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192A -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192A
KR20070104192A KR1020060084874A KR20060084874A KR20070104192A KR 20070104192 A KR20070104192 A KR 20070104192A KR 1020060084874 A KR1020060084874 A KR 1020060084874A KR 20060084874 A KR20060084874 A KR 20060084874A KR 20070104192 A KR20070104192 A KR 2007010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ime
band allocation
time block
packe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300B1 (ko
Inventor
권창열
신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08,337 priority Critical patent/US7916683B2/en
Priority to MX2008013517A priority patent/MX2008013517A/es
Priority to CN2007800094399A priority patent/CN101405995B/zh
Priority to JP2009506409A priority patent/JP5108001B2/ja
Priority to PCT/KR2007/001824 priority patent/WO2007123317A1/en
Priority to EP07745987.3A priority patent/EP2011275B1/en
Priority to TW096113959A priority patent/TW200742355A/zh
Publication of KR2007010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300B1/ko
Priority to HK09106780.2A priority patent/HK1130129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퍼 프레임의 구간 중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에 대한 요청 및 승인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을 별도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생성하는 MAC 유닛과,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대역 관리부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설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물리 유닛을 포함한다.
수퍼 프레임(Super Frame),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스테이션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nder the wireless network}
도 1은 종래의 전송 요구 및 전송 클리어를 이용한 반이중적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계층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10 : CPU 720 : 메모리
730 : 버스 740 : MAC 유닛
750 : 대역 관리부 760 : PHY 유닛
770 : 안테나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퍼 프레임의 구간 중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에 대한 요청 및 승인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을 별도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송 요구 및 전송 클리어를 이용한 반이중적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반이중(half-duplex) 방식을 이용하는데, 반이중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매체에 접근 시 매체 점유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 요구(RTS; Request To Send) 신호(111) 및 전송 클리어(CTS; Clear To Send) 신호(121)가 이용된다.
전송할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송신 스테이션(110)은 우선, 전송 요구 신호(111)를 송신함으로써 전송 절차를 개시하는데, 이를 수신한 주변의 모든 스테이션은 전파 발생을 중지한다. 그리고, 수신 스테이션(120)이 전송 요구 신호(111)를 수신하면 전송 클리어 신호(121)로 응답하는데, 전송 클리어 신호(121) 또한 주변의 모든 스테이션의 전파 발생을 중지시킨다. 전송 클리어 신호(121)를 수신한 송신 스테이션(110)은 프레임(112)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수신 스테이션(120)으로부터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신호(122)를 수신한다.
무선 랜(Wireless LAN)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알고리즘인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는 분산 조정 함수(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 의해서 제공되는데, 분산 조정 함수는 이더넷과 마찬가지로 송신 스테이션(110)이 프레임(112)을 전송하기 전에 무선 링크가 깨끗하지 검사하며, 다른 스테이션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각 프레임(112)의 종료 시점에서 임의의 지연(back-off)을 사용한다.
반송파 감지(Carrier sensing)는 매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물리적 반송파 감지와 가상 반송파 감지 기능으로 분류된다. 물리적 반송파 감지 기능은 물리 계층에서 제공하며, 사용되는 매체와 변조 방식에 의존한다. 그리고, 가상 반송파 감지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NAV; Network Allocation Vector)가 제공하는데,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매체가 예약된 경우의 시간 정보를 의미하는 타이머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할당 벡터는 전송 요구 신호(111) 및 전송 클리어 신호(121)의 프레임 헤더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송신 스테이션(110) 및 수신 스테이션(120)은 동작 완료에 필요한 시간을 네트워크 할당 벡터에 설정하여 다른 스테이션의 매체 사용을 방지한다.
