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882A -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882A
KR20070107882A KR20060040419A KR20060040419A KR20070107882A KR 20070107882 A KR20070107882 A KR 20070107882A KR 20060040419 A KR20060040419 A KR 20060040419A KR 20060040419 A KR20060040419 A KR 20060040419A KR 20070107882 A KR20070107882 A KR 20070107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l
page
content providing
providing serv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652B1 (ko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4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5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확정적으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1 에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이 임시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로 인한 WAP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는 제 1 변경 URL이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1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는 제 2 변경 URL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인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이면, 상 기 제 2 변경 URL에 상응하는 메인 페이지인 특화 메인 페이지를 포함한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WAP 게이트웨이에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는 경우 리다이렉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WAP 게이트웨이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간 리다이렉션 수행시,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쿠키 정보를 요구하여 WAP 게이트웨이와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재접속이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 즉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했을 경우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아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도록 컨피그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을 수정했기 때문에,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는 경우 리다이렉션을 수행시 전체 리다이렉션 중 소수의 리다이렉션만 처리하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리다이렉션, HTTP 301 에러, HTTP 302 에러, WAP 게이트웨이, URL

Description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edirection Between Content Provide Server and WAP Gatewa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무선 접속망
122: 기지국 전송기 124: 기지국 제어기
130: PDSN 140: WAP 게이트웨이
150: 인터넷 160: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170: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
본 발명은 HTTP 301/302 에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 다. 더욱 상세하게는 HTTP 301/302 에러가 발생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와 WAP 게이트웨이 간의 리다이렉션(Redirection)을 수행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요청한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페이지 접속 URL에서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이 일치하면 WAP 게이트웨이에서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콘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콘텐츠 제공 서버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상이해도 WAP 게이트웨이에서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별도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AP 게이트웨이(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ateway)는 무선망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망에 속한 특정 서버(예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 이하 "콘텐츠 제공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왑 프로토콜 형식(무선망 데이터 통신 방식)의 요청 사항(Request, 예컨대 콘텐츠 제공 서버의 특정 페이지로의 접속 요청 등)을 웹 프로토콜 형식(유선망 데이터 통신 방식)의 요청 사항으로 변환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응답 사항(Reponse,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페이지 접속 요청에 대한 페이지 결과 등)을 왑 프로토콜 형식의 응답 사항으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의 메인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 한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가 저장되어 있고,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에는 메인 페이지를 지시하는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URL의 체계는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WAP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WAP 게이트웨이는 왑 프로토콜/웹 프로토콜 상호 변환 과정의 수행을 통해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콘텐츠 제공 서버는 페이지 접속 URL에 상응하는 해당 페이지 결과를 WAP 게이트웨이로 응답하고,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페이지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콘텐츠 제공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사항을 판별하여 그에 상응하는 결과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요청 사항에 대해 각각의 HTTP 상태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고 나서 응답 결과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메인 페이지 접속 요청 사항이 정당(예컨대 메인 페이지 존재 등)하면 HTTP 200 코드(Success)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하여 성공 사실을 통보함과 아울러 이 메인 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메인 페이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페이지 접 속 URL이 확정적으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HTTP 301 에러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함과 아울러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변경 URL로 재접속 요청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변경 URL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변경 URL로 재접속 요청을 하는 호처리 과정을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라 한다.
또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페이지 접속 URL이 임시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HTTP 302 에러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보함과 아울러 리다이렉션을 수행하기 위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는 변경 URL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HTTP 301 에러 또는 HTPP 302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콘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URL이 변경되었을 시)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리다이렉션을 수행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받게 된다.
