브젝트로 간주되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CBMS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전송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송신기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전송을 위하여 PSI/SI 신호를 통해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부트스트래핑 세션의 채널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게 된다. 단말이 상기 채널 정보에 따른 채널에 접속하면 부트스트래핑 정보를 받게 되는데, 상기 부트스트래핑 정보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 제공자 정보(ESG Provider Descriptor)와 전자 서비스 가이드 억세스 정보(ESG Access Descriptor)로 구성된다. 전자 서비스 가이드 제공자 정보에서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 제공자의 ID, 이름, 로고 등의 관련 정보들이 포함되며, 전자 서비스 가이드 억세스 정보에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공고(Announcement) 채널의 정보 및 전자 서비스 가이드가 전송되는 각 IP 세션의 개수와 주소 정보들이 포함된다.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공고 채널에서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 초기화 컨테이너(ESG Init Container)와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인덱스 정보들이 전송되는데, 상기 초기화 컨테이너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다. ESG 초기화 메시지(Init message)에는 ESG의 해독을 위한 디코더의 옵션이 포함되며, 파티션(Partition) 정보에는 다수개의 세션으로 전자 서비스 가이드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 세션별 분리 기준 정보 및 각 세션의 채널 정보가 포함되고, 인덱스 리스트 및 인덱스 구조(Index Structure)에는 전송되는 ESG의 프래그먼트들과 각 컨테이너들 간의 매핑 정보들이 포함된다.
ESG는 상기 도 2의 서술에서와 같이 여러 컨테이너들에 담겨서 전송되는데, 각 컨테이너는 해당 컨테이너를 구성하고 있는 프래그먼트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프래그먼트 관리(Fragment Management) 정보와 ESG 프래그먼트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상기 통지 메시지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는 크게 하기의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로 일반 통지 메시지는 범용적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전달을 하는 통지 메시지이다. 이는 사업자가 사용자들에게 재난방송이나 시스템 변경 등의 통지 메시지이다.
두 번째로 특정(specific) 통지 메시지는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국한되어 있는 통지 메시지이다. 이는 특정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용자들에게만 보내는 통지 메시지이며, 서비스의 변경, 시작 등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통지 메시지는 서비스별이 아닌 특정 사용자 그룹별로도 생성되어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특정 사용자 그룹이란, 통지 서비스 가입 등을 통하여 형성된 사용자 그룹이나 혹은 네트워크 측에서 특정 지역으로 통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 형성되는 사용자 그룹이 될 수 있다. 단, 서비스 가입 등을 통하여 형성된 사용자 그룹에게 통지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가입자 정보가 관리되고 있으므로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이 가능하며 특정 지역별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에는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그룹이 별도로 관리되는 것은 아니다.
통지 메시지의 송신 및 수신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전달하고 획득하는 동작 A(410)와,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동작 B(420), 단말이 통지 메시지를 받아 해독하고 그에 따라 반응하는 동작 C(430)로 구성된다. 동작 A(410)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에서 설명될 것이며, 동작 B(420)는 도 11 내지 도 24에서 설명하며, 동작 C(430)는 제5 내지 12 실시예들에서 설명한다.
I. 동작 A (410)
제1 실시예에서는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가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송되고,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가 PSI/SI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되고,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수신되는 패킷이 통지 메시지를 포함함을 확인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통지 메시지가 PSI/SI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송된다. PSI/SI 시그널링은 단말이 DVB-H 시스템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받게 되는 제어신호이므로 이 경우,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는 전송될 필요가 없다. 제4 실시예에서는 통지 메시지가 ESG에 실려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이 경우 DVB-CBMS Phase I spec(tm-cbms1166)에 근거한 ESG 데이터 모델은 도 2와 같으나 제4 실시예에서는 도 2의 ESG 데이터 모델을 확장하여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며,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전송될 필요는 없다.
다음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름 타입 범주 설명
NotificationEntry E M An entry for Notification message
NotificationPort A M Port of Notification Message delivery
NotificationAddress A O IP address of Notification Message delivery
상기 <표 1>에서, 이름(Name)은 해당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값(Element)과 속성값(Attribute)에 대한 명칭을 나타내며, 타입(Type)은 해당 이름이 요소값 혹은 속성값 중 어떤 형태인지를 의미한다. 상기 요소값은 E1, E2, E3, E4와 같은 값을 가지며 E1은 전체 메시지에 대한 상위 요소값을 의미하며 E2는 E1의 하위 요소값, E3는 E2의 하위 요소값, E4는 E3의 하위 요소값을 나타낸다. 상기 속성값은 A로 표시하며 A는 해당 요소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일례로 E1 아래의 A는 E1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또한 범주(Category)는 해당 요소값 또는 속성값이 필수 내용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필수인 경우 M(Mandatory) 값을 옵션인 경우 O(Optional) 값을 가진다. 설명(Description)은 해당 요소 또는 속성값이 의미하는 바를 나타낸다.
정보 요소인 통지 엔트리('NotificationEntry')는 통지 포트('NotificationPort')와 통지 주소('NotificationAddress')라의 두 개의 속성을 가진다. 상기 'NotificationPort'와 'NotificationAddress'는 단말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휴대 방송에서 데이터의 전송 기술로 IP의 사용이 논의되고 있으며, 상기 IP의 사용을 전제로, 시스템은 통지 메시지가 전송될 상기 IP 주소를 단말에게 알려주고, IP 계층의 상위에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사용됨을 전제로 하여 UDP 포트 번호를 알려준다. 그러면 단말은 상기 IP 주소 및 상기 UDP 포트 번호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UDP가 사용되는 이유는, UDP 전송 프로토콜의 헤더 오버헤드가 작으며, 또한 수신 확인 등을 지원하지 않고 단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편 통지 메시지가 점대점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UDP를 대신하여 TCP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서 통지 메시지 포트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아도 점대점 방식인 경우에는 TCP 포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지 메시지 포트로서 UDP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점대점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TCP 포트가 사용됨은 물론이다.
'NotificationPort'는 네트워크 제공자 혹은 서비스 공급자가 통지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도록 사전에 할당을 해놓은 UDP 포트 번호를 갖게 된다. 통지 메시지용으로 지정된 UDP 포트를 통하여 송신된 메시지를 받은 단말은 통지 메시지를 위한 UDP 포트를 알고 있으므로 해당 패킷을 바로 통지 메시지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다.
통지 메시지를 전송 메시지로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도 1의 통지 이벤트부(102a)나 통지 분배/적응부(103b)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엔터티는 기존에 진행 중인 모든 세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통지 메시지를 별도의 신규 세션의 생성 없이도 기존 전송 세션에 첨부를 하여 송신할 수가 있다. 세션의 기본 구분 단위는 IP 주소로 이루어지며 통지 메시지는 진행 중인 세션의 IP 주소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진행 중인 세션은, 통지를 필요로 하는 획득 프래그먼트와 연결된 진행 중인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통지 메시지를 진행 중인 IP 세션으로 송신하면서 UDP 포트 번호만 달리하면, 단말은 별도의 세션을 모니터링 할 필요 없이 바로 통지 메시지(일반 통지 메시지 혹은 진행 중인 세션의 서비스와 관련된 특정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NotificationPort'는 단말이 휴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고, 상기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고 있는 IP 전송 경로(IP flow)를 통하여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otificationAddress'는 통지 메시지 전송시 전용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IP 주소를 가지는 전송 경로(Flow)를 통하여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NotificationAddress'는 휴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 혹은 휴대 방송 서비스의 수신중이 아니라 전원 절약을 위한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들에게 일반 혹은 특정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IP 주소를 제공한다. 단말은 상기 'NotificationPort'와 'NotificationAddress'를 가지고, 단말의 상황 혹은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주체의 통지 메시지에 대해 수신주소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들의 경우 방송 서비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은 기본적으로 PSI/SI 신호 및 ESG를 받고 있으므로, 송신기는 별도의 경로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ESG 정보를 이용하여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전달하는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 통지 메시지의 경우, 송신기는 상기 도 3의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 안에 상기 <표 1>과 같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거나, 혹은 ESG 정보의 초기화 컨테이너 내에 상기 <표 1>과 같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특정 통지 메시지인 경우, 송신기는 상기 도 2의 ESG의 획득(Acquisition) 프래그먼트 내에 상기 <표 1>과 같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한 ESGAccessDescriptor의 xml syntax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코드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NotificationEntry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의 코드는 현재 DVB-CBMS의 ESG spec(ETSI TS102 471)의 정의에 따른다.
Syntax No. of Bits Mnemonic
ESG Access Descriptor{
n_o_ESGEntries 16 uimsbf
for(i=0; i<n_o_ESGEntries i++){
ESGEntry[i]()
}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
}
Syntax No. of Bits Mnemonic
ESGEntry{
ESGEntryVersion 8 uimsbf
ESGEntryLength 8+ vluimsbf8
MultipleStreamTransport 1 bslbf
IPVersion6 1 bslbf
Reserved 6 bslbf
ProviderID 16 uimsbf
if(IPVersion6){
SourceIPAddress 128 bslbf
DestinationIPAddress 128 bslbf
}else{
SourceIPAddress 32 bslbf
DestinationIPAddress 32 bslbf
}
Port 16 uimsbf
TSI 16 uimsbf
}
상기 NotificationEntry의 정보들은 공고 세션 내의 ESG 초기화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는데, 특히 ESG 초기화 컨테이너 내에 포함되는, 컨테이너 헤더(Container Header), ESG 초기화 메시지, 분할정보(Partitioning), 인덱스 리스트(IndexList), 인덱스 구조(IndexStructure) 등의 정보들 사이의 어느 위치에 삽입된다. 일 예로서 상기 ESG 초기화 컨테이너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3을 참조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통지메시지 채널정보의 전송에 대하여 주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나, ESG 초기화 컨테이너 상기와 같이 NotificationEntry를 포함하여 보내는 경우에도 하기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의 전송 및 수신을 도 5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의 생성 및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501단계에서 단말(108)에게 전송할 ESG 부트스트랩 정보로서 일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501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 등이 지정된다. 여기서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은 방송 제공자 또는 시스템 환경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다. 상기 501단계가 완료되면 502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503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단말(108)에게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생성은 상기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에서 수행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동작은 통지 이벤트부(102a)에서도 수행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08)에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 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108)은 6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 후, 602단계에서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로부터 전송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수신한 단말(108)은 603단계에서 상기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해독하여 604 단계에서 일반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필요한 채널 정보인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로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ESG 획득 프래그먼트의 전송 및 수신을 도 7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701단계에서 단말(108)에게 전송할 ESG 획득 프래그먼트 정보로서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701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 등이 지정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은 방송 제공자 또는 시스템 환경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이다. 상기 701단계가 완료되면 602단계에서와 같이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가 ESG의 획득 프래그먼트에 삽입된다. 그런 후 상기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703단계에서 상기 ESG의 획득 프래그먼트와 다른 프래그먼트를 합하여 ESG를 완성한 후 704단계에서 상기 ESG를 단말(108)에게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생성은 상기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에서 수행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동작은 통지 이벤트부(102a)에서도 수행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08)에서 ESG 획득 프래그먼트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8)은 7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 후, 802단계에서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로부터 전송된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수신한 단말(108)은 803단계에서 상기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를 해독하여 804단계에서는 상기 ESG를 수신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ESG의 수신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정을 수행한 후 바로 상기 ESG를 수신한다. 805단계에서 상기 단말(108)이 상기 ESG의 획득 프래그먼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필요한 채널 정보인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로 진행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ESG의 획득 프래그먼트를 통하여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얻지 않고,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통지 메시지에 삽입된 서비스 식별자(Service_ID)를 해독함으로써 상기 통지 메시지와 연결된 특정 서비스를 알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ESG내의 서비스 식별자와 동일한 의미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통지 메시지 구조는 후술되는 제11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전달하는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일반 통지 메시지인 경우, 송신기는 상기 도 1의 CBMS-1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전송되는 PSI/SI 신호에 상기 <표 1>과 같은 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특정 통지 메시지인 경우, 송신기는 상기 PSI/SI 신호에 상기 <표 1>과 같은 채널 정보를 각 서비스별로 삽입하여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SI/SI 신호의 생성 및 전송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901단계에서 단말(108)에게 전송할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901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채널 정보인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 등이 지정된다. 여기서 통지 메시지 정보의 요소 및 속성은 방송 제공자 또는 시스템 환경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다. 상기 901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103)는 902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CBMS-6(124a)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방송 네트워크(106)내의 PSI/SI 생성부(106a)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903단계에서 PSI/SI 생성부(106a)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와 다른 정보들을 함께 이용하여 PSI/SI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904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PSI/SI 신호를 CBMS-1 인터페이스(133)를 통하여 단말(108)에게 전송하게 된다.