한편, 무선 팬(Wireless PAN) 환경에서 타이밍(timing)은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기반으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퍼 프레임(200)은 비콘 구간(210)으로 시작하여 경쟁 접근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220), 채널 타임 할당 구간(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230)으로 구성된다. 경쟁 접근 구간(220)을 통해서는 비동기 데이터(Asynchronous Data) 또는 제어 명령(Command) 등이 송수신된다. 채널 타임 할당 구간(230)은 CTA(Channel Time Allocation)(232), MCTA(Management CTA)(231)로 구성되고, CTA(232)를 통해서는 제어 명령, 등시성 데이터(Isochronous Data) 또는 비동기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경쟁 접근 구간(220)의 길이는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하고, 비콘 구간(210)에 배포된 비콘 프레임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스테이션들에 전달된다.
경쟁 접근 구간(220)에서는 매체 접근 방식으로 전술한 CSMA/CA를 사용한다. 반면, 채널 타임 할당 구간(230)은 스테이션마다 특정한 타임 윈도우(Time Window)를 가지는 시분할 다중 접근(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데, 액세스 포인트는 매체 접근을 요청하는 장치를 위하여 채널 타임(Channel Time)을 할당하고, 그 기간 동안 해당 스테이션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MCTA(231)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려는 한 쌍의 스테이션에 할당되어 TDMA로 접근하거나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공유 CTA로써 사용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 시, 수 기가(Giga) 대역을 통하여 압축된(compresse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과 함께, 수십 기가 대역을 통하여 비 압축된(uncompressed)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비 압축된 데이터는 압축된 데이터에 비하여 고용량이므로, 수십 기가 대역을 통해서만 전송이 가능하며, 전송 중 패킷(packet)의 손실(loss)이 발생하더라도 데이터를 출력함에 있어서 압축된 데이터에 비하여 적은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송신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대역 할당을 요청하고, 대역 할당이 승인되었다는 응답을 수신하여야 하는데, 이는 경쟁 접근 구간(22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송신 스테이션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른 스테이션들과 함께 매체 접근에 대한 경쟁을 수행해야 하는 것인데 이 때, 경쟁을 통해 대역 할당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송신 스테이션은 다음 경쟁 구간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다음 수퍼 프레임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수신 스테이션의 사용자는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발생하는 데이터 수신의 지연에 대하여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경쟁 방식을 보다 합리적으로 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시킬 수 있는 방법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수퍼 프레임의 구간 중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에 대한 요청 및 승인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시간 구간을 별도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생성하는 MAC 유닛과,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대역 관리부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설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물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수신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MAC 유닛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물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설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수신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Wireless Network Coordinator)(310) 및 스테이션(Wireless Network Station)(321, 322, 323, 3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310)는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321, 322, 323, 324)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321, 322, 323, 324)은 수신된 비콘 프레임을 참조하여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대기하거나, 대역이 자신에게 할당된 경우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다른 스테이션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에 따라 구성되는데, 채널 타임 블록은 네트워크상의 특정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되도록 예약된 시간 구간인 예약 채널 타임 블록(Reserved Channel Time Block)과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 중 경쟁을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된 시간 구간인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Unreserved Channel Time Block)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타임 블록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약 채널 타임 블록 및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은 각각 채널 타임 할당 구간(Channel Time Allocation Period) 및 경쟁 접근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에 대응된다.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갖고 있는 스테이션은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다른 스테이션과 경쟁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자신에게 할당된 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은 하나의 수퍼 프레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중 특정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은 또 다른 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의 대역 할당을 위한 패킷(이하, 대역 할당 패킷이라 한다)이 송수신되는 구간(이하, 예약 구간이라 한다)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 경쟁을 통해 대역을 할당 받지 못하거나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의 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 스테이션은 예약 구간에서 다른 스테이션과 다시 경쟁을 수행하여 대역을 할당 받을 수 있게 된다.