한편, 유선망 구간, 즉 WAP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무선망보다는 빠르기 때문에 HTTP 301 에러 및 HTP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리다이렉션으로 인한 연결 시간이 지연되지 않으나 무선망 구간,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망(예 기지국 등)을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변경 URL을 응답받고 다시금 변경 URL을 무선망을 통하여 WAP 게이트웨이로 요청하는 연결 시간이 크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번호 10-2004-96256"인 선행 발명에서 유선망 구간인 WAP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에 리다이렉션을 수행하여 WAP 게이트웨이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신해서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재접속을 요청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가 재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리다이렉션으로 인해서 연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였지만 선행 발명의 실 적용시,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쿠키(Cookie) 정보(아이디 및 비밀번호 포함)를 요구하면 WAP 게이트웨이와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재접속이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하여 완료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보완할 기술에서 발생할 또 다른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한 기술을 추가하여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HTTP 301/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와 WAP 게이트웨이 간의 리다이렉션을 수행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요청한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페이지 접속 URL에서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이 일치하면 WAP 게이트웨이에서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콘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콘텐츠 제공 서버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상이해도 WAP 게이트웨이에서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별도의 콘텐츠 제 공 서버에 요청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확정적으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1 에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이 임시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로 인한 WAP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는 제 1 변경 URL이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1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는 제 2 변경 URL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인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이면, 상기 제 2 변경 URL에 상응하는 메인 페이지인 특화 메인 페이지를 포함한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1 에러 및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로 인한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인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메인 페이지의 하위 메뉴 페이지인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이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HTTP 301/302 에러)되면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을 포함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는 제 1 변경 URL이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WAP 게이트웨이 간의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망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및 상기 리다이렉션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지 않는 제 2 변경 URL일 경우,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상기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받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120), PDSN(Packet Data Serving Node)(130), WAP 게이트웨이(140), 인터넷(150),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메인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페이지는 NATE™, 매직엔™ 및 Ez-i™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를 의미한다. 또한,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에는 메인 페이지를 지시하는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가 메인 페이지 접속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WAP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메인 페이지를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가 포함한다고 규정한다. 즉,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HTTP 301 에러 및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메인 페이지를 지시하는 페이지 접속 URL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한다고 규정한다.
또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메인 페이지를 제외한 서브 페이지를 지시하는 페이지 접속 URL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서, 서브 페이지는 메인 페이지의 하위 메뉴 페이지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접속망(120)을 통해서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문자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 뒤 이동통신망으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기지국 제어기(124) 및 중계기(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WAP 게이트웨이(140) 간의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망을 제공한다.
PDSN(130)은 기지국 제어기(124)로부터 패킷 데이터 망을 통하여 수신한 패 킷 데이터를 WAP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하고, WAP 게이트웨이(140)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망을 통하여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 링크 계층을 종단시키고, 데이터 네트워크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라우팅한다. 이때,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심플(Simple) IP 호의 경우에는 IP 네트워크(인터넷)로 직접 연결하고, 모바일(Mobile) IP 호의 경우에는 GRE(Generic Routing Encapsulation) 터널을 통해 홈 에이전트(Home Agent)(미도시)로 연결한다.
WAP 게이트웨이(140)는 인터넷상의 텍스트 파일 데이터를 이진(Binary) 코드 구조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받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 또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로 전송한다. 역으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 또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로부터의 HTT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WAP 게이트웨이(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메인 페이지 또는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WAP 프로토콜의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WAP 프로토콜의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HTT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접속 요청을 한다.
이때,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로부터 해당 URL이 변경되었다는 메시지(HTTP 301 에러 코드 또는 HTTP 302 에러 코드) 및 변경 URL을 인터넷(150)을 통 해 통보받으면, 즉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받으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해당 URL이 변경되었다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달하지 않고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변경 URL로의 재접속 요청을 수행(리다이렉션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변경 URL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면 웹 페이지를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의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와의 리다이렉션 수행시,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있는 쿠키(Cookie) 정보(아이디 및 비밀번호 포함)를 요구하여 WAP 게이트웨이(140)와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와의 재접속이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전송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면 리다이렉션을 수행한다. 즉,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페이지 접속 URL 및 변경 URL의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이 일치하면 리다이렉션을 수행한다. 여기서부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는 변경 URL을 제 1 변경 URL이라 정의하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겠다.
또한, WAP 게이트웨이(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 즉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접속했을 경우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아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도록 컨피그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을 수정하여 초기 접속시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아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한다. 즉,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와 URL이 일치하지 않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를 포함한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로 리다이렉션을 수행한다. 여기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은 URL의 체계에서 서버 이름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있는 쿠키 정보를 요구하면,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와의 재접속이 실패한다.