도 9에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으나 특정 통지 메시지인 경우, DVB-CBMS에서 정의한 PSI/SI 신호 내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에 상기 <표 1>의 채널 정보들이 각 서비스별로 들어가게 된다. 다른 예로서 특정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위한 새로운 테이블이 PSI/SI 신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108)에서 PSI/SI 신호 내의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8)은 10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 후, 1002단계에서 상기 PSI/SI 생성부(106a)로부터 전송된 PSI/SI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PSI/SI 신호를 수신한 단말(108)은 1003단계에서 상기 PSI/SI 신호를 해독하여 1004단계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필요한 채널 정보인 'NotificationEntry', 'NotificationPort', 'NotificationAddress' 등을 획득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으나 특정 통지 메시지의 경우, 상기 단말(108)은 상기 PSI/SI 신호 내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을 확인하여 각 서비스별 특정 통지 메시지의 채널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로 진행하게 된다.
II. 동작 B (420)
먼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전송을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 통지 메시지와 특정 통지 메시지의 전송방법은 동일하므로 도 11의 설명에서는 일반 통지 메시지의 예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에서 일반 통지 메시지 송신 시의 동작을 기술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는 1101단계에서 통지 이벤트부(102a)로부터 통지 내용(즉 통지 이벤트)을 담은 일반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통지 분배/적응부(103)는 1102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UDP 포트 및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를 사용하여 UDP 패킷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의 형식은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서 정의되는 것이며 전송과는 직접적으로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는 바로 UDP 패킷으로 생성이 된다.
한편 서비스영역 내에는 연동 네트워크(107)와 연결이 되어 있거나 페이징 메시지를 받을 수 있으면서 방송 수신부가 꺼져있는 상태, 즉, 수면 상태에 있는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단말들을 위해서, 시스템은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미도시)를 깨워야 한다. 이를 위하여 1104단계에서 시스템은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고, 1105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들에게 보냄으로써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게 된다.
일반 통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패킷 생성은 사전에 지정된 통지 전송용 UDP 포트 번호, 즉, 상기 'NotificationPort'를 사용한다. 이는 단말(108)이 수신 패킷을 일반 통지 메시지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UDP 패킷들은 현재 진행 중인 세션의 IP 주소 또는 일반 통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IP 주소 즉, 상기 'NotificationAddress'를 사용하여 IP 패킷들로 생성된다. 현재 진행 중인 세션의 IP 주소는 통지 전송 메시지가 생성되는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a)가 모든 전송을 담당하는 상기 방송 분배/적응부(103)내에 있기에 획득이 가능하다. 상기 완성된 IP 패킷들은 하위 계층의 송신부로 전달이 된다. 이때 일반 통지 메시지는 네트워크 제공자 또는 서비스 공급자의 필요에 따라 패킷 손실 또는 수신자가 못 받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여러 번 반복되어 하위 계층의 송신부로 전달 될 수 있다.
다음은 방송 시스템에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다음의 도 12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 통지 메시지와 특정 통지 메시지의 전송방법은 동일하므로 아래의 설명에서는 일반 통지 메시지의 예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도 4의 동작 A(410)에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한 후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201단계에서 IP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한다.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상기 헤더를 해독하여 상기 IP 패킷의 IP 주소가 자신이 필요한 IP 주소인지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필요한 IP 주소'라고 함은, 현재 진행중인 세션(즉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서비스)의 IP 주소이거나 또는 통지 메시지를 위하여 할당된 특정 IP 주소(즉 'NotificationAddress')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헤더에 있는 IP 주소가 필요한 IP 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1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P 패킷을 버린다.
그러나 상기 IP 패킷의 IP 주소가 필요한 IP 주소가 아니면,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IP 패킷의 역캡슐화를 통해 UDP 패킷을 획득하고 상기 UD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204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하여 얻은 UDP 포트 번호가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 또는 PSI/SI 신호를 통해 미리 얻은 미리 결정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의 포트 번호(즉 'NotificationPort')인지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수신 패킷이 일반 통지 메시지인지 일반 방송 세션의 패킷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1204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 헤더의 포트 번호가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받기 위하여 지정한 UDP 포트 번호와 일치할 경우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205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을 역캡슐화하여 그 본문에 포함된 일반 통지 메시지를 얻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독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의 동작 C(430)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UDP 패킷의 포트 번호와 상기 미리 지정한 UDP 포트 번호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상기 UDP 패킷을 기존 방송 세션의 패킷으로 간주하고 방송 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거나 자신이 받아야 할 통지 메시지가 아닌 경우로 간주하여 무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연동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동작은 연동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수면중인 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도 4의 동작 A(410)에서 통지 메시지 채널 정보를 수신한 후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1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또는 다른 시스템)의 페이징 메커니즘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2단계에서,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활성화를 시키고 수신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수신 준비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통해 서술한 방법으로 전송된 상기 'NotificationPort' 및 'NotificationAddress'를 사용하여 세션을 만들고 수신 대기(ready)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신 대기 상태로 진입한 후,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3단계에서 통지 분배/적응부(103a)로부터 IP 패킷을 전달 받으면 상기 수신한 I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한다.
그러면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4단계에서 상기 IP 패킷의 주소가 상기 'NotificationAddress'로부터 지정된 IP 주소와 같은지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IP 패킷의 IP 헤더에 있는 주소와 상기 'NotificationAddress'가 다를 경우에는 1308단계로 진행하여 패킷을 버린다.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IP 패킷의 IP 주소가 상기 'NotificationAddress'와 같다면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5단계에서 상기 IP 패킷의 역캡슐화를 통해 UDP 패킷을 추출하고 상기 UD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한다.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6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의 헤더를 해독하여 얻은 UDP 포트 번호를 상기 'NotificationPort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1306단계는 수신한 패킷이 일반 통지 메시지인지 혹은 잘못 송신된 패킷인지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상기 1306단계에서 수신한 UDP 패킷 헤더의 포트 번호가 상기 'NotificationPort', 즉, 일반 통지 메시지를 받기 위하여 지정한 UDP 포트 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307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을 역캡슐화하여 그 본문에 포함된 통지 메시지를 얻고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독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의 동작 C(430)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UDP 패킷의 포트 번호와 상기 'NotificationPort'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1308단계에서 상기 UDP 패킷을 잘못 송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버린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C(430)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서 PSI/SI 신호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통지 분배/적응부(103b)는 1401단계에서 통지 이벤트부(102a)로부터 통지 내용을 담은 일반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통지 분배/적응부(103)는 1402단계에서 PSI/SI 생성부(106a)로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1403단계에서는 PSI/SI 생성부(106a)에서 다른 정보들과 함께 일반 통지 메시지를 이용하여 PSI/SI 신호를 생성한다. 1406단계에서는 PSI/SI 생성부(106a)에서 생성된 PSI/SI 신호가 단말로 전송된다.
한편 서비스영역 내에는 연동 네트워크(107)와 연결이 되어 있거나 페이징 메시지를 받을 수 있으면서 방송 수신부가 꺼져있는 상태, 즉, 수면 상태에 있는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단말들을 위해서 시스템은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미도시)를 깨워야 한다. 이를 위하여 1404단계에서 시스템은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고, 1405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들에게 보냄으로써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게 된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동작을 도 15와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108)은 15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 후, 1502단계에서 상기 PSI/SI 생성부(106a)로부터 전송된 PSI/SI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PSI/SI 신호를 수신한 단말(108)은 1503단계에서 상기 PSI/SI 신호를 해독하여 1504단계에서 PSI/SI 신호 내에 있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특정 통지 메시지는 DVB-CBMS의 PSI/SI 신호 내에 있는 SDT 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통지 메시지는 SDT 대신, PSI/SI 신호 내의 특정 통지 메시지를 위한 테이블 또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연동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동작은 연동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수면중인 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601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또는 다른 시스템)의 페이징 메커니즘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1602단계에서,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활성화를 시키고 수신 준비를 하게 된다. 1603단계에서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PSI/SI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1604단계에서 상기 PSI/SI 신호를 해독하여 1605단계에서 PSI/SI 신호 내의 통지 메시지내용을 확인한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C(430)로 진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ESG 데이터 모델을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도 2의 ESG 데이터 모델을 확장한 것으로, 서비스 프래그먼트(17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1704), 콘텐츠 프래그먼트(1706), 획득 프래그먼트(1708),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1710), 구매 프래그먼트(1712), 구매채널 프래그먼트(1714) 이외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통지 프래그먼트(1716)를 포함한다. 상기 통지 프래그먼트(1716)와 다른 프래그먼트들(1702, 1704) 간의 참조 관계를 제외하고 다른 프래그먼트들(1702 내지 1714)의 구성은 도 2의 ESG 데이터 모델과 호환 가능한(backward compatible)한 관계를 갖는다.
상기 통지 프래그먼트(1716)의 속성과 구성요소들은 이후 서술하게 될 제5 내지 제12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그리고 통지 프래그먼트(1716), 서비스 프래그먼트(17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1704), 획득 프래그먼트(1708)의 참조관계는 0..n으로, 이는 통지 프래그먼트(1716)의 각 통지 정보 요소가 특정 서비스와 관련이 없을 수도 다수의 서비스들에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스케쥴이벤트에서 도시해야 할 통지메시지가 없을 수도 다수일 수도 있으며, 통지 메시지로부터 필수적으로 억세스해야 할 세션 정보 등이 없을 수도 다수일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통지 프래그먼트(1716)가 서비스 프래그먼트(1702)와 참조관계에 있는 경우는 해당 통지 메시지가 특정 서비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통지 프래그먼트(1716)가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1704)와 참조되어 있는 경우는 해당 통지 메시지의 처리(rendering)를 해당 스케쥴이벤트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 내에 처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통지 메시지의 유효 시간(life time)이 단일의 스케쥴 이벤트보다 긴 경우에는 다수개의 스케쥴 이벤트들이 하나의 통지 메시지에 의해 계속해서 참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서 ESG 데이터 모델을 통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통지 분배/적응부(103b)는 1801단계에서 통지 이벤트부(102a)로부터 통지 내용을 담은 일반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통지 분배/적응부(103)는 1802단계에서 ESG 생성부(미도시)로 상기 일반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1810단계에서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1810단계에서의 통지메시지의 형식 및 정보요소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메시지 포맷의 형식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G 생성부는 휴대 방송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물리적 혹은 논리적 엔터티로서, 도 1에 도시한 다른 엔터티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거나 혹은 별도의 엔터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는 실제 통지 메시지 내용이 ESG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ESG 내용이 갱신됨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가의 여부는 서비스 공급자의 선택적인 사항이다. 상기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를 독립적으로 보내는 경우, 통지메시지 내용으로 인한 ESG의 갱신여부를 단말에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단말이 ESG에 포함된 통지메시지 내용을 정확한 시간에 수신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ESG 갱신을 모니터링하지 않아도 된다.
1811단계에서는 상기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 메시지가 단말에게 전송된다. 1803단계에서는 ESG 생성부에서 다른 정보들과 함께 일반 통지 메시지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ESG 데이터 모델에 따른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하는 ESG 신호를 생성한다. 1806단계에서는 ESG 생성부에서 생성된 ESG 신호가 단말로 전송된다. 구체적인 ESG 데이터 모델의 컨테이너 캡슐화 및 압축 등은 DVB-CBMS Phase I(ETSI TS 102 471V.1.1.1)를 따르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서비스영역 내에는 연동 네트워크(107)와 연결이 되어 있거나 페이징 메시지를 받을 수 있으면서 방송 수신부가 꺼져있는 상태, 즉, 수면 상태에 있는 단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단말들을 위해서 시스템은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페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미도시)를 깨워야 한다. 이를 위하여 1804단계에서 시스템은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고, 1805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107)의 양방향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들에게 보냄으로써 상기 단말들의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깨우게 된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동작을 다음의 도 19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108)은 19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 서비스를 실행한 후, 1902단계에서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메시지(이하 ESG 갱신 통지 메시지라 칭함)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메시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며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또는 제11 실시예에서 설명하게 될 정보요소들을 담고 있다. 1903단계에서 상기 ESG 생성부로부터 전송된 ESG 데이터모델에 따른 프래그먼트들을 포함하는 ESG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ESG 데이터모델에 따른 프래그먼트들은 상기 ESG 갱신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ESG 갱신 통지 메시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ESG 세션에 접속하여 받을 수도 있다. 상기 ESG 신호를 수신한 단말(108)은 1904단계에서 상기 ESG 신호를 해독하여 1905단계에서 상기 ESG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특정 통지 메시지는 DVB-CBMS의 ESG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지 프래그먼트 내에 존재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연동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동작은 수면 중인 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예를 들어 연동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에 적용된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2001단계에서 상기 연동 네트워크(또는 다른 시스템)의 페이징 메커니즘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2002단계에서, 수면 중인 방송 수신부를 활성화를 시키고 수신 준비를 하게 된다. 2003단계에서 ESG 갱신을 알리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한다. 2004단계에서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ESG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2005단계에서 상기 ESG 신호를 해독하여 2006단계에서 상기 ESG에 포함되어 있는 통지 프래그먼트를 확인한다. 2003단계, 2004단계, 2005단계 및 2006단계에서 단말의 상세 동작은 도 19와 동일하다. 이후 단말은 도 4의 동작 C(430)로 진행하게 된다.