예약 구간에서 할당된 대역은 주파수 대역은 60GHz의 고주파 대역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계층의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계층(400)은 최하위에 무선 신호가 전파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물리적 매체를 의미하는 채널(channel) 층(440)으로부터 시작하여, RF 층(Radio Frequency layer)(432) 및 기저대역 층(Baseband layer)(431)을 포함하는 PHY 층(Physical layer)(430)과, MAC 층(Media Access Control layer)(420) 및 상위 층(upper layer)(4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위 층(410)은 MAC 층(420) 이상 의 층으로서 LLC 층(Logical Link Control layer), 네트워크 층, 전송 층 및 어플리케이션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채널은 2.4 GHz 또는 5GHz와 같은 저주파 대역뿐만 아니라, 60GHz와 같은 고주파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층(440)은 방향성이 없는 통신뿐만 아니라, 방향성이 있는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퍼 프레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수퍼 프레임(500)은 비콘 구간(510),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 (521, 522, 523, 524) 및 예약 채널 타임 블록(531, 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콘 구간(510) 동안에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에 의한 비콘 프레임이 배포되는데 이에 따라,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들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예약 정보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521, 522, 523, 524)은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둘 이상의 스테이션이 서로 경쟁하는 구간으로서, 경쟁에서 선택된 스테이션만이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약 채널 타임 블록(531, 532)은 특정 스테이션에 대하여 대역이 할당된 구간으로서, 대역을 할당받은 특정 스테이션만이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자신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퍼 프레임(5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521, 522, 523, 524) 및 예약 채널 타임 블록(531, 532)이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중 특정 예약 채널 타임 블록(531)은 예약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들은 또 다른 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서의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쟁은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와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콘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줄 블록(630)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600)가 포함될 수 있는데, 각 스케줄 블록(631, 632, 633)에는 네트워크의 대역 할당 또는 기타 네트워크의 운용에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스테이션들에게 배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스케줄 정보(600)에는 스케줄 정보의 식별자 필드(610), 스케줄 정보의 크기 필드(6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줄 블록(630)가 포함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의 식별자 필드(610)에는 해당 정보가 스케줄 정보임을 나타내는 플래그 또는 고유 식별자가 명시되어 있고, 스케줄 정보의 크기 필드(620)에는 스케줄 정보의 전체 크기가 명시되어 있다.
한편, 스케줄 정보의 식별자 필드(610)에는 대역 할당에 대한 정적 또는 동적 할당 여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등시성 데이터(Isochronous Data)가 송수신되는 경우 스케줄 정보의 식별자 필드(610)에는 해당되는 채널 타임 블록이 정적으로 할당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명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케줄 블록(631, 632, 63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가 포함되는데, 정보 요소로는 발신지 식별자 필드(651), 목적지 식별자 필드(652), 스트림 인덱스 필드(653), 시작 시간 필드(654), 블록의 크기 필드(655), 스케줄 구간 필드(656) 및 블록의 수 필드(657)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지 식별자 필드(651)에는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발신 스테이션이 명시되고, 목적지 식별자 필드(652)에는 소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목적 스테이션이 명시되고, 스트림 인덱스 필드(653)에는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송수신되도록 지정된 데이터의 종류가 명시되고, 시작 시간 필드(654)에는 수퍼 프레임상에서의 채널 타임 블록의 시작 시간이 명시되고, 블록의 크기 필드(655)에는 채널 타임 블록의 크기가 명시되고, 스케줄 구간 필드(656)에는 연속된 채널 타임 블록간의 간격이 명시되고, 그리고 블록의 수 필드(657)에는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타임 블록의 수가 명시된다.
정보 요소 중 스트림 인덱스 필드(653)에 명시되는 데이터의 종류로는 비동기 데이터(asynchronous data), 관리 트래픽(management traffic), 미지정 스트림(unassigned stream) 및 대역 예약 트래픽(bandwidth reservation traffic)을 나타내는 값이 명시될 수 있다. 즉, 스트림 인덱스 필드(653)가 대역 예약 트래픽을 나타내는 값이 명시된 경우 해당 스케줄 블록에 의하여 지정된 채널 타임 블록은 예약 구간으로 설정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채널 타임 블록이 예약 구간으로 설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신지 식별자 필드에는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이 명시되고, 목적지 식별자 필드에는 대역 할당 요청 패킷에 대한 대역 할당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이 명시되고, 시작 시간 필드에는 수퍼 프레임상에서 예약 구간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값이 명시되고, 블록의 크기 필드에는 예약 구간의 크기가 명시되고, 그리고, 블록의 수 필드에는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예약 구간의 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수퍼 프레임에는 하나의 예약 구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블록의 수 필드에는 1이 입력될 수 있다.
