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555A - Earphone having microphone - Google Patents

Earphone having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555A
KR20070105555A KR1020060037814A KR20060037814A KR20070105555A KR 20070105555 A KR20070105555 A KR 20070105555A KR 1020060037814 A KR1020060037814 A KR 1020060037814A KR 20060037814 A KR20060037814 A KR 20060037814A KR 20070105555 A KR20070105555 A KR 2007010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peaker
earphone
connec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명선
Original Assignee
허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명선 filed Critical 허명선
Priority to KR102006003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555A/en
Publication of KR2007010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5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n earphone comprising a microphone is provided to remove inconvenience of touching the microphone nearly to the mouth when attaching the microphone to a middle part of the earphone by comprising a speaker and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in an ear insertion part of the earphone. A connector(2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 first insertion part(230) comprises a microphone(231) and a first speaker(232). The microphone comprises a bone conduction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ferred through an outer ear path into an electrical signal. A second insertion part(240) comprises a second speaker(241) connected to the connector. A switch(221) is for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or or the first speaker and the connector.

Description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Earphone having microphone}Earphone with microphone {Earphone having microphon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를 구비한 이어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arphone having a conventional micro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대한 외형도이다.2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외형도이다.4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어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외형도이다.6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어폰에 대한 블락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phone shown in FIG. 6.

본 발명은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장, 지하철 등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상기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구현된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를 구비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bone conduction, which is embodied so as to be fre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noise even in a noisy environment such as a construction site or a sub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having a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상기 이어폰(earphone)은 음성 재생 장치의 일 예이다. 상기 음성 재생장치는 컴퓨터, 이동전화기, 전화기 또는 MP3, 또는 카세트 등에 사용되는 이어폰(earphone), 헤드폰(headphone), 헤드셋(headset) 등을 총칭한다.The earphone is an example of a voice reproducing apparatus. The voice reproducing apparatus generally refers to earphones, headphones, headsets, and the like used in computers, mobile phones, telephones, MP3s, or cassettes.

소리의 전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음파가 공기를 통해서 고막을 진동하여 이소골연쇄를 거쳐 난원창으로 들어가서 소리를 느끼는 공기전도(air conduction)가 있고, 다른 하나는 소리의 진동이 고막을 거치지 않고 두개골을 울려서 음파가 내이로 직접 전도되는 골전도(bone conduction)가 있다.The conduction of sound is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ne is air conduction, in which sound waves vibrate the eardrum through the air, enter the oval window through the isogol chain, and feel the sound. There is bone conduction being conducted.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를 구비한 이어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arphone having a conventional microphon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100)은 외부 장치(예컨대, 이동 통신장치)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거나 마이크(121)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110), 상기 커넥터(110)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의 증폭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31)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130),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삽입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마이크(121)와 볼륨 조절장치(12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arphone 100 may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a connector (or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21) to the external device. Earphone jack 110, a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110, a first insertion unit 130 having a speaker 131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voice A second insertion unit 140 for outputting a signal is provided. The controller 120 includes a microphone 121 and a volume control device 122.

상기 마이크(121)는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므로 발성자의 음성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성자의 입 부근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121)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소음에도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공사장 등 소음이 많이 발생 되는 장소에서 상기 이어폰(100)을 사용하는 경우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Since the microphone 121 is a device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microphone 121 should be located near the speaker's mouth in order to easily receive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Therefore, since the microphone 121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also reacts to various noises. Therefore, when using the earphone 100 in a place where a lot of noise, such as subway or construction sit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may not be made smoothly.

또한, 마이크(121)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마이크(121)를 손으로 잡고 입 근처에 갖다 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microphone 121,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hold the microphone 121 by hand and bring it near the mout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어폰의 귓속 삽입부에 스피커와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를 상기 이어폰 중간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 상기 마이크를 입 부근에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소음이 심한 공사장이나 지하철 등에서도 외부 소음으로 인한 방해 없이 상대방과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and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at the ear insertion portion of the earphone at the same time, when the microphone is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arphone when using the microphone to close to the mouth It is to provide earphones that can freely talk to the other party without disturbing the outside noise even in a noisy construction site or subwa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어폰은, 외부기기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 제1삽입부, 제2삽입부, 및 스위치를 구비한다. The earphon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connector, a first inserting portion, a second inserting portion, and a switch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제1삽입부는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와 제1스피커를 구비한다.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제2스피커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시키거나 상기 제1스피커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시킨다.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1스피커 또는 상기 제2스피커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볼륨 조절장치를 더 구비한다.The first insertion unit includes a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including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has a second speak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switch connects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or or connects the first speaker and the connector. 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 volume adjusting device for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의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 사용 모드시 제1색상, 스피커 사용 모드시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되는 LED를 더 구비한다.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n LED that is turned on in a first color in a microphone use mode and a second color in a speaker use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earphon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어폰은, 외부기기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 제1삽입부, 및 제2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고,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를 구비한다.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제2스피커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2스피커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볼륨 조절장치를 더 구비한다.The earphon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connector, a first inserting portion,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The first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element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has a second speak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 volume control device for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어폰은, 외부 통신 장치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 송수신회로, 및 신호 처리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제1삽입부, 제2삽입부, 및 스위치를 구비한다.Earphone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sig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a first insertion unit, a second insertion unit, and a switch.