III. 동작 C (430)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전체 스키마는 하기의 <표 3>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3>는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전체 스키마를 예시한 것이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키마를 수용하는 모든 요소 및 속성에 대한 데이터 형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하기 <표 3a> 내지 <표 3e>는 <표 3>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 각 표에서 항목들의 정의는 후술될 것이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1
상기 <표 3a>에서 정보 요소인 'Notification'은 해당 통지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며, 속성 값인 'id', 'NotificationType', 'Validity' 및 'Name', 'Description', 하기 <표 3b>의 'PresentationType' 및 하기 <표 3c>의 'ExtensionURL', 'SesseionInformation' 및 하기 <표 3d>의 'MediaInformation'과 같은 하위 요소들로 구성된다. 속성 값인 'id', 'NotificationType', 'Validity' 및 요소 값인 'Name', 'Description', 'PresentationType', 'ExtensionURI'은 모든 종류의 통지 메시지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SessionInformation', 'MediaInformation'은 통지 메시지의 사용 목적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id'는 통지 메시지 프래그먼트의 고유한 식별자로 필수(Mandatory: M) 요소이다. 해당 식별자들은 저장된 통지 메시지들 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NotificationType'은 통지 메시지의 형태 또는 목적이 사용자용인지 혹은 단말용인지 혹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며 필수요소이다. 만일 해당 값이 "0"이면 사용자용이며, "1"이면 단말용을 의미한다. 또한, 서비스 공급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값들을 지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Validity'는 통지 메시지에 대한 유효 시간을 나타내는 속성 값이며 옵션 값이다. 'Validity'에 정의된 시간이 경과하면 단말에 저장된 통지 메시지는 삭제된다.
'Name'은 통지 메시지의 제목 혹은 명칭이며 필수요소이며 다양한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Lang'은 'Name'에 대한 속성 값으로 'Name'에 작성된 내용의 언어를 표시하는 옵션 값이다. 만일 'Lang' 값이 없으면 단말은 'Name'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인지하며, 여기서 디폴트 값은 해당 서비스 지역의 언어 혹은 영어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실제 메시지 내용이 되거나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나 단말용 통지 메시지에 대한 설명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은 다양한 언어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필수 값이다.
'Lang'은 'Description'에 대한 속성 값으로 'Description'에 작성된 내용의 언어를 표시하는 옵션 값이다. 만일 'Lang' 값이 없으면 단말은 'Descripton'을 디폴트 값으로 인지한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 명
PresentationType E2 M 1 통지 메시지에 대한 Presentation 형태 정의
상기 <표 3b>에서 'PresentationType'은 통지 메시지에 대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형태를 정의하는 값이다. 프리젠테이션 형태는, 통지 메시지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여 모든 서비스를 중단하고 해당 메시지를 단말의 표시부로 출력할지, 지정된 장치 즉, 메모리부에 메시지 내용을 저장할지, 아니면 수신 중인 서비스 및 컨텐츠에 상기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오버레이(Overay)시켜 출력할지 등을 나타낸다. 상기 'PresentationType'은 서비스 사업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PresentationType'의 예로서, 'PresentationType' = "0"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하며, 'PresentationType' = "1"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추후에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 외에 'PresentationType' = "2"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와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PresentationType'이 "1"이거나 "3"의 값을 갖는 경우는 통지 메시지를 반드시 화면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통지 메시지의 특성상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 미디어의 종류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여러 가지 매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오디오 메시지인 경우 시스템은 'PresentationType' ="1"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중단하고 음성 메시지를 내보내도록 단말에게 요청하거나, 아니면 'PresentationType' = "3" 을 이용하여 오디오 메시지의 재생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인 경우 'PresentationType'의 값으로는 기본적으로 "1"을 사용하여, 이 경우 단말은 일단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PresentationType' = "4"를 이용하여 해당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임을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2
상기 <표 3c>에서 'ExtensionURL'은 통지 메시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위한 서비스 혹은 컨텐츠 서버의 URL을 나타내는 옵션 값이다.
'SessionInformation'은 자료 수신을 위한 세션 정보를 나타내는 옵션 값이다. ESG가 갱신되거나 파일, 컨텐츠 등을 수신하게 될 경우 해당 ESG 혹은 파일, 컨텐츠가 존재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ValidFrom', 'ValidTo', 'UsageType'와 같은 속성 값들과, 'DeliverySession', 'TransportObjectID'과 하기 <표 3d>의 'Fragment', 'AlternativeURI'와 같은 요소 값들을 하위 값으로 갖는다. 상기 'SessionInformation'은 비통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파일이나 컨텐츠 수신 등을 위한 정보를 알려주는데 주로 쓰인다.
'VallidFrom'은 'SessionInformation'이 유효한 시작 시간을 나타내며 옵션 값이다. 'ValidTo'은 'SessionInformation'이 유효한 종료 시간을 나타내며 옵션 값이다. 'UsageType'은 'SessionInformation'이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며 ESG 갱신에 대한 용도인지, 파일 수신을 위한 용도인지 등을 나타내며 서비스 사업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가 가능하다.
'DeliverySession'은 실제 ESG나 파일과 같은 오브젝트가 전송되게 될 세션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며 'SourceIP' 및' 'TransportSessionID'의 속성값을 갖는다.
'SourceIP'는 해당 전송 세션의 IP 주소로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주소가 모두 가능하다.
'TransportSessionID'는 전송 세션에 대한 ID를 갖는다.
'TransportObjectID'는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 식별자이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3
상기 <표 3d>에서 'Fragment'는 전송되는 오브젝트의 프래그먼트로서, ESG의 경우 갱신된 특정 프래그먼트 정보를 나타내며 단말은 상기 'Fragment'의 해당 ID 및 버전(Version) 정보를 확인하여 갱신된 프래그먼트만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Fragment'와 그 하위 속성들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ESG 갱신을 통지하기 위하여 사용시에만 필요하며 상기 통지 메시지가 다른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FragmentID'는 수신할 프래그먼트의 고유 식별 값이다. 'FragmentVersion'은 수신할 프래그먼트의 버전정보를 나타내며 동일한 'FragmentID'를 가진 프래그먼트의 경우 해당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이 최신 버전에 해당하는 'FragmentID'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최신 버전이 세션에 존재한다면, 단말은 상기 세션으로부터 최신 값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AlternativeURI'는 세션을 통해 전송이 실패하거나 방송 채널이 아닌 양방향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야 할 경우 등을 대비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URI 값을 나타낸다. 단말은 해당 URI의 위치를 양방향 채널을 통해 접속하여 원하는 오브젝트를 전송받을 수 있다.
'MediaInformation'은 통지 메시지 구성을 위한 미디어(Media) 정보를 나타내며 멀티미디어(Multimedia)로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위해 필요하다. 'MediaInformation'은 'Picture', 'Video', 'Audio'의 하위 요소값으로 구성된다.
'Picture'는 사진 또는 이미지 정보를 나타내며, 'MIMEtype'은 해당 동영상에 대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형태를 나타내고 'PictureURI'는 사진 혹은 이미지의 위치를 나타내며, 'Video'은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4
상기 <표 3e>에서 'MIMEtype'은 동영상에 대한 MIME 형태를 나타내며, 'VideoURI'는 동영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동영상의 위치란, 해당 동영상이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지 않고 특정 서버에 존재할 때 상기 특정 서버의 위치를 나타낸다.
'Audio'는 음성, 음악, 벨소리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며 'MIMEtype'은 해당 오디오에 대한 MIME 형태를 나타내고 'AudioURI'는 오디오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표 3d>와 <표 3e>의 각 미디어 정보들에서 'PictureURI', 'AudioURI', 'VideoURI' 등이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지 않는 경우는 통지 메시지 자체에 상기 미디어로 구성된 통지 정보가 포함됨을 의미한다. 즉, 통지 메시지 스키마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 상기 정보들 이후의 메시지 페이로드(Payload) 부분에는 상기 선택된 미디어로 구성된 통지 정보가 포함된다.
<표 4>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의 스키마로서 문자로 구성된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각 항목들의 정의는 상기 <표 3>의 정의와 동일하며, 상기 <표 3>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표 4a> 내지 하기 <표 4b>은 <표 4>을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5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6
상기 <표 4>과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안된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는 서비스 사업자 혹은 컨텐츠 제공업자의 공지사항, 광고 메시지, 과금 정보 및 결제 정보 수신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ExtensionURL'은 CallbackURL로 작용하여 양방향 채널을 통해 추가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표 4>에 나타낸 통지 메시지는 'id', 'NotificationType',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 및 'Name', 'Description',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와 같은 요소 값들로 구성된다. 상기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 속성 값 및 요소 값에 대한 설명은 상기 <표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표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의 스키마로서, 멀티미디어로 구성된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5a> 내지 <표 5c>은 <표 5>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5>에서 각 항목의 정의는 상기 <표 3>의 정의와 동일하며, 상기 <표 3>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7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8
Figure 112006068873822-PAT00009
상기 <표 5>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통지 메시지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스템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광고 메시지, 미아 찾기 등과 같은 공익을 위한 메시지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표 5>의 통지 메시지는 'id', 'NotificationType',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 및 'Name', 'Description',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MediaInformation'과 같은 요소 값들로 구성된다. 상기 <표 5>의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 속성 값 및 요소 값에 대한 설명은 상기 <표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표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용 통지 메시지의 스키마로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6a> 내지 <표 6c>은 <표 6>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각 항목들의 정의는 상기 <표 3>의 정의를 따른다.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0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1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2
상기 <표 6>에 도시된 단말용 통지 메시지의 대표적인 사용 용도는 ESG의 갱신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어 단말이 갱신된 서비스 가이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 밖에 서비스 혹은 컨텐츠 등의 서비스 시작, 파일 등의 다운로딩 시작, 별도 세션으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통지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지 메시지의 대표적인 용도가 서비스 가이드 갱신을 단말에서 알리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언급된 다른 용도가 대표적인 용도가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세션이란 단말에 컨텐츠를 서비스받기 위해 이미 설정하고 있는 세션이 아닌 다른 세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멀티캐스트 어드레스로 세션을 열어서 해당 컨텐츠를 단말로 전송하는데, 단말이 이미 특정 세션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서비스 받고 있을 때, 상기 이미 설정된 세션이 아닌 별도의 세션을 열어 추가적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 6>에 언급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제안된 단말용 통지 메시지는 'id', 'NotificationType',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 및 'Name',' 'Description',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SessionInformation'과 같은 요소 값들로 구성된다. 상기 <표 6>의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 속성 값 및 요소 값에 대한 설명은 상기 <표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지 메시지에 대한 속성 값 및 요소 값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2101단계에서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는다. 21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포맷에 따라 해당 메시지를 해석한다. 만일 상기 통지 메시지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내부에 XML 파싱기를 구비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하게 된다.
2103단계에서 단말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만일, 'NotificationType'이 "0"인 경우 사용자용이므로 2110단계로 진행하며,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 단말용이므로 2130단계로 진행하며, 'NotificationType'이 "2"인 경우 또는 그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가 정의한 메시지이므로 2120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NotificationType'이 "2"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통지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
21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메시지이므로 상기 통지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는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벤트 통지, 시스템 장애 또는 점검 공지,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 재난 재해 방송 메시지, 과금 관련 공지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제공이 가능하다.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그에 따라 설정된 우선권에 따라 우선권이 높은 통지 메시지일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resentationType'은 서비스 공급자의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활용될 수 있다.
211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211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 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제공해야 할 메시지임을 나타내며, 'PresentationType'이 "1"일 경우라면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PresentationType'이 "2"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시켜서 보여줄 것을 나타낸다.