이하, 채널 타임 블록을 예약 구간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각 정보 요소에 삽입되는 정보를 예약 정보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700)는 CPU(710), 메모리(720), MAC 유닛(740), 대역 관리부(750) 및 PHY 유닛(7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710)는 버스(73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도 4에 도시된 상위 층의 작업을 담당한다. 따라서, CPU(710)는 MAC 유닛(74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데이터(수신 MSDU; MAC Service Data Unit)를 처리하거나 송신 데이터(송신 MSDU)를 생성하여 MAC 유닛에 제공한다.
메모리(7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720)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7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MAC 유닛(7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대역 관리부(750)는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 즉, 예약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대역 관리부(750)는 스케줄 정보의 스케줄 블록 중 하나의 정보 요소에 예약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PHY 유닛(760)은 MAC 유닛(740)에 의하여 생성된 비콘 프레임을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예약 구간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예약 정보가 포함된 비콘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HY 유닛(760)은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761) 및 RF 유닛(7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테나(770)와 연결된다. 안테나(770)는 고주파 대역의 방향성 있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RF 유닛(762)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대역 할당 패킷은 대역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 할당 요청 패킷 및 대역 할당을 승인하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은 예약 구간 동안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에게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다.
예약 구간에서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스테이션들은 서로 경쟁 하게 되는데, 이 때의 경쟁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자신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 때, 데이터는 압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압축 데이터를 포함한다.
대역 관리부(750)는 스케줄 블록의 정보 요소 중 발신지 식별자(651)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예약 구간에서의 경쟁을 허용할 수 있으며, 발신지 식별자(651)를 특정 스테이션으로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특정 스테이션에게만 예약 구간에서의 경쟁을 허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테이션(800)은 CPU(810), 메모리(820), MAC 유닛(840), 판단부(850) 및 PHY 유닛(8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810)는 버스(83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도 4에 도시된 상위 층의 작업을 담당한다. 따라서, CPU(810)는 MAC 유닛(84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데이터(수신 MSDU; MAC Service Data Unit)를 처리하거나 송신 데이터(송신 MSDU)를 생성하여 MAC 유닛(840)에 제공한다.
메모리(82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820)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스테이션(8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MAC 유닛(840)은 CPU(810)로부터 제공된 MSDU, 즉 송신할 데이터에 MAC 헤더를 부가하여 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한다.
PHY 유닛(860)은 MAC 유닛(840)에 의하여 생성된 MPDU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통신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PHY 유닛(860)은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861) 및 RF 유닛(8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안테나(870)와 연결된다. 안테나(870)는 고주파 대역의 방향성 있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861)는 MAC 유닛(840)에서 생성된 MPDU를 제공받아 시그널 필드 및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PPDU를 생성한다. 그러면, RF 유닛(862)은 생성된 PPDU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870)를 통하여 송신한다.
한편, 스테이션(800)은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의 대역을 할당 받거나,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에 다른 스테이션과 경쟁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와 별개로 대역 할당을 받기 위하여 예약 구간에 다른 스테이션과 경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HY 유닛(860)은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가 송신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데, 수신된 비콘 프레임은 판단부(850)로 전달된다.
그리고, 판단부(850)는 수신된 비콘 프레임을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 즉, 예약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는 비콘 프레임의 스케줄 블록의 정보 요소 중 블록의 수 필드를 참조하거나, 스트림 인덱스 필드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블록의 수 필드에 1이 입력되어 있거나, 스트림 인덱스 필드가 대역 예약 트래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850)는 해당 스케줄 블록에 의한 채널 타임 블록이 예약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판단부(8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MAC 유닛(840)은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고, PHY 유닛(860)은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생성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700)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700)는 그 응답으로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송신하게 된다.