상기 제1삽입부는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와 제1스피커를 구비한다.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신호 처리회로를 통하여 복조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스피커를 구비한다.The first insertion unit includes a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including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device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inserter includes a second speaker for converting the demodulated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상기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 회로로 전송하거나 상기 신호 처리회로로부터 출력된 복조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스피커로 전송한다.The switch transmi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or the demodulated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to the first speaker.

상기 신호처리 회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변환되어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회로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로 전송한다.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is conver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modulate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or demodulates a demodulated signal by demodulating the wireless circuit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Send to the switch.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1스피커 또는 상기 제2스피커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볼륨 조절장치를 더 구비한다.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 volume adjusting device for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의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 사용 모드시 제1색상, 스피커 사용 모드시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되는 LED를 더 구비한다.The earphone further includes an LED that is turned on in a first color in a microphone use mode and a second color in a speaker use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earphon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reference numeral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대한 외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은 외부 기기(예컨대, 휴대전화, PDA와 같은 이동통신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210), 조작부(220), 제1삽입부(230), 및 제2삽입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220)는 스위치(221)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200)은 볼륨 조절장치(222), LED(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2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earphon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or earphone jack; 210), an operation unit 220, and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The insertion part 23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240 are provided. The operation unit 220 may include a switch 221, and the earphone 200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 device 222 and an LED 223.

상기 제1삽입부(230)는 마이크(231)와 제1스피커(232)를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231)는 상기 제1스피커(232)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231)는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210)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상기 제1스피커(232)는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210)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first inserting unit 230 includes a microphone 231 and a first speaker 232. The microphone 23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speaker 232. The microphone 231 converts a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or (or earphone jack) 210. The first speaker 232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or (or earphone jack) 210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상기 제2삽입부(240)은 상기 커넥터(210)에 접속된 제2스피커(241)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210)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LED(223)는 상기 스위치(221)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223) 온(on)시에는 제1색상으로 상기 제1스피커(232) 온(on)시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unit 240 includes a second speaker 241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0,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or 210 as audible voice signal. The LED 223 may be turned on in a first color when the microphone 223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21 and in a second color when the first speaker 232 is turned on. hav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231)를 스피커(232)와 동일 삽입부에 구비하여 사용할 때 에코(echo)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마이크(231)와 상기 스피커(232)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231)와 상기 스피커(23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221)를 구비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2 and 3, an echo phenomenon occurs whe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231 is provided at the same insertion portion as the speaker 232 so that the microphone 231 and the speaker ( 232) may become inoperabl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switch 221 is provided so that only one of the microphone 231 and the speaker 232 can be selected.

외부 기기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210)는 다수의 접점들(M+, L+, R+, 및M-)를 구비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도 3에 도시된 상기 다수의 접점들(M+, L+, R+, 및M-)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nector (or earphone jack) 210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has a plurality of contacts M +, L +, R +, and M-.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M +, L +, R +, and M-) shown in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피커(232)를 사용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 모드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커넥터(210)로 입력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스위치(221)에 의해 제1스피커(232)에 접속되어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제1스피커(232)와 제2스피커(241)가 모두 온(ON)되어 상기 이어폰(200)은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사용된다. 일 반적으로 상기 커넥터(또는 이어폰 잭; 210)는 상기 외부 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접점들을 갖는다.In the speaker use mode for using the speaker 232,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nnector 210 from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speaker 232 by the switch 221 and converted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t this time, the first speaker 232 and the second speaker 241 are both turned on (ON), the earphone 200 is used as a stereo earphone. Generally, the connector (or earphone jack) 210 has contacts for connecting to the external device.