상기 2111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보여주어야 할 메시지임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21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11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2114단계에서 표시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구성한다는 의미는 만일,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111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11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추후에 사용자는 적절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2111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1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화면 구성 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11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2116단계에서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210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에는, 213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임으로 판단하고, 21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3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세션 정보 내용을 확인하여, 2132단계에서 상기 세션 정보의 내용을 근거로 해당 세션에 접속하고, 2133단계에서 상기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 지정된 내용을 수신하여 2134단계에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갱신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한 과정(2140)은 2131단계 내지 2134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의 설정 혹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22에서 설명하는 통지 메시지에 대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은 상기 <표 3> 내지 <표 6>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통지 메시지는 컨텐츠 제공업자, 서비스 공급자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요구에 의해서나, 휴대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도 1에서 설명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에서 생성된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2201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변경, 장애, 서비스 가이드의 변경 및 전송, 컨텐츠의 전송, 광고 메시지, 긴급 상황에 대한 긴급 재난 메시지 등의 통지 메시지 이벤트를 통지 이벤트 생성부(102a)로부터 수신한다.
2202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 이벤트를 기반으로 통지 메시지에 대한 기본 정보, 즉, 'id',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과, 'Name', 'Description', 'ExtensionURL', 'MediaInformation'과 같은 요소 값들을 작성한다. 상기 기본 정보를 작성 후 2203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인지 단말용인지를 구분하여 'NotificationType'를 설정한다.
상기 2203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인 경우 2211단계로 진행하여 'Notific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다. 상기 2211단계에서 'Notific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4a)는 22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 단말에 즉시 표기할지, 단말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할지,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지에 대한 설정을 판단한다.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2212단계에서 단말에 상기 통지 메시지의 표시방법을 판단한 후, 단말이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즉시 표시하게 설정할 경우에는 2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다. 반면, 단말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출력하게 결정한 경우에는 2231단계로 진행하여 'PresentationType'을 "1"로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이 제공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104a)는 224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내의 'PresentationType'을 "2"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220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사용용도가 단말용이라면,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225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1"로 설정한다.
2252단계에서 단말용 통지 메시지는 상기 통지 메시지 구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ESG의 갱신, 전송 또는 서비스 및 컨텐츠의 전송 등을 알리는 메시지로 활용되며 해당 통지 메시지에 대한 세션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용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해당 세션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세션 정보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의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가 상기 세션 정보를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로 전송함으로써,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세션 정보를 확인한 후 관련 정보를 상기 통지 메시지에 설정한다. 상기 세션 정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3>의 'SessionInformation' 에 기재되어 있다.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용 또는 단말용 통지 메시지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2260단계로 진행하여 통지 메시지를 최종적인 포맷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2270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구조 및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전체 스키마는 하기의 <표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전체 스키마를 예시하며,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비해 통지 메시지의 버전을 나타내는 'NotificationVersion'이 더 추가되었다. 'NotificationVersion'은 제5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id'나 'NotificationType', 'Validity' 등과 같이 통지 메시지의 사용목적에 상관없이 사용되는 기본 속성 값이다. 하기 <표 7>에서는 'NotificationVersion'만을 예시하였으며 <표 7>에서 기재하지 않은 나머지 요소 값들과 속성 값들은 앞서 설명한 제5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따로 기재하지 않았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널리티 설명
NotificationVersion A M 1 통지 메시지의 버전정보
상기 <표 7>의 'NotificaionVersion'은 통지 메시지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통지 메시지의 버전 번호를 상기 통지 메시지에 삽입한 이유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필요에 따라 반복 전송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통지 메시지가 송신 중에 손실되거나 어떠한 서비스에 대하여 통지 보낸 것에 대하여 업데이트된 버전이 통지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 유효하다.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반복하여 전송할 경우 단말은 수신한 상기 통지 메시지가 신규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7>의 'NotificationVersion'이라는 속성을 통지 메시지의 요소 값인 'Notification'의 프래그먼트 속성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NotificationVersion'과 'id'를 같이 사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버전 정보 및 재전송 여부를 확인한다. 즉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반복하여 송신한 통지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할 경우 단말은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신규성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NotificationVersion'으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들끼리 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표준인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사용한 타임 스탬프(Time stamp) 또는 정수형 버전 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형식도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는 반복 송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NotificationVersion'의 타임 스탬프 혹은 정수형 버전 번호를, 최초 통지 메시지가 생성될 때 정의된 값으로 유지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지 메시지에 대한 속성 값 및 요소 값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2301단계에서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는다. 23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포맷에 따라 해당 메시지를 해석한다. 만일 상기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내부에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내부에 XML 파싱기를 구비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게 된다.
2303단계에서는 단말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이미 수신된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303단계에서 단말은 기존에 수신한 통지 메시지와 상기 새로 수신한 통지 메시지의 'Id'와 'NotificationVersion'을 비교한다. 상기 2303단계에서 상기 새로 수신된 메시지가 이미 수신된 통지 메시지와 동일할 경우, 230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새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폐기시킨 후 종료하며, 새로 수신된 메시지일 경우에는 2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30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만일 'NotificationType'이 "0"인 경우 사용자용이므로 2310단계로 진행하며,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 단말용이므로 233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NotificationType'이 "2"인 경우 또는 그 외의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메시지이므로 232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NotificationType'이 "2"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통지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
23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메시지임을 판단하였기 때문에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벤트 통지, 시스템 장애 또는 점검 공지,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 재난 재해 방송 메시지, 과금 관련 공지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제공이 가능하다.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그에 따라 설정된 우선권에 따라 우선권이 높은 통지 메시지일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resentationType'은 서비스 공급자의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다.
231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231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제공해야 할 메시지임을 나타내고, 'PresentationType'이 "1"일 경우라면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PresentationTyp'e'이 "2"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시켜서 보여줄 것을 나타낸다.
상기 23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보여주어야 할 메시지임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23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31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2314단계에서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23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31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추후에 사용자는 적절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3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3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서 정의된 화면 구성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31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2316단계에서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2304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에는, 233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임으로 판단하고, 23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33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세션 정보 내용을 확인하여, 2332단계에서 상기 세션 정보의 내용을 근거로 해당 세션에 접속하고, 2333단계에서 상기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 지정된 내용을 수신하여 2334단계에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갱신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한 과정(2340)은 2331단계 내지 2334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의 설정 혹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24에서 설명하는 통지 메시지에 대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은 상기 <표 3> 내지 <표 7>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통지 메시지는 컨텐츠 제공업자, 서비스 공급자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요구에 의해서나, 휴대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통지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도 1에서 설명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에서 생성된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2401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변경, 장애, 서비스 가이드의 변경 및 전송, 컨텐츠의 전송, 광고 메시지, 긴급 상황에 대한 긴급 재난 메시지 등 통지 메시지 이벤트를 통지 이벤트 생성부(102a)로부터 수신한다.
2402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 이벤트를 기반으로 통지 메시지에 대한 기본 정보, 즉, 'id', 'NotificationVersion',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과 'Name', 'Description', 'ExtensionURL', 'MediaInformation'과 같은 요소 값들을 작성한다. 상기 기본 정보를 작성한 후 2403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인지 단말용인지를 구분하여 'NotificationType'를 설정한다.
상기 2403단계에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인 경우 2411단계로 진행하여 'Notific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다. 상기 2411단계에서 'Notific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24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 단말에 즉시 표기할지,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할지,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지에 대한 설정을 판단한다.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 2412단계에서 단말에 상기 통지 메시지의 표시방법을 판단한 후에, 단말이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즉시 표시하게 설정할 경우에는 2421단계로 진행하여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0"으로 설정한다. 반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출력하도록 결정한 경우에는 2431단계로 진행하여 'PresentationType'을 "1"로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이 제공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결정한 경우에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104a)는 244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내의 'PresentationType'을 "2"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240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사용용도가 단말용이라면,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245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1"로 설정한다. 2452단계에서 단말용 통지 메시지를 위해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03)의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로부터 제공된 세션 정보를 확인한 후 관련 정보를 상기 통지 메시지의 'SessionInformation'에 설정한다.
통지 메시지 생성부(103a)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용 또는 단말용 통지 메시지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2460단계로 진행하여 통지 메시지를 최종적인 포맷으로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2470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 분배/적응부(103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되게 된다.
하기 <표 8>는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 값 및 속성 값을 나타낸 표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통지 메시지 스키마 테이블이다.
이름 (Name) 형 (Type) 범주 (Category) 카디넬리티 (Cardinality) 설명 (Description) 데이터형 (DataType)
상기 <표 8>에서 이름(Name)은 해당 프래그먼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혹은 속성의 이름이며, 형(Type)은 해당 프래그먼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혹은 속성의 이름으로서 상기 이름이 요소 값(E)인지 혹은 속성값(A)인지의 여부를 알려주며, 요소 값은 E, E1, E2 등으로 구성된다. 범주(Category)는 해당 요소 값 또는 속성 값이 네트워크(N) 또는 단말(T)에서 필수 내용인지 옵션 내용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필수인 경우 M 값을 가지고, 옵션인 경우 "0" 값을 갖는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필수 내용은 "NM", 단말에서 필수 내용은 "TM", 네트워크에서 옵션 내용은 "NO" 그리고 단말에서 옵션 내용은 "TO"로 구분된다. 카디넬리티(Cardinality)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0", "0..1", "1", "0..n", "1..n" 등의 값을 갖는다. "0"은 옵션을 의미하며, "1"은 필수를 의미하며, "n"은 다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0..n"은 해당 요소 값이 n 개의 값을 가지거나 없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Description)은 해당 요소 또는 속성 값이 의미하는 바를 나타내고, 데이터 타입(DataType)은 해당 요소 값 또는 속성 값에 대한 데이터 형태 즉 작성된 프로그램 언어의 타입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XML 등이 될 수 있다.
하기 <표 9>는 통지 메시지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7 실시예에서 나타난 통지 메시지는 제5 실시예에 대해 범주 내용을, 상기 <표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및 단말에서 필수 혹은 옵션 여부로 표기한 점, 요소값 중 'Name'을 'Title'로 변경한 점, ESG의 업데이트에 활용하기 위해 'BootstrappingDescriptor', 'Fragment'를 추가한 점에서 차이를 가지며, 사용자 및 단말 목적으로 사용되던 'NotificationType'이 용도 혹은 통지 메시지의 이벤트 별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또한, ESG에 대한 업데이트를 알릴 목적으로 공지 채널(Announcement Channel)의 인덱스 리스트(Index List)에 업데이트를 알리는 버전 정보를 삽입하거나 혹은 업데이트된 프래그먼트 자체를 보낼 수 있다. 단말은 공지 캐러셀(Announcement Carousel)에 대한 아이디 및 버전 및 세션 정보를 통해 해당 세션에 접속하여, 인덱스 리스트로 통지된 아이디와 일치하는 최신 버전의 정보를 찾아 서비스 가이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하기 <표 9>의 통지 메시지는 'ID', 'NotificationVersion', 'NotificationType', 'Validity'와 같은 속성 값들 및 'Title', 'Description',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등의 요소 값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 'SessionInformation', 'MediaInformation', '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또는 'Fragment'가 추가된다. 하기 <표 9a> 내지 하기 <표 9d>은 <표 9>을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9>에서 도시하지 않은 나머지 요소와 속성값들의 기재 및 설명은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널리티 설명 데이터형
BootstrappingDescriptor E1 NO/TM 0..N 전자서비스가이드의 부트스트래핑 디스크립터정보 속성값 : Id Version 요소값 : DescriptorEntry
Id A NM/TM 1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의 식별자 anyURI
Version A NM/TM 1 버전정보 unsignedInt
DescriptorEntry E2 NM/TM 1..N 디스크립터의 엔트리 요소값: GroupingCriteria AlternativeAccessURL ServiceGuideDeliveryUnit
GroupingCriteria E3 NO/TM 0..1 ServiceGuide내의 Grouping Criteria 요소값 : TimeGroupingCriteria GenreGroupingCriteria ServiceProviderCriteria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3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4
Figure 112006068873822-PAT00015
하기 <표 10a>와 <표 10b>은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제8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8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를 살펴보면, 단말에서는 'NotificationType'을 통해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인지 혹은 단말용인지를 결정한 후, 상기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이 나타내는 사용목적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통지 메시지는 'FilteringValue'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혹은 특정 세션에 존재하는 컨텐츠를 'FilteringValue'에 따라 해당 값과 일치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다른 컨텐츠를 볼 수 있다.