한편, 네트워크상에는 복수 개의 스테이션이 존재할 수 있는데, 각 스테이션은 예약 구간 동안 서로 경쟁하여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매체로의 접근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 방식을 포함한다.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이 수신된 경우, 스테이션(800)의 MAC 유닛(84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에 지정된 채널 타임 블록에서 PHY 유닛(860)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 때의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며, 송신되는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 중 대역 관리부(750)를 구비한 스테 이션은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 때의 스테이션은 비콘 프레임을 생성하여 배포함으로써 다른 스테이션에게 예약 구간을 제공하고,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함으로써 경쟁에서 선택된 다른 스테이션에게 대역을 할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예약 구간을 설정하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스테이션들에게 또 다른 경쟁 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의 MAC 유닛(7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을 생성한다(S910).
이 때, 대역 관리부(750)는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예약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S920).
이렇게 하여 생성된 비콘 프레임은 수퍼 프레임의 비콘 구간 중 송신되어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스테이션들에게 배포되고(S930) 이에 따라, 스테이션들은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게 된다.
그리고, PHY 유닛(760)은 스테이션들로부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수신하는데(S940), 이에 따라 MAC 유닛(740)은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생성한다. 이 때, 대역 관리부(750)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에 송신 스테이션, 수신 스테이션, 데이터의 종류 및 해당 채널 타임 블록 등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생성된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은 PHY 유닛(760)을 통하여 송신된다(S95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700)에 의하여 제공된 예약 구간을 통하여 대역을 할당 받기 위하여 스테이션(800)의 PHY 유닛(860)은 네트워크상으로 배포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S1010).
수신된 비콘 프레임은 판단부(850)로 전달되고, 판단부(850)는 수신된 비콘 프레임을 참조하여, 예약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020). 판단부(850)에 의한 판단은 스케줄 블록의 정보 요소에 포함된 블록의 수 필드 또는 스트림 인덱스 필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판단 결과는 MAC 유닛(840)으로 전달되고, MAC 유닛(840)은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한다(S1030). 그리고, 생성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은 PHY 유닛(860)에 의하여 송신되고(S1040), 그에 대한 응답으로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S1050).
대역 할당 승인 패킷에는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타임 블록 중 하나가 지정되어 명시될 수 있는데, 스테이션(800)은 지정된 채널 타임 블록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S106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따르면 수퍼 프레임의 구간 중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에 대한 요청 및 승인을 위한 패킷이 송수신되는 시간 구간을 별도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할당된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대역 할당을 위한 경쟁을 보다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생성하는 MAC 유닛;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대역 관리부;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설정을 위한 예약 정보가 포함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물리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의 특정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되도록 예약된 시간 구간인 예약 채널 타임 블록(Reserved Channel Time Block); 및
    상기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 중 경쟁을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된 시간 구간인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Unreserved 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인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은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 할당 요청 패킷 및 상기 대역 할당을 승인하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 중 상기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상기 대역 할당 승인 패킷에 지정된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관리부는 상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요소에 상기 설정을 위한 예약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설정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상기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발신지 식별자 필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목적지 식별자 필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송수신되도록 지정된 상기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스트림 인덱스 필드;
    상기 수퍼 프레임상에서의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블록의 크기 필드;
    연속된 상기 채널 타임 블록간의 간격을 나타내는 스케줄 구간 필드; 및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블록의 수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관리부는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발신지 식별자 필드;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 션을 나타내는 목적지 식별자 필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도록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이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스트림 인덱스 필드;
    상기 수퍼 프레임상에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블록의 크기 필드; 및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블록의 수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정보 요소에 삽입하여 상기 설정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관리부는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에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지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설정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스테이션들은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에서 서로 경쟁하여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하는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조정자.