마이크(231)를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 사용 모드에서, 마이크(231)와 커넥터(210)는 상기 스위치(221)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므로, 제1스피커(232)의 기능은 차단되고, 상기 제1삽입부(230)의 마이크(231)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삽입부(230)의 마이크(231)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는 제2삽입부(240)의 제2스피커(241)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200)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다.In the microphone usage mode for using the microphone 231, the microphone 231 and the connector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witch 221,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irst speaker 232 is cut off and the first insertion is performed. The microphone 231 of the unit 230 may perform a function. Therefore, the user may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counterpart through the microphone 231 of the first inserter 230,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peaker 241 of the second inserter 240. You can listen. Therefore, the user can talk to the other party using the earphone 200.

사용자가 발성할 때 발생된 음성의 진동 신호는 외이도를 통하여 골전도 마이크 (또는 콘덴서 마이크; 231)로 전달된다. 상기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231)는 상기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231)는 외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The vibration signal of the voice generated when the user speaks is transmitted to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231 through the ear canal. Since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231 converts the vibration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microphone 231 is not affected by external noise.

소정의 커패시터(234)와 가변 저항(235)을 구비하는 볼륨 조절장치(222)는 상기 제1스피커(232) 및/또는 제2스피커(241)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한다.The volume controller 222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or 234 and a variable resistor 235 amplifies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232 and / or the second speaker 24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외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400)은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커넥터(410), 조작부(420), 제1삽입부(430), 및 제2삽입부(440)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420)는 상기 제2스피커(441)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장치(4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4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earphon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410, an operation unit 420, a first insertion unit 430, and a second insertion unit 440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operation unit 420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 device 421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econd speaker 441.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로 구현될 수 있는 제1삽입부(430)의 마이크(431)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커넥터(4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달된다.The microphone 431 of the first insertion unit 430,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element, receives a voice signal and converts the received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410.

상기 제2삽입부(440)는 제2스피커(441)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커넥터(410)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second inserting unit 440 includes a second speaker 441, and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410 into audibl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udible voice signal.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400)의 제1삽입부(430)는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를 갖는 마이크(431)를 구비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4 and 5, the first inserting portion 430 of the earphone 400 includes a microphone 431 having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element.

상기 마이크(431)는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기 위한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골전도(또는 콘덴서) 픽업소자는 발성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커넥터(41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 출력된다.The microphone 431 includes a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device (not shown)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bone conduction (or condenser) pickup device receives a voice signal of a speaker.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410.

소정의 커패시터(422)와 가변 저항(423)을 구비하는 볼륨 조절장치(421)는 상기 제2스피커(441)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한다.The volume control device 421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or 422 and a variable resistor 423 amplifies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441.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어폰(400)은 무전기 등 스테레오 스피커 기능이 필요하지않는 외부기기(예컨대, 무전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스위치 없이도 소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The earphon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walkie-talkie, etc.) that does not require a stereo speaker function such as a walkie-talkie, thereby enabling smooth communication without the influence of nois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switch. hav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외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부기기(예컨대, 휴대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장치)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조작부(610), 제1삽입부(620), 및 제2삽입부(630)를 구비한다.6 is an external view of an ear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ion unit 610, a first insertion unit 620, and a second embedded unit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insertion part 630 is provided.

상기 조작부(610)는 마이크 사용모드와 스피커 사용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611)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610)는 LED(613) 또는 볼륨조절장치(6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610 is provided with a switch 611 to select any one of the microphone mode and the speaker mode. The operation unit 610 may further include an LED 613 or a volume control device 614.

상기 제1삽입부(620)는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621)와 제1스피커(622)를 구비한다. 상기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621)는 골전도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제1스피커(622)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first insertion unit 620 includes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621 and a first speaker 622.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621 converts the received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using bone conductio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e first speaker 622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converts it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상기 제2삽입부(630)는 상기 제2스피커(631)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second inserting unit 630 includes the second speaker 631, and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상기 LED(613)는 상기 스위치(6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621) 온(on)시(또는 마이크 사용 모드)에는 제1색상으로, 상기 제1스피커(622) 온(on) 시(또는 스피커 사용 모드)에는 제2색상으로 점등될 수 있다.The LED 613 is of a first color when the microphone 621 is on (or a microphone using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611, and when the first speaker 622 is on. Or the speaker use mode) may be lit in a second color.

소정의 커패시터(미도시)와 가변 저항(미도시)을 구비하는 상기 볼륨 조절 장치(614)는 상기 제1스피커(622) 및/또는 제2스피커(631)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한다.The volume adjusting device 614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or (not shown) and a variable resistor (not shown) amplify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622 and / or the second speaker 631.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한 블락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621)를 스피커(622)와 동일 삽 입부에 구비하여 사용할 때 에코(echo)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마이크(621)와 상기 스피커(622)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621)와 상기 스피커(622) 중에서 어느 하나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611)를 구비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6 and 7, when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621 is provided with the same insertion portion as the speaker 622, an echo phenomenon occurs and the microphone 621 and the speaker ( 622 may become inoperabl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switch 611 is provided so that only one of the microphone 621 and the speaker 622 can be selected.

