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361A -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dium - Google Patents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6361A KR20070106361A KR1020060059512A KR20060059512A KR20070106361A KR 20070106361 A KR20070106361 A KR 20070106361A KR 1020060059512 A KR1020060059512 A KR 1020060059512A KR 20060059512 A KR20060059512 A KR 20060059512A KR 20070106361 A KR20070106361 A KR 200701063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recording
- recording medium
- near field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11B7/13927—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during transducing, e.g. to correct for variation of the spherical aberration due to disc tilt or irregularities in the cover layer thicknes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근접장을 이용한 근접장 광기록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optical pickup in a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apparatus using a general near fiel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광 픽업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렌즈부를 기록 매체와 함께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lens portion together with the recording medium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근접장 형성 렌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near field forming lens constituting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근접장 형성 렌즈의 두께(d) 변화에 따른 구면 수차의 변화를 도시한 상관 관계도이다.5 is a correlation diagram showing a change in spherical aber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ickness d of the near field forming lens.
도 6은 근접장 형성 렌즈와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의 구면 수차를 보상하는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unit including a near field forming lens and an objective lens that compensates for spherical aberration of the near field forming len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광 픽업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pickup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차 보상부를 구비한 기록 재생 장치의 일부 기록 매체와 함께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recording medium of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aberration compensating unit which constitu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기록 매체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9 is an enlarged partial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recording mediu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광원 20, 30: 분리 합성부10:
35: 수차 보상부 40: 렌즈부35: aberration compensation unit 40: lens unit
41: 대물 렌즈 42: 근접장 형성 렌즈41: objective lens 42: near field forming lens
50: 기록 매체 51: 기록층50: recording medium 51: recording layer
52: 보호층 53: 스페이서52: protective layer 53: spacer
60: 제1 수광부 70: 제2 수광부60: first light receiver 70: second light receiver
80: 신호 생성부 90: 제어부80: signal generator 90: controller
100: 광학계100: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장의 이용에 적합한 기록 재생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a near field and a recording medium used therein.
레이져 빔과 같은 광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과 같은 광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여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에 사용되는 정보 기록 매체는 고화질 동영상 처리의 요구와 동영상 압출 기술의 발달 등 대용량화에 따라 고밀도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광기록방식 또는 광 자기 기록 방식에서 야기되는 광학적, 물리적 한계에 의해 기록 용량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light such as a laser beam records data on or reproduces recorded data using an optical disk such as a compact disc (CD) or a digital versatile disc (DVD) as a recording medium. Th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ed for this is actively researched for high density according to the demand for high quality video processing and the development of video extrusion technology. However, due to the optical and physical limitations caused by the conventional optical recording method or magneto-optical recording method, the recording capacity has not reached a satisfactory level.
상기와 같은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밀도는 기록 매체의 기록층에 조사되는 광의 직경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집속된 광의 직경이 작을수록 기록 밀도는 높다. 이때, 집속된 광의 직경은 크게 두 가지 인자로 결정된다. 하나는 광의 집속시에 사용되는 렌즈의 성능인 유효개구수(Numeric Aperture, NA)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렌즈로 집속되는 광의 파장이다. In the abov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density may depend on the diameter of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focused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the higher the recording density.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ocused light is largely determined by two factors. One is the number of effective apertures (Numeric Aperture, NA), which is the performance of a lens used for focusing light, and the other is the wavelength of light focused to the lens.
상기 집속광은 파장이 짧을수록 기록 밀도가 증가하므로,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파장이 짧은 광이 이용된다. 즉, 적색광에 비하여 청색광을 이용하는 경우 기록 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광의 회절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광의 직경을 줄이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에 따라 광의 파장보다 작은 단위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읽을 수 있는 근접장 광학(Near Field Otics)에 의한 근접장 광기록(Near Field Recording,NFR)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ince the focused light increases the recording density as the wavelength is shorter, light having a shorter wavelength is used a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cording density. In other words, when blue light is used as compared with red light, the recording density can be further increased. However, when a general lens is used,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light because there is a diffraction limit of the light. Accordingly, a near field recording (NFR) device using near field optics capable of storing or reading information in units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has been developed.