  15. 수신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MAC 유닛;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물리 유닛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대역 할당에 대한 승인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물리 유닛은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타임 블 록(Channel Time Block)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테이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인 스테이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른 스테이션들과 경쟁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하는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2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을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Bandwidth Allocation)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설정을 위한 예약 정보가 포함된 상기 비콘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의 특정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되도록 예약된 시간 구간인 예약 채널 타임 블록(Reserved Channel Time Block); 및
    상기 네트워크상의 스테이션 중 경쟁을 통하여 선택된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대역이 할당된 시간 구간인 비예약 채널 타임 블록(Unreserved 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예약 채널 타임 블록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은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 할당 요청 패킷 및 상기 대역 할당을 승인하는 대역 할당 승인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 중 상기 대역 할당 승인 패킷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상기 채널 타임 블록 중 상기 대역 할당 승인 패킷에 지정된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허용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요소에 상기 설정을 위한 예약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상기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발신지 식별자 필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목적지 식별자 필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에서 송수신되도록 지정된 상기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스트림 인덱스 필드;
    상기 수퍼 프레임상에서의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블록의 크기 필드;
    연속된 상기 채널 타임 블록간의 간격을 나타내는 스케줄 구간 필드; 및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블록의 수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발신지 식별자 필드;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는 목적지 식별자 필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도록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이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스트림 인덱스 필드;
    상기 수퍼 프레임상에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 필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블록의 크기 필드; 및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블록의 수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예약 정보를 상기 정보 요소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모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에서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지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스테이션들은 상기 특정 채널 타임 블록에서 서로 경쟁하여 상기 대역 할당 패킷을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하는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5. 제 22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36. 수신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참조하여, 네트워크상의 대역 할당을 위한 대역 할당 패킷이 송수신되는 구간이 수퍼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대역 할당에 대한 승인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퍼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타임 블록(Channel Time Block)에서 소정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임 블록은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테이션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일정한 시간 구간(Time Period)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비압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다른 스테이션들과 경쟁하여 상기 대역 할당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하는 방식은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 또는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42.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은 60GHz 대역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0060084874A 2006-04-21 2006-09-04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79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08,337 US7916683B2 (en) 2006-04-21 2007-02-21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MX2008013517A MX2008013517A (es) 2006-04-21 2007-04-16 Sistema de red inalambrica y metodo de transmision/recepcion de datos en red inalambrica.
CN2007800094399A CN101405995B (zh) 2006-04-21 2007-04-16 在无线网络中发送/接收数据的无线网络系统和方法
JP2009506409A JP5108001B2 (ja) 2006-04-21 2007-04-16 無線ネットワーク調整装置、ステーション、送信方法及び送受信方法
PCT/KR2007/001824 WO2007123317A1 (en) 2006-04-21 2007-04-16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EP07745987.3A EP2011275B1 (en) 2006-04-21 2007-04-16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TW096113959A TW200742355A (en) 2006-04-21 2007-04-20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HK09106780.2A HK1130129A1 (en) 2006-04-21 2009-07-24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371206P 2006-04-21 2006-04-21
US60/793,712 2006-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92A true KR20070104192A (ko) 2007-10-25
KR100791300B1 KR100791300B1 (ko) 2008-01-04

Family

ID=3881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874A KR100791300B1 (ko) 2006-04-21 2006-09-04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16683B2 (ko)
EP (1) EP2011275B1 (ko)
JP (1) JP5108001B2 (ko)
KR (1) KR100791300B1 (ko)
CN (1) CN101405995B (ko)
HK (1) HK1130129A1 (ko)
MX (1) MX2008013517A (ko)
TW (1) TW200742355A (ko)
WO (1) WO2007123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9219B (zh) * 2006-05-01 2014-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在分散式存取無線通信網路的多重跳躍式傳輸中以最大延遲保証保留資源的方法
