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804A -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804A
KR20070105804A KR1020060038411A KR20060038411A KR20070105804A KR 20070105804 A KR20070105804 A KR 20070105804A KR 1020060038411 A KR1020060038411 A KR 1020060038411A KR 20060038411 A KR20060038411 A KR 20060038411A KR 20070105804 A KR20070105804 A KR 2007010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unit
sterilizing
dust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701B1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3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70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는: 외측으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포집되는 집진부와, 집진부가 수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수납부 및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에 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진부, 청소기, 살균부, 투과부, 발광부재

Description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Sterilizing device of cleaner and cleaner therewi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살균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서 살균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청소기 22 : 흡입부
24 : 연결관로 26 : 본체
28 : 통공 30 : 수납부
32 : 장착부 40 : 집진부
42 : 커버 44 : 케이스
45 : 흡입구 46 : 필터
47 : 분리실 48 : 집진실
49 : 투과부 50,51 : 살균부
52 : 살균램프 53 : 원형램프
54,55 : 반사부재 60 : 살균부
62 : 살균램프 64 : 반사부재
70 : 센서부 72 : 표시부재
본 발명은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의 집진부에 살균을 위한 광을 직접 조사하여 살균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여과한 후에 다시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작동상태를 갖게 되는 진공 청소기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청소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소기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3)가 연결관로(5)에 의하여 청소기(1)의 본체(7)에 연결된다.
상기 본체(7) 내측에는 홈이 구비된 수납부(9)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9)에는 흡입구(13)가 구비된 집진부(11)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부(11) 내측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7) 내측에는 청소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청소기는 상기 본체(7) 내측에 구비된 모터가 작동되어 진공압을 형성하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부(3)와 연결관로(5)를 통하여 상기 집진부(11)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3)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부(11)로 유입된 이물질은 필터에 의하여 걸러지고, 여과된 공기만 외측으로 배기되는 작동상태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집진부(11)에 집진된 먼지 및 이물질에 세균등이 서식될 경우, 이로 인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집진부의 살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는: 외측으로 부터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포집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가 수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에 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부에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의 투과부가 구비되며, 상기 투과부는 석영유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집진부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집진부와 대응되는 상기 수납부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살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발광부재는 링 형상의 원형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의 집진 정도를 체크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외측에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표시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구성에 제시된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 및 이물질이 포집되는 집진부를 자외선을 포함한 광을 조사함으로 직접 살균하게 됨으로 종래에 비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쾌적한 청소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40)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2)가 연장관과 플렉시블관으로 이루어진 연결관로(24)에 의하여 청소기(20)의 본체(26)에 연결된다.
상기 청소기(20)의 본체(26) 내측에는 외측으로 부터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포집되는 집진부(40)가 장착되도록, 수납부(30) 내측에 홈이 구비된 장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구(45)가 케이스(44)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40)의 상측에는 필터(46)가 고정된 커버(42)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42)가 상측에 장착된 상기 케이스(44)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45)를 통하여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실(47)과, 분리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실(48)이 구획된다.
상기 분리실(47)에서의 공기는 먼지 및 이물질과 같이 회전하게 되며, 먼지 및 이물질은 상기 분리실(47)과 연결된 집진실(48)에 모이게 되며, 여과된 공기는 상기 필터(46)를 통하여 본체(26)에 형성된 통공(28)으로 유입된 후 청소기(20) 외측으로 배기된다.
상기 집진부(40)는 살균을 위한 광이 내측으로 투과되기 용이하도록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40)를 살균하기 위한 광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을 사용하나, 상기 집진부(40)를 살균하기 위한 동일 목적 내에서 다양한 광선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집진부(40)의 커버(42)와 케이스(44)를 전부 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먼지 및 이물질이 포집되는 상기 케이스(44)만을 투명 재질로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 집진부(40)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유리가 포함된 투명재질로 형성됨으로 자외선 조사에 따른 살균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집진부(40)와 마주하는 상기 수납부(30)의 측면에는 상기 집진부(40)에 광을 조사하여 먼지 속에 포함된 각종 세균이나 해로운 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부(50)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집진부(40)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54)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재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 전구 형태의 살균램프(52)를 포함하여 링 형상의 원형램프(53)를 포함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재는 전구 형태의 살균램프(52)를 사용하며, 상기 분리실(47)과 집진실(48)을 자외선으로 조사하도록 상기 수납부(3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램프(52)에 의하여 발생된 자외선 가운데 측면이나 후면으로 조사된 자외선을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54)에 의하여 살균효과는 극대화된다.
상기 살균램프(52) 주위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반사부재(54)는 상기 살균램프(52)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집진부(40)를 향하여 조사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기(20)가 작동되면, 집진부(40)의 흡입구(45)를 통하여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분리실(47)로 유입되어 회전하게 되며,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집진실(48)에 집진된다.
상기 청소기(20)의 동작과 함께 상기 살균부(50)도 동작되며, 상기 살균램프(52)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집진부(40)의 내측으로 조사되어 살균을 하게 된다.
상기 집진부(40)는 석영유리를 포함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의하여 자외선의 투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부(50)는 집진실(48)의 측면과 분리실(47)의 측면에 위치하여 먼지속에 포함된 세균등이 자외선에 조사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균부(50)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집진부(40) 내측으로 투과되는 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부(40) 전체를 투명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하여 자외선이 상기 집진부(40)의 케이스(44)로 유입되는 부분에만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의 투과부(49)가 설치된다.
싱기 투과부(49)는 이중사출에 의해서 설치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44) 측면에 추가 설치되는 방법 등 다양한 제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49)에는 자외선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석영유리가 포함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살균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살균부(51)에 구비된 발광부재는 집진부(40) 내측에 있는 먼지 속에 포함된 세균이나 각종 유해물질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부(40)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부(40)와 대응되는 수납부(30)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재는 링 형상의 원형램프(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형램프(53)의 외측에는 반사부재(55)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부재(55)는 링 형상의 단일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상의 편리를 위하여 2개 이상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형램프(53)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40)는 원주방향을 따라 자외선이 조사되며, 이로 인하여 살균면적이 확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3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에서 살균부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살균부(60)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재인 살균램프(62)와, 상기 살균램프(62) 외측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반사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살균램프(62)와 반사부재(64)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납부(30)에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자외선이 집진부(40)에 조사되는 면적이 극대화된다.
발광부재로 사용되는 살균램프(62)와 반사부재(64)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살균램프(62)와 반사부재(64)가 원주방향을 따 라 설치되는 기술 사상안에서 설치되는 위치 등은 변화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40)가 삽입 설치된 수납부(30)의 측면에는 상기 집진부(40)의 집진 정도를 체크하는 센서부(70) 및 상기 센서부(70)에 의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살균부(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청소기(20)의 제어부와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와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6) 외측에는 상기 센서부(70)에 의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표시부재(72)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70)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진부(40) 내측에 포집된 먼지량을 직접 센싱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70)에 의하여 측정된 값은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집진부(40) 내측에 포집된 먼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살균램프(52)의 작동이 계속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40) 내측에 포집된 먼지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거나, 설정된 양의 먼지가 포집된 경우에 상기 살균램프(52)가 점등되도록 하여 최적의 살균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재(72)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집진부(40) 내측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인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집진부(40)에 포집된 먼지를 적정 시기에 청소하게 됨으로 청소기(20)의 흡입능력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20)는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제시된 살균부(50,51,60)가 구비된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진공 청소기(20)에 구비되는 살균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진공 청소기(20)에 사용되는 살균장치가 아닌 다른 청소기의 살균장치에도 본 발명의 살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는 종래 발명과 달리 집진부를 직접 살균하게 됨으로 살균효과가 극대화 됨으로 보다 위생적인 청소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부에 집진된 먼지의 양에 따라 살균의 정도를 다르게 함으로 보다 효율적인 작동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3)