여기서부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지 않는 변경 URL을 제 2 변경 URL이라 정의하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하겠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 페이지 접속 URL 및 변경 URL이 다르더라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도록 컨피그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을 수정한다는 것은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 중에서 페이지 접속 URL을 고정값으로 설정하고, 다수의 제 2 변경 URL을 변수로 설정하여 다수의 제 2 변경 URL 중에서 특정 제 2 변경 URL이 입력되면 페이지 접속 URL에서 특정 제 2 변경 URL로 리다이렉션하여 접속하게끔 하는 소스를 각각의 제 2 변경 URL의 수만큼 작성하여 컨피그레이션 파일에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지 접속 URL을 A라 하고, 제 2 변경 URL을 B, C, D라고 하면, B가 입력되면 A에서 B로 리다이렉션하여 접속하는 소스, C가 입력되면 A에서 C로 리다이렉션하여 접속하는 소스 및 D가 입력되면 A에서 D로 리다이렉션하여 접속하는 소스를 컨피그레이션 파일이 포함한다. WAP 게이트웨이(140)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 버(160)에서 수신한 제 2 변경 URL이 C이면, WAP 게이트웨이(140)의 컨피그레이션 파일에 포함된 C가 입력되면 A에서 C로 리다이렉션하여 접속하는 소스가 실행되어 A에서 C로 리다이렉션이 수행된다.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 및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 페이지 및 서브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는 WAP 게이트웨이(140)에서 수신한 페이지 접속 URL이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HTTP 301/302 에러)되면 변경 URL을 포함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WAP 게이트웨이(140)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는 제 2 변경 URL로 접속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 즉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했을 경우, 제 2 변경 URL이 포함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한 WAP 게이트웨이(140)에서의 리다이렉션을 통해 WAP 게이트웨이(140)와 접속되고, WAP 게이트웨이(140)를 통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제공하는 메인 페이지와 특성이 다른 메인 페이지인 특화 메인 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메인 페이지 또는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이를 수신하여 WAP 프로토콜의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HTTP 프로토 콜로 변환하여 인터넷(150)을 통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로 전송한다(S205, S210).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HTTP 301 에러 및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가 전송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한다(S215). 여기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는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을 포함한다.
WAP 게이트웨이(140)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20).
상기 단계 S220에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제 1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한다(S225). 여기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한다는 것은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페이지 접속 URL 및 변경 URL의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이 일치한다는 것이다.
제 1 변경 URL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재접속하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제 1 변경 URL에 상응하는 메인 페이지 또는 서브 페이지를 수신하고,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30). 여기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는 경우,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것은 WAP 게이트웨이(140)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 간 리다이렉션 수행시,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있는 쿠키(Cookie) 정보(아이디 및 비밀번호 포함)를 요구하여 WAP 게이트웨이(140)와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와의 재접속이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단계 S220에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으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 초기 접속한 것인지, 즉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인지 판단한다(S235). 여기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은 URL의 체계에서 서버 이름이 일치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초기 접속한 것이 아니면, 즉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하는 것이면 리다이렉션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종료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이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와 URL이 다른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에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한다(S240). 여기서,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있는 쿠키 정보를 요구하면,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와의 재접속이 실패한다.
제 2 변경 URL로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에 재접속하면, WAP 게이트웨이(140)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170)에서 제 2 변경 URL에 상응하는 특화 메인 페이지를 수신하고,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245). 여기서, 특화 메인 페이지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160)에서 제공하는 메인 페이지와 특성이 다른 메인 페이지를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WAP 게이트웨이에서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는 경우 리다이렉션을 수행하기 때문에, WAP 게이트웨이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간 리다이렉션 수행시,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쿠키 정보를 요구하여 WAP 게이트웨이와 변경 URL로 재접속을 요청한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재접속이 실패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초기 접속했을 경우, 즉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했을 경우에는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아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도록 컨피그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을 수정했기 때문에, 페이지 접속 URL과 변경 URL이 일치하는 경우 리다이렉션을 수행시 전체 리다이렉션 중 소수의 리다이렉션만 처리하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확정적으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1 에러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이 임시로 다른 URL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발생하는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로 인한 WAP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 페이지 변경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는 제 1 변경 URL이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1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이 일치하지 않는 제 2 변경 URL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인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접속한 것이면, 상기 제 2 변경 URL에 상응하는 메인 페이지인 특화 메인 페이지를 포함한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WAP 게이트웨이는 상기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가 포함한 상기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메인 페이지의 하위 메뉴 페이지인 서브 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페이지 접속 URL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상기 페이지 접속 URL 및 상기 변경 URL의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이 일치하면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 2 변경 URL은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의 서버 이름과 일치하지 않는 서버 이름을 가진 상기 변경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특화 메인 페이지는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가 포함한 상기 메인 페이지와 특성이 다른 메인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다음에