제8 실시예에서 통지 메시지의 일반 필드(Generic Field)는 'ID', 'NotificatioinVersion', 'NotificationType', 'EventType', 'PresentationType', 'Validity' 등의 속성 값들과, 'Title', 'Description', 'ExtensionURL' 등의 요소 값들로 구성된다. 'FilteringValue', 'SessionInformation', 'MediaInformation', 'ServiceGuideDeliveryDescriptior', 'Fragment'는 'EventType'에 따라 일반 필드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즉, 제8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들에 비해 속성 값으로 'EventType', 요소값으로 'FilteringValue'이 추가되었다. 하기 <표 10>은 제8 실시예에서의 요소 값들 및 속성 값들을 도시한 것으로 하기 <표 10>에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요소 값들 및 속성 값들은 이전 실시예들, 즉 제5, 6, 7 실시예들을 따르게 되므로 여기에서는 기재하지 않았다. 하기 <표 10a> 내지 <표 10b>는 <표 10>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름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FilteringVlaue E2 NO/TO 0..N 필터링에 필요한 값 정의
FilteringType A NM/TM 1 필터링타입, 예)성별, 나이, 이름, 위치등..
이름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EventType A NM/TM 1 통지 메시지가 전달하는 이벤트의 종류
하기 <표 11>는 상기 제7 실시예의 'NotificationType'과 상기 제8 실시예의 'EventType'에서 사용되는 값들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EventType'에 따라 상기 제7 또는 제8 실시예의 통지 메시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서 'EventType'이 "1"인 경우 'Generic Field + MediaInformation'이 가능하다. 'EventType'이 "2"인 경우 'Filtering'을 통해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광고 혹은 컨텐츠를 보여주기 위해 'Generic Field + FilteringValue'로 구성하거나, 특정 세션에 광고 컨텐츠를 보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세션을 접속하여 광고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Generic Field + SessionInformation'으로 구성하거나, 'FilteringValue'를 통해 해당 세션 중 사용자에게 맞는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Generic Field + FileteringValue + SessionInformation'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EventType'이 "3"인 경우는 서비스 혹은 파일 전송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또한 해당 서비스나 파일이 전송될 세션을 함께 전송하기 위해 'Generic Field + SessionInformation'로 구성된다. 'EventType'이 "4"인 경우 서비스 가이드의 업데이트를 알려주기 위해 업데이트된 서비스 가이드가 존재하는 세션만 알려주기 위해 'Generic Field + Session Information'로 구성하거나, 해당 인덱스 리스트를 'Generic Field + Index List'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거나 변경된 프래그먼트 자체를 'Generic Field + Fragment'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지 세션(Announcement Session) 내에 여러 개의 인덱스 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GenericField+ Index List'의 아이디와 'version + SessionInformation'과 같이 구성하여 세션 내의 변경된 특정 인덱스 리스트를 단말에게 알려주어 상기 인덱스 리스트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EventType'이 "5"인 경우는 'Generic Field'만, 'EventType'이 "6"인 경우는 'Generic Field + MediaInformation'로 구성한다. 이 외에도 목적에 따라 다양한 'EventType'의 정의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 11>에서 개시하지 않았으나 'In advance download files', 'software download', 'general information'등의 'EventType'이 추가될 수 있다.
Event Type Name Description
1 Emergency notification To announce emergency messages to users.
2 Advertisement To signal advertisement insertion to terminals.
3 Service availability announcement To announce service availability to users.
4 Service Guide update To announce Service Guide updates to users.
5 Text message To announce text-based notifications to users.
6 Multimedia message To announce multimedia-based notification to users.
7 Service delivery problem To announce Service delivery problem to users.
하기 <표 12>는 상기 <표 11>을 보다 일반적인 통지메시지 구성의 예로 나타낸 것으로, 각 'EventType'별로 구성가능한 정보들을 함께 나타내었다. 편의상, <표 12>는 <표 12a> 및 <표 12b>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12>는 상기 <표 11>을 보다 일반적인 통지메시지 구성의 예로 나타낸 것으로, 각 'EventType'별로 구성가능한 정보들을 함께 나타내었다. 편의상, <표 12>는 <표 12a> 및 <표 12b>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하기 <표 12>에서 서술한 'EventType'은 'Emergency', 'ESG download/update', 'Event Trigger', 'File download/update', 'informative' 등이다. 이 중 'Event Trigger' 이벤트 타입은 단말이 통지메시지를 받고 ESG 업데이트나 파일 다운로드가 아닌 특정 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것인데, 단말 내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와 관련있는 동작으로, 일정 시간 내에 동작해야 하는 제약조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기 <표 12>의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은 각 서비스에 관련된 통지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의 서비스 식별정보를 나타내며 이는 본 발명의 과정 A(401)에서 서술한 포트번호가 되거나 제11 실시예에서 설명하게 될 'Service_id'가 모두 가능하다. 하기 <표 12>의 'use case' 중의 하나인 'Specific Service discontinuity'는 후술되는 제9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표 11>와 같이 'ESG download/update' 혹은 'informative' 메시지로 구별될 수 있다. 서비스 식별정보로 포트번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informative' 메시지로 간주되며, Service_id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ESG download/update'의 'event type'이 될 수 있다.
Event Type Use cases Required information Optional information
- High priority message within specific area Cell_id, priority  
- Message within specific area Cell_id  
Emergency Emergency message MediaInformation(text, image, videoURL), PresentationType SDP, ExtensionURL
ESG download/update ESG update available ESGBootstrapDescriptor, ESGfragment  
ESG download/update Global service discontinuity MediaInformation(text, image, videoURL),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ESGBootstrapDescriptor, ESGfragment
ESG download/update New service availability MediaInformation(text, image, videoURL), PresentationType, ESGBootstrapDescriptor, ESGfragment  
ESG download/update or Informative Specific service discontinuity Service_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Event Type Use cases Required information Optional information
Event Trigger Critical Software update material Server URL, priority, time window Description for the user
Event Trigger FLUTE update FLUTE session information, transport object  
Event Trigger Message related to current service MediaInformation(text, image, videoURL), PresentationType, time window ExtensionURL
Event Trigger Message related to current service(with timing requirements) Service_identification information, time window, priority,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Event Trigger Software update available (periodical installation) Server URL, time window Description for the user
Event Trigger Urgent action to perform SP defined field, time window, priority SP defined field
Event Trigger Urgent action to perform related to the service Service delivery configuration, time window, priority, SP defined field ESG bootstrap session, ESG fragment, SP defined field
File download/update In advance download of material Server URL, time window, Ser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ve Informative message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Informative Informative message with high priority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priority ExtensionURL
informative Service scheduled for shut-down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ExtensionURL
informative Subscribed service is about to start MediaInformation(text, image, audio, videoURL), PresentationType  
또한 상기와 같이 포트번호가 아니라 Service_i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가능하다. <표 12>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ESG download/update'의 이벤트 타입인 경우, Service_id를 통지 메시지 내에 사용하여 해당 ESG 갱신이 특정 서비스에 관련된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Service_id가 미리 서로 약속된 특정값, 예를 들어 "0x00"인 경우에는 어느 특정 서비스에 관련되지 않고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통지메시지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든 통지메시지의 내용이 ESG를 통해 전송되고, 통지메시지로 인하여 ESG가 갱신되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한 ESG 갱신 통지메시지에서 이러한 Service_id를 이용하면, 단말은 자신이 관련되어 있지 않은 서비스들의 통지메시지 내용이 들어간 ESG를 받지 않아도 된다.
또한 <표 12>의 'ESG download/update'의 이벤트 타입에 관련된 실시예로서, 독립적인 이벤트 타입으로 앞서 설명한 'Service discontinuity'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독립적인 이벤트 타입으로 후술되는 제9 실시예에서 정의한 정보들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Service discontinuity'가 사용자들에게 보여지는 정보임을 고려하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일정시간 동안 특정 또는 전체 서비스가 중단된다는 메시지를 본 발명의 'MediaInformation'를 이용하여 알리고, 특정 또는 전체 서비스가 일정시간 중단됨에 따라 발생하는 ESG의 갱신을 반영하는 'ESG download/update'의 이벤트 타입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단일의 통지메시지에서 'MediaInformation'는 서비스의 중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정보와 관련된 ESG 갱신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ESG 갱신 정보는 'ESG download/update'의 이벤트 타입을 사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광고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즉, 'EventType'이 "2"인 광고용 통지 메시지가 'FilteringValue'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FilteringValue'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컨텐츠 혹은 유사한 데이터나 컨텐츠를 단말의 화면에 보여지는 과정을 도시한다. 여기서 방송 서비스 관리부(SM)(2501)는 DVB-CBMS에서 분배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엔터티이며, 통지 전송 분배부(Notification Transport Delivery: NTD)(2502)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2501)내에서 통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지 함수의 컴포넌트이다.
상기 도 25를 참조하면, NTD(2502)는 'EventType'이 광고(Advertisement)이고 'FilteringType'이 장르(Genre)이며 'FilteringValue'가 스포츠(Sports)인 통지 메시지(2503)를, 방송 서비스 관리부(2501)와 단말(2511)사이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511)의 통지 클라이언트(NTC)(2504)로 전달한다.
NTC(2504)는 상기 통지 메시지(2503)를 확인하고 단말(2511)내의 적합한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리부(2505)내의 참조번호 2506 내지 2509와 같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스포츠 장르의 컨텐츠를 검색해 낸다. 본 예에서는 상기 'FilteringValue'와 매칭되는 되는 광고 컨텐츠는 컨텐츠[ID:1](2506)이므로, 상기 컨텐츠(2506)는 메모리부(2505)와 표시부(2551) 사이의 인터페이스(2540)를 통해 표시부(2510)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통지 메시지 내의 'Validity'이 "2006.01.01 10:00AM"이므로, 상기 컨텐츠(2506)는 2006.01.01의 10시에 자동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8 실시예에서 설명한 'FilteringValue'와 'FilteringType'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주요 타입으로는 사용자 우선권(User Preference), 사용자 위치(User Location), 목표 그룹(Target Group),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사용자 인구 프로파일(User demographic profile), 일자(Time of day), 요일(day of week), 채널(channel)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각 타입은, 서비스 가이드의 컨텐츠 혹은 서비스와 관련한 프래그먼트를 설명하는 요소값 혹은 속성값 등의 내용과 동일한 목적 또는 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동일한 이름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컨텐츠 혹은 서비스와 관련한 프래그먼트에서 사용되는 요소값 및 속성값은 'Genre', 'ParentalRating', 'UserRating', 'TargetUserProfile', 'BroadcastArea' 등이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Title' 및 'Description'이 상기 'FilteringType' 및 'FilteringValue'와 동일한 목적 및 역할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FilteringType'과 'FilteringValue'는 미리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일부를 도시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의미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FilteringType'가 'User location'인 경우, 단말은 현재의 위치와 통지 메시지내의 'FilteringValue' 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공급자의 정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단말의 위치는 DVB-H 네트워크를 가정하는 경우, DVB-H의 cell_id 등으로 나타내어진다.
하기 <표 13a>는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제5 실시예, 제6 실시예,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 추가될 수 있는 통지 메시지의 'Generic field'에 'Cell_id'가 더 추가된다. 제9 실시예는 전술한 특정 통지 메시지의 한 예로서, 네트워크에서 특정 지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포맷
Cell_id E2 O 0..N Cell_id in TPS bit for notification message of a specific area. integer
네트워크에서 특정 셀 내로만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셀의 'Cell_id'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다. DVB-H 신호의 TPS(Transmission Parameter Signaling) 신호는 셀 식별(Cell 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되는데, 단말은 상기 TPS 신호를 통해 현재 자신이 속한 셀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를 받아 'Cell_id'에 유효한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값을, 상기 TPS 신호로부터 획득한 자신이 속한 셀의 Cell_id와 비교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처리할 것인지, 무시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통지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서 다수 개의 'Cell_id'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9 실시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도 22의 2202단계 및 도 24의 2402단계에서, 'Cell_id'가 상기 <표 13a>와 같은 형태로 통지 메시지에 삽입된다.