도 1은 근접장 광기록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을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렌즈와 기록 매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장 광기록 장치의 렌즈 부분은 대물 렌즈(1)에 의해 집속된 광이 굴절률 높은 반구형 렌즈(2)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구형 렌즈(2)로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은 굴절률 높은 상기 반구형 렌즈(2)에서 빠져나가면서 전반사되며, 렌즈의 표면에서 미세한 세기의 광을 형성한다. 즉, 회절 한계 이하의 소산 파(Evanescent wave)를 형성한다. 상기 소산파는 하나의 렌즈를 이용하는 기록 장치에서 파장의 회절 한계 때문에 불가능했던 고분해능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반구형 렌즈(2)와 기록 매체(3)를 100nm 이내의 매우 근접한 간격으로 접근시켜 근접장(Near-fiel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소산파에 의한 고밀도의 비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소산파를 형성하는 영역을 근접장이라 하며, 근접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구형 렌즈(2)와 기록 매체(3)는 근접장의 형성하는 상기 100nm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의상 상기 근접장에 상응하여, 근접장을 벗어나 원래의 파장을 가지는 영역을 원격장(Far-field)이라 한다. 1 is a simplified diagram partially showing a lens and a recording medium for irradiating light onto a recording medium in one embodiment of a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device. As shown, the lens portion of th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ight focused by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제작상의 오차를 최소화하면서 기록 밀도를 높이는 상기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 적합한 렌즈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That is,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a lens suitable for the near fiel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increases the recording density while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error.
또한, 상기 근접장 광기록 장치는 파장이 매우 작은 소산파를 이용하므로 이에 적합한 기록 매체를 규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apparatus uses a dissipation wave having a very small wavelength, it is difficult to define a recording medium suitable for this.
또한, 상기 근접장 광기록 장치에 이용되는 기록 매체가 다수개의 기록층을 포함하거나 표면에 보호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광이 각 기록층에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recording medium used in th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or has a protective layer on the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light irradiated onto the recording medium to be accurately irradiated onto each recording layer.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 적합한 렌즈와 상기 렌즈를 구비 한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suitable for a near fiel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le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의 이용이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tective layer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n use th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와 상기 기록 매체의 이용이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n use the recording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근접장 형성 렌즈와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의 구면 수차를 보상하는 대물 렌즈를 포함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기록 매체에 조사된 후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반사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부와 상기 생성된 신호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ar field forming lens and an objective lens for compensating spherical aberration of the near field forming lens to record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for irradiating the medium,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after being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gener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eflected light,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generated signal. It features.
여기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는 높이가 구의 반지름 보다 크고 지름 보다 작은 구형 렌즈의 일부이며, 상기 대물 렌즈는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의 구면 수차와 서로 반대 방향의 동일한 크기의 구면 수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ear field forming lens may be a part of a spherical lens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a radius of a sphere and smaller than a diameter, and the objective lens may have spherical aberration of the same siz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pherical aberration of the near field forming lens.
그리고 상기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는 상기 기록 재생 장치에 이용되는 기록 매체의 보호층의 굴절률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는 유리(glass)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는 1.85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기록 매체의 보호층의 굴절률 보다 작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는 1.6 보다 크거나 같고 1.85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of the lens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used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when the near field forming lens is made of glass,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of the lens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1.85, which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More preferably,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of the lens por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6 and less than or equal to 1.85.
상기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렌즈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조사되는 초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수차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차 보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위치가 고정된 제1 렌즈와 이동 가능한 제2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berration compensating unit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rradiated from the lens unit to the recording medium. The aberration compensator may include a lens movable in at least one optical 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lens may include a fixed first lens and a second movable lens, and the second lens may be mov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to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근접장에서 이용하는 기록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과 상기 기록층을 외부와 차단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은 상기 기록 매체에 광을 조사하는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used in a near field, and includes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for blocking the recording layer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is effective for the lens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recording medium.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arger than the numerical aperture.