스피커(622)를 사용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 모드에서 외부 기기의 무선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통신 모듈(640)로 입력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스위치(611)에 의해 제1스피커(622)로 전송되어 청취 가능한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제1스피커(622)와 상기 제2스피커(631)가 모두 온(on)상태이므로 상기 이어폰(600)은 스테레오 이어폰으로도 사용된다.In the speaker use mode for using the speaker 622,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64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622 by the switch 611 to listen to the voice. Is converted into a signal. In this case, since both the first speaker 622 and the second speaker 631 are on, the earphone 600 is also used as a stereo earphone.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한 마이크 사용 모드에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621)와 통신 모듈(640)은 상기 스위치(611)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므로, 제1스피커(622)의 기능은 차단되고, 상기 제1삽입부(620)의 마이크(621)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삽입부(620)에 구현된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 621)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는 제2삽입부(630)의 제2스피커(631)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In the microphone use mode for using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62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6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witch 611, so that the first speaker 622 ) Is blocked, and the microphone 621 of the first inserting unit 620 may perform a func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transmit a voice signal to the counterpart through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621 implemented in the first inserter 620,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serter 630. Listening is possible through the second speaker 631.

상기 통신모듈(640)은 외부 통신 장치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 송수신 회로(641), 및 신호처리 회로(642)를 구비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스위치(611)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640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641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642 for exchanging a wireless signal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witch 611.

상기 신호처리 회로(642)는 상기 마이크(621)를 통하여 변환된 후 상기 스위 치(611)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641)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641)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611)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641)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640)과 외부 기기의 무선 송수신 장치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호처리 회로(64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642 modulates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611 after being converted through the microphone 621,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641, or The radio signal demodulated through the radio transceiver circuit 641 is demodulated and the demodula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611.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641 may perform a fun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The wireless transceiv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64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device for Bluetooth or infrared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642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00 또는 600)의 제1삽입부(230 또는 620)는 스위치(221 또는 611)의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 신호로 재생할 수도 있고,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first inserting portion 230 or 620 of the earphone 200 o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roduce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as a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21 or 611, and the audio signal may be electrically The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제1삽입부 (230 또는 620)에 구현된 골전도 마이크와 스피커를 동시에 사용할 때 발생되는 에코현상으로 상기 골전도 마이크가 작동불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221 또는 61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21 또는 611)의 조작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골전도 마이크와 스피커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ho phenomenon generated when simultaneously us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and the speaker implemented in the first insertion unit 230 or 620, and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inoperable. A switch 221 or 611 is provided to prevent it from becoming a state. Therefore, the user may use only one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and the speaker by the manipulation of the switch 221 or 611.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를 이어폰에 구현함으로써,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상대방과 소음의 영향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implementing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that is not affected by external noise in the earphon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 without affecting the noise even in a high nois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마이크 사용 모드와 스피커 사용 모드를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음악이나 라디오 등을 청취시 스피커 전용의 이어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양측의 삽입부를 모두 스피커로 사용가능하므로 상기 이어폰이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동작하여 양질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selecting the microphone use mode and speaker use mode according to the user needs, when the user listens to music or radio, etc., when using the earphone dedicated to the speaker when inserting both sides Since both can be used as a speaker, the earphone can operate as a stereo earphone to listen to high quality voice.

또한, 골전도 마이크(또는 콘덴서 마이크)와 스피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에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at can use any one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speaker has an effect that the echo phenomenon does not occur.

Claims (5)