상기 'Cell_id'는 전술한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하나의 요소로 정의되거나, 또는 제8 실시예에 따라 정의된 'FilteringType'과 'FilteringValue'의 한 종류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FilteringType'은 위치 또는 셀을 나타내고, 'FilteringValue'는 해당 Cell_id 값을 갖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한 가장 큰 특징은 지역정보를 통지 메시지에 실어 보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 제9 실시예는 하기 <표 13b>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역정보는, 단말의 GPS 신호에 의해 식별 가능한 보다 작은 지역, 즉 Cell_Id에 의해 식별되는 셀보다는 작은 지역을 표시한다. 하기 <표 13b>에서 'area'는 'Center_longitude', 'Center_latitude', 'radius', 'dim_acc'들을 포함한다. 'Center_longitude'는 통지 메시지의 타겟이 되는 영역의 중심위치에 대한 경도, 'Center_latitude'는 상기 중심위치에 대한 위도, 'radius'는 상기 중심위치로부터의 반경, 'dim_acc'는 미터(meter)로 표현한 정확도이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포맷
Area E2 O 0..1 a target area for this notification message. This element has the its sub-elements. Center_longitude Center_latitude radius hor_acc float
Center_longitude E3 M 1 the center longitude of the target area float
Center_latitude E3 M 1 the center latitude of the target area float
Radius E3 M 1 the radius of the target area float
dim_acc E3 M 1 the accuracy in meters float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지 메시지에 대한 속성 값 및 요소 값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여기에서는 지역정보로서 Cell_Id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도 26을 참조하면, 2601단계에서 단말은 도 4의 동작 B(420)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26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포맷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한다. 만일 상기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내부에 XML 파싱기를 구비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해석하게 된다.
2603단계에서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 내에 지역정보를 나타내는 'Cell_id'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Cell_i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Cell_id'의 값을 단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값과 비교한다. 상기 값들이 동일한 경우 2605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또는 단말의 현재 Cell_id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2604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이 현재 Cell_id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이후 동작은 각 네트워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60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만일, 'NotificationType'이 "0"인 경우 사용자용이므로 2610단계로 진행하며,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 단말용이므로 263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NotificationType'이 "2"인 경우 또는 그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메시지이므로 262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NotificationType'이 "2"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통지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
26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메시지임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벤트 통지, 시스템 장애 또는 점검 공지,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 재난 재해 방송 메시지, 과금 관련 공지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제공이 가능하다.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그에 따라 설정된 우선권에 따라 우선권이 높은 통지 메시지일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resentationType'은 서비스 공급자의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261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261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 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제공해야 할 메시지임을 나타내며, 'PresentationType'이 "1"일 경우라면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PresentationType'이 "2"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시켜서 보여줄 것을 나타낸다.
상기 26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보여주어야 할 메시지임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26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61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2614단계에서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2611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61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추후에 사용자는 적절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611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6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108)에서 정의된 화면 구성 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61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2616단계에서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2605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에는, 263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임으로 판단하고, 26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63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세션 정보 내용을 확인하여, 2632단계에서 상기 세션 정보의 내용을 근거로 해당 세션에 접속하고, 2633단계에서 상기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 지정된 내용을 수신하여 2634단계에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갱신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한 과정(2640)은 2631단계 내지 2634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의 설정 혹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의 다른 구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통지 메시지에 대한 속성 값 및 요소 값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상기 도 27을 참조하면, 2701단계에서 단말은 통지 메시지를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다. 27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포맷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한다. 만일 상기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내부에 XML 파싱기를 구비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하게 된다.
2703단계에서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이미 수신된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기존에 수신한 통지 메시지와 상기 수신한 통지 메시지 각각의 아이디('Id')와 통지 메시지 버전('NotificationVersion')을 비교한다. 상기 27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이미 수신된 통지 메시지와 동일할 경우 270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를 폐기시킨 후 종료하며, 새로 수신된 메시지일 경우에는 2704단계로 진행한다.
270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 내에 'Cell_id'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일 'Cell_id'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Cell_id'를 단말의 현재 Cell_id와 비교한다. 상기 값들이 동일한 경우 2705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또는 단말의 현재 Cell_id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2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이 Cell_id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이후 동작은 각 네트워크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706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만일 'NotificationType'이 "0"인 경우 사용자용이므로 2710단계로 진행하며,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 단말용이므로 273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NotificationType'이 "2"인 경우 또는 그 외의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메시지이므로 2720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공급자가 정의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NotificationType'이 "2" 이상인 경우는 서비스 공급자가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통지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
27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메시지이므로 상기 통지 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용으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용 통지 메시지를 활용하여 서비스 이벤트 통지, 시스템 장애 또는 점검 공지, 서비스 및 컨텐츠에 대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광고, 재난 재해 방송 메시지, 과금 관련 공지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제공이 가능하다.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그에 따라 설정된 우선권에 따라 우선권이 높은 통지 메시지일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resentationType'은 서비스 공급자의 사업 모델 및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하여 활용될 수 있다.
271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참조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271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제공해야 할 메시지임을 나타내며, 'PresentationType'이 "1"일 경우라면 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PresentationType'이 "2"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를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시켜서 보여줄 것을 나타낸다.
상기 27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사용자에게 긴급히 보여주어야 할 메시지임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27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71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2714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구성한다는 의미는 만일,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7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71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추후에 사용자는 적절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통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2711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7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화면 구성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71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2716단계에서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2704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이 "1"인 경우에는, 273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단말용임으로 판단하고, 27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73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세션 정보 내용을 확인하여, 2732단계에서 상기 세션 정보의 내용을 근거로 해당 세션에 접속하고, 2733단계에서 상기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 지정된 내용을 수신하여 2734단계에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갱신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한 과정(2740)은 2731단계 내지 2734단계를 포함하며, 단말의 설정 혹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4a>, <표 14b> 및 <표 14c>는 상기 <표 11>에서 정의한 'EventType' 중 'Service Delivery problem'의 경우에 대한 통지 메시지 구조의 두 가지 예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이다. 즉 'Service Delivery problem'의 경우에 하기 <표 14a> 내지 <표 14c>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포맷
ServiceDelivery E2 NO/TM 0..N 네트워크측에서 서비스전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 다음과 같은 Attribute를 가짐 - UsageType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 IP platform_ID - TS_ID - IP_Address - Service_ID - Time
UsageType A NO/TM 0..N 사용용도가 Network configuration인지, Service discontinuity를 통지하기 위함. 상기 UsageType은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확장가능하다. interger
IP platform_ID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IP platform의 ID unsigned byte
TS_ID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TS의 ID unsigned byte
IP_Address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IP Address unsigned byte
Service_ID E3 NO/TM 1 서비스 식별자로 ESG에서 할당된 값과 동일한 값 unsigned byte
Time E3 NO/TM 1 서비스전송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Event가 지속되는 시간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StartTime EndTime
StartTime E4 NO/TM 1 Event의 시작시간 integer as NTP time
EndTime E4 NO/TM 1 Event의 종료시간 integer as NTP time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포맷
ServiceDelivery E2 NO/TM 0..N 네트워크측에서 서비스전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 다음과 같은 Attribute를 가짐 - UsageType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 IP platform_ID - TS_ID - IP_Address - Service_ID - Time
UsageType A NO/TM 0..N 사용용도가 Network configuration인지, Service discontinuity를 통지하기 위함. 상기 UsageType은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확장가능하다. interger
IP platform_ID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IP platform의 ID unsigned byte
TS_ID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TS의 ID unsigned byte
IP_Address E3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IP Address unsigned byte
Service_ID E3 NO/TM 1 서비스 식별자로 ESG에서 할당된 값과 동일한 값 unsigned byte
Time E2 NO/TM 1 해당 Event가 지속되는 시간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 StartTime - EndTime
StartTime E3 NO/TM 1..N Event의 시작시간 integer as NTP time
EndTime E3 NO/TM 1..N Event의 종료시간 integer as NTP time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포맷
ServiceDelivery E2 NO/TM 0..N 네트워크측에서 서비스전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통지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 다음과 같은 Attribute를 가짐 - UsageType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 Before - After - Time
UsageType A NO/TM 0..N 사용용도가 Network configuration인지, Service discontinuity를 통지하기 위함. 상기 UsageType은 서비스제공자에 따라 확장가능하다. interger
Before E3 NO/TM 1 Network configuration이 바뀌기 전의 값들. 또는 UsageType이 service discontinuity일 경우에는 서비스가 잠시 중단될 service의 식별정보들이 됨 다음과 같은 element들을 가짐 - IP platform_ID - TS_ID - IP_Address - Service_ID
IP platform_ID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IP platform의 ID unsigned byte
TS_ID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TS의 ID unsigned byte
IP_Address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IP Address unsigned byte
Service_ID E4 NO/TM 1 서비스 식별자로 ESG 에서 할당된 값과 동일한 값 unsigned byte
Frequency E4 NO/TM 1 해당 서비스가 전송되는 주파수정보 unsigned byte
After E3 NO/TM 0..1 Network configuration이 바뀐 후의 값들. 또는 UsageType이 service discontinuity일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거나 모두 특정값이 삽입됨 다음과 같은 element들을 가짐 IP platform_ID TS_ID IP_Address Service_ID
IP platform_ID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IP platform의 ID unsigned byte
TS_ID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해당하는 TS의 ID unsigned byte
IP_Address E4 NO/TM 1 아래의 Service_ID가 가리키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IP Address unsigned byte
Service_ID E4 NO/TM 1 서비스 식별자로 ESG 에서 할당된 값과 동일한 값 unsigned byte
Frequency E4 NO/TM 1 해당 서비스가 전송되는 주파수정보 unsigned byte
Time E3 NO/TM 1 해당 Event가 지속되는 시간 다음과 같은 Element를 가짐 - StartTime - EndTime
StartTime E4 NO/TM 1..N Event의 시작시간 integer as NTP time
EndTime E4 NO/TM 1..N Event의 종료시간 integer as NTP time
상기 <표 14>은 특정 이벤트 타입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이벤트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Time'은 'Service Delivery problem'의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이벤트 타입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표 14b>의 경우 'Time'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ime'은, 해당 통지메시지를 특정시간동안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 14b>의 통지 메시지가 단말에게 특정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 'Time'은 상기 특정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간 값 등을 나타내며, 상기 동작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Time' 요소 값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표 14a> 또는 <표 14b>의 'ServiceDelivery'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는 일반 필드(Generic field)와 'ServiceDelivery'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은 특정 서비스가 특정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시간 동안 중단되거나, 상기 서비스의 전송에 있어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변경이 오는 경우의 통지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에 대하여, IP 플랫폼, TS(Transport Stream), 전송하는 IP 주소 등이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나 삭제, 일정시간 동안의 서비스 중단의 통지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14a>와 <표 14b>은 서비스 구성이 변경된 결과만을 전송하며, 단말이 수신한 정보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상기 <표 14c>는, 'Before'와 'After'를 사용하여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이 바뀌는 경우, 바뀌기 전과 후의 서비스 구성 정보들을 보여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 서비스전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서비스 전송에 있어서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EventType'에 따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2801단계에서 단말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2802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한다. 280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가 이미 수신한 것이라면 280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를 폐기한다. 2806단계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의 타입 또는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EventType'을 확인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가 'Service delivery Problem'로 인한 것인지를 체크하고, 만일 그러하면 28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가 'Service delivery Problem'이 아니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도면에서는 'EventType'이 'Service delivery Problem'인 경우에만 도시하고 다른 이벤트 타입인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상기 280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UsageType'을 확인하여 'Network configuration'인지, 'Service discontinuity'인지를 파악한다.
상기 'UsageType'가 'Network configuration'인 경우, 281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IP platform_ID', 'TS_ID', 'IP address', 'Service_id'를 확인한다. 상기 'IP platform_ID', 'TS_ID', 'IP address', 'Service_id' 등은 DVB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단계별 식별자들이다. 'IP platform'은 보통 서비스 공급자와 동일한 개념으로, 일정한 IP 플로우를 관장하는 조직을 나타내고, TS는 멀티플렉싱의 결과로 나오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즉 DVB 네트워크에서는 MPEG2 TS를 의미한다. 281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2810단계에서 확인한 값들과 해당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이 이미 가지고 있는 값들을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확인한다. 또는 통지 메시지의 구성에 따라 변경된 부분만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281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Time'을 확인하여 해당 변경이 발생하는 시점을 확인한다.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Time'은 'StartTime'과 'EndTime'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Network Configuration'의 'Usagetype'인 경우에는 'StartTime'이 변경이 적용되는 시점을 나타내며 'EndTime'은 통상적으로 '0'값으로 주어진다. 281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가 지시하는 변경된 내용에 따라 서비스 수신 파라미터 값들을 재설정한다. 상기 재설정된 서비스 수신 파라미터 값들은, 상기 'StartTime'이 지시하는 시점부터 방송 컨텐츠의 수신에 사용된다.