여기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에 구비되며, 두께가 10nm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층 사이 또는 상기 기록층과 상기 보호층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는 1㎛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페이서의 굴절률도 상기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과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의 합은 최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otective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medium and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 nm to 25 µm. The recording medium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between the recording layers or spaced apart from the record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spacer is preferably 1 µm to 25 µm,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pacer is also larger than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of the lens portion. In additio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spacer is preferably at most 25㎛.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us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광 픽업의 광학계(100)는 광원(10), 분리합성부(20,30), 렌즈부(40) 및 수광부(60,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pickup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The
광원(10)은 바람직하게는 직전성이 좋은 레이져 등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광원(10)은 구체적으로는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10)에서 방출되어 기록 매체에 조사될 광은 평행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상에 광의 경로를 평행하게 하는 콜리메이트와 같은 렌즈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분리합성부(20,30)는 동일한 방향에서 입사한 광의 경로를 분리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입사한 광의 경로를 합성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리합성부(20)와 제2 분리합성부(30)를 구비하므로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분리합성부(20)는 입사된 광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부분이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합성부(20)는 Non-polarized Beam Splitter, NBS이다). 그리고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는 편광 방향에 따라 특정 방향의 편광만을 통과시키는 부분이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는 Polarized Beam Splitter, PBS이다). 예를 들어 직선 편광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는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수평 방향의 편광 성분은 반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수평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수직 방향의 편광 성분은 반사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렌즈부(40)는 상기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을 기록 매체(50)에 조사하는 부분이다. 상기 렌즈부(40)는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렌즈(41)와 상기 대물 렌즈(41)를 통과한 광이 기록 매체로 입사하는 경로 상에 마련된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포함한다. 즉, 대물 렌즈(41) 이외에 굴절률이 높은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렌즈부(40)의 개구수를 높이고 이를 통해 소산파를 형성한다. The
여기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합침 렌즈(Solid Immersion Lens, SIL)이다. 여기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는 구형의 렌즈를 절삭하여 형성되며, 형성된 렌즈의 높이는 상기 구형 렌즈의 반지름 보다 크고 지름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 the near
도 4는 구형의 렌즈의 일단을 절삭하여 형성된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예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절삭하여 형성된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두께(d)에 따른 구면 수차를 도시한다. 4 shows an example of a near
구형의 렌즈의 일단을 절삭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께(d)를 가지는 다양한 크기의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두께에 따른 구면 수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도 4의 (a),(b),(c)에서 도시하는 각 경우에 있어서 구면 수차를 d1,d2,d3 지점에서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두께가 d1 또는 d3일 때 구 면 수차가 없으며, 이를 구면 수차 지움점(aplanatic point)라 한다. 그러므로 도 4(a) 또는 도 4(c)와 같이 구면 수차가 없는 두께의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이용하면 구면 수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cutting one end of the spherical lens, as shown in FIG. 4, the near
그러나 도 4(a)에 도시된 반구형의 렌즈는 상대적으로 개구수(Numeric Aperture, NA)가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 개구수(NA)는 렌즈의 성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개구수(NA)는 상기 도 4(a)의 반구형 렌즈에서는 nsinθ로 정의된다. 여기서 n은 광이 통과하는 매질의 굴절률이고, θ는 렌즈를 통과하는 광이 광축과 이루는 각의 최대값이다. 즉, 매질의 굴절률(n) 또는 각(θ)이 클 때, 상기 개구수(NA)가 커지며 근접한 두 점을 식별하는 분해능도 커지게 된다.However, the hemispherical lens shown in FIG. 4 (a) has a relatively low numerical aperture (NA). The numerical aperture (NA) means the performance of the lens, the numerical aperture (NA) is defined as nsin θ in the hemispherical lens of FIG. Where n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through which light passes, and θ is the maximum value of the angl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with the optical axis. That is, when the refractive index n or the angle θ of the medium is large, the numerical aperture NA becomes large and the resolution for identifying two adjacent points also increases.
반면에 상기 개구수(NA)는 4(c)의 초반구형 렌즈에서는 n2sinθ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도 4(c)의 초반구형 렌즈는 도 4(a)의 반구형 렌즈보다 큰 개구수(NA)를가지며,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초반구형 렌즈가 선호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umerical aperture NA is defined as n 2 sin θ in the ultra-spherical lens of 4 (c). Therefore, the ultra hemispherical lens of Fig. 4C has a larger numerical aperture NA than the hemispherical lens of Fig. 4A, and the ultra hemispherical lens is preferred in the near fiel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그러나, 도 4(c)에 도시된 초반구형 렌즈는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 수차는 초반구형 렌즈를 나타내는 d3 위치에서 기울기가 급변하는 양상을 보인다. 즉, 초반구형 렌즈는 두께에 제작상의 오차가 있으면, 구면 수차에 큰 오차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초반구형 렌즈는 정확한 두께를 가지도록 절삭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ultra hemispherical lens shown in FIG. 4 (c)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s shown in FIG. 5, the spherical aberration shows a sudden change in slope at the d3 position representing the hyperspherical lens. That is, the ultra hemispherical lens has a large error in spherical aberration if there is a manufacturing error in thickness. Therefore, since the hemispherical lens has to be cut to have an accurate thickness, manufacturing is difficult.