KR101399361B1 (ko) * 2006-08-2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914707B1 (ko) 2006-12-01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긴급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디바이스
KR100908007B1 (ko) * 2006-12-01 2009-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917888B1 (ko) 2007-02-09 2009-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1015681B1 (ko) * 2007-07-16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1743758B (zh) * 2007-07-17 2015-04-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介质预留通告
WO2009020551A1 (en) * 2007-08-03 2009-02-12 Staccato Communications, Inc. Token passing data transfer mechanism for reservation based protocols
US9008066B2 (en) * 2007-10-3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001815B2 (en) * 2007-10-3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97268B2 (en) 2008-03-11 2014-11-2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adapted for directional bandwidth reservation with fixed announcement slot in wireless networks
US8824422B2 (en) * 2008-03-11 2014-09-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enabling dynamic bandwidth reservation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O2009132477A1 (zh) * 2008-04-30 2009-11-05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带宽请求与分配的方法及装置
US8363579B2 (en) * 2008-12-08 2013-01-2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320342B2 (en) * 2009-06-12 2012-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carrier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5470652B2 (ja) * 2009-12-25 2014-04-16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通信システム、干渉防止方法
EP2378722B1 (en) * 2010-02-16 2012-1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917705B2 (en) 2011-09-29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reduction mechanism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3517381B (zh) * 2012-06-12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接入方法及设备
CN102761970B (zh) 2012-06-30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Csma时隙提供和获取以及组网方法、设备及系统
US9055562B2 (en) 2012-09-28 2015-06-09 Motorola Solutions, Inc. Real time traffic adaptive data channel bandwidth control among agency access groups
US9918342B2 (en) 2013-02-15 2018-03-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frame in accordance with bandwidth thereof in WLAN system
KR102294634B1 (ko) * 2015-08-12 2021-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US10256895B2 (en) * 2015-11-02 2019-04-0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st relay for bandwidth allocation signaling
CN113973338A (zh) * 2020-07-23 2022-01-2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封包接收系统以及封包接收方法
KR102568109B1 (ko) 2022-06-13 2023-08-18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정보통신의 네트워크 무선 송수신 설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196B2 (ja) * 1998-09-09 2003-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Tdma無線通信方式
JP2005538574A (ja) * 2001-10-03 2005-12-15 エクストリームスペクトラ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アクセス・コントローラの動作方法
US7684380B2 (en) * 2002-01-22 2010-03-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synchronous data in a wireless network
JP3968512B2 (ja) * 2002-06-26 2007-08-2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945325B2 (ja) * 2002-07-0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65837B2 (en) * 2003-04-30 2011-06-2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digital video presentation
KR100621093B1 (ko) * 2003-06-03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pan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채널 시간을 할당하는장치 및 방법
KR100999094B1 (ko) * 2003-06-27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방식의 무선랜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586861B1 (ko) * 2003-10-18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도약방식의 멀티밴드 초광대역 통신방법
KR20050040445A (ko) 2003-10-28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환경에서 우선순위 기반의 차등화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79525B1 (ko) * 2003-12-3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 채널시간 할당방법
US20050259617A1 (en) * 2004-05-06 200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time reservation in distribu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100706990B1 (ko) 2004-07-06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간의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JP2008005001A (ja) * 2006-06-20 2008-01-10 Sanyo Electric Co Ltd チョッパ型コン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逐次比較型a/dコンバ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16683B2 (en) 2011-03-29
JP2009534908A (ja) 2009-09-24
EP2011275A1 (en) 2009-01-07
JP5108001B2 (ja) 2012-12-26
KR100791300B1 (ko) 2008-01-04
US20070248072A1 (en) 2007-10-25
TW200742355A (en) 2007-11-01
CN101405995B (zh) 2011-12-21
HK1130129A1 (en) 2009-12-18
EP2011275A4 (en) 2012-12-26
WO2007123317A1 (en) 2007-11-01
MX2008013517A (es) 2009-01-16
CN101405995A (zh) 2009-04-08
EP2011275B1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300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898714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917888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US7933217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the wireless network
US20080019347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over wireless network
KR20080008196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746039B1 (ko) 통신 매체를 예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81526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736102B1 (ko)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