외부 기기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A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 및 제1스피커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A microphone having a bone conduction pick-up element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first insert having a first speaker;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제2스피커를 구비하는 제2삽입부; 및A second insertion portion having a second speak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상기 마이크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시키거나 상기 제1스피커와 상기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이어폰.And a switch for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or or connecting the first speaker and the connector. 외부 기기와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A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고,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A first inser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a microphone including a bone conduction pickup element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제2스피커를 구비하는 제2삽입부를 구비하는 이어폰.An earphone having a second inserting portion having a second speak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외부 통신 장치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 송수신 회로, 및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A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외이도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픽업소자를 구비하는 마이크, 및 제1스피커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A microphone having a bone conduction pick-up element for converting a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first insert having a first speaker; 상기 신호 처리회로를 통하여 복조된 전기적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스피커를 구비하는 제2삽입부; 및A second inserter having a second speaker for converting the demodulat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into a voice signal; And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 회로로 전송하거나, 상기 신호 처리회로로부터 출력된 복조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며,A switch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or for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to the first speaker, 상기 신호처리 회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변환되어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로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 회로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로 전송하는 이어폰.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may be conver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modulate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and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or to demodulate and demodulate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Earphone to transmit to the switch.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1스피커 또는 상기 제2스피커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볼륨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는 이어폰.The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earphone further comprises a volume adjusting device for amplify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or the second speak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마이크 온(on)시 제1색상, 제1스피커 온(on)시 제2색상으로 점등되는 LED를 더 구비하는 이어폰.The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earphone further comprises an LED which lights up in a first color when the microphone is turned on and a second color when the first speaker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R1020060037814A 2006-04-26 2006-04-26 Earphone having microphone KR200701055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14A KR20070105555A (en) 2006-04-26 2006-04-26 Earphone having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814A KR20070105555A (en) 2006-04-26 2006-04-26 Earphone having micr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555A true KR20070105555A (en) 2007-10-31

Family

ID=3881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814A KR20070105555A (en) 2006-04-26 2006-04-26 Earphone having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555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499A1 (en)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Ear micro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45965B1 (en) * 2010-04-19 2011-07-04 신두식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WO2011132845A2 (en) * 2010-04-19 2011-10-27 Shin Do Sik Ear microphone
WO2013147384A1 (en) * 2012-03-29 2013-10-03 Shin Doo Sik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KR101348505B1 (en)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Earset
KR101381289B1 (en) * 2012-10-25 2014-04-04 신두식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KR101595270B1 (en) * 2014-08-18 2016-02-18 해보라 주식회사 Wire and wireless earset
WO2017010609A1 (en) * 2015-05-22 2017-01-19 중소기업은행 Method for eliminating audio feedback and echo in headset, and computer program
WO2017010610A1 (en) * 2015-05-22 2017-01-19 중소기업은행 Headset having audio feedback and echo eliminating functio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499A1 (en)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Ear micro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45965B1 (en) * 2010-04-19 2011-07-04 신두식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WO2011132845A2 (en) * 2010-04-19 2011-10-27 Shin Do Sik Ear microphone
WO2011132845A3 (en) * 2010-04-19 2011-12-15 Shin Do Sik Ear microphone
US9654858B2 (en) 2012-03-29 2017-05-16 Haebora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WO2013147384A1 (en) * 2012-03-29 2013-10-03 Shin Doo Sik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9743172B2 (en) 2012-03-29 2017-08-22 Haebora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KR101348505B1 (en) * 2012-07-17 2014-01-07 신두식 Earset
KR101381289B1 (en) * 2012-10-25 2014-04-04 신두식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WO2016028026A1 (en) * 2014-08-18 2016-02-25 해보라 주식회사 Wired and wireless earset
KR101595270B1 (en) * 2014-08-18 2016-02-18 해보라 주식회사 Wire and wireless earset
WO2017010609A1 (en) * 2015-05-22 2017-01-19 중소기업은행 Method for eliminating audio feedback and echo in headset, and computer program
WO2017010610A1 (en) * 2015-05-22 2017-01-19 중소기업은행 Headset having audio feedback and echo elimina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360B2 (en) Microphone technology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8014553B2 (en) Ear-mounted transducer and ear-device
KR20070105555A (en) Earphone having microphone
US200801521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stereo audio
US20070297634A1 (en) Earphone system with usage detection
KR100936393B1 (en) Stereo bluetooth headset
JP2010527541A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function
US20070287380A1 (en) Wireless Hybrid Headset
JP2010147982A (en) Stereo earphone microphone with remote control
JP2009531991A (en) Headset audio accessories
WO2008116394A1 (en) Combination device of the blue-tooth headphone and the megaphone base
WO2004064443A3 (en) Two-way voic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rnal acoustic noise reduction
CN102356647A (en) Headphone
US20140211970A1 (en) Earphone arrangements
EP1670283A1 (en) Bluetooth headset
US20090196443A1 (en) Wireless earphone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US20180270557A1 (en) Wireless hearing-aid circumaural headphone
CN101437189A (en) Wireless earphone with hearing-aid function
EP1887832A1 (en) Wireless earphones
KR20110024077A (en) Wireless communication microphone
KR20110080306A (en)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KR101224174B1 (en) a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bone conduction
KR20080013608A (en) Bluetooth headset with loud speaker
US20050271228A1 (en) Handheld device with hearing aid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