그러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렌즈에 비하여 개구수(NA)는 크면서 제작이 용이한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제작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상기 도 4(b)의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구면 수차를 대물 렌즈(41)를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b),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and use the near
도 6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d2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근접장 형성 렌즈(42)의 구면 수차를 대물 렌즈(41)를 이용하여 보상한 렌즈부(40)를 도시한다. 여기서 대물 렌즈(41)는 상기 제작된 근접장 형성 렌즈(42)와 동일한 크기의 반대 방향의 구면 수차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하여 구면 수차가 보상된, 제작이 용이하고 개구수가 큰 렌즈부(4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d2 정도 두께의 렌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변화에 따른 구면 수차의 변화가 완만한 곡선을 따라 변화하므로, 제작상의 오차 범위도 작은 효용성을 가진다. FIG. 6 shows the
이때, 상기 대물 렌즈(41)와 근접장 형성 렌즈(42)가 형성하는 유효 개구수(NAeff)는 기록 매체에 보호층이 있는 경우 제한을 받는다. 즉, 기록 매체(50)에 조사된 광이 기록 매체(50)의 보호층에서 전반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효 개구수(NAeff)는 보호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효 개구수(NAeff)는 대물 렌즈(41)와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를 포함하는 렌즈부(40) 전체의 개구수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NA eff formed by the
일반적으로 보호층의 굴절률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계열을 사용하는 경우, 405nm의 파장에서 1.6 정도이다. 그러나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을 사용하면 1.75 내지 1.85 정도가 된다. 즉, 보호층의 굴절률을 고려할 때 상기 유효 개구수(NAeff)의 한계는 1.75 내지 1.85 정도에 해당 한다. 예를 들어, 근접장 형성 렌즈(42)가 유리(glass)인 경우(구체적으로 1.8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LasF35 또는 LAM79 등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유효 개구수(NAeff)의 한계값은 1.85이다. 그리고 상기 한계값의 범위 내에서, 기록 매체(50)에 최소 직경의 광빔을 형성하기 위한 유효 개구수(NAeff)의 적정 범위는 1.6 내지 1.85이다. Gener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is about 1.6 at a wavelength of 405 nm when using a polycarbonate series. Howev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is about 1.75 to 1.85 using an acrylate (Acrylate) series. That is, when consider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tective layer, the limit of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NA eff corresponds to about 1.75 to 1.85. For example, when the near
반면, 상기 유효 개구수(NAeff)는 기록 매체(50)에 보호층이 마련되지 않아 표면에 기록층이 구비된 경우에는, 기록 매체(50)의 굴절률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는 고굴절률을 가지는 다이아몬드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효 개구수(NAeff)는 2.0 이상이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NA eff is not limit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그리고 상기 렌즈부(40)를 포함하는 광 픽업의 광학계(100)는 기록 매체(50)와 매우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렌즈부(40, 구체적으로는 근접장 형성 렌즈를 지칭한다)와 기록 매체(50)를 광 파장의 약 1/4(즉, λ/4) 이하로 근접시키면, 상기 렌즈부(40) 내부에서 생성된 소산파는 성질을 유지하며 기록 재생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부(40)와 기록 매체(50)의 간격이 λ/4 이상으로 멀어지면, 광의 파장은 소산파의 성질을 잃어버리며 원래의 파장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상기 렌즈부(40)는 기록 매채(50)와의 간격이 대략 λ/4을 넘지 않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λ/4가 근접장의 한계가 된다.The
도 2에 있어서, 수광부(60,70)는 반사광을 수광하고 광전변환하여, 상기 반 사광의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광부는 분리된 반사광을 각각 수광하는 제1 수광부(60)와 제2 수광부(70)를 구비한다. In FIG. 2, the
신호 생성부(80)는 상기 제1 수광부(60) 및 제2 수광부(70)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알 에프 신호(RF) 및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랙 에러 신호(TE) 등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The
제어부(90)는 상기 신호 생성부(90)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생성부(90)에서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FE)를 입력받아 렌즈부(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픽업에 있어서 광학계(100) 내부에서는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이외에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the pickup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 operation in the
상기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은 제1 분리합성부(20)로 입사하여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가 통과되어 제2 분리합성부(30)로 입사된다.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는 상기 선편광된 광에서 수직 편광 성분은 통과시키고 수평 편광 성분은 반사시킨다(이는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는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편광 변환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상기 제1 분리합성부(30)를 통과한 광은 렌즈부(40)로 입사한다. 여기서 상 기 렌즈부(40)의 대물 렌즈(41)로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 렌즈를(42) 통과하면서 소산파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에 입사한 광은 렌즈의 표면과 기록 매체(50)의 표면에서 전반사한다. 그리고 상기 임계각을 넘지 않는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42)에 입사한 광은 기록 매체(50)의 기록층에 반사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산파는 기록 매체(50)의 기록층에 도달하여 기록/재생을 수행한다.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and