한편 2807단계에서 상기 'UsageType'가 'Service Discontinuity'인 경우, 282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IP platform_ID', 'TS_ID', 'IP address', 'Service_id'를 확인하여 어느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는지를 파악한다. 282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Time'을 확인하여 일시 중단이 발생하는 시간을 파악한다. 282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을 확인한다.
상기 2822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단말은 283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83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2832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84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Presentat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85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화면 구성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85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중단되는 서비스의 이름과 중단시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하기의 <표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필드들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필드들은 제5 내지 제10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5>에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요소 값들과 속성 값들은 제5 내지 제10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제11 실시예에서 추가되었거나 변경된 부분들만을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5a>와 <표 15b>는 <표 15>을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Notification Message E1 NM/TM 0..1 Notification 메시지 다음의 속성값과 요소값으로 구성된다. 속성값 : Service_id 요소값: Priority Description Mediainformation
Service_id A NO/TM 0..1 통지 메시지가 관련된 서비스의 식별자
priority E2 NM/TM 1 통지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필드
Description E2 NO/TM 0..N 통지 메시지의 설명 속성값 : Lang
Lang A NO/TM 0..1 언어
mediaInformation E2 NO/TM 0..1 통지 메시지에 들어가는 미디어정보 요소값 : Text Picture Video Audio
Text E3 NO/TM 0..N 텍스트정보 속성값 : Lang
Lang A NO/TM 0..1 언어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Picture E3 NO/TM 0..N 사진정보 속성값 : MIMEType PictureURI
MIMEType A NO/TM 0..1 MIME type
PictureURI A NO/TM 0..1 사진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
Video E3 NO/TM 0..N 사진정보 속성값: MIMEType VideoURI
MIMEType A NO/TM 0..1 MIME type
VideoURI A NO/TM 0..1 비디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
Audio E3 NO/TM 0..N 사진정보 속성값: MIMEType AudioURI
MIME Type A NO/TM 0..1 MIME Type
AudioURI A NO/TM 0..1 오디오의 위치를 나타내는 URI
상기 <표 15>의 'Service_id'는 특정 통지 메시지를 위하여 UDP 포트를 할당하지 않고, 통지 메시지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 해당 통지 메시지가 특정 서비스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UDP 포트를 할당하는 방법은 IP 패킷을 일일이 해독하지 않고도 특정 서비스와 관련있는 통지 메시지를 단말이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모든 서비스에 대한 UDP 포트를 할당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 15>과 같이 통지 메시지의 본문에 'Service_id'를 삽입하면, 모든 메시지를 해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UDP 포트를 각 서비스 별로 할당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Priority'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가지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요소 값으로서,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설정된다. 단말은 두 개 이상의 통지 메시지들을 동시에 받았을 때, 상기 통지 메시지들의 'Priority'를 참조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들을 처리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즉 제11 실시예에서는, 'PresentationType'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기존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단말용인 두 개 이상의 통지 메시지들이 동시에 수신된 경우에도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기존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Description'은 통지 메시지의 내용이 아니라 단말용 통지 메시지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옵션 값이며, 'MediaInformation'은 오디오와 비디오 형태뿐 아니라 텍스트 형태의 통지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옵션 값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2901단계에서 단말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2902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석한 후, 2903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가 이미 수신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통지 메시지가 중복 수신된 것이면 2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폐기하고, 그렇지 않으면 29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290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Service_id'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와 그 값을 확인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관련된 특정 서비스를 확인하고, 2908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을 확인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관련된 이벤트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확인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의 필드가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2909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iority'를 확인한 후, 2910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와 동시에 도착한 다른 통지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다른 통지 메시지가 있는 경우, 2911단계에서 단말은 두 통지 메시지들의 'Priority'를 비교하여 상기 2901단계에서 수신한 통지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지 판단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높지 않으면, 291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다른 통지 메시지를 먼저 처리한 후, 29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91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MediaInformation'으로부터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다. 이후 291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에 따라 2930단계 내지 295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91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0"이라면, 단말은 293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2931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2932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단말은 294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에 상기 통지 메시지를 저장하고, 2941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2942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PresentaionType'이 "2"일 경우, 단말은 295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를 통해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하기 위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화면 구성방식에 따라 재구성한다. 그리고, 2951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상기 현재 제공중인 컨텐츠와 오버레이하여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2960단계에서는 앞서 판단된 'NotificationType'과 'EventType'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구성요소를 이용한 동작이 수행된다.
하기의 <표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NotificationType' 대신에 'EventType'을 사용하고 제7 실시예에 비해 ESG의 업데이트 관련 통지메시지 정보의 구성요소가 바뀐 실시예이다. 즉, ESG의 업데이트 관련 정보들은 제7 실시예의 정보형태로 전달되거나 제13 실시예의 정보형태로 전달가능하다. 또한 'ESGAccessDescriptor'의 각 요소값 및 속성값은 DVB-CBMS의 ESG 스펙(ETSI TS 102 471V1.1.1)을 따른 것으로 해당 스펙의 내용이 변경되면 <표 16>의 'ESGAccessDescriptor'의 값들도 달라지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ESG 관련한 사항이 달라지는 것은 크게 두 가지가 가능하다. 하나는 ESG 전송에 관련된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ESG 프래그먼트의 내용이 바뀌는 것이다. <표 16>의 'ESGAccessDescriptor'를 이용하여 단말은 각 ESG 엔트리의 공고(Announcement) 세션에 접속하게 되므로 단말은 공고 세션의 변경 혹은 공고 세션내의 ESG 초기화 컨테이너의 내용의 변경 혹은 ESG 초기화 컨테이너의 파티션 선고(Partition Declaration) 정보를 이용하여 ESG의 다중 전송 세션의 변경, 인덱스 리스트와 인덱스 구조(Index Structure)를 이용하여 어느 컨테이너가 업데이트되었는지 하는 사실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ESGAccessDescriptor'를 이용하여 ESG 전송에 관련된 변경 및 ESG 프래그먼트 내용에 대한 변경까지 모두 알 수 있다.
<표 16>의 'ESGFragment'는 통지메시지 내에 업데이트된 ESG 프래그먼트를 직접 전송하는 것으로, 단말이 다시 ESG 전송 세션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ESGFragment'의 요소값은 업데이트된 ESG 프래그먼트의 식별을 위하여 IP 버전, 해당 ESG 프래그먼트가 전송되는 IP 주소, 포트번호, 업데이트된 TOI(Transport Object Identifier: FLUTE 프로토콜에서 각 전송개체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TOI를 버전정보와 컨테이너 식별자값으로 구성함으로써 갱신정보가 포함된다) 값 등이 같이 전송될 수 있으며 만일 통지메시지의 길이에 제약이 있는 경우, ESG 프래그먼트 자체를 제외한 그 외의 식별정보만이 전송되어 단말이 해당 세션에 곧바로 접속하여 해당 프래그먼트 만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기의 <표 16a> 및 <표 16b>는 <표 16>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Notification Message E1 NM/TM 0..1 Notification 메시지 다음의 속성값과 요소값으로 구성된다. 속성값 : - Id - Validity - Version - EventType 요소값: - ESGAccessDescriptor - ESGFragment
id A NM/TM 1 통지메시지의 식별자
Validity A NM/TM 1 통지메시지의 유효기간
Version A NM/TM 1..N 통지메세지의 버전정보
EventType A NM/TM 1 통지메시지의 이벤트 타입
ESGAccessDescriptor E2 NO/TM 0..1 통지메시지의 ESG 갱신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요소값: - N_o_ESGEntries - ESGEntry
N_o_ESGEntries E3 NO/TM 0..1 각 ESG의 억세스정보를 담고 있는 엔트리의 개수
ESGEntry E3 NO/TM 0..N 각 ESG의 억세스정보 요소값: - ESGEntryVersion - ESGEntryLength - MultipleStreamTransport - IPversion6 - ProviderID - SourceIPAddress - DestinationIPAddress - Port - TSI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ESGEntryVersion E4 NO/TM 0..1 ESGEntry의 버전정보
ESGEntryLength E4 NO/TM 0..1 ESGEntryVersion과 ESGEntryLenth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의 크기
MultipleStreamTransport E4 NO/TM 0..1 각 ESG가 다수개의 스트림으로 전송되는지 단일의 스트림으로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
IPversion6 E4 NO/TM 0..N IP 주소가 IP ver 6을 따르는지에 대한 정보
ProviderID E4 NO/TM 0..1 ESG제공자 식별자
SourceIPAddress E4 NO/TM 0..1 각 ESG의 소스어드레스
DestinationIPAddress E4 NO/TM 0..1 각 ESG의 목적지 주소
Port E4 NO/TM 0..1 ESG가 전송되는 FLUTE 세션의 포트 번호
TSI E4 NO/TM 0..1 ESG가 전송되는 FLUTE 세션의 전송세션식별자(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
ESGFragment E2 NO/TM 0..N 업데이트된 ESG fragment 속성값: - IPVersion6 - IPAddress - Port - TOI 요소값: - Fragment
IPVersion6 A NO/TM 0..1 IP 주소가 IP ver 6을 따르는지에 대한 정보
IPAddress A NO/TM 0..1 업데이트된 ESG 컨테이너가 전송되는 IP 주소
Port A NO/TM 0..1 업데이트된 ESG 컨테이너가 전송되는 포트 번호
TOI A NO/TM 0..1 업데이트된 ESG 컨테이너의 TOI값으로, 업데이트 사항을 반영한 값
Fragment E3 NO/TM 0..1 실제 업데이트된 ESG fragment
다른 실시예로서, ESGFragment를 보다 일반적으로 확장하여 ESG뿐만 아니라 FLUTE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모든 파일형태의 정보의 전달 경로 및 정보자체의 변경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TOI 속성값이 보다 일반적인 FDT(file Delivery Table) 인스턴스로 대체할 수 있다. FDT 인스턴스는 FLUTE 세션에서 전송되는 파일개체들의 기본 정보들, 즉, 유효기간, 컨텐트 타입(content-type), 컨텐트 부호화(content-encoding), FEC 코드 정보 등이 전송되는 테이블이다. 즉, 하기 <표 17>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이름 타입 범주 카디넬리티 설명
TransportObject E2 NO/TM 0..N FLUTE 세션에서 업데이트된 TransportObject 속성값 IPVersion6 IPAddress Port TOI 요소값 TransportObject
IPVersion6 A NO/TM 0..1 IP 주소가 IP ver 6을 따르는지에 대한 정보
IPAddress A NO/TM 0..1 업데이트된 Transport Object가 전송되는 IP 주소
Port A NO/TM 0..1 업데이트된 Transport Object가 전송되는 포트 번호
TOI A NO/TM 0..1 업데이트된 Transport Object의 TOI값으로, 업데이트 사항을 반영한 값
Transport Object E3 NO/TM 0..1 실제 업데이트된 Transport Object
도 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수신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3001단계에서 단말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3003단계에서 상기 통지메시지를 해석한 후 3006단계에서 상기 통지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다. 특정 서비스에 관련된 통지메시지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데, 이때 단말은 과정 A(401)의 실시예에서처럼 포트번호로 서비스를 구별하거나 제1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통지메시지에 직접 포함된 Service_id로 서비스들을 구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을 포함하여 서비스 식별 정보 확인이라고 도시하였다.
3010단계에서 단말은 통지메시지 버전정보를 확인하고, 3013단계에서 통지메시지의 유효기간을 나타내는 'validity' 값을 확인하며, 3016단계에서 우선순위 값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302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 이외에 다른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만일 없으면 상기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 필드값을 확인하기 위해 303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다른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어 있으면, 3023단계에서 상기 3001단계에서 수신한 통지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더 높은지를 판단하여, 만일 더 높지 않으면 3030단계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통지 메시지가 처리되기를 기다린 후 303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3001단계에서 수신한 통지메시지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면 상기 3033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상기 303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 메시지의 'EventType'을 확인한다. 통지메시지는 'EventType'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3036단계에서 단말은 통지 메시지의 'Time Window' 값을 확인하여 단말이 통지메시지를 받은 후 어떠한 동작을 취해야 하는 경우의 'time window' 값을 체크하고, 3040단계에서 'MediaInformation' 필드가 존재하는지 및 그 내용을 확인하여 각 미디어별로 통지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다.
3043단계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 필드가 존재하는지 및 그 값을 확인하여, 각 타입에 따라 통지메시지를 렌더링(rendering)하는 방법 및 시간대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PresentationType'이 "0"인 경우, 단말은 304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를 중단하고, 3050단계에서 사용자를 위한 통지메시지를 구성하여, 3053단계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정보를 재생한다. 또한 'PresentationType'이 "1"인 경우, 단말은 3060단계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일단 저장하고, 3062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된 통지메시지를 렌더링하거나 'time window' 값에 따라 특정 시간에 렌더링한다. 마지막으로 'PresentationType'이 "2"인 경우, 단말은 3063단계에서 사용자를 위한 통지메시지를 구성하여, 3066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통지 메시지를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의 화면에 중첩하여 표시(override)한다.
한편 307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통지메시지에 세션정보의 존재여부 및 그 내용을 확인한다. 세션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307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세션정보가 지시하는 세션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3076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ESG 업데이트 혹은 FLUTE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한다. 308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ESG 등의 FLUTE 세션 전송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해당 FLUTE 전송세션에 접속하여 업데이트된 ESG 프래그먼트 및 파일 객체를 수신한다. 또는 ESG 프래그먼트나 FLUTE 세션의 다른 전송 객체(Transport object)가 상기 통지메시지에 포함된 경우,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 업데이트된 TOI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해당 파일 및 ESG 프래그먼트를 갱신한다. 그 외 3083단계에서 단말은 서비스 제공자가 정의한 통지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한 단말동작을 수행한다
IV. 장치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송 시스템 및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a)와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상기 도 1의 엔터티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단말(108)의 한 기능 블록으로 단말(108)과 동일하게 나타내도 무방하다.
상기 도 31을 참조하면, 통지 분배/적응부(103a)는 일반 통지 메시지를 하나의 단말이나 한 그룹의 단말들에 보내는 역할을 담당하며, UDP 패킷 생성부(3102)와 IP 패킷 생성부(3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DP 패킷 생성부(3102)는, 통지 이벤트부(102a)로부터 전달받은 통지 메시지 정보가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통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UDP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UDP 패킷을 상기 IP 패킷 생성부(3103)에 전송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 정보가 UDP 패킷 생성부(3102)로 바로 입력되는 것은, 다른 상위 계층의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실제 전송코자 하는 메시지 크기에 비하여 프로토콜 헤더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IP 패킷 생성부(3103)는 상기 UDP 패킷 생성부(3102)에서 전송된 UDP 패킷을, 상기 통지 메시지 정보에 관련된 현재 진행 중인 세션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IP 패킷으로 생성한다. 일반적으로는 UDP 포트 번호만을 가지고도 일반 통지 메시지를 패킷화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수면 중인 단말을 깨워서 일반 통지 메시지를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IP 세션이 필요하다. 이는 수면 중에 있다가 깬 단말은 진행 중인 세션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 IP 패킷 생성부(3103)는 현재 진행 중인 세션의 IP 주소에 대한 패킷뿐만 아니라, 미리 지정한 'NotificationAddress'의 IP 주소를 사용한 패킷도 함께 생성하게 된다.
상기 생성된 IP 패킷들은 DVB-H 방송 네트워크와 같은 방송 분배 시스템(BDS) 또는 연동 네트워크(3104)를 통하여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분배 시스템 또는 연동 네트워크(3104)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블록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상기 통지 분배/적응부(103a)로부터 전송된 IP 패킷들을 역캡슐화하여 통지 메시지를 획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지 클라이언트(108a)는 IP 패킷 해독부(3106), UDP 패킷 해독부(3107), 통지 메시지 해독부(3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IP 패킷 해독부(3106)는 상기 방송 분배 시스템 또는 연동 네트워크(3104)를 통하여 수신한 IP 패킷이, 현재 진행 중인 세션에 해당되거나 통지 메시지 수신 주소('NotificationAddress')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IP 패킷이 상기 'NotificationAddress'에 해당되는 IP 주소를 가지는 경우, 상기 IP 패킷 해독부(3106)는 상기 IP 주소의 IP 헤더를 역캡슐화하여 UDP 패킷을 획득한 후 상기 UDP 패킷 해독부(3107)에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IP 패킷이 'NotificationAddress'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IP 패킷 해독부(3106)는 상기 IP 패킷을 폐기 혹은 무시한다.
상기 UDP 해독부(3107)는 상기 IP 패킷 해독부(3106)로부터 전송된 UDP 패킷이 현재 진행중인 세션에 해당되는 패킷일 경우에만 상위 계층(즉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UDP 패킷이, 'NotificationPort'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통지 메시지 포트 번호를 갖고 있는 경우, UDP 패킷 해독부(3107)는 상기 UDP 패킷을 역캡슐화하여 통지 메시지를 획득한 후, 상기 통지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지 않고 통지 메시지 해독부(3108)로 전송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 해독부(3108)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독하고 그에 따라 향후 단말의 동작을 결정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휴대 방송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일 예로서, 앞서 언급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였다. 또한 방송 분배 시스템(BDS)의 예로서, DVB-H 방송 네트워크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32를 참조하면, 통지 분배/적응부(103b)는 통지 이벤트부(102a)로부터 통지 메시지 정보(3203)를 수신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 정보를 DVB-H 방송 네트워크(3204)의 PSI/SI 생성부(3205)로 전송한다. 상기 PSI/SI 생성부(3205)에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 정보(3203)와 다른 정보들을 함께 PSI/SI 신호로 만들어, 단말(108)의 통지 클라이언트(108a)에게 전송한다. 통지 클라이언트(108a)의 PSI/SI 수신부(3206)에서는 상기 PSI/SI 신호를 수신하고, PSI/SI 신호 해독부(3207)에서는 상기 PSI/SI 신호를 해독하여 통지 메시지를 추출한 후, 통지 메시지 해독부(3208)에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해독하고 실행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33을 참조하면, 수신부(3300)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으며, 상기 수신받은 통지 메시지를 메시지 해석부(3302)로 전송한다. 메시지 해석부(3302)는 상기 수신부(3300)를 통해 상기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 포맷에 따라 해석한다. 만일 상기 휴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바이너리 포맷으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메시지 해석부(3302)는 상기 바이너리 포맷으로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해석할 소정의 기능 블록(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다른 경우, 통지 메시지가 XM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메시지 해석부(3302)는 XML 파싱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해석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해석부(3302)는 상기 수신부(3300)를 통해 수신된 통지 메시지를 해석하여 속성 값들의 하나인 'NotificationType'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제어부(3304)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NotificationType'이 "0"인 경우 사용자용(UserUse)을 의미하므로, 상기 내용을 제어부(3304)로 전송한다. 제어부(330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상기 메시지 해석부(3302)에서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NotificationType'이 "0"이라면, 제어부(3304)는 표시부(3306)를 통해 상기 통지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통지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반면에, 'NotificationType'이 "1"이라면, 제어부(3304)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서비스 가이드 및 업데이트 공지 등에 관한 것임을 인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304)는 변경되거나 업데이트된 세션 정보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세션 접속부(3308)를 통해 상기 통지 메시지가 지시하는 해당 세션에 접속하고, 상기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의 지정된 내용을 수신받아 메모리부(3310)에 저장한다. 여기서 해당 세션에 접속한다는 것은, 상기 통지 메시지에 명시된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330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지 메시지의 버전이 이전에 수신된 통지 메시지와 동일할 경우 상기 통지 메시지를 폐기하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 즉 상기 통지 메시지가 신규한 경우에만 상기 통지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 3>의 'id'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NotificationVersion'을 통해, 제어부(3304)는 상기 통지 메시지의 신규 여부를 판별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과정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과정은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어부(3304)는 메시지 해석부(3302)로부터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1"이라면, 상기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메모리부(3310)에 저장하여 추후에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세션 접속부(3308)는, 메시지 해석부(3302)에 의해 해석된 통지 메시지의 'NotificationType'이 "1"이라면, 제어부(3304)에 제어에 의해 상기 통지 메시지의 세션 정보에 따른 해당 세션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된 세션을 통해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 등의 지정된 내용을 수신받는다. 메모리부(3310)는 상기 세션 접속부(3308)를 통해 수신받은 상기 서비스 가이드, 파일, 오브젝트등을 저장하며, 'PresentationType'이 "1" 인 통지 메시지를 저장한다.
표시부(3306)는 일반적으로 제어부(3304)의 제어에 의해 텍스트 및 사진, 동영상 및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PresentationType'이 "0"이면, 제어부(3304)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하고 있는 컨텐츠를 중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한다. 반면, 통지 메시지의 'PresentationType'이 "2"일 경우, 표시부(3306)는 제어부(3304)의 제어에 의해,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통지 메시지의 내용을 오버레이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 또는 ESG내의 프래그먼트 또는 PSI/SI 신호 등을 통해, 통지 메시지 전송을 위한 IP 주소 및 UDP 포트 등의 채널 정보를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패킷들에 대한 모든 헤더를 해독할 필요가 없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 중이거나 다른 시스템에 연동하고 있는 단말들에에게도 통지 메시 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DP 패킷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에 적합한 방식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DVB-H의 고유한 제어 신호인 PSI/SI 신호에 통지 메시지를 실어 보냄으로써 보다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DVB-CBMS 네트워크에서 각 통지 이벤트 타입에 맞는 적절한 통지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단말이 미리 스케쥴되지 않은 갑작스런 이벤트나 공지사항을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받을 수 있는 통지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Claims (14)

  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채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통지 메시지 전송시 사용될 통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와, 통지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 포트 혹은 통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할 통지 메시지와 상기 통지 포트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패킷과 현재 진행 중인 방송 세션의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 및 상기 통지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IP 패킷을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수신 IP 패킷 중 현재 진행중인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 또는 상기 통지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을 확인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IP 패킷이 상기 통지 포트가 포함된 패킷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을 해독하여 통지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휴대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네트 워크의 제어신호 채널인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의 통지 채널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할 통지 정보를 DVB-H 네트워크의 PSI/SI 생성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SI/SI 생성기에서 상기 통지 정보를 PSI/SI 신호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PSI/SI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이 수신한 PSI/SI 신호 중 상기 통지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SI/SI 신호를 해독하여 통지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의 전송 방법.
  9. 휴대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통지 메시지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근거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통지 분배/적응부와,
    상기 생성된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BDS)과,
    연동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대한 채널 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통지 메시지 전송시 사용될 통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와, 통지 사용자 데이터 그램 프로토콜(UDP) 포트 혹은 통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적응/분배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할 통지 메시지에 상기 통지 포트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패킷에 현재 진행중인 방송 세션의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을 생 성하는 IP 패킷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 IP 패킷 중 현재 진행 중인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 또는 상기 통지 IP 주소가 포함된 패킷인지 확인하는 IP 패킷 해독부와,
    상기 수신된 IP 패킷 중 상기 통지 포트가 포함된 패킷인지 확인하는 패킷 해독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이 상기 통지 포토가 포함된 패킷인 경우 상기 패킷을 해독하여 통지 메시지를 확인하는 통지 메시지 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적응/분배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할 통지 정보들을 DVB-H 네트워크의 PSI/SI 생성기로 보내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수신 PSI/SI 시그널링 정보에 통지 메시지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통 지 메시지 확인부와,
    상기 PSI/SI 시그널링 정보에 상기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통지 채널 확인부와,
    상기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채널 정보를 해독하여 통지 메시지 또는 통지 채널을 확인하는 통지 메시지 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
KR1020060092506A 2006-02-01 2006-09-22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KR20070108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0554 WO2007089108A1 (en) 2006-02-01 2007-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EP07002210A EP1816766A3 (en) 2006-02-01 2007-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20070010640A KR100819259B1 (ko) 2006-02-01 2007-02-0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701,245 US20070207727A1 (en) 2006-02-01 2007-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9870 2006-02-01
KR1020060009870 2006-02-01
KR20060017456 2006-02-22
KR1020060017456 2006-02-22
KR20060033008 2006-04-11
KR1020060033008 2006-04-11
KR1020060052225 2006-06-09
KR20060052225 2006-06-09
KR1020060061114 2006-06-30
KR20060061114 2006-06-30
KR1020060077359 2006-08-16
KR1020060077359A KR20070108309A (ko) 2006-02-01 2006-08-16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323A true KR20070108323A (ko) 2007-11-09

Family

ID=3906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506A KR20070108323A (ko) 2006-02-01 2006-09-22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83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259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09425B1 (ko)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AU2006280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broadcasting system
US83745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CN109964486B (zh) 广播标识符信令
KR20100084104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리치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RU237879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сообщения оповещения в системе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передачи
KR20070108309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CN101416486A (zh) 用于在移动广播系统中发送和接收通知消息的装置及方法
KR20070108323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RU2388154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ообщения извеще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го вещания
RU23808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сообщ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в системе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передачи, и система для этого
KR101205582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