  1. 외측으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가 수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에 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의 투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석영유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집진부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집진부와 대응되는 상기 수납부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살균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링 형상의 원형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 소기의 살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부의 집진 정도를 체크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에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표시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살균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살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060038411A 2006-04-27 2006-04-27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077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411A KR100778701B1 (ko) 2006-04-27 2006-04-27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411A KR100778701B1 (ko) 2006-04-27 2006-04-27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04A true KR20070105804A (ko) 2007-10-31
KR100778701B1 KR100778701B1 (ko) 2007-11-22

Family

ID=3881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411A KR100778701B1 (ko) 2006-04-27 2006-04-27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7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431B1 (ko) * 2012-04-23 2013-03-25 전완기 진공청소기
KR101401521B1 (ko) * 2007-11-13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52654B1 (ko) * 2011-12-28 2014-10-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WO2021107301A1 (ko) * 2019-11-29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72B1 (ko) 2004-05-28 2007-04-19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청소기
KR200382161Y1 (ko) 2005-02-04 2005-04-19 정미진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청소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521B1 (ko) * 2007-11-13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52654B1 (ko) * 2011-12-28 2014-10-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KR101245431B1 (ko) * 2012-04-23 2013-03-25 전완기 진공청소기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WO2021107301A1 (ko) * 2019-11-29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N114727736A (zh) * 2019-11-29 2022-07-08 Lg电子株式会社 真空清洁器
US11696666B2 (en) 2019-11-29 2023-07-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CN114727736B (zh) * 2019-11-29 2023-09-29 Lg电子株式会社 真空清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701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38B1 (ko) 진공 청소기
US20080295271A1 (en) Clean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Combined with an Ultra-Violet Lamp
JP2006231030A (ja) 紫外線透過窓を有するごみ収集筒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100778701B1 (ko)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200471784Y1 (ko) 자체공기정화시스템이 구비된 흡연부스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CN103619360B (zh) 气体灭菌设备
JP2004061077A (ja) 空気清浄機
KR20160065387A (ko) 공기정화기
JP2004058030A (ja) 空気清浄機
JP2006217941A (ja) 電気掃除機
KR102403220B1 (ko) 손 소독용 살균장치
KR20040049940A (ko) 액자형 공기청정기
EP2451331B1 (en) Water basin illumination
CN219141014U (zh) 一种空气消毒机
CN210538602U (zh) 液体消毒装置
CN212511680U (zh) 一种uv杀菌模块及其相关的杀菌空气净化器
KR102628505B1 (ko) 공기살균기능을 포함하는 선바이져
KR200331120Y1 (ko) 공기정화기
CN116518502B (zh) 基于气体过滤的卧式空气净化装置
CN211119766U (zh) 一种紫外线空气消毒器
CN217154485U (zh) 一种壁挂式聚紫外线光型杀菌消毒空气净化机
JPH1052619A (ja) 家庭用空気清浄機
CN211903133U (zh) 空气杀菌清净机
KR900008598Y1 (ko) 공기청정기의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