그리고 상기 기록 매체(50)에 반사된 광은 다시 렌즈부(40)를 통하여 제2 분리합성부(30)로 입사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로 입사하는 경로상에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변환면은 기록 매체(50)로 입사하는 광과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편광 변환면으로 1/4 파장판(QWP, Quater wave plate)을 사용하면, 상기 1/4 파장판은 기록 매체(50)로 입사되는 광을 좌원 편광시키고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광을 우원 편광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1/4 파장판을 통과한 반사광은 입사광과 상이한 방향으로 편광 방향이 변환되며, 서로 90도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만 통과되어 입사된 광은 기록 매체(50)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로 입사될 때 수직 편광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 편광 성분의 반사광은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은 제2 수광부(70)로 입사하게 된다. The light reflected by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 렌즈부(40)의 개구수(NA)는 1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40)를 통하여 조사되고 반사되는 과정에서 광의 편광 방 향에 왜곡이 생긴다. 즉,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로 입사되는 반사광의 일부는 편광 방향의 왜곡에 의하여 수평 편광 성분을 가지며, 상기 제2 분리합성부(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통과된 반사광은 제1 분리합성부(20)로 입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리합성부(20)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킨다. 상기 제1 분리합성부(20)에서 반사된 광은 제1 수광부(60)로 입사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numerical aperture NA of the
상기 제1 수광부(60)와 제2 수광부(70)는 수광된 반사광의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 생성부(80)는 상기 수광부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알 에프 신호(RF) 및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랙 에러 신호(TE) 등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상기 신호 생성부(80)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기록 재생 과정에서 정확한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부가하여 수차 보상부(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pickup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That i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수차 보상부(35)는 기록 매체(50)에 조사되는 광의 초점을 가변시키는 부분이다.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부(40)가 기록 매체(50)와 근접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렌즈부(40)를 직접적으로 축 방향 이동시키기 어려우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 수차 보상부(35)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차 보상부(35)는 렌즈부(40)와 별도로 광축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 나의 이동 가능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수차 보상부(35)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수차 보상부(35)는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차 보상부(35)의 이동(예를 들면 35a에서 35b로 이동)에 따라서 기록 매체(50)에 광이 조사되는 위치는 제1 기록층(51a)에서 제2 기록층(51b)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이때, 상기 수차 보상부(35)는 두 개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렌즈는 고정되고 제2 렌즈는 상기한 도 8에서와 같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차 보상부(35)는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즉, 상기와 같은 수차 보상부(35)를 이용하여 렌즈부(40)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기록 매체(50)에 조사되는 초점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근접장에서도 다층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50)를 이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irradiated to the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그 두께가 매우 얇아지고 박막형의 기록 매체가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적합하며 여타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도 이용 가능한 기록 매체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near field, the recording medium used is very thin in thickness and a thin film type recording medium is required. Hereinafter, a recording medium that is suitable for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also be used in other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매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5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51a,51b,51c, 이하 전체를 51로 표기한다)과 상기 기 록층을 외부와 차단하는 보호층(52) 및 상기 각각의 기록층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53a,53b, 이하 전체를 53으로 표기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cording medium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상기 기록층(51)은 바람직하게는 기록 매체에 조사된 광에 의하여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기록된 데이터가 재생되는 데이터 처리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제1 기록층(51a), 제2 기록층(51b) 및 제3 기록층(51c)를 포함하여, 처리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세 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층(51)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사된 광의 초점 심도 안에 위치하는 경우 모두 포함된다.The recording layer 51 preferably means a data processing layer in which data is recorded or reproduced by the light irradiated on th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기록 매체의 표면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제1 기록층(51a)은 외란에 의하여 데이터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기록층(51a)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보호층(52)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상기 보호층(52)은 상기 기록층(51)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기록 매체(50)의 표면에 경화 수지 등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52)의 상부에 윤활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호층(52)은 각각의 기록층(51)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노출된 제1 기록층(51a)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록 매체(50)의 표면에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보호층(52)의 두께는 크게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첫째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층(51)의 보호 역할이 가능한 최소한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보호층(52)의 두께는 최소 1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층(52)은 두께가 10nm 이상이 될 때 외부 오염원에 저항 가능하다. 근접장에 사용하기 위한 박막화된 기록 매체(50)는 강성이 없어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생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층(52)을 경화하여 기록 매체가 최소한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둘째로 상기 보호층(52)의 두께는 기록 매체(5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렌즈부(40)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는 렌즈부(40)와 기록 매체(50)가 매우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다. 좀 더 정확하게는 상기 렌즈부(40)와 기록 매체(50)의 바람직한 간격은 조사되는 광 파장(λ)의 1/4 정도이다. 예를 들면 청색광(대략적으로 450∼500㎚의 파장)을 광을 이용하면, 약 100nm 정도의 미세한 간격을 가지게 된다. Secondly, the thickness of the
그런데 상기 기록 매체(5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과정에서는 조사되는 광의 위치는 계속적인 변경이 필요하다. 즉, 트랙을 탐색하거나 트랙의 이동을 위한 렌즈부(40)의 수평이동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렌즈부(40)의 수평 이동은 원격장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근접장 기록 재생 장치는 미세한 간격의 유지로 인하여 수평도를 약간만 벗어나는 경우에도 렌즈부(40)가 기록 매체(50)와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on the
그러므로 상기 보호층(52)의 두께는 이와 같은 렌즈부(40)의 기울어짐이 허용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25㎛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5㎛ 두께의 보호층(52)이 마련될 때, 실험적으로 렌즈부(40)가 기록 매 체(50)와 닿지 않고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는 0.07°에 불과하다. 이는 최대한의 수평도를 고려한 것으로, 상기 두께 이상의 보호층(52))이 마련되는 경우 렌즈부(40)는 기록 매체와 충돌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요소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구성하는 기록 매체(50)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52)의 두께는 10nm 내지 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factors, in the
또한, 상기 보호층(52)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은 본 발명의 기록 매체(50)에 광을 조사하는 렌즈부의 유효 개구수(NAeff)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의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다수개의 기록층(5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록 매체(50)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록층(51)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5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하나의 기록 매체(50)에 다수개의 기록층(51)이 포함되는 경우, 특히 근접장에 이용되는 박막형의 기록 매체(50)에서는 기록층(51)이 매우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기록층(51)은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함에 있어서 서로 상호간 데이터 처리를 방해하는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기록층(51a,51b,51c) 사이에 스페이서(53a,53b)를 두어 간섭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록층(51)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53)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기록층(51)의 개수보다 하나가 적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51 are included in one
스페이서(53)의 두께는 크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첫째로 상 기 스페이서(53)의 두께는 상기 기록층(51)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즉, 상기 1㎛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53)는 층간의 상호 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의 DVD 수준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pacer 53 is larg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First, the thickness of the spacer 53 is determined in a range wher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recording layers 51, and is preferably 1 µm or more. That is, the spacer 53 having a thickness of 1 μm or more can suppr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ayers, which can be below the current DVD level.
둘째로 상기한 보호층(52)의 경우와 같이 기록 매체(5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렌즈부(40)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렌즈부(40)의 기울어짐이 허용되는 범위를 고려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스페이서(53)의 두께도 최대 25㎛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Secondly, as in the case of the
또한 셋째로 상기 스페이서(53)의 두께를 최대 25㎛의 범위로 제한하고, 상술한 보호층(51)과 상기 스페이서(53)의 두께의 합을 최대 25㎛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면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과 가장 먼 기록층 사이에 간격이 구면 수차 조절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지 않도록 한다. Third,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thickness of the spacer 53 to a maximum of 25 μm and to limit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protective layer 51 and the spacer 53 to a maximum of 25 μm. This ensures that the gap between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farthest recording layer in terms of light irradiation does not exceed the spherical aberration adjustable range.