    (c1)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변경 URL에 상응하는 상기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서브 페이지를 수신 및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f) 상기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변경 URL에 상응하는 상기 특화 메인 페이지를 수신 및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8.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1 에러 및 HTTP 302 에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변경 사유로 인한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초기 메뉴 페이지인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메인 페이지의 하위 메뉴 페이지인 서브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페이지 접속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한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이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HTTP 301/302 에러)되면 확정적 또는 임시로 변경된 URL인 변경 URL을 포함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상기 페이지 접속 요청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상기 변경 URL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는 제 1 변경 URL이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WAP 게이트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WAP 게이트웨이 간의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망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무선 접속망으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및
    상기 리다이렉션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변경 URL이 상기 페이지 접속 URL과 일치하지 않는 제 2 변경 URL일 경우, 상기 WAP 게이트웨이에서의 상기 리다이렉션을 통해 상기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2 변경 URL로의 재접속을 요청받는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WAP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상기 페이지 접속 URL 및 상기 변경 URL의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이 일치하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WAP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가 포함한 상기 메인 페이지 또는 상기 서브 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하도록 하기 위 해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페이지 접속 URL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WAP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상기 메인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했을 경우에는 상기 변경 URL이 상기 제 2 변경 URL이라도 리다이렉션을 수행하도록 컨피그레이션 파일(Configuration File)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경 URL은 '프로토콜://서버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이름'으로 구성된 URL의 체계에서 상기 페이지 접속 URL의 서버 이름과 일치하지 않는 서버 이름을 가진 상기 변경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메인 페이지와 특성이 다른 메인 페이지인 특화 메인 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060040419A 2006-05-04 2006-05-04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8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419A KR100786652B1 (ko) 2006-05-04 2006-05-04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419A KR100786652B1 (ko) 2006-05-04 2006-05-04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882A true KR20070107882A (ko) 2007-11-08
KR100786652B1 KR100786652B1 (ko) 2007-12-21

Family

ID=3906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0419A KR100786652B1 (ko) 2006-05-04 2006-05-04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5011A1 (en) * 2007-11-13 2010-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age redirection method and wap gateway
KR101390348B1 (ko) * 2012-04-06 2014-04-30 (주)네오위즈게임즈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서버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14B1 (ko) * 2004-01-27 2006-04-04 (주)필링크 무선 프락시 서버를 이용한 리다이렉션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5011A1 (en) * 2007-11-13 2010-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Page redirection method and wap gateway
EP2205011A4 (en) * 2007-11-13 2011-02-16 Huawei Tech Co Ltd PAGE REVERSE PROCEDURE AND WAP GATEWAY
US8918476B2 (en) 2007-11-13 2014-1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age redirection and WAP gateway
KR101390348B1 (ko) * 2012-04-06 2014-04-30 (주)네오위즈게임즈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서버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652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146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device
JP4440779B2 (ja) Smsおよび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83590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vendor and intervendor messaging systems
JP3943467B2 (ja) 中継装置、情報送信装置、および情報送信方法
WO2008000912A1 (en) Controlling mobile messaging remotely
US7600011B1 (en) Use of a domain name server to direct web communications to an intermediation platform
US9065526B2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relay device control program
WO2008000303A1 (en) Peer to peer connection
WO2009067926A1 (fr) Méthode de redirection de pages et passerelle wap
CN102780711A (zh) 一种sns应用数据访问方法及其装置和系统
EP1251671A2 (en) A method of providing a proxy server based service to a communications device on a network
US20060143282A1 (en) Tailoring conten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network
EP193353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xy-based redirection of resource requests
KR100786652B1 (ko) 왑 게이트웨이와 콘텐츠 제공 서버 간의 리다이렉션을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892926B1 (en) Tailoring Conten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Network
US9251280B1 (en) Method for bookmark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 client device
US796566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ing service messages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s system using different message structures
EP1391099A2 (en) Request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52716B1 (ko) 복수의 이동단말기에서 동일 컨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KR1008147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완료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JP4467340B2 (ja) サーバ装置
CN102111396B (zh) 基于ims网络实现wap业务的系统和方法和设备
KR20060057179A (ko) 왑 게이트웨이에서의 http 301/302 에러 처리 방법
JP2005267015A (ja) サーバ装置
JP4290589B2 (ja) 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