한편, 초점의 위치가 서로 다른 제1 기록층(51a)과 제2 기록층(51b) 또는 제3 기록층(51c)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렌즈부(40)로 입사하는 광 경로상에 앞서 설명한 수차 보상부(35, 도 7 내지 도 8 참조)와 같은 광학 소자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입사면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제1 기록층(51a)과 가장 먼 위치의 제3 기록층(51c)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차 보상부(35)와 같은 광학 소자에 의해 구면 수차 보정이 가능한 범위에 마련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rradiate light to the
즉,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53)의 최대 범위를 기록층(51)이 두 개인 경우로 최대값을 정하고 상기 스페이서(53)와 보호층(52)의 최대값을 정하여 기록 매체(50)의 두께가 상기 구면 수차 보정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요소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구성하는 기록 매체(50)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3)의 두께는 1㎛ 내지 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value of the spacer 53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spacer 53 and the
또한, 상기 스페이서(53)을 구성하는 물질의 굴절률은 본 발명의 기록 매체(50)에 광을 조사하는 렌즈부(40)의 유효 개구수(NAeff)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보호층(5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이 상기 스페이서(53)에 의해 전반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pacer 53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effective numerical aperture NA eff of the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매체(50)에 있어서, 사용하는 파장의 한계가 있으므로 기록 매체(50)의 두께는 점차 얇아지며 박형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기록 매체(50)에 포함되는 기록층(51)의 개수에 제한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구성하는 기록 매체(50)는 상기 보호층(52)과 상기 스페이서(53)의 두께의 합이 25㎛을 넘지 않는 것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53)는 바람직하게는 기록층(51)의 개수보다 하나 적게 구성되므로 이를 통하여 전체 기록층(51)의 개수와 기록 매체(50)의 두께를 제한할 수 있다. In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근접장을 이용하여 기록 재생하는데 적합한 렌즈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ens suitabl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using a near field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t is also an advantage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suitable for use in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near field.
또한, 기록 매체가 보호층을 구비하거나 다수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경우에도 이용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t is also advantageous to provide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even when the recording medium has a protective layer or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992,010 US20090161522A1 (en) | 2006-01-10 | 2006-09-15 |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nd Recording Medium |
JP2008550211A JP2009522712A (en) | 2006-01-10 | 2006-09-15 |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PCT/KR2006/003693 WO2007081079A1 (en) | 2006-01-10 | 2006-09-15 |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nd recording medium |
EP06798788A EP1971981A1 (en) | 2006-01-10 | 2006-09-15 |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nd recording med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8927 | 2006-04-28 | ||
KR20060038927 | 2006-04-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6361A true KR20070106361A (en) | 2007-11-01 |
Family
ID=3906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9512A KR20070106361A (en) | 2006-01-10 | 2006-06-29 |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diu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106361A (en) |
-
2006
- 2006-06-29 KR KR1020060059512A patent/KR2007010636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24771B1 (en) |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hea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skew detection method | |
KR100543421B1 (en) | Objective lens unit and recording/ reproduction apparatus | |
US7885163B2 (en) | Optical pickup,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 |
US20070189130A1 (en) | Optical information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device | |
US5986993A (en) | Optical pickup device having a diaphram with a predetermined aperture | |
US5917800A (en) | Optical pickup device for reproducing discs of two types with different densities by double beam focuses of different sizes | |
KR100426355B1 (en) | Optical pickup having an optical path difference adjusting means | |
KR20070106361A (en) |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dium | |
KR20080034384A (en) |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20090161522A1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nd Recording Medium | |
US20070237058A1 (en) |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medium | |
KR100468962B1 (en) | Optical pickup | |
JP2006252614A (en) |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riving device using the same | |
JP2008130196A (en) |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421681B1 (en) | Polarizing adaptive-type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objective lens | |
JPH10162411A (en) | Optical pickup device | |
KR100464080B1 (en) | Actuator for optical pick-up | |
KR100696759B1 (en) | Optical pickup | |
KR20090030859A (en) | Lens unit, optical system,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to and/or reproducing from a recording meidum | |
KR100229680B1 (en) | Optical pickup for different type disc | |
US8223615B2 (en) | Compatibl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 |
US7535813B2 (en) | Optical pickup and disc drive apparatus | |
KR20080083464A (en) |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9990055074A (en) | Optical pickup device | |
KR20080026016A (en) | Optical